고료 합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료 합전은 1467년 1월, 하타케야마 씨 가문의 당주 자리를 둘러싼 분쟁으로 발생한 전투이다.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와 하타케야마 마사나가가 대립하는 가운데,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우유부단한 태도와 측근 정치로 인해 상황이 악화되었다.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야마나 소젠의 지원을 받아 교토로 진격하여 가미고료 신사에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와 전투를 벌였고,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승리했다. 고료 합전은 오닌의 난으로 이어지는 가미교 전투의 시작을 알렸으며, 무로마치 막부의 권위 약화와 센고쿠 시대의 도래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67년 일본 - 오닌의 난
오닌의 난은 1467년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후계자 문제로 시작되어 동군과 서군으로 나뉘어 11년간 교토를 중심으로 벌어진 대규모 내전이며, 아시카가 막부의 권위를 무너뜨리고 센고쿠 시대의 시작을 알린 사건이다. - 오닌의 난 - 아시카가 요시미
아시카가 요시미는 6대 쇼군의 아들로 태어나 승려가 되었다가 환속하여 쇼군의 후계자가 되었고, 오닌의 난 이후 아들이 쇼군이 되자 정무를 보다가 사망했다. - 오닌의 난 - 원화엄무
원화엄무는 무기를 거두어 전쟁을 멈추고 평화를 추구한다는 의미로, 에도 시대 겐나 언무를 통해 일본 문학이 평화로운 현실을 바탕으로 인간 내면, 사회, 일상생활을 묘사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 - 무로마치 시대의 전투 - 오닌의 난
오닌의 난은 1467년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후계자 문제로 시작되어 동군과 서군으로 나뉘어 11년간 교토를 중심으로 벌어진 대규모 내전이며, 아시카가 막부의 권위를 무너뜨리고 센고쿠 시대의 시작을 알린 사건이다. - 무로마치 시대의 전투 - 가키쓰의 난
가키쓰의 난은 1441년 아카마쓰 미쓰스케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를 암살한 사건으로, 막부 권위 실추와 수호 다이묘 세력 확장을 초래하여 오닌의 난의 원인이 되었다.
고료 합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전투 이름 | 고료 갓센 |
갈등 | 오닌의 난 |
날짜 | 1467년 2월 24일 (분쇼 원년 1월 18일 ~ 19일) |
장소 | 야마시로국 가미교 가미고료 신사 (현재 교토부 교토시 가미교구) |
결과 | 하타케야마 요시히로 군의 승리, 오닌의 난 시작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하타케야마 요시히로 군 |
교전국 2 |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군 |
지휘관 1 | 하타케야마 요시히로 야마나 마사토요 아사쿠라 다카카게 (1428년) |
지휘관 2 |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진보 나가노부 유사 나가나오 |
전력 1 | 불명 |
전력 2 | 불명 |
사상자 1 | 불명 |
사상자 2 | 불명 |
2. 배경
하타케야마씨는 무로마치 막부의 유력 슈고 다이묘 가문 중 하나였다.[5] 1454년(교토쿠 3년)부터 하타케야마 가문 내에서 당주 자리를 둘러싼 분쟁(오이에 소동)이 발생했다.[5]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와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각각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야마나 소젠의 지원을 받으며 대립했다.[5]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처음에는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를 지지했지만, 그의 명령 불복종과 야마토 지역에 대한 독단적인 군사 행동으로 인해 점차 신뢰를 잃었다.[5] 결국,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1460년(조로쿠 4년) 9월에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를 새로운 당주로 임명했지만,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는 이에 불복하고 자신의 영지인 가와치의 다케야마성에서 저항을 계속했다.[5] 1463년(간쇼 4년) 4월, 다케야마성 전투에서 패배한 후 요시노로 도주했다.[1]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다음 해인 1464년(간쇼 5년)에 호소카와 가쓰모토의 뒤를 이어 간레이에 취임했다.[1]
한편, 시바씨 역시 하타케야마 씨와 마찬가지로 당주 계승 분쟁으로 혼란스러웠다.[2] 시바 요시카도는 아시카가 마사토모의 집사 시부카와 요시카가미의 아들이라는 연줄로 시바 씨 당주 자리에 올랐으나, 실각한 아버지 때문에 야마나 소젠 등과 결탁하여 막부에 대항하려 했다.[2] 하타케야마 요시히로 역시 이들과 연대했다.[2]
1466년(분쇼 원년), 시바 요시카도가 당주 자리에서 교체되자 여러 다이묘들이 반발했고, 야마나 소젠과 호소카와 가쓰모토가 결탁하여 분쇼의 정변을 일으켜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측근들을 추방했다.[2] 야마나 소젠 등은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에게 거병을 촉구했고, 이에 호응한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는 1466년(분쇼 원년) 8월에 야마토에서 출두, 9월에 가와치로 진출하여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측의 성들을 함락시켰다.[2] 12월에는 야마나 소젠의 요청으로 상경하여 교토의 센본샤카도에서 대기했다.[2]
1467년(분쇼 2년) 1월,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대신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와 대면했고, 하타케야마 씨의 당주는 실질적으로 다시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로 바뀌었다.[3]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저택 양도를 거부하고 방어를 강화했지만, 1월 8일에 간레이에서 파면되었다.[3]
1월 18일, 궁지에 몰린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저택에 불을 지르고 가미고료 신사로 도망쳤고,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이를 추격하여 고료 합전이 벌어졌다.[3]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분전했지만 결국 패배하고 호소카와 가쓰모토의 저택으로 도망쳤다.[3] 고료 합전은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의 승리로 끝났지만, 양측은 군사 소집을 멈추지 않았고, 결국 5월에 오닌의 난으로 이어지는 가미교 전투가 발발했다.[3]
2. 1. 하타케야마 가문의 계승 분쟁
하타케야마씨는 무로마치 막부의 유력 슈고 다이묘 가문 중 하나였다.[5] 1454년(교토쿠 3년)부터 하타케야마 가문 내에서 당주 자리를 둘러싼 분쟁(오이에 소동)이 발생했다.[5]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와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각각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야마나 소젠의 지원을 받으며 대립했다.[5]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처음에는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를 지지했지만, 그의 명령 불복종과 야마토 지역에 대한 독단적인 군사 행동으로 인해 점차 신뢰를 잃었다.[5] 결국,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1460년(조로쿠 4년) 9월에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를 새로운 당주로 임명했지만,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는 이에 불복하고 자신의 영지인 가와치의 다케야마성에서 저항을 계속했다.[5] 1463년(간쇼 4년) 4월, 다케야마성 전투에서 패배한 후 요시노로 도주했다.[1]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다음 해인 1464년(간쇼 5년)에 호소카와 가쓰모토의 뒤를 이어 간레이에 취임했다.[1]
한편, 시바씨 역시 하타케야마 씨와 마찬가지로 당주 계승 분쟁으로 혼란스러웠다.[2] 시바 요시카도는 아시카가 마사토모의 집사 시부카와 요시카가미의 아들이라는 연줄로 시바 씨 당주 자리에 올랐으나, 실각한 아버지 때문에 야마나 소젠 등과 결탁하여 막부에 대항하려 했다.[2] 하타케야마 요시히로 역시 이들과 연대했다.[2]
1466년(분쇼 원년), 시바 요시카도가 당주 자리에서 교체되자 여러 다이묘들이 반발했고, 야마나 소젠과 호소카와 가쓰모토가 결탁하여 분쇼의 정변을 일으켜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측근들을 추방했다.[2] 야마나 소젠 등은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에게 거병을 촉구했고, 이에 호응한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는 1466년(분쇼 원년) 8월에 야마토에서 출두, 9월에 가와치로 진출하여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측의 성들을 함락시켰다.[2] 12월에는 야마나 소젠의 요청으로 상경하여 교토의 센본샤카도에서 대기했다.[2]
1467년(분쇼 2년) 1월,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대신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와 대면했고, 하타케야마 씨의 당주는 실질적으로 다시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로 바뀌었다.[3]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저택 양도를 거부하고 방어를 강화했지만, 1월 8일에 간레이에서 파면되었다.[3]
1월 18일, 궁지에 몰린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저택에 불을 지르고 가미고료 신사로 도망쳤고,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이를 추격하여 고료 합전이 벌어졌다.[3]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분전했지만 결국 패배하고 호소카와 가쓰모토의 저택으로 도망쳤다.[3] 고료 합전은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의 승리로 끝났지만, 양측은 군사 소집을 멈추지 않았고, 결국 5월에 오닌의 난으로 이어지는 가미교 전투가 발발했다.[3]
2. 2. 시바 가문의 계승 분쟁
무로마치 막부의 유력 슈고 다이묘 가문 중 하나였던 시바 가문(일본어: 斯波氏) 역시 하타케야마씨와 마찬가지로 내부 분쟁을 겪고 있었다.[6] 고가 공방 아시카가 시게우지(일본어: 足利成氏)의 반란(교토쿠의 난, 일본어: 享徳の乱)으로 전란이 계속되고 있던 간토에 원정군을 파견하고자 하는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의향도 있어 사태는 더욱 더 복잡해지고 있었다.[6]시바 요시카도(일본어: 斯波義廉)는 막부 공인의 가마쿠라 공방(호리코에 공방) 아시카가 마사토모(일본어: 足利政知)의 집사 시부카와 요시카네(일본어: 渋川義鏡)의 아들이라는 인연으로 아시카가 요시마사로부터 시바 요시토시(일본어: 斯波義敏)・마쓰오마루(시바 요시히로, 일본어:松王丸) 부자를 대신해 시바 가문 당주의 자리에 앉혔다.[6] 그러나 친아버지 시부카와 요시카네가 정쟁을 일으켜 실각한 탓에, 아시카가 요시마사로부터 버림받을 것을 두려워한 시바 요시카도는 가신 아사쿠라 다카카게(일본어: 朝倉孝景)와 함께 야마나 소젠 및 여러 다이묘들과 연대하여 아시카가 요시마사를 방해하고자 움직이기 시작했다.[6]
간쇼 6년(1465년) 무렵 아사쿠라 다카카게를 통해 시바 요시카도와 아시카가 다카카게가 제휴하였다. 분쇼 원년(1466년)에는 시바 요시카도가 야마나 소젠의 양녀와 약혼하여 파벌 결성을 진행하고 있었다.[6] 같은 해 막부의 명령으로 당주가 시바 요시카도에서 시바 요시토시로 바뀌자, 여러 다이묘들이 이에 반발, 야마나 소젠과 호소카와 카쓰모토가 결탁해 9월 6일에 분쇼의 정변(일본어: 文正の政変)을 일으켜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측근 이세 사다치카(일본어: 伊勢貞親) 등을 추방했다. 간쇼 6년의 파벌형성과 분쇼의 정변, 하타케야마 마사나가의 간레이 파면은 시바 요시카도의 가독 유지를 목적으로 한 일련의 공작으로, 야마나 소젠 등은 주류파로서 막부의 권력을 잡기에 이르렀다.[7]
2. 3.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야마나 소젠의 대립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야마나 소젠은 무로마치 막부의 유력한 슈고 다이묘였다. 이들은 하타케야마 가문과 시바 가문의 계승 분쟁에 개입하며 대립했다.[5][6] 1466년(분쇼 원년),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야마나 소젠은 결탁하여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측근들을 추방하는 '분쇼 정변'을 일으켰다.[7] 야마나 소젠은 이 정변을 통해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와 시바 요시카도를 지원하며 권력을 강화했다.교토쿠 3년(1454년)부터 시작된 하타케야마씨의 오이에 소동(내분)은 무로마치 막부 제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개입으로, 한 번은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당주가 되었으나, 이후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명령을 무시하고 야마토 지역에 대한 군사 개입을 반복하여 신뢰를 잃었다. 결국 간레이 호소카와 카쓰모토의 지원으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가 옹립되면서, 조로쿠 4년(1460년)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는 가와치로 도망쳐 항전하다 요시노로 도주했다.[5]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1464년에 호소카와 가쓰모토의 후임 간레이가 되었다.
시바씨(일본어: 斯波氏) 역시 내분으로 혼란스러웠다. 시바 요시카도(일본어: 斯波義廉)는 야마나 소젠 및 여러 다이묘들과 연대하여 아시카가 요시마사를 방해하고자 했다. 간쇼 6년(1465년) 무렵, 시바 요시카도는 아사쿠라 다카카게를 통해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와 제휴했고, 분쇼 원년(1466년)에는 시바 요시카도가 야마나 소젠의 양녀와 약혼하여 파벌 결성을 진행했다.
분쇼 정변 이후,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는 야마나 소젠의 요청으로 상경하여 센본샤카도(일본어: 千本釈迦堂)에서 대기했다.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저택 방비를 강화했으나,[7] 1467년 1월 8일 간레이에서 파면되고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로 교체되었다. 야마나 소젠 등은 주류파로서 막부 권력을 잡았다.[8]
1월 18일,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저택에 불을 지르고 가미고료 신사로 도망쳤으나,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이끌고온 야마나 소젠의 군대에 패배했다. 이후 고료 합전은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의 승리로 끝났지만, 양측은 교토에 군세를 계속 소집했고, 결국 5월 26일 가미교 전투(일본어: 上京の戦い)가 발발하며 대규모 전란으로 확전되었다.[8]
2. 4.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우유부단함과 측근 정치
무로마치 막부 제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우유부단하고 정치적 결단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5][6][7][8] 그는 하타케야마씨와 시바씨(일본어: 斯波氏)의 가문 계승 문제에 대해 일관성 없는 태도를 보이며 혼란을 가중시켰다.교토쿠 3년(1454년)부터 시작된 하타케야마씨의 오이에 소동(내분)에 아시카가 요시마사가 개입하여, 일시적으로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당주가 되었다. 그러나 요시히로는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명령을 무시하고 야마토 지역에 군사 개입을 반복하여 신뢰를 잃었다. 결국 간레이 호소카와 카쓰모토의 지원으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가 옹립되면서 요시히로는 지위를 위협받았다.[5]
조로쿠 4년(1460년) 9월,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에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로 가독 교대를 명했으나, 요시히로는 가와치로 도망쳐 다케야마성(일본어: 嶽山城)에서 저항했다. 간쇼 4년(1463년) 4월, 다케야마성 전투(일본어: 嶽山城の戦い)에서 패한 후 요시노로 도주했다. 이듬해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호소카와 가쓰모토의 후임 간레이가 되었다.[5]
시바씨(일본어: 斯波氏) 역시 내분으로 혼란스러웠고, 교토쿠의 난(일본어: 享徳の乱)으로 간토에 원정군을 파견하려던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의향으로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시바 요시카도(일본어: 斯波義廉)는 아시카가 마사토모(일본어: 足利政知)의 집사 시부카와 요시카네(일본어: 渋川義鏡)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시바씨 당주가 되었으나, 시부카와 요시카네의 실각 후 아시카가 요시마사에게 버림받을 것을 두려워하여 아사쿠라 다카카게(일본어: 朝倉孝景)와 함께 야마나 소젠 등과 연대하여 아시카가 요시마사를 방해하려 했다.[6]
분쇼 원년(1466년), 시바 요시카도가 야마나 소젠의 양녀와 약혼하며 파벌을 결성했고, 막부 명령으로 당주가 시바 요시토시로 바뀌자 여러 다이묘들이 반발했다. 야마나 소젠과 호소카와 가쓰모토는 분쇼의 정변(일본어: 文正の政変)을 일으켜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측근 이세 사다치카(일본어: 伊勢貞親) 등을 추방했다. 이처럼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측근 세력에 의존하는 정치를 펼쳤는데, 이는 다른 유력 다이묘들의 불만을 샀고, 분쇼 정변은 이러한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측근 정치가 초래한 결과 중 하나였다.[7]
야마나 소젠과 시바 요시카도는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에게 거병을 촉구했고, 요시히로는 정변에 앞서 야마토를 거쳐 가와치에서 상경, 센본샤카도(일본어: 千本釈迦堂)에서 대기했다. 위기를 느낀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방비를 강화했다.[7]
분쇼 2년(1467년) 1월 1일의 오반(잔치・향연, 일본어: 椀飯)은 무사히 끝났지만, 2일 예정되었던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저택 방문은 중지되었고,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아시카가 요시마사와 대면하며 실질적인 당주가 되었다. 5일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는 야마나 소젠의 저택에서 아시카가 요시마사에게 향응을 베풀었고, 6일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저택을 넘기라는 명령을 받았다. 8일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간레이에서 파면되고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로 교체되었다.[7]
15일 야마나 소젠이 하나노고쇼의 방어를 강화하자, 하타케야마 마사나가와 호소카와 가쓰모토, 교고쿠 모치키요(일본어: 京極持清)가 막부 습격 자세를 보였다.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중재에 나서 17일 호소카와 가쓰모토에게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를 돕지 말 것을 명령했고, 호소카와 가쓰모토는 야마나 소젠도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를 돕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승낙했다. 18일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저택에 불을 지르고 가미고료 신사에 진을 쳤고,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진군하며 전투가 시작되었다.[8]
3. 전개
3. 1. 고료 전투 (1467년 1월)
1467년 1월,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는 야마나 소젠의 지원을 받아 교토로 진격했다.[7] 이에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교토 가미고료 신사에서 저항했지만, 패배하고 호소카와 가쓰모토에게 도망쳤다.[8] 이 전투는 오닌의 난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조로쿠 4년(1460년) 6월, 기이의 네고로지(일본어: 根来寺)와 분쟁을 일으킨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는 교토에서 기이로 군세를 향하게 했다.[1] 하지만, 호소카와 가쓰모토가 이 틈을 타 아시카가 요시마사가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에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로 가독교대를 명하게 하였다.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는 이를 거절하고 자신의 영지인 가와치 다케야마성(일본어: 嶽山城)에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등의 토벌군에 맞서 싸웠다. 간쇼 4년(1463년) 4월까지 항전하다가(다케야마성 전투, 일본어: 嶽山城の戦い), 성이 함락된 후는 요시노로 도주했다.[1]
분쇼 원년(1466년)에는 야마나 소젠과 시바 요시카도는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에게 거병을 촉구했다.[2] 8월 25일에 야마토 쓰보사카데라(일본어: 壺坂寺)에 출두, 9월에 가와치까지 나와 하타케야마 마사나가의 여러 성을 함락시켰다. 12월 25일 야마나 소젠의 요청으로 가와치에서 상경, 27일 교토에 도착하여 센본샤카도(일본어: 千本釈迦堂)에서 대기하였다.[2]
해가 지나, 분쇼 2년 1월 1일의 오반(잔치・향연, 일본어: 椀飯)은 아무 일도 없이 마쳤지만, 다음날 2일에 행해질 예정이었던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저택 방문은 중지되었다. 대신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아시카가 요시마사와 대면 하고 하타케야마씨 당주는 실질적으로 다시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로 바뀌었다.[2] 5일에는 야마나 소젠의 저택을 빌린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아시카가 요시마사에게 향응을 베풀었다. 6일에는 하타케야마 마사나가에게 저택을 하타케야마 요시히고에게 건네주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명령을 거부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는 가신 진보 나가노부(일본어: 神保長誠) 등과 함께 저택의 방어를 강화했지만, 8일에는 간레이에서 파면되고,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로 교체되었다.[2]
15일 야마나 소젠이 오반(잔치・향연)을 맡는 한편, 자기 일파의 군세를 끌어들여 하나노고쇼의 방어를 강화하였다. 17일 호소카와 가쓰모토에게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를 돕지 말 것을 명령, 호소카와 가쓰모토도 야마나 소젠도 하타케야마 요시히로를 돕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이를 승낙하였다.[3] 18일 오전 4시 쯤에 저택에 불을 지르고, 북상하여 교토 교외의 가미고료 신사에 진을 쳤다. 야마나 소젠도 오후 2시경에 고쓰치미카도 천황・고하나조노 상황 등을 다이리(천황의 사적구역, 일본어: 内裏) 에서 하나노고쇼로 피난시키고, 오후 4시경에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가미고료 신사로 진군하여 전투가 시작되었다.[3]
가미고료 신사는, 서쪽에는 강이, 남쪽은 쇼고쿠지의 야부오보리(덤불 해자, 일본어: 藪大堀)가 있었기 때문에, 공격할수 있는 곳은 동쪽과 북쪽 뿐이었다. 하타케야마 마사나가과 가신 유사 나가나오는 필사적으로 하타케야마 요시히로의 군세와 싸우고 다음 19일 오전 4시경까지 버텨냈지만, 가미고료 신사의 배전에 방화하고 호소카와 가쓰모토의 저택으로 도망쳤다.[3]
3. 2. 전국으로 확산
3. 3. 장기화와 교착 상태
3. 4.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야마나 소젠의 사망 (1473년)
3. 5. 종결 (1477년)
4. 결과 및 영향
4. 1. 무로마치 막부 권위 약화
4. 2. 센고쿠 시대로의 전환
4. 3. 사회 경제적 변화
4. 4. 하극상 풍조 확산
4. 5.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大阪府
[1]
서적
小川
[1]
서적
大乗院寺社雑事記
[1]
서적
石田
[2]
서적
大阪府
[2]
서적
朝倉
[2]
서적
小川
[2]
서적
大乗院寺社雑事記
[2]
서적
石田
[3]
서적
小川
[3]
서적
石田
[4]
정보
이하 모든 날짜는 별도의 표기가 없으면 음력(일본력) 기준이다.
[5]
서적
大阪府
[5]
서적
小川
[5]
서적
大乗院寺社雑事記
[5]
서적
石田
[6]
정보
1428년생 아사쿠라 다카카게. 같은 이름을 가진 후대의 인물 1493년생 아사쿠라 다카카게(1493년)과는 다른 인물이다.
[7]
서적
大阪府
[7]
서적
朝倉
[7]
서적
小川
[7]
서적
大乗院寺社雑事記
[7]
서적
石田
[8]
서적
小川
[8]
서적
石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