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셔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셔병은 1882년 처음 확인된 유전 질환으로, 리소좀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 효소의 결함으로 인해 글루코세레브로사이드가 축적되어 발생한다.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GBA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원인이다. 고셔병은 3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제1형은 비신경병성으로 간비장비대가 특징이며, 제2형은 신경학적 문제가 심각하여 조기에 사망하고, 제3형은 신경 증상이 서서히 진행된다. 진단은 효소 검사, 유전자 검사, 세포 분석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법으로는 효소 대체 요법, 기질 감소 요법, 골수 이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염색체 열성 질환 - 윌슨병
윌슨병은 구리가 간과 뇌에 축적되어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ATP7B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이며, 간 기능 장애, 신경정신과적 증상, 카이저-플라이셔 고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상염색체 열성 질환 - 색소성 건피증
색소성 건피증은 자외선에 손상된 DNA 복구 기능 저하로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햇빛 과민반응, 피부암, 신경계 이상을 유발하며, 자외선 차단과 피부암 예방을 주요 치료 목표로 하는 '어둠의 아이들'이라고도 불리는 질환이다. - 희귀질환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희귀질환 - 헌팅턴병
헌팅턴병은 헌팅턴 유전자 내 CAG 삼염기 반복 서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 인지, 정신 기능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된다.
고셔병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고셔씨병 |
증상 | 간비장비대, 비장기능항진증, 범혈구감소증, 관절통, 신경학적 증상 (대개 경미함), 누르스름한 피부, 골다공증 |
합병증 | 간경변, 비장 파열, 출혈, 감염 |
발병 시기 | 젊은 성인기 (1형), 유아기 (2형) |
지속 기간 | 평생 |
유형 | 1형, 2형, 3형 |
원인 |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 결핍 |
위험 요인 | 부모가 질병을 가지고 있거나 질병의 보균자인 경우 |
진단 | 유전자 검사 |
감별 진단 | SMPD1-연관 니만-피크병, 파브리병 |
예방 | 유전자 편집 |
치료 | 효소 대체 요법 |
약물 | 알글루세라제, 이미글루세라제, 벨라글루세라제, 탈리글루세라제 알파, 미글루스타트, 엘리그루스타트 |
예후 | 약간 단축된 기대 수명 (1형), 유아기 사망 (2형) |
빈도 | 100명 중 1명이 보균자 |
관련 정보 | |
관련 의학 주제 | 리소좀 축적 질환 |
2. 역사
1882년 프랑스 의사 필리프 고셰가 고셔병을 처음으로 확인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41] 1902년에는 네이선 브릴에 의해 유전 방식이 밝혀졌다.[3] 고셔병과 관련된 신경 손상은 1920년대에 발견되었으며, 1960년대 로스코 브래디에 의해 질환의 생화학적 기초가 규명되었다.[3][42]
고셔병의 첫 번째 효과적인 치료제인 알글루세라제(Ceredase)는 1991년 4월 FDA의 승인을 받았다. 1994년 5월에는 개선된 약물인 이미글루세라제(Cerezyme)가 FDA의 승인을 받아 Ceredase를 대체했다.
10월은 미국에서 전국 고셔병 인식의 달이다.
연도 | 내용 |
---|---|
1882년 | 고셔병이 필립 찰스 어니스트 고셰의 박사 학위 논문에서 발표되었다. |
1998년 3월 | "세레자임"이 일본 후생성으로부터 인가되었다. |
2001년 | "라이소좀병(파브리병 제외)"으로 특정 질환 치료 연구 사업에 인정되었다. |
2007년 | 고셔병 I형에 대한 세레자임 투여에 의한 골밀도 개선 효과가 발표되었다. |
고셔병은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전 질환이다. 이 효소는 리소좀 내에서 글루코세레브로사이드라는 지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고셔병에서는 이 효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글루코세레브로사이드가 체내, 특히 대식세포에 축적된다.
3. 원인
3. 1. 유전학
고셔병의 세 가지 유형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부모 모두 보인자여야 자녀가 영향을 받는다. 부모가 모두 보인자일 경우, 자녀가 질병에 걸릴 확률은 25%로, 임신 시마다 4분의 1의 확률로 영향을 받는 자녀가 태어난다.
각 유형은 특정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다. ''GBA'' 유전자 돌연변이는 약 80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5]
고셔병을 유발하는 돌연변이는 중세 초기(48~55세대 전)에 아슈케나짐 유대인 유전자 풀에 유입되었을 수 있다.[9]
3. 2. 병태생리
이 질병은 제1 염색체 (1q22)에 있는 리소좀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 (베타-글루코시다제라고도 함) 유전자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 효소는 55.6-킬로달톤, 497-아미노산 길이의 단백질로, 적혈구와 백혈구의 세포막 구성 요소인 글루코세레브로사이드의 분해를 촉매한다.[3] 고셔병에서는 효소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글루코세레브로사이드가 축적된다. 이러한 세포를 제거하는 대식세포는 폐기물을 제거하지 못하고 섬유에 축적되어 쪼글쪼글한 종이처럼 보이는 '고셔 세포'로 변한다.[3]
신경 독성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글루코실스핑고신에 대한 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3]
GBA(베타-글루코시다제) 유전자의 서로 다른 돌연변이는 효소의 잔존 활성을 결정한다. 제1형에서는 효소의 잔존 활성이 있어 이 유형에서 신경병증이 나타나지 않는다.[3] 유전자형과 표현형 사이에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지만, 축적된 지질의 양이나 잔존 효소 활성은 질병 증상과 잘 상관관계가 없다.[10]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질병 증상을 설명하는 대체 설명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정 산성 베타-글루코시다제 돌연변이의 이형접합자는 파킨슨병 발병 위험이 약 5배 높아, 파킨슨병의 가장 흔한 알려진 유전적 위험 요소가 된다.[16][17]
암 위험, 특히 골수종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18][19][20] 이는 글루코실세라미드 및 복합 당스핑고지질의 축적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21]
고셔병에서 염증 과정의 역할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스핑고지질은 염증 및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셔병 환자에서 대식세포 활성 표지가 증가한다. 이러한 표지에는 혈장에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카텝신 S, 키토트리오시다제, CCL18이 포함되며, 비장의 고셔 세포(과도하게 충혈된 대식세포)에서 종양 괴사 인자 알파가 포함된다.[3]
4. 증상
주요 증상으로는 간이나 비장의 비대, 혈소판 감소로 인한 빈혈 증상이 나타나거나 뼈가 매우 약해져 골절되기 쉬워지거나 변형(X자 다리 등)이 나타난다. 또한, 유형에 따라서는 신경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도 있다. 파킨슨병은 고셔병 환자 및 이들의 이배체 보인자 친척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4. 1. 일반적인 증상
고통 없는 간비대 및 비장비대가 나타나는데, 비장의 크기는 정상 크기인 50g에서 200g인 것에 비해 1500g에서 3000g에 이를 수 있다. 비장비대는 위를 압박하여 식사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통증은 없지만 비장 비대는 비장 파열의 위험을 증가시킨다.[4]과비장증 및 범혈구 감소증으로 인해 혈구가 빠르고 조기에 파괴되어 빈혈, 호중구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이 발생하며, 감염 및 출혈의 위험이 증가한다.[4]
간경변은 드물게 나타난다.[4]
관절 및 뼈와 관련된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엉덩이와 무릎에서 자주 나타난다.[4]
골다공증 환자의 75%는 축적된 글루코실세라마이드로 인해 눈에 보이는 골격 이상이 발생한다. 얼렌마이어 플라스크 모양의 원위 넙다리뼈 변형이 흔히 나타난다.[4]
황갈색 피부 색소 침착이 나타난다.[4]
고셔 세포가 간이나 비장에 축적되어 장기 비대 증상이 나타난다. 골수에 고셔 세포가 증가하여 조혈 기능이 저하된다. 비장 비대(종창)로 인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파괴가 항진되어 혈구 성분이 감소한다. 골수 내에 고셔 세포가 축적되어 골수 내 혈류 장애 및 골피질 얇아짐이 발생하여, 병적인 골절, 골통, 골 변형 등을 일으킨다.[4]
4. 2. 신경학적 증상 (2형 및 3형)
고셔병 유형에 따라 신경 증상이 나타난다.[1] 뇌에 고셔 세포가 축적되어 경련, 사시, 개구 곤란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1] 신경 장애, 각종 신경 증상에 따른 영양 장애, 호흡 장애 등도 일으킨다.[1]4. 3. 기타 증상
- 통증 없는 간비대 및 비장비대: 비장의 크기는 정상 크기인 50g에서 200g인 것과 비교하여 1500g에서 3000g에 이를 수 있다. 비장비대는 위를 압박하여 식사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통증은 없지만 비장 비대는 비장 파열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 과비장증 및 범혈구 감소증: 혈구의 빠르고 조기 파괴로 인해 빈혈, 호중구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이 발생하며, 감염 및 출혈의 위험이 증가한다.
- 간경변은 드물게 나타난다.
- 관절 및 뼈와 관련된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엉덩이와 무릎에서 자주 나타난다.
- 신경학: 신경학적 증상은 일부 고셔병 유형에서만 나타난다.
- 1형: 후각 및 인지 기능 손상
- 2형: 심각한 경련, 과긴장증, 지적 장애, 무호흡
- 3형: 근간대성 경련으로 알려진 근육 경련, 경련, 치매 및 안구 근육 무력증
- 파킨슨병은 고셔병 환자 및 이들의 이배체 보인자 친척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 골다공증: 환자의 75%는 축적된 글루코실세라마이드로 인해 눈에 보이는 골격 이상이 발생한다. 얼렌마이어 플라스크 모양의 원위 넙다리뼈 변형이 흔히 나타난다.
- 황갈색 피부 색소 침착
5. 유형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고셔병은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된다. 부모 모두 보인자일 경우 자녀가 병에 걸릴 확률은 25%이다. 각 유형은 ''GBA'' 유전자의 특정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으며, 약 80개의 알려진 돌연변이가 있다.[5]
- 제1형 (비신경병성): 가장 흔한 유형으로, 아슈케나짐 유대인에게서 일반 인구보다 100배 더 많이 발생한다. 중앙 진단 연령은 28세이며,[6] 기대 수명은 약간 감소한다.[7] 간비장비대(간과 비장이 함께 비대해지는 현상),[3] 골격 약화, 골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3] 비장 비대와 골수 대체로 인해 빈혈,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이 발생한다. 뇌와 신경계는 영향을 받지 않지만,[3] 폐, 신장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쉽게 멍이 들고 피로를 느낄 수 있으며, 증상의 범위와 중증도는 환자마다 다르다.
- 제2형 (급성 영아 신경병성): 출생 후 6개월 이내에 시작되며, 발생률은 출생아 10만 명당 약 1명이다. 간 및 비장 비대, 뇌 손상, 안구 운동 장애, 경직, 발작, 사지 강직, 빨고 삼키는 능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 2세 이전에 사망한다.
- 제3형 (만성 신경병성): 아동기 또는 성인기에 시작될 수 있으며, 발생률은 출생아 10만 명당 약 1명꼴로 발생한다. 제2형에 비해 진행이 느리고 경미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 주요 증상으로는 비장 및/또는 간 비대, 발작, 운동 실조, 골격 불규칙성, 안구 운동 장애, 혈액 질환, 호흡기 문제가 있다. 환자들은 종종 십 대 초반 및 성인기까지 생존한다.[27]
유형 | 특징 | 증상 | 예후 |
---|---|---|---|
제1형 (비신경병성) | 가장 흔하고 덜 심각함 아슈케나짐 유대인에게서 호발 | 간비장비대, 골격 약화, 골 질환, 빈혈,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드물게) 폐/신장 손상 | 성인기까지 생존 가능 |
제2형 (급성 영아 신경병성) | 출생 후 6개월 이내 발병 심각한 신경학적 문제 | 간/비장 비대, 뇌 손상, 안구 운동 장애, 경직, 발작, 사지 강직, 빨기/삼키기 능력 저하 | 대부분 2세 이전 사망 |
제3형 (만성 신경병성) | 아동기/성인기 발병 제2형보다 완만한 진행 | 비장/간 비대, 발작, 운동 실조, 골격 불규칙성, 안구 운동 장애, 혈액 질환, 호흡기 문제 | 십 대 초반 및 성인기까지 생존 |
6. 진단
고셔병은 전반적인 임상 양상을 토대로 의심할 수 있다. 초기 검사에는 효소 검사가 포함될 수 있다. 평균 정상 활성의 15% 미만이면 진단으로 간주된다.[22] 효소 수치가 감소된 경우 유전자 검사를 통해 확인하기도 한다. 다양한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진단을 확정하기 위해 베타-글루코시다아제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이 필요할 수 있다. 산전 진단도 가능하며, 알려진 유전적 위험 인자가 있는 경우 유용하다.
고셔병은 높은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면역글로불린 수치와 같은 생화학적 이상이나, "쭈글쭈글한 종이" 모양의 세포질과 당지질이 풍부한 대식세포를 보여주는 세포 분석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주석산 저항성 산성 인산분해효소, 헥소사미니다제 및 인간 키티나아제인 키토트리오시다제를 포함한 일부 리소좀 효소가 증가한다. 특히 키토트리오시다제는 치료 반응에 따른 고셔병 활성 모니터링에 유용하며, 질병의 심각성을 반영할 수 있다.[23]
7. 치료
고셔병 치료에는 여러 방법이 사용되지만, 모두 대증 요법이며 질병 자체의 근본적인 치료는 매우 어렵다.
- 효소 대체 요법 (ERT): 부족한 효소인 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 제제를 2주에 한 번 정맥 주사하여 증상을 개선하는 치료법이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으로, 비대해진 장기를 정상으로 되돌리고, 빈혈, 혈소판 감소증 등의 증상을 개선한다. 하지만, 혈액뇌관문을 통과하지 못해 신경 증상에는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
- 기질 감소 요법 (SRT): 세포 내에 축적되는 글루코세레브로시드의 합성을 억제하여 축적을 막는 치료법이다.
- 골수 이식: 환자의 조혈모세포를 공여자의 조혈모세포로 교체하여 정상적인 혈액 세포로 대체함으로써, 글루코세레브로시드의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 효소 대체 요법보다 효과가 좋지만, HLA 항원이 일치하는 공여자를 찾기 어렵고, 거부 반응 등의 위험이 크다.
- 케미컬 샤페론 요법: 암브록솔을 이용하여 변이된 단백질을 안정화시키는 치료법이다. 현재 임상 연구가 진행 중이며, 특정 유전자형(F213I, N188S, N370S, G202R, T369M)을 가진 환자에게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타 치료: 비장 절제술, 유전자 치료, 칼슘제나 조혈제 투여 등이 있다.
7. 1. 효소 대체 요법 (Enzyme Replacement Therapy, ERT)
정맥 주사 재조합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를 이용한 효소 대체 요법은 제1형 및 대부분의 제3형 고셔병 환자의 간 및 비장 크기를 감소시키고, 골격 이상을 줄이며, 다른 증상을 되돌릴 수 있다.[15][28] 이 치료법은 1인당 연간 약 20만달러의 비용이 들며 평생 지속해야 한다. 이 질환의 희귀성으로 인해 최적의 용량 및 투여 빈도에 대한 논란이 남아 있다.[6]고셔병 치료를 위한 최초의 약물은 알글루세라제(Ceredase)였으며, 이는 인간 태반 조직에서 채취하여 효소로 변형된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의 한 종류였다.[29] 1991년 FDA의 승인을 받았으나,[30] 재조합 DNA 기술로 만들어진 유사 약물의 승인으로 인해 시장에서 철수되었다. 재조합 방식으로 만들어진 약물은 채취에 사용된 조직으로부터 질병이 전염될 우려가 없고, 배치 간 효소 구조의 변동 위험이 적으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더 선호된다.[29]
사용 가능한 재조합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는 다음과 같다:[15]
미글루스타트는 2002년 유럽에서 고셔병 치료제로 처음 승인된 경구 투여 가능한 작은 분자 약물이다.[35] 이 약물은 기질 감소 요법의 일종으로, 고셔병에서 축적되어 해를 입히는 물질인 글루코세레브로시드의 생성을 막는 방식으로 작용한다.[36]
엘리글루스타트(세르델가) (2014년 승인)[37] 또한 작은 분자이며, 글루코실세라마이드 합성효소의 억제를 통해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핍된 효소인 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 제제를 2주에 한 번 정맥 주사하여 증상 개선을 시도하는 치료법이 현재 일반적인 치료법이다. 이를 통해 비대해진 장기는 점차 정상으로 돌아오고, 빈혈, 혈소판 감소증 등의 증상이 개선된다.
그러나, 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 제제의 분자량이 커서 혈액뇌관문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신경 증상에 대해서는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일본에서는 젠자임사의 세레자임과 샤이어사의 비프리브가 고셔병 효소 대체 요법 약물로 허가되어 있다.
문제점으로는 세레자임의 약가가 매우 고가이며, 근본적인 치료법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인 투여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투여를 중단하면 거의 틀림없이 다시 증상이 악화되기 때문에 환자는 매우 큰 경제적 부담을 겪고 있었다. 이전에는 일부 현(県)에서만 공적 지원을 받을 수 있었지만, 2001년부터 리소좀 축적병으로 특정 질환 치료 연구 사업으로 인정되어 전국적으로 공적 부담이 이루어지게 되어, 일부 본인 부담금(보험 적용)으로 안심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7. 2. 기질 감소 요법 (Substrate Reduction Therapy, SRT)
미글루스타트는 2002년 유럽에서 고셔병 치료제로 처음 승인된 경구 투여 가능한 작은 분자 약물이다.[35] 이 약물은 고셔병에서 축적되어 해를 입히는 물질인 글루코세레브로시드의 생성을 막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기질 감소 요법이라고 한다.[36]엘리글루스타트(세르델가)는 2014년에 승인된[37] 작은 분자 화합물이다. 글루코실세라마이드 합성효소를 억제하여 세포 내에 축적되는 글루코세레브로시드의 합성을 줄임으로써 글루코세레브로시드의 축적을 억제한다.
미국 및 유럽 연합(EU)에서는 2013년에 신약 승인 신청을 하였으며, 현재 미국에서는 승인되었다.
국내에서는 I형에 대해 임상시험이 종료됨에 따라, 기질 합성 억제 치료제로서 사델가(サデルガ)가 2015년 5월에 약가 등재되었다.
7. 3. 기타 치료
정맥 주사 재조합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를 이용한 효소 대체 요법은 제1형 및 대부분의 제3형 고셔병 환자의 간 및 비장 크기를 감소시키고, 골격 이상을 줄이며, 다른 증상을 되돌릴 수 있다.[15][28] 이 치료법은 1인당 연간 약 20만달러의 비용이 들며 평생 지속해야 한다. 이 질환의 희귀성으로 인해 최적의 용량 및 투여 빈도에 대한 논란이 남아있다.[6] 발병률이 낮기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 희귀 의약품으로 지정되어 있다.고셔병 치료를 위한 최초의 약물은 알글루세라제(Ceredase)였으며, 이는 인간 태반 조직에서 채취하여 효소로 변형된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의 한 종류였다.[29] 1991년 FDA의 승인을 받았으나,[30] 재조합 DNA 기술로 만들어진 유사 약물의 승인으로 인해 시장에서 철수되었다. 재조합 방식으로 만들어진 약물은 질병 전염 우려가 없고, 효소 구조의 변동 위험이 적으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여 더 선호된다.[29]
사용 가능한 재조합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는 다음과 같다:[15]
미글루스타트는 2002년 유럽에서 고셔병 치료제로 처음 승인된 경구 투여 가능한 작은 분자 약물이다.[35] 이 약물은 기질 감소 요법을 통해 글루코세레브로시드의 생성을 막는 방식으로 작용한다.[36]
엘리글루스타트(세르델가) (2014년 승인)[37] 또한 작은 분자이며, 글루코실세라마이드 합성효소 억제를 통해 작용한다.
효소 대체 요법이 확립되기 전에 시행되었던 치료법으로, 간이나 비장 등 비대해진 장기를 외과 수술로 전부 또는 일부를 절제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부 제거하거나 부분 절제하면 다른 부위에 이상이 생기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골수 이식은 환자의 조혈모세포를 공여자의 조혈모세포로 교체하여, 글루코세레브로시드의 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치료법이다. 치료 효과는 효소 대체 요법을 상회하지만, HLA 항원이 일치하는 공여자를 찾기 어렵고, 거부 반응 등의 위험성이 크다는 난점이 있다.
샤페론은 곁다리를 의미하는 프랑스어이다. 생물학에서는 단백질 형성에 도움을 주는 다른 단백질을 의미한다. 케미컬 샤페론은 변이된 불안정한 단백질에 결합하여 안정화시키는 화합물이다. 현재 암브록솔을 이용한 케미컬 샤페론 요법의 임상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투여량의 30배에 달하는 대량 투여로 신경 증상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효과는 유전자형에 따라 규정되며, F213I, N188S, N370S, G202R, T369M 변이를 가진 고셔병 환자에게만 적용된다. 암브록솔은 '무코솔반'이라는 이름으로 일반적으로 거담제로 처방되는 약이지만, 고셔병에 대해서는 승인되지 않았다.
현재 연구 단계에 있는 치료법으로, 합병증으로 골절되기 쉬워지거나 빈혈 체질이 되기 쉬우므로 칼슘제나 조혈제 투여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8. 합병증
고셔병에서 염증 과정의 역할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스핑고지질은 염증 및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셔병 환자는 대식세포 활성 표지가 증가한다. 이러한 표지에는 혈장에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카텝신 S, 키토트리오시다제, CCL18이 포함되며, 비장의 고셔 세포(과도하게 충혈된 대식세포)에서 종양 괴사 인자 알파가 포함된다.[3]
합병증으로 골절되기 쉬워지거나 빈혈 체질이 되기 쉬우므로 칼슘제나 조혈제 투여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9. 역학
미국 국립 고셔병 재단은 고셔병의 발생률이 출생 2만 명당 약 1명이라고 밝히고 있다.[38] 일반 미국 인구의 약 100명 중 1명은 제1형 고셔병 보인자이며, 유병률은 4만 명 중 1명이다.[39] 아슈케나짐 유대인 사이에서는 보인자 비율이 약 15명 중 1명으로 훨씬 높다.[5]
제2형 고셔병은 특정 민족 집단에서 더 많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3형 고셔병은 스웨덴 북부 노르보텐 인구에서 특히 흔하며, 발생률은 5만 명 중 1명이다.[40]
참조
[1]
논문
High frequency of the Gaucher disease mutation at nucleotide 1226 among Ashkenazi Jews
1991-10
[2]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Saunders Elsevier
[3]
논문
Gaucher Disease: Clinical, Biological and Therapeutic Aspects
[4]
논문
A clinical and family history study of Parkinson's disease in heterozygous glucocerebrosidase mutation carriers
2012-08
[5]
OMIM
Gluosidase, beta, acid; GBA
[6]
논문
Phenotyp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ucher's disease
2008-10
[7]
논문
Life expectancy in Gaucher disease type 1
2008-12
[8]
논문
Gaucher disease type III (Norrbottnian type) is caused by a single mutation in exon 10 of the glucocerebrosidase gene
1990-08
[9]
논문
Gaucher disease: the origins of the Ashkenazi Jewish N370S and 84GG acid beta-glucosidase mutations
2000-06
[10]
논문
Gaucher disease: insights from a rare Mendelian disorder
http://www.discovery[...]
2012-10
[11]
논문
Jamming the endosomal system: lipid rafts and lysosomal storage diseases
2000-11
[12]
논문
Exploring the link between glucocerebrosidase mutations and parkinsonism
2011-09
[13]
논문
Secondary sphingolipid accumulation in a macrophage model of Gaucher disease
2007-12
[14]
논문
Alterations in the properties of the cell membrane due to glycosphingolipid accumulation in a model of Gaucher disease
2018-01
[15]
논문
Gaucher disease and other storage disorders
[16]
논문
ASHG 2008: Gaucher Disease Mutation Carriers at Higher Risk for Parkinson's Disease
2008-11-19
[17]
논문
Mutations in the glucocerebrosidase gene and Parkinson's disease in Ashkenazi Jews
2004-11
[18]
논문
Malignancies and monoclonal gammopathy in Gauche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13-06
[19]
논문
Gaucher disease: haematological presentations and complications
2014-05
[20]
논문
Gaucher disease and myeloma
[21]
논문
Gaucher's disease and cancer: a sphingolipid perspective
[22]
웹사이트
Gaucher Disease
https://www.symptoma[...]
2015-12-07
[23]
웹사이트
Chitotriosidase
https://www.gaucher-[...]
2022-03-13
[24]
논문
Gaucher disease
2014-03
[25]
논문
Gaucher disease and its treatment options
2013-09
[26]
웹사이트
http://www.gaucher.o[...]
2006-09-24
[27]
논문
Gaucher disease--Norrbottnian type. I. General clinical description
1980-03
[28]
논문
Enzyme replacement and substrate reduction therapy for Gaucher disease
2015-03
[29]
논문
Imiglucerase in the treatment of Gaucher disease: a history and perspective
[30]
간행물
Regulatory Matters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1
[31]
간행물
Clinical Policy Bulletin Number: 0442: Enzyme-replacement Therapy for Lysosomal Storage Disorders
http://www.aetna.com[...]
Aetna
2014-08-08
[32]
간행물
Additions/Deletions for Prescription Drug Product List
https://web.archive.[...]
FDA Prescription and Over-the-Counter Drug Product List
2012-03
[33]
웹사이트
Shire Announces FDA Approval Of VPRIV(TM) (velaglucerase Alfa For Injection) For The Treatment Of Type I Gaucher Disease
http://www.medicalne[...]
Medicalnewstoday.com
2012-08-13
[34]
뉴스
U.S. FDA approves Pfizer/Protalix drug for Gaucher
http://www.chicagotr[...]
2012-05-02
[35]
간행물
Zavesca (miglustat)
http://www.ema.europ[...]
European Medicines Agency
2016-01-07
[36]
간행물
Scientific discussion related to approval of Zavesca
http://www.ema.europ[...]
European Medicines Agency
2003-04-01
[37]
웹사이트
Center Watch: Cerdelga (eliglustat)
http://www.centerwat[...]
[38]
웹사이트
Gaucher Disease
http://www.gaucherdi[...]
National Gaucher Foundation
2012-06
[39]
뉴스
Gaucher Disease Genetics {{!}} About Gaucher Disease {{!}} National Gaucher Foundation
http://www.gaucherdi[...]
National Gaucher Foundation
2016-11-16
[40]
웹사이트
Gaucher disease - Affected population
http://nordphysician[...]
2013-09-21
[41]
academic thesis
De l'epithelioma primitif de la rate, hypertrophie idiopathique de la rate sans leucemie
[42]
논문
Metabolism of glucocerebrosides II. Evidence of an enzymatic deficiency in Gaucher's disease
1965-01
[43]
웹사이트
Eating Fried Chicken - Cold is Gold
https://www.rnz.co.n[...]
2019-08-08
[44]
웹사이트
「ゴーシェ病」
http://ja.healthline[...]
[45]
웹사이트
「ゴーシェ病」
http://www.lysolife.[...]
[46]
웹사이트
ゴーシェ病I型に対するセレザイムの骨密度改善効果を発表
https://web.archive.[...]
2007-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