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장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공장소는 법적, 사회적, 디자인적 관점에서 다양한 정의와 유형을 가지며, 시민들의 권리와 민주주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법적으로는 접근이 허용된 모든 장소를 포함하며, 사회적으로는 사생활 보호, 행동 규범 등이 적용된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인간의 웰빙을 고려한 공간 설계가 중요하며, '제3의 장소' 개념을 통해 사회적 상호 작용을 촉진한다. 북유럽 국가에서는 만인의 접근권이 보장되지만, 접근 제한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공공장소는 민주주의의 공론장 역할을 하며, 현대 사회에서는 사유화, 상업화, 민영화 등으로 인해 도전받고 있다. 또한, 공공 미술은 도시 공간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며, 도시 디자인은 공공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접근 방식을 모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소 - 투표소
투표소는 유권자의 자유로운 투표를 위해 마련된 장소로, 투표의 비밀을 보장하기 위해 기표소가 설치되며, 투표율과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종이 투표용지 및 전자 투표 시스템 도입과 함께 변화해 왔다. - 장소 - 위치
위치는 다른 장소와의 관계를 통해 표현되는 상대적 위치와 좌표를 이용하는 절대적 위치로 나뉘며, 지리학에서는 장소보다 더 정확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 문화인류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 문화인류학 - 민족학
민족학은 민족지학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를 비교, 대조하며, 여러 민족의 기원, 언어, 관습, 제도를 연구하여 인류 역사를 재구성하고 문화적 보편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 도시 계획 - 슬럼
슬럼은 열악한 주거 환경과 빈곤이 연관된 밀집 주거 지역으로, 낮은 주택 품질, 부족한 기반 시설, 불안정한 토지 소유권 등의 특징을 가지며, 사회 문제들을 야기하여 다양한 해결 전략이 제시되지만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 없이는 해결이 어렵다. - 도시 계획 - 교외
교외는 도시 주변 지역을 뜻하는 말로, 도시 팽창과 교통 발달로 주거 기능을 담당하며, 국가별로 정의와 형태가 다르고,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후 북미 지역에서 급속히 발전했다.
공공장소 |
---|
2. 공공장소의 정의 및 유형
공공장소는 설계 분야에서 용어와 개념으로서 유동성이 크다. 무엇이 공공장소를 구성하는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설계가 어떻게 접근하고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다.
2. 1. 법적 정의
영국에서 "공공장소"는 모든 고속도로와, 그 당시 공중이 요금 지불 여부와 관계없이 접근하거나 접근이 허용된 다른 모든 부지 또는 장소를 포함한다.[2]미국에서 공공 장소에서 연설과 집회를 할 수 있는 국민의 권리는 연방 정부 또는 주 정부에 의해 부당하게 제한될 수 없다.[4] 정부는 일반적으로 공공 장소에서 합리적인 범위를 넘어 개인의 연설을 제한할 수 없으며, 이는 공공 포럼으로 간주된다. 사적인 비공개 포럼에서는 정부가 개인의 연설을 훨씬 더 강력하게 통제할 수 있다. 공공 포럼의 개념은 물리적 공간이나 공공 재산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문은 공공 포럼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이 용어는 미국 법에서 특정 의미를 가진다.
공원, 쇼핑몰, 해변, 대기실 등은 밤에는 폐쇄될 수 있다. 이것이 특정 그룹을 배제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공공 사용에 대한 제한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공원 입장은 사용자의 거주지를 기준으로 제한될 수 없다.[5]
2. 2. 사회적 규범
일부 문화권에서는 공공장소에서 사생활 보호에 대한 기대가 없지만, 시민적 무관심은 개인이 군중 속에서 자신의 사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공공장소에서는 불쾌하거나 부적절한 행동(마약 및 알코올 소비, 공공장소에서의 배뇨, 공연음란죄 등)이 법률 또는 조례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6][7]2. 3. 디자인적 관점
공간 디자인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거주자에게 긍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유도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연 채광, 개방적인 레이아웃, 편안한 좌석 등 특정 유형의 공간에 대한 자연스러운 선호도를 가지고 있다.[26] 공간 디자인에서 또 다른 중요한 고려 사항은 사람들이 공간을 얼마나 쉽게 이동할 수 있는지, 즉 흐름에 대한 개념이다. 여기에는 직관적이고 방해물이 없는 공간을 설계하여 사용자가 좌절감이나 방향 감각 상실 없이 공간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25]공간 디자인의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집과 직장 밖에서 사람들의 사회적, 정서적 요구를 충족하는 환영적이고 포용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는 종종 제3의 장소 개념으로 언급되며, 심리적 편안함과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는 사회적 상호 작용의 공공장소를 설명한다.[27]
3. 공공장소의 권리
공공장소는 일반적으로 지역 사회 전체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간인 반면, 사적 공간은 개인이나 기업이 소유한다. 공공장소는 다양한 유형의 레크리에이션과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조성된다. 공공장소에서는 불쾌하거나 부적절한 행동(예: 마약 및 알코올 소비, 소변, 공연음란죄 등)을 방지하기 위해 법률 또는 조례에 따라 제한이 가해진다.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은 사적 공간과 달리 공공장소에 접근하고 사용할 권리가 있다고 여겨지지만, 공공장소가 특정 집단(특히 노숙자[6]와 젊은이[7])을 배제하기 위해 관리되기도 한다.
3. 1. 만인의 접근권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에스토니아에서는 만인의 접근권이라는 법에 따라 모든 자연 지역이 공공장소로 간주된다.3. 2. 접근 제한 논란
일반적으로 공공장소는 지역 사회 전체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간이지만, 사적 공간은 개인이나 기업이 소유한다. 모든 사람은 사적 공간과 달리 공공장소에 접근하고 이용할 권리가 있다고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공공장소가 특정 집단, 특히 노숙자와[6] 젊은이[7]들을 배제하기 위해 관리되는 방식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존재한다.공공장소를 덜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한 조치로는 잠자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한 벤치 제거 또는 설계 변경, 특정 시간 접근 제한, 실내/폐쇄 구역 잠금 등이 있다. 경찰력이 공공장소에서 '원치 않는' 구성원을 이동시키는 데 관여하기도 한다. 또한, 적절한 접근성 제공이 미흡하여 장애인이 암묵적으로 일부 공간에서 배제되는 경우도 있다.
4. 공공장소와 민주주의
인문 지리학자들은 공공장소가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중요한 장소라고 주장해 왔다.[8] 지리학자 돈 미첼은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권 개념을 활용하여 공공장소와 민주주의의 관계를 설명했다.[9] 민주주의와 공공장소가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둘이 만나는 지점이 정치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질 발렌타인과 같은 지리학자들은 공공장소의 수행성과 가시성에 주목하여, 민주적 공간이 기능하는 데 필요한 연극적인 요소, 즉 '출현의 공간'을 강조했다.[10]
4. 1. 공론장의 역할
위르겐 하버마스는 공론장의 등장을 민주주의 발전과 연결시켰다.[15] 이에 대한 좋은 예는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정부 하에서 대공황 기간 동안 고용 증진을 위한 경제적 노력의 일환으로 시행된 뉴딜 정책이다. 뉴딜 정책은 미국의 공공 공간 기반이 되는 문화적 인프라를 구성하여, 미국 삶의 질에 크게 기여하고 지역 사회 통합을 장려했다.[16] 그러나 최근에는 공공 공간을 활용한 공적 생활의 민주적 이상이 퇴보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도시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민족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공공 상호 작용의 기회가 감소하고 있다. 존 체이스는 "시민 생활에 자발적이고 의무적인 참여의 중요성은 임의적인 문화적 의미의 의식과 상품 및 서비스 소비가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점점 더 중요한 역할에 의해 찬탈되었다"고 주장한다.[17]4. 2. 현대 사회의 도전
우리 도시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민족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서로 다른 사람들이 만나는 공공 상호 작용의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이는 공공장소가 가진 민주주의적 기능이 약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낳는다.[17] 존 체이스는 "시민 생활에 자발적이고 의무적인 참여의 중요성은 임의적인 문화적 의미의 의식과 상품 및 서비스 소비가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점점 더 중요한 역할에 의해 찬탈되었다"고 말했다.[17] 마이클 소킨(Michael Sorkin)과 마이크 데이비스(Mike Davis)는 "공간의 종말"과 "진정으로 민주적인 도시 공간의 파괴"를 선언하며, 현대 사회가 도시 중심부를 형성했던 공적 생활에서 물러섰다고 주장했다.[18]하지만, 모든 사람이 공공장소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라는 비판도 있다. 역사적으로 공공장소는 참여에 제한이 있었고, 이러한 한계는 낸시 프레이저(Nancy Fraser)가 말하는 "대항 공론장"을 만들어냈다.[20] 즉, 다양한 사회 집단이 자신들만의 공공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을 통해 자신들의 관심사를 표현하고 소통하기 시작한 것이다.[20] 이러한 공간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사람들은 물리적 공간을 새롭게 구성하고, 다르게 해석한다.[19]
예를 들어, 로스앤젤레스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거주 지역인 볼드윈 힐스에서는 주차장이 상업 및 사회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장소로 변화했다.[19] 지역 주민들은 이곳에서 만나 교류하고, 물건을 사고팔면서 주차장을 공공장소처럼 활용하고 있다.[19] 이는 "단일 물리적 공간이 완전히 포괄적인 '민주주의 공간'을 대표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활용된다.[19]
5. 공공장소의 사유화
'''사유 공개 공간'''은 흔히 '''사유 공개 개방 공간(POPOS)'''이라고도 하며, 대중에게 개방되어 있지만 상업적인 부동산 개발업자와 같은 사적 실체가 소유한 공개 공간을 말한다. 공동 소유의 공개 공간을 사유 공개 공간으로 전환하는 것을 공개 공간의 민영화라고 하며, 이는 흔히 도시 재개발의 결과로 나타난다.[11]
민관 협력은 공공 기관에서 관리하기 어렵다고 여겨지는 것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보존 단체를 통해 공원과 놀이터에 대한 상당한 통제권을 갖게 된다. 기업은 용적률 증가를 대가로 공개 레저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사업 개선 지구(BID)를 통해 사적 단체가 지역 사업체와 소매점에 세금을 부과하여 경찰, 감시 강화, 쓰레기 수거, 거리 개조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5. 1. 민영화 논란
사유 공개 개방 공간(POPOS)의 증가와 함께, 1960년대부터 시작된 공공 공간의 민영화는 열린 공간 협회와 같은 시민 단체들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11] 이들은 도시 재개발의 결과로 나타나는 공공 공간의 사유화가 공공 공간의 상업적 이용과 통제 강화를 야기한다고 주장한다.민관 협력 사업은 공공 기관에서 관리하기 어려운 부분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보존 단체를 통해 공원과 놀이터에 대한 상당한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 기업의 공개 레저 공간 후원은 용적률 증가를 대가로 대중에게 개방 공간을 제공하며, 이는 사유 공원이 있는 더 높은 건물의 건설을 가능하게 한다.
미국에서 민관 협력의 새로운 형태인 사업 개선 지구(BID)는 사적 단체가 지역 사업체와 소매점에 세금을 부과하여 경찰, 감시 강화, 쓰레기 수거 또는 거리 개조와 같은 특별 사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한때 공공 기금의 통제를 받던 영역으로, 공공 기금의 통제 약화와 공공성의 훼손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5. 2. 반(半)공공 공간
카페, 기차, 영화관과 같이 누구나 돈을 지불하면 들어갈 수 있는 장소도 넓은 의미의 공공 장소에 포함된다. 상점은 두 의미의 중간에 있는 예시로, 누구나 구매 의무 없이 들어가서 둘러볼 수 있지만, 상점의 목적과 관련 없는 활동은 점주의 재량에 달려 있다.쇼핑 센터의 홀과 거리(스카이웨이 포함)는 공공 장소로 선언될 수 있으며, 상점이 문을 닫았을 때도 열려 있을 수 있다. 대중교통의 홀, 승강장 및 대합실도 마찬가지이며, 때로는 여행 티켓이 필요하다. 공공 도서관, 휴게소, 트럭 정류장도 공공 장소이다.
이러한 "반(半)공공" 공간에는 외부보다 더 엄격한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장 규정, 상업 행위, 구걸, 광고, 사진 촬영, 선전, 롤러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세그웨이 타기 등에 관한 규정이 있다.
6. 공공장소와 예술
현대 공공 미술은 유동성과 변화를 통해 발전해 왔다. 공공 공간에서의 일시적인 예술은 오랫동안 존재해 왔지만, 현대 도시에서 공공 미술은 점점 더 보편화되고 중요해지고 있다.
6. 1. 공공 미술의 역할
현대 공공 미술은 유동성과 변화를 통해 발전해 왔다. 공공 공간에서의 일시적인 예술은 오랫동안 존재했지만, 현대 도시에서 공공 미술은 점점 더 보편화되고 중요해지고 있다. 일시적인 공공 미술은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반응하고, 반영하며, 탐구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패트리샤 필립스는 "동시대적이고 시기적절하며, 시대적, 상황적 맥락에 반응하고 반영하는 예술에 대한 사회적 욕구"를 설명한다.[21] 공공 미술은 밀집되고 다양한 공공 환경을 조사, 탐구 및 표현하는 무대이며, 관객에게 재상상, 재경험, 재검토, 재생할 것을 요구한다.디자인 분야에서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도시를 활성화하려는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도시를 재사용, 재건, 재창조할 수 있는 새롭고 영감을 주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현대 디자인은 산업화와 상업화로 인한 도시 문제점으로부터 현대 도시를 구해야 할 필요성에 주목한다. 어떤 경우에는 지역 사회가 조직한 춤, 음악 등의 문화 행사가 쇠퇴한 공공 공간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22]

6. 2. 한국의 공공 미술
현대 공공 미술은 도시 내에서 점점 더 보편화되고 중요해지고 있다. 일시적인 공공 미술은 그것이 자리 잡은 환경에 반응하고, 반영하며, 탐구하는 능력이 있어 매우 중요하다. 패트리샤 필립스는 "동시대적이고 시기적절하며, 시대적, 상황적 맥락에 반응하고 반영하는 예술에 대한 사회적 욕구"를 설명한다.[21] 공공 미술은 밀집되고 다양한 공공 환경을 조사, 탐구 및 표현하는 무대이다. 공공 미술은 관객에게 재상상, 재경험, 재검토, 재생할 것을 요구한다. 디자인 분야에서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도시를 활성화하려는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도시를 재사용, 재건, 재창조할 수 있는 새롭고 영감을 주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7. 도시 디자인과 공공장소
공공 장소는 설계 분야에서 용어와 개념으로 유동적이다. 공공 장소가 무엇으로 구성되는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설계가 어떻게 접근하고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많다.
현대 사회에서 공공 공간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고 수많은 비전통적인 장소로 확장되고 발전했다. 이러한 이유로, 디자인이 공공 공간을 다루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고 정의하기 어려운 분야가 되었다.
아이리스 아라보트(Iris Aravot)는 '서사-신화'라는 개념을 통해 도시 디자인 과정에 대한 흥미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아라보트는 "전통적인 분석 및 문제 해결 방법은 파편화를 초래하며, 도시의 진정한 경험을 단절시키고, 도시의 생동감은 하나의 개체로서 사라진다"라고 주장한다.[23] 도시 디자인에서 서사-신화를 개발하는 과정은 카시러(Cassirer)의 다섯 가지 독특한 "상징적 형태"를 기반으로 지역 문화의 고유한 측면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을 포함한다.[24] 이 형태들은 신화와 종교, 예술, 언어, 역사 및 과학이며, 전문적인 실무에서 종종 간과되는 측면이다. 아라보트는 서사-신화가 "여전히 설명할 수 없는 것", 즉 도시의 본질에 의미를 부여한다고 제안한다.
7. 1. 역사적 변화
서구에서 역사적으로 공공장소는 도시 중심지, 광장, 교회 광장 등으로 제한되어 왔으며, 이는 거의 항상 공간의 프로그램을 알리는 중심 기념물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공간은 사람들의 '공유지' 역할을 했으며, 정치, 사회, 문화적 영역이었다. 미국이 된 13개의 식민지 중 3곳은 통합된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요소를 갖춘 종합적인 계획을 통해 건설되었다. 이 계획된 식민지인 캐롤라이나, 펜실베이니아, 조지아는 각각 공공 광장, 특히 공공 광장을 강조했다. 오글소프 계획으로 알려진 조지아의 계획은 40개의 주거 부지와 4개의 시민 또는 상업 부지로 구성된 각 구역마다 공공 광장이 조성되는 독특한 설계를 만들었다. 이 설계는 사바나 역사 지구에 보존되어 있다.[12][13][14]위르겐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은 공론장의 등장을 민주주의의 발전과 연결시킨다.[15] 이에 대한 좋은 예는 뉴딜 정책이다. 뉴딜 정책은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정부 하에서 미국에서 있었던 짧은 기간으로, 대공황 기간 동안 고용을 증진하기 위한 경제적 노력의 일환으로 엄청난 수의 공공 사업을 수행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이보다 더 컸다. 이는 미국의 공공 공간의 기반이 되는 문화적 인프라로 불리는 유산을 구성했다.[16] 뉴딜 정책은 미국 삶의 질에 크게 기여하고 지역 사회의 모든 측면 간의 통합을 장려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공공 공간을 활용한 공적 생활의 민주적 이상이 퇴보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우리 도시가 분리(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민족적)로 가속화됨에 따라 공공 상호 작용의 기회는 감소하고 있다. 존 체이스는 "시민 생활에 자발적이고 의무적인 참여의 중요성은 임의적인 문화적 의미의 의식과 상품 및 서비스 소비가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점점 더 중요한 역할에 의해 찬탈되었다"고 적고 있다.[17]
7. 2. 현대적 비판
현대 건축 비평가들은 현대 사회가 도시 중심부를 형성했던 공적 생활에서 물러섰다는 '상실의 서사'를 한탄해 왔다. 정치적, 사회적 요구와 표현의 장은 이제 집에서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정서는 마이클 소킨(Michael Sorkin)과 마이크 데이비스(Mike Davis)의 "공간의 종말"과 "진정으로 민주적인 도시 공간의 파괴" 선언에서 반영된다.[18] 그러나 논쟁의 다른 측면에서는 공적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사람들이며, 그 공간이 어디에 있든 상관없다고 주장한다. 공공, 공간, 민주주의, 시민권의 개념은 사람들이 삶의 경험을 통해 재정의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9]역사적으로 공적 공간은 참여할 수 있는 사람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본질적으로 모순적이었다는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는 낸시 프레이저(Nancy Fraser)가 규정한 "대항 공론장"이 그들만의 공적 공간을 구축하여 자신들의 관심사에 대응하도록 만들었다.[20] 이러한 공간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물리적 공간을 재구성하고 재해석한다.
이러한 예시로 로스앤젤레스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거주 지역인 볼드윈 힐스가 있다. 이곳에서 주차장은 상업적, 사회적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장소로 발전했다. 지역 주민들은 이곳에서 만나 교류하고, 물건을 사고판다. 이 사례는 기념물을 중심으로 한 고정된 공적 공간이라는 역사적 이상이 "단일 물리적 공간이 완전히 포괄적인 '민주주의 공간'을 대표할 수 없다"는 점에서 현대적이고 다양한 사회적 범위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사용되었다.[19]
7. 3. 도시 디자인 접근 방식
공공 장소는 설계 분야에서 용어와 개념으로 유동적이다. 공공 장소의 구성, 역할, 설계 방식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존재한다.현대 사회에서 공공 공간에 대한 인식은 여러 비전통적인 장소로 확장되고 발전했다. 따라서 디자인이 공공 공간을 다루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고 정의하기 어렵다.
아이리스 아라보트(Iris Aravot)는 '서사-신화'라는 개념을 통해 도시 디자인 과정에 대한 흥미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아라보트는 "전통적인 분석 및 문제 해결 방법은 파편화를 초래하며, 도시의 진정한 경험을 단절시키고, 도시의 생동감은 하나의 개체로서 사라진다"라고 주장한다.[23] 도시 디자인에서 서사-신화를 개발하는 과정은 카시러(Cassirer)의 다섯 가지 독특한 "상징적 형태"를 기반으로 지역 문화의 고유한 측면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을 포함한다.[24] 이 형태들은 신화와 종교, 예술, 언어, 역사 및 과학이며, 전문적인 실무에서 종종 간과되는 측면이다. 아라보트는 서사-신화가 "여전히 설명할 수 없는 것", 즉 도시의 본질에 의미를 부여한다고 제안한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2]
웹사이트
Section 33 of the Criminal Justice Act 1972.
https://www.legislat[...]
[3]
서적
Interpreting Censorship in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
문서
First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classweb.gmu.[...]
2011-10-23
[6]
웹사이트
Illegal to be Homeless
http://www.nationalh[...]
National Coalition for the Homeless
[7]
간행물
Children, Youth and Sustainable Cities
http://unpan1.un.org[...]
[8]
간행물
Cosmopolis: public spaces, cosmopolitanism, and democracy
2023
[9]
서적
The Right to the City: Social Justice and the Fight for Public Space
The Guilford Press
[10]
간행물
Children should be seen and not heard: the production and transgression of adults' public space
[11]
뉴스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where are they and who owns them?
https://www.theguard[...]
2012-09-01
[12]
서적
The Urban Idea in Colonial America
Temple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Oglethorpe Plan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4]
서적
A Sketch of the History of South Carolina
McCarter and Co.
[15]
서적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MIT Press
[16]
간행물
'Cultural Infrastructure: The Legacy of New Deal Public Space'
1996-05
[17]
간행물
"The Garret, the Boardroom, and the Amusement Park,"
1993-11
[18]
서적
"Introduction", and Fortress Los Angeles: The Militarization of Urban Space
Hill and Wang
[19]
간행물
"Contesting the Public Realm: Struggles over Public Space in Los Angeles"
1995-09
[20]
서적
"Rethinking the Public Sphere: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Actually Existing Democrac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1]
간행물
"Temporality and Public Art"
1989
[22]
간행물
Urban revitalisation with music and dance in the Port of Veracruz, Mexico
https://doi.org/10.1[...]
[23]
간행물
"Narrative-Myth and Urban Design"
1995-11
[24]
서적
An Essay on Man
Bantam
[25]
서적
The Happy Design Toolkit
http://dx.doi.org/10[...]
RIBA Publishing
2022-02-28
[26]
간행물
The impact of psychological needs on office design
http://dx.doi.org/10[...]
2009-11-20
[27]
간행물
The third place
http://dx.doi.org/10[...]
1982
[28]
서적
知の広場 : 図書館と自由
みすず書房
2011
[29]
사전
공공장소
https://ko.dict.nave[...]
네이버 사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왜저래" 했는데 한국인?…"민폐 좀 그만" 시끌
흉기 들고 거리 배회…공공장소 흉기소지죄 징역형 집유
인형 탈에 흉기들고 대형마트 활보···경찰 20대 ‘강제 입원’
"소파 맡아놨나" 두 다리 쭉 뻗고…민폐 노인들 눈살
"날 더우니까" 또 점령…"매너 좀" 공원에 뜬 민폐 무리
아이 통제 못하면 '무개념'?…부모 70% 외출 전 '눈치'
밥 먹다 말고 휘발유 콸콸…막무가내 식당 난동범의 최후 [현장영상]
"공공장소 맞아?"…지하철 안 '파격 자세'에 눈이 휘둥그레
[D리포트] 공원서 도박판에 흉기 난동까지…"진짜 못 살겠어요"
버스 2대나 주차해놓고…화장실만 쓰고 튄 민폐객들 '논란'
"스타벅스에 개인 사무실 차렸나" 민폐 '카공족'에 외국인도 깜짝 | JTBC 뉴스
스타벅스에 칸막이 친 '민폐 카공족' 논란…"외국인도 의아해해"
바나나 하나 시키고…카페에 칸막이 설치한 '외출 빌런'
"시내버스에서 이게 무슨 일" 사진 확산…승객 어땠길래
"청각장애인 보조견이 어딨냐"…식당 · 경찰에 문전박대 당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