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신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신부인은 조선의 청주 한씨 가문 출신으로, 세종에 의해 명나라 선덕제의 후궁으로 간 인물이다. 1427년 명나라로 건너가 선덕제 사후 정통제, 경태제, 성화제 등 4대에 걸쳐 57년간 황실에서 지냈다. 1483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명나라 성화제로부터 공신(恭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녀 - 여비 한씨
    여비 한씨는 조선에서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총애를 받았으나, 황제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순장된 인물이다.
  • 공녀 - 권황후
    권황후는 권겸의 딸이자 원 혜종의 아들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의 황후로, 정궁 황후 승격 후 딸 1명과 요절한 아들 1명을 두었으며, 원나라가 몽골로 쫓겨갈 때 동행한 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 1410년 출생 - 강맹경
    강맹경은 조선 초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세조 즉위 공로로 좌익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계유정난 가담에 대한 비판과 황희의 총애를 받았다는 긍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인물이다.
  • 1410년 출생 - 정정옹주 (태종)
    태종과 신빈 신씨의 딸인 정정옹주는 조말생의 아들 조선과 혼인하여 1남 1녀를 두었으며, 세조가 그녀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 명나라의 후궁 - 여비 한씨
    여비 한씨는 조선에서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총애를 받았으나, 황제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순장된 인물이다.
  • 명나라의 후궁 - 만귀비
    만귀비는 명나라 성화제의 후궁이자 19세 연상이었던 만정이로, 성화제의 깊은 신임을 얻어 귀비에 책봉되어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으며 후사 문제에 깊이 관여하며 논란을 낳았고 다양한 미디어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공신부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부인
시호공신 (恭愼)
한계란 (韓桂蘭)
출생일1410년 음력 4월 9일
사망일1483년 음력 5월 18일
사망 원인병사
매장지북경 서쪽 향산
국적조선, 명나라
가족 관계
배우자선덕제
아버지한영정
어머니정경부인 의성 김씨
친척한확(오빠), 소혜왕후(조카), 한치인(조카), 한치형(조카) 등 다수

2. 생애

공신부인은 1410년(태종 10년) 음력 4월 9일 청주 한씨 한영정과 그 부인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427년(세종 9년) 명나라에 공녀로 선발되어 선덕제의 후궁이 되었으나, 남편 사후에도 정통제, 경태제, 성화제 등 4대의 황제를 섬기다가 1483년(성종 14년) 음력 5월 18일 7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성화제는 그녀에게 '공신(恭愼)'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명나라 황실에서 조의를 표했으며, 북경 서쪽 향산에 장사되었다.[1]

2. 1. 조선에서의 삶과 명나라로의 배경

1410년(태종 10년) 음력 4월 9일 청주 한씨 한영정과 그 부인 김씨 사이에서 3남 2녀 중 차녀로 태어났다.[1] 공신부인의 어머니 김씨는 좌명공신(佐命功臣) 승녕부사(承寧府事)를 지내고 양소공(襄昭公)의 시호를 받은 의성 김씨 김영렬의 딸이다. 공신부인의 오빠는 한확이며, 한확의 딸이자 의경세자의 부인이자 성종의 모후인 소혜왕후는 공신부인의 친조카이다. 공신부인의 친언니는 영락제의 후궁인 여비 한씨로, 여비는 영락제의 황후인효문황후 서씨가 죽은 후 명나라 내명부를 총괄하기도 하였다.[2]

1427년(세종 9년, 명나라 선덕 2년) 세종에 의해 명나라에 바쳐질 공녀로 선발되어 명나라에 들어갔으며, 선덕제의 후궁이 되었다. 그녀의 언니인 여비 한씨는 1424년(세종 6년, 명나라 영락 22년) 영락제 사후 곧바로 순장되었는데, 이 때문에 공신부인이 명나라로 떠날 때 이를 호종하던 한확과 그녀를 보고 당시 사람들은 "그 언니가 순장을 당한 것도 애석한데, 이제 또 떠나는구나."라며 이들을 "생송장(生送葬)"이라고 불렀다고 한다.[3]

2. 2. 명나라 후궁 생활

1427년 (세종 9년, 명나라 선덕 2년) 세종에 의해 명나라에 바쳐질 공녀로 선발되어 명나라에 들어가, 명나라 제5대 황제 선덕제의 후궁이 되었다. 언니 여비 한씨1424년 (세종 6년, 명 영락 22년) 영락제 사후 순장되었는데, 이 때문에 공신부인이 명나라로 떠날 때 호종하던 한확과 공신부인을 보고 당시 사람들은 "그 언니가 순장을 당한 것도 애석한데, 이제 또 떠나는구나."라며 "생송장(生送葬)"이라고 불렀다.[3]

그러나 공신부인은 남편 선덕제 사후에도 정통제 (영종), 경태제 (대종), 성화제 (헌종) 등 57년간 4대의 황제를 섬겼다.[1]

2. 3. 사망

1483년(조선 성종 14년, 성화 19년) 음력 5월 18일 향년 74세로 병사하였다.[1] 성화황제는 태감 왕거(王琚)를 보내 白金|백금중국어과 옷감 등을 하사하고, '공신(恭愼)'이라는 시호를 내렸다.[1] 명나라 황태후를 비롯한 여러 황실에서 조의를 표했으며, 그 해 음력 6월 21일 북경 서쪽 향산(香山)에 장사되었다.[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조부한녕
아버지한영정
외조부김영렬
어머니정경부인 김씨
오빠한확
오빠한전
남매한질
언니여비 한씨
시아버지명나라 홍희제
남편명나라 선덕제


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 성종 162권, 15년(1484년) 1월 4일 5번째기사
[2] 간행물 국조인물고 - 한확 https://terms.naver.[...]
[3] 웹사이트 네이버캐스트 - 순장 http://navercast.na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