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옹주 (태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정옹주는 조선 태종과 신빈 신씨의 딸로, 1410년에 태어났다. 1421년 조말생의 아들인 한원군 조원과 혼인하여 1남 1녀를 두었다. 세조는 1456년 정정옹주의 사망에 부의를 내렸으며, 묘소는 남편 조원과 함께 경기도 남양주 수석동에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0년 출생 - 강맹경
강맹경은 조선 초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세조 즉위 공로로 좌익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계유정난 가담에 대한 비판과 황희의 총애를 받았다는 긍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인물이다. - 1410년 출생 - 김계권
김계권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강직하고 청렴한 성품을 지녔으며, 원종공신 3등에 녹훈되었고, 그의 후손들은 소산 김씨를 형성하여 안동 김씨 가문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1456년 사망 - 한확
한확은 조선 초 문신으로, 명나라 외교에서 활약하며 세종 대에 사신으로 공물 면제를 주청하고,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에 책록되어 우의정에 올랐으며, 세조의 명나라 책봉을 성사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명나라로 가는 길에 사망했다. - 1456년 사망 - 순평군
순평군은 조선 정종의 서자로 순평군에 봉해졌으며, 순창 설씨와 혼인하여 자녀를 두고 유배, 파면, 복권 등의 사건을 겪었으며, 학문을 시작하여 효경을 배우고 사망하여 시호는 충간이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정정옹주 (태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왕족 정보 | |
이름 | 정정옹주 貞靜翁主 |
작위 | 조선 태종의 옹주 |
배우자 | 한원군 조선(漢原君 趙璿) |
자녀 | 1남 1녀 ----조영(趙渶) 허창(許菖)의 처 |
아버지 | 태종 |
어머니 | 신빈 신씨 (신녕궁주) |
출생일 | 1410년 |
사망일 | 1456년 4월 11일 (향년 47세) |
능묘 |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
2. 생애
1410년(태종 10년) 태종과 신빈 신씨(신녕궁주)의 차녀로 태어났다. 1421년(세종 3년) 3월 3일, 태종이 총애하던 조말생의 아들 한원군 조선(漢原君 趙璿)과 혼인하여 1남 1녀를 두었다.
정정옹주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1456년(세조 2년) 정정옹주가 세상을 떠나자, 세조는 부의(賻儀)로 쌀‧콩 아울러 1백 석, 종이 1백 50권, 정포(正布) 40필, 유둔(油芚) 2부(部), 전칠(全漆) 2승(升)과 관곽(棺槨)을 내려 주었다.
정정옹주의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 수석동 산2-3에 남편 조선과 함께 조성되어 있다.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비고 아버지 태종 1367년 ~ 1422년 어머니 신빈 신씨 ? ~ 1435년 오빠 함녕군 이인(李裀) 1402년 ~ 1467년 오빠 온녕군 이정(李裎) 1407년 ~ 1454년 언니 정신옹주 ? ~ 1452년 여동생 숙정옹주 생몰년 미상 여동생 숙녕옹주 생몰년 미상 여동생 소신옹주 ? ~ 1437년 여동생 소숙옹주 ? ~ 1456년 여동생 숙경옹주 1420년 ~ 1494년 부마 한원군 조선(漢原君 趙璿) 1410년 ~ 1437년 장남 조영(趙渶) 장녀 양주 조씨(楊州 趙氏) 1426년 ~ ?, 허창에게 출가 외손자 허담(許聃) 외증손자 허엽(許曄) 1517년 ~ 1580년 외고손자 허성(許筬) 1548년 ~ 1612년 외고손자 허봉(許篈) 1551년 ~ 1588년 외고손녀 허난설헌(許蘭雪軒) 허초희(許楚姬) 1563년 ~ 1589년 외고손자 허균(許筠) 1569년 ~ 1618년
3. 1. 부모
3. 2. 형제자매
3. 3. 배우자 및 자녀
관계 | 이름 | 비고 |
---|---|---|
부마 | 한원군 조선(漢原君 趙璿) | 1410년 ~ 1437년 |
장남 | 조영(趙渶) | |
장녀 | 양주 조씨(楊州 趙氏) | 1426년 ~ ?, 허창에게 출가 |
외손자 | 허담(許聃) | |
외증손자 | 허엽(許曄) | 1517년 ~ 1580년 |
외고손자 | 허성(許筬) | 1548년 ~ 1612년 |
외고손자 | 허봉(許篈) | 1551년 ~ 1588년 |
외고손녀 | 허난설헌(許蘭雪軒) 허초희(許楚姬) | 1563년 ~ 1589년 |
외고손자 | 허균(許筠) | 1569년 ~ 1618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