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관동 지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동 지방은 한반도의 동북쪽 중간 지역으로, 동해와 접하며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산지가 많은 지형이다. 한강과 낙동강이 발원하고 북한강이 흐르며, 금강산, 설악산 등 유명 산이 위치한다. 역사적으로는 고조선 시대 예맥으로 불렸으며, 삼국시대 이후 신라의 영향 아래 강원도로 정착되었다. 경제적으로는 시멘트, 석탄 가공업과 관광업이 발달했으며, 춘천, 원주 등지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다. 영동고속도로, 중앙선 등 교통망이 발달했으며, 관동 방언을 사용한다. 강원대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하고 있으며, KBS, MBC 등 방송국과 강원 FC, 원주 DB 프로미 등 스포츠 팀이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역사적 지역 - 충청도
    충청도는 충주와 청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고려 시대부터 행정 구역과 명칭이 여러 번 변경되었고, 1896년 충청남북도 분리, 1989년 대전광역시 분리,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등의 변화를 겪으며 대전, 천안, 청주 등을 주요 도시로 하는 지역이다.
  • 한국의 역사적 지역 - 영남 지방
    영남 지방은 대한민국 남동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으로 둘러싸여 낙동강을 중심으로 농업이 발달했고, 남동 임해 및 영남 내륙 공업 지역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오랜 역사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교통망과 국제 교류가 활발한 지역이다.
  • 한국의 지역 -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호남 지방의 광역자치단체로, 마한의 영역에서 시작되어 전라도에서 분리되었고, 제주도와 광주광역시가 분리된 후 무안군에 도청을 두고 서해와 남해안에 접하며 농업과 산업이 발달했고, 현재 5개 시와 17개 군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한국의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지리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지리 - 조선 누층군
    조선 누층군은 강원도와 충청북도 일대에 넓게 분포하는 한국의 고생대 지층으로, 캄브리아기부터 오르도비스기에 걸쳐 퇴적된 퇴적암 및 탄산염암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삼엽충 화석을 포함하며 고생대 지질 연구와 지하자원 개발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한반도 고생대 지질 역사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관동 지방
지도
명칭
한자關東
로마자 표기Gwandong
지역 구분지방
위치
범위태백산맥 동쪽의 동해 연안 지방
남한강원도의 영동 지역
북한강원도와 함경남도의 남부 지역
역사적 구분
고려 시대동계 지역
조선 시대관동팔경 지역
관광
대표 명승지관동팔경
특징빼어난 자연 경관과 해안 지형
문화
언어강원도 방언 및 함경도 방언 사용
특징산악 지형과 해안 지역의 문화적 차이 존재

2. 지리

한반도의 동북쪽 중간에 있는 강원도는 남북으로 길고 동서로 짧은 지형이다. 동쪽으로는 동해와 접해 있고,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서남쪽과 서쪽으로는 충청북도경기도, 서북쪽으로는 황해도, 북쪽으로는 함경남도와 접해 있다.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높은 과 깊은 골짜기가 겹겹이 둘러싸고 있어 전체 면적의 약 82%가 산지이다. 금강산,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치악산 등이 강원도에 있다. 한강낙동강의 발원지이다.

2. 1. 지형

한반도 동북쪽 중간 지역에 위치한 강원도는 남북으로 길고 동서로 짧은 지형이다. 동쪽으로는 해안선을 따라 동해와 접해 있고,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서남쪽과 서쪽으로는 충청북도경기도, 서북쪽으로는 황해도, 북쪽으로는 함경남도와 접해 있다.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높은 과 깊은 골짜기가 겹겹이 둘러싸고 있어 전체 면적의 약 82%가 산지이다. 금강산,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치악산 등 유명한 산들이 강원도에 위치하고 있다. 한강낙동강은 강원도에서 발원한다.

2. 2. 수계

한강낙동강강원도에서 발원한다.

  • 강: 북한강
  • 호수: 소양호, 춘천호, 의암호, 파로호

3. 역사

관동 지방은 고조선 시대에는 예맥으로 불리기도 했다. 삼국시대부터 백제의 영향력 아래에 놓이기도 하였으나, 3 - 5세기 경에는 고구려의 세력이 강하여 강원도 전체가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다. 6세기에는 신라가 융성하면서 신라의 영향권에 놓였다. 강원도의 명칭은 도 내의 큰 지명인 강릉의 '강'과 원주의 '원'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3. 1. 통일 신라 시대

관동 지방은 삼국시대에는 영서 지역이 백제의 영향력 아래에 놓이기도 하였으나, 고구려의 세력이 강하였던 3세기에서 5세기 경에는 강원도 전체가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으며, 6세기 신라의 융성으로 신라의 영향권에 놓였다. 지방행정구역으로서 강원도가 문헌상으로 정착되기 시작한 때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확대된 영역을 지배하기 위해 새로운 지방행정조직인 아홉 주(州)를 설치한 신문왕 5년(68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3. 2. 고려, 조선 시대

관동 지방은 고조선 시대에는 예맥으로 불리기도 했다. 삼국시대부터 영서 지역이 백제의 영향력 아래에 놓이기도 하였으나, 3 - 5세기 경에는 고구려의 세력이 강하여 강원도 전체가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다. 6세기에는 신라가 융성하면서 신라의 영향권에 놓였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신문왕 5년(685)에 확대된 영역을 지배하기 위해 새로운 지방행정조직인 아홉 주(州)를 설치하면서 강원도가 지방행정구역으로서 문헌상으로 정착되기 시작했다. 강원도의 명칭은 도 내의 큰 지명인 강릉의 '강'과 원주의 '원'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4. 경제

관동 지방은 산이 많고 인구가 적어 시멘트나 석탄 가공업만 발달하였고 다른 공업 분야의 발전은 부진하다. 태백, 정선, 영월, 삼척은 1960~70년대에 남한 최대의 탄전 지대였으나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 시행으로 쇠퇴하였다.

4. 1. 관광 산업

관동 지방은 여름에는 동해안 피서객, 겨울에는 태백산맥에 산재한 스키장 이용객을 상대로 관광업이 발달하고 있다.

5. 지역

인구는 생활 여건이 좋은 춘천시, 원주시와 동해안 일대에 몰려있는 편이다. 북한과의 경계 지대에는 인구가 매우 희박하다.

5. 1. 주요 도시 (대한민국)

순위도시인구 (명)
1원주시339,592
2춘천시279,990
3강릉시213,765
4동해시92,829
5속초시81,431
6홍천군70,299
7삼척시69,047
8철원군47,587
9태백시46,274
10횡성군46,076
11평창군43,084
12영월군40,038
13정선군38,326
14인제군32,507
15고성군29,235
16양양군27,284
17화천군26,439
18양구군24,026



위 표는 2017년 상반기 주민등록인구 현황에 따른 것이다. 강원도의 인구가 다른 광역자치단체에 비해 적기 때문에 모든 기초자치단체의 주민등록인구를 기재하였다.

5. 2. 주요 도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상 관동 지방에 속하는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

도시명인구
원산시자료 없음


6. 교통

관동 지방은 고속도로, 철도, 항공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갖추고 있어 지역 내외 이동이 편리하다.

6. 1. 고속도로

6. 2. 철도

6. 3. 항공

7. 문화

관동 지방은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서 지방영동 지방으로 나뉘며, 지리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문화가 발달했다.

7. 1. 방언

관동 방언을 사용하며 크게 영서 방언영동 방언으로 나뉜다.

8. 교육

관동 지방에는 강원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와 같은 국공립대학과 가톨릭관동대학교, 한림대학교, 한림성심대학교, 송곡대학과 같은 사립대학이 있다.

8. 1. 국공립대학

8. 2. 사립대학

9. 방송


10. 스포츠

관동 지방에는 축구, 농구, 아이스하키 등 다양한 종목의 프로 및 아마추어 스포츠 팀들이 활동하고 있다.
축구K리그1 강원 FC2008년 창단되었으며, 강릉종합경기장과 춘천송암레포츠타운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K3리그에는 강릉시청(1999년 창단), 춘천 FC(2010년 창단), 평창 FC(2008년 창단)가 참가하고, WK리그 화천 KSPO2011년 창단되어 화천공설운동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농구KBL 원주 동부 프로미는 1996년 창단되었으며, 원주종합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아이스하키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하이원2004년 창단되었으며, 춘천 의암실내빙상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10. 1. 축구

K리그1강원 FC2008년에 창단되었으며, 강릉종합경기장과 춘천송암레포츠타운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K3리그에는 강릉시청(1999년 창단, 강릉종합경기장 사용), 춘천 FC(2010년 창단, 춘천송암레포츠타운 사용), 평창 FC(2008년 창단, 평창종합운동장 사용)이 참가하고 있다.

WK리그화천 KSPO2011년 창단되었으며, 화천공설운동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리그명팀명창단년도홈 경기장
K리그1강원 FC2008년강릉종합경기장
춘천송암레포츠타운
K3리그강릉시청1999년강릉종합경기장
춘천 FC2010년춘천송암레포츠타운
평창 FC2008년평창종합운동장
WK리그화천 KSPO2011년화천공설운동장


10. 2. 농구

리그명팀명창단년도홈 경기장
KBL원주 동부 프로미1996년원주종합체육관


10. 3. 아이스하키

리그명팀명창단년도홈 경기장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하이원2004년춘천 의암실내빙상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