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괴철은 진승·오광의 난 시기 무신을 도와 조나라 건국에 기여하고, 초한 전쟁 시기 한신의 참모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한신에게 제나라 공격을 부추기고 천하 삼분지계를 주장했으나, 한신이 이를 거부하자 미친 척하며 떠났다. 한신 사후 유방에게 체포되었으나, 지혜로운 변론으로 석방되었다. 이후 조참의 빈객으로 활동하며 인재 등용을 권했다.
괴철은 범양 (현재의 허베이성 바오딩 시 딩싱 현) 출신으로, 전국 시대 말기부터 한나라 초기까지 활동한 책략가이자 유세가였다.
2. 생애
진 이세황제 원년(기원전 209년), 진승·오광의 난이 일어나자, 진승은 무신에게 옛 조나라 지역을 평정하도록 했다. 이때 괴철은 범양령을 설득하여 무신에게 투항하게 하고, 주변 성들을 귀순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초한 전쟁 시기에는 한신의 휘하에서 활동했다. 유방이 역이기를 보내 제나라를 항복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괴철은 한신을 부추겨 제나라를 공격하게 하여 큰 공을 세우게 했다. 또한 한신에게 초나라, 한나라와 더불어 천하를 삼분하여 독립할 것을 권유하기도 했으나, 한신은 이를 거절했다.
한신이 죽은 후, 괴철은 조참의 빈객으로 들어가 활동했다. 그는 조참에게 인재 등용을 권유하여 제나라를 안정시키고, 조참이 현명한 재상으로 칭송받는 데 기여했다.
2. 1. 진나라 말기 활동
기원전 209년, 진승·오광의 난이 일어나자, 진승은 무신에게 옛 조나라 영역을 평정하도록 했다. 괴철은 범양령(범양현의 현령) 서공(徐公)을 설득해 무신에게 투항하도록 했다. 그리고 스스로 사자가 되어 무신을 찾아가 범양령을 자기 수하로 포섭하고 후히 대우하면 주변 지역들도 무신에게 귀부할 것이라고 설득했다. 무신은 이를 받아들여 범양령에게 제후의 인수를 주었고, 이 소식이 전해지면서 옛 조 · 연나라 땅의 30성이 싸움 없이 무신의 세력에 들어갔다. 무신은 이렇게 얻은 세력을 바탕으로 진나라에서 독립하여 조나라를 세웠다.
2. 2. 한신과의 관계
기원전 204년, 한신이 위, 조, 대나라를 차례로 격파하고 제나라를 공격하려 할 때 괴철이 다시 나타났다. 한왕 유방은 한신에게 제나라 공격을 맡겼지만, 역이기를 보내 제나라 왕 전광을 설득해 항복시켰다. 괴철은 이대로라면 역이기가 한신보다 큰 공을 세우게 된다며 한신을 부추겨 제나라를 공격하게 했다. 한신은 이미 한나라와 손잡기로 해 대비가 없던 제나라 군대를 손쉽게 무찌르고 제나라를 장악했다.
괴철은 한신에게 초나라, 한나라와 더불어 천하를 삼분하여 독립할 것을 권했다. 그러나 한신은 한왕과의 의리를 내세워 거절했다. 괴철은 죽음을 두려워하여 미친 척하며 한신을 떠났다.
기원전 196년, 한신이 모반을 꾀하다 체포되었을 때, "괴통의 말을 들었으면 이렇게 되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한탄했다. 이 말을 들은 유방은 괴통을 체포해 솥에 삶아 죽이려 했다. 괴통은 "옛날 도둑 도척이 기르던 개가 성인 요에게 짖었던 것은, 요가 나쁜 사람이어서가 아니라 단지 주인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세상에는 폐하처럼 되고 싶어하는 자가 많이 있었는데, 그들을 모두 삶아 죽이실 수 있습니까?"라고 항변했다. 유방은 이 말을 옳게 여겨 괴통을 풀어주었다.
2. 3. 한신 사후
기원전 196년, 한신이 진희와 연계하여 모반을 일으키려다 고황후 여씨와 소하에게 체포되었다. 처형될 때 한신은 "그때, 괴통의 말을 들었다면 이렇게 되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말했는데, 이 말이 유방에게 보고되자 유방은 괴통도 모반에 가담했다고 여겨 체포하게 했다. 유방은 괴통을 솥에 삶아 죽이라고 명했지만, 괴통은 "무고한 죄로 죽는 것은 유감이다"라고 말했다. 유방이 그 이유를 묻자, 괴통은 이렇게 답했다. "옛날 도둑 도척이 기르던 개가 성인 요에게 짖었던 것은, 요가 어질지 않은 사람이어서가 아닙니다. 단지, 주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짖었던 것입니다. 당시 세상에는 폐하처럼 되고 싶어하는 자가 많이 있었는데, 그들을 모두 삶아 죽이실 수 있습니까?" 유방은 이 대답을 옳게 여겨 괴통을 풀어주었다.
이후, 괴통은 조참이 제도혜왕의 재상이 되면서 그의 빈객으로 들어갔다. 억지로 전영을 섬겼다가 전영이 패망한 이후 은거하고 있던 제나라의 선비 동곽선생과 양석군을 조참에게 추천하여 빈객으로 삼게 했다.
2. 4. 조참의 빈객
기원전 201년, 조참이 제도혜왕의 재상이 되면서 괴철을 빈객으로 초대했다. 괴철은 조참에게 전영이 패망한 후 은거하고 있던 제나라의 처사 동곽선생과 양석군을 추천하여 빈객으로 삼게 했다. 조참은 인재를 구할 때 예를 다할 것을 권하는 괴철의 조언을 따랐고, 그 결과 제나라는 안정되었으며 조참은 현명한 재상으로 칭송받았다.
2. 5. 저술
괴철은 만년에 전국 시대 유세가의 책모를 논하고 자신의 설을 더한 것을 81수로 정리한 논문 '준영'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