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례구역은 전라선에 있는 기차역이다. 193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어 임시 역사와 신축 역사를 거쳐 현재의 역사를 갖추게 되었다. 1999년 구례구-동순천 구간 복선화, 2011년 KTX 운행 개시 등 시설 개선과 운행 노선 확대를 거쳤다. 현재는 KTX, ITX-새마을, ITX-마음, SRT, 무궁화호, 남도해양열차 등이 정차하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한국식 가옥 형태의 역사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례군의 교통 -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7호선은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경기도 광주시를 잇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노선 변경과 확장 사업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여러 지역과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도로이다. - 구례군의 교통 - 지방도 제865호선
전라남도 광양시, 순천시, 구례군을 잇는 지방도 제865호선은 일부 구간이 국도 및 다른 지방도와 중복되며,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일부 구간이 확장 개통되거나 폐지되었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건축물 - 순천역 (전라남도)
순천역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경전선과 전라선의 교차점으로서 호남 지역 교통의 중심지이며, 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는 현대화된 시설을 갖춘 3면 6선의 섬식 승강장이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건축물 - 개운역
개운역은 전라선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철도역으로, 1936년 학구역으로 개업하여 구만역을 거쳐 2000년 개운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나, 현재는 여객 및 화물 취급이 중지된 무배치간이역이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구례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구례구역 |
한자 표기 | 求禮口驛 |
로마자 표기 | Guryegu-yeok |
![]() | |
주소 | 전라남도 순천시 |
노선 정보 | |
노선 | 전라선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4선 |
선로 | 4개 |
개업 정보 | |
개업일 | 1936년 12월 16일 |
운영 주체 | 한국철도공사 |
노선 정보 (인접역) | |
전라선 KTX | 왼쪽 역: 곡성역 오른쪽 역: 순천역 |
2. 역사
- 1936년 12월 16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1]
- 1950년 10월 29일: 한국 전쟁으로 역사(驛舍)가 소실되었다.
- 1952년 4월 10일: 임시 역사를 준공하였다.
- 1957년 8월 8일: 역사 신축 공사를 시작하였다.
- 1957년 10월 3일: 역사 신축 공사를 준공하였다.
- 1978년 6월 12일: 홈 대합실을 철거하였다.
- 1986년 1월 16일: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 1999년 5월 18일: 구례구 - 동순천 구간 복선화 공사가 준공되었다.
- 2001년 12월 27일: 압록역 - 구례구 구간 단선이 이설되었다.
- 2002년 10월 15일: 압록역 - 구례구 구간 복선화 공사가 준공되어 이설되었다.
- 2007년 11월 1일: 화물 취급을 중지하였다.
- 2011년 10월 5일: 복선 전철 개통과 함께 KTX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13년 12월 13일: 남도해양열차 정차를 시작하였다.
- 2014년 6월 1일: ITX-새마을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16년 12월 9일: 누리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18년 6월 30일: 누리로 운행을 종료하였다.
- 2018년 7월 1일: 충북선 누리로 재운행으로 전라선 1501, 1512 열차는 무궁화호로 변경하여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23년 9월 1일: SRT 정차를 시작하였다.
3. 역 구조
구례구역은 쌍섬식 승강장 2면 4선으로 운영된다. 역사(驛舍)는 한국식 가옥 형태이며, 영월역, 경주역과 구조가 비슷하다.
3. 1. 승강장
wikitext승강장 번호 | 노선 | 방향 |
---|---|---|
1 | 전라선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방면 |
2 | ||
3 | 익산 · 용산 · 행신 방면 | |
4 | ||
4 | 전라선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방면 |
5 | 익산 · 용산 · 수서 · 행신 · 서대전 · 서울 방면 |
4. 열차 운행 정보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모두 정차하며, 2011년10월 5일 전라선 이설·복선·전철화 완료에 따라 하루 4편의 KTX가 정차한다. 2013년12월 13일부터 남도해양관광열차가 정차한다.[1]
4. 1. KTX/SRT
KTX는 하루에 상행 7대, 하행 6대, 총 13대가 정차한다.상행 | 502, 506, 516, 520, 522, 542(토·일), 582 |
---|---|
하행 | 503, 505, 509, 515, 519, 583 |
5. 인접한 역
KTX
서대전 경유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
남도해양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