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르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르카는 네팔 출신 용병을 지칭하는 말로, 고르카 지방에서 유래되었다. 이들은 용맹함과 뛰어난 전투 기술로 유명하며, '겁쟁이로 사느니 죽는 것을 택하겠다'는 좌우명을 가진다. 영국은 고르카 전쟁 이후 이들을 용병으로 고용하기 시작했으며, 영국 동인도 회사, 영국 육군, 인도 육군, 싱가포르 경찰 등 다양한 군사 조직에서 활약했다. 구르카는 쿠크리라는 칼을 사용하며, 여러 차례의 세계 대전과 분쟁에 참전하여 용맹함을 떨쳤다. 인도 독립 이후에는 영국 육군과 인도 육군으로 분할되었으며, 현재도 영국, 인도, 싱가포르 등에서 구르카 부대가 운용되고 있다. 구르카 용병의 처우와 관련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영국 정부는 이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용병 - 세포이
    세포이는 본래 병사를 뜻하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하여 무굴 제국 시대 보병을 지칭했으며, 영국 동인도 회사가 인도 용병을 고용하면서 널리 사용된 용어로, 식민지 경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사병 계급을 나타내거나 경멸적인 의미로도 사용된다.
  • 전투종족 - 라지푸트
    라지푸트는 인도 아대륙의 역사적 사회 계층으로, '왕의 아들'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으며, 여러 왕조를 건설하고 무굴 제국과 영국 식민 통치 시기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인도 역사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구르카
기본 정보
구르카 소총수
구르카 소총수
설명구르카는 네팔과 인도 출신의 병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용맹함과 군사적 기술로 유명하며, 특히 쿠크리라고 불리는 독특한 칼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사
기원구르카는 원래 네팔의 구르카 지역 출신이다.
영국군 복무 시작19세기 초
주요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포클랜드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특징
용맹함구르카 병사들은 뛰어난 용맹함과 전투 기술로 명성이 높다.
쿠크리구르카 병사들은 전통적으로 쿠크리라고 불리는 독특한 칼을 휴대한다.
신체 조건구르카 연대에 입대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신체 조건과 체력이 요구된다.
복무
소속 국가영국군
인도군
네팔군
브루나이군
싱가포르군
역할다양한 군사 작전에 참여하며, 전투, 경비, 훈련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문화적 중요성
상징구르카는 네팔과 인도에서 용맹함과 명예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영화 및 문학구르카의 이야기는 다양한 영화와 문학 작품에서 영감을 주었다.
참고
관련 문서구르카 전쟁
쿠크리
영국군 구르카 여단
인도군 구르카 연대

2. 역사

영-네팔 전쟁은 국경 분쟁과 네팔 왕국, 영국 동인도 회사 양측의 팽창주의로 인해 벌어졌다. 이 전쟁은 1816년 수가울리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데이비드 옥털로니와 윌리엄 프레이저는 구르카 병사의 잠재력을 처음으로 알아본 인물들이다. 전쟁 중 영국은 구르카 군대에서 탈영한 병사들을 불규칙 부대로 고용했다. 1815년 4월, 프레이저는 이들을 로스 중위 지휘 하에 대대로 편성하여 나시리 연대를 만들었다. 이 연대는 후에 제1 킹 조지 훈령 구르카 라이플이 되었고, 말라운 요새에서 작전을 수행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다.

1815년에 약 5,000명의 병력이 영국군에 입대했는데, 이들 대부분은 고르칼리뿐만 아니라 쿠마오니, 가르왈리 등 히말라야 산악 민족이었다. 이들은 ''구르카''라는 이름으로 영국령 인도 육군의 중추가 되었다. 옥털로니의 구르카 대대 외에도, 프레이저와 프레데릭 영 중위는 시르무르 대대를 창설했으며, 이 부대는 나중에 제2 킹 에드워드 7세 훈령 구르카 라이플이 되었다. 쿠마온 대대도 창설되어 제3 퀸 알렉산드라 훈령 구르카 라이플이 되었다.

구르카족은 1817년 핀다리 전쟁, 1826년 인도 바라트푸르 전투, 1846년과 1848년의 제1차제2차 영국-시크 전쟁에서 영국 동인도 회사와 계약을 맺고 복무했다.

1857년 인도 봉기가 일어나자 네팔은 14,000명의 구르카 병사를 파견하여 영국군을 지원했다. 영국령 인도군에서 구르카는 시크교도, 무슬림계 인도인, 파슈툰족 등과 함께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봉기 이후, 인도의 영국 당국은 군대 내 브라만의 영향력을 억제하고, 구룽과 마가르 외 부족의 구르카 부대 모집을 거부했다.

1901년부터 1906년 사이에 구르카 연대는 제1 연대부터 제10 연대까지 번호가 다시 매겨졌고, 구르카 소총연대로 재지정되었다. 이 기간 동안 구르카 여단은 10개 연대에 20개의 대대로 확장되었다.[17]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동안 20만 명 이상의 구르카가 영국군에서 복무했으며, 약 2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거의 2,000개의 무공 훈장을 받았다.[17] 프랑스, 터키, 팔레스타인, 이라크 등지에서 전투에 참전했으며, 갈리폴리 전역에서 구르카는 가장 먼저 도착하고 마지막으로 떠난 부대 중 하나였다.[17]

전쟁이 끝난 후 구르카는 인도에 복귀했으며, 전간기에는 주로 국경과 언덕에서 활동하며 독립적인 부족민을 상대로 활동했다.[17]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동안에는 10개의 구르카 연대, 총 250,280명의 구르카가 거의 모든 전역에서 복무했다.[21] 시리아, 북아프리카, 이탈리아, 그리스, 버마, 싱가포르 등지에서 활약하며 2,734개의 용맹 훈장을 받았다.[20]

영국-인도-네팔 삼자 협정에 따라 인도 독립과 인도 분할 이후, 원래 10개 구르카 연대는 영국 육군과 새로 독립한 인도 육군으로 분할되었다.[20] 6개 구르카 연대(12개 대대)가 인도 육군으로, 4개 연대(8개 대대)가 영국 육군으로 이관되었다.[20] 대부분의 구르카족은 인도군 복무를 선택했는데, 이는 구르카 연대가 익숙한 지역에서 기존의 역할로 계속 복무할 것이라는 실용적인 이유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7]

삼자 협정의 주된 목표는 왕실에서 복무하는 구르카족이 인도 육군에서 복무하는 병사들과 동일한 임금을 받도록 보장하는 것이었다.[17] 2008년 네팔 군주제가 폐지되면서 구르카족 채용이 의문시되었으나, 2023년 현재 외국 군대 복무를 위한 구르카족 채용은 계속되고 있다.

2. 1. 기원

역사적으로 "구르카" 또는 "고르칼리(Gorkhali)"는 네팔인을 지칭하는 말로, 네팔 왕국이 진출했던 고르카 지방과 언덕 도시의 이름에서 유래했다.[52][53] 전설에 따르면 구르카라는 이름은 중세 힌두교의 전사이자 성인 고라크나트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르카에는 그의 옛 성소가 남아있다.[54]

구르카 용병의 좌우명은 '겁쟁이로 사느니 차라리 죽는 걸 택하겠다'인데, 그 기원은 명확하지 않으나 존 크로스에 의하면 18세기 시크교도들에게서 유래했다. 시크교도들은 영국군이 구르카 용병을 구성하기 전부터 네팔인들을 용병으로 고용했고, 고르카 전쟁 이후 영국군이 네팔 출신 용병을 'mercenary'나 'lahure' 대신 구르카로 부르기 시작하면서 이 말이 생겨났다.[55]

"구르카"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서 서쪽으로 약 80킬로미터 떨어진 고르카(영어: Gorkha, 네팔어: गोरखा)라는 지명에서 유래했다. "구르카"는 "고르카"(산스크리트어 발음: gau raksha)의 영어식 발음이다. 영-네팔 전쟁 당시 네팔 왕국을 지배하고 있던 것은 고르카 왕조였기 때문에 영국인들은 네팔을 "구르카"라고 불렀다.

1809년에 라호르의 마하라자에 의해 구르카 병사가 등용되었다. 네팔과 영국 동인도 회사 군과의 전쟁(영국-네팔 전쟁) 무렵부터 동인도 회사도 구르카 병사를 등용하게 되었다.[45]

2. 2. 영국 동인도 회사

영국-네팔 전쟁은 국경 분쟁과 네팔 왕국, 영국 동인도 회사 양측의 팽창주의로 인해 벌어졌다. 이 전쟁은 1816년 수가울리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데이비드 옥털로니와 윌리엄 프레이저는 구르카 병사의 잠재력을 처음으로 알아본 인물들이다. 전쟁 중 영국은 구르카 군대에서 탈영한 병사들을 불규칙 부대로 고용했다. 1815년 4월, 프레이저는 이들을 로스 중위 지휘 하에 대대로 편성하여 나시리 연대를 만들었다. 이 연대는 후에 제1 킹 조지 훈령 구르카 라이플이 되었고, 말라운 요새에서 작전을 수행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다.[55]

1815년에 약 5,000명의 병력이 영국군에 입대했는데, 이들 대부분은 고르칼리뿐만 아니라 쿠마오니, 가르왈리 등 히말라야 산악 민족이었다. 이들은 ''구르카''라는 이름으로 영국령 인도 육군의 중추가 되었다. 옥털로니의 구르카 대대 외에도, 프레이저와 프레데릭 영 중위는 시르무르 대대를 창설했으며, 이 부대는 나중에 제2 킹 에드워드 7세 훈령 구르카 라이플이 되었다. 쿠마온 대대도 창설되어 제3 퀸 알렉산드라 훈령 구르카 라이플이 되었다.

구르카족은 1817년 핀다리 전쟁, 1826년 인도 바라트푸르 전투, 1846년과 1848년의 제1차제2차 영국-시크 전쟁에서 영국 동인도 회사와 계약을 맺고 복무했다.[45]

1809년 라호르의 마하라자에 의해 구르카 병사가 등용되었다. 영국-네팔 전쟁 무렵부터 동인도 회사도 구르카 병사를 등용하게 되었다.[45] 네팔 산악 민족은 숭무(尚武)의 기질, 뛰어난 백병전 능력, 종교적 제약이 적다는 장점이 있었다. 반면 힌두교 신자인 인도인은 종교적인 제약이 많아 근대전의 병사로 적합하지 않아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2. 3. 전후 독립과 분할

1857년 인도 봉기 이후, 인도의 영국 당국은 군대 내 브라만의 영향력을 억제하고, 구룽과 마가르 외 부족의 구르카 부대 모집을 거부했다. 1901년부터 1906년 사이에 구르카 연대는 제1 연대부터 제10 연대까지 번호가 다시 매겨졌고, 구르카 소총연대로 재지정되었다. 이 기간 동안 연대를 통칭하는 구르카 여단은 10개 연대에 20개의 대대로 확장되었다.[17]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동안 20만 명 이상의 구르카가 영국군에서 복무했으며, 약 2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거의 2,000개의 무공 훈장을 받았다.[17] 많은 구르카 지원병들은 프랑스, 터키, 팔레스타인, 이라크 등지에서 전투에 참전했다.[17] 갈리폴리 전역에서 구르카는 가장 먼저 도착하고 마지막으로 떠난 부대 중 하나였다.[17]

전쟁이 끝난 후 구르카는 인도에 복귀했으며, 전간기에는 주로 국경과 언덕에서 활동하며 독립적인 부족민을 상대로 활동했다.[17]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동안 10개의 구르카 연대가 있었고, 총 250,280명의 구르카가 거의 모든 전역에서 복무했다.[21] 구르카는 시리아, 북아프리카, 이탈리아, 그리스, 버마, 싱가포르 등지에서 활약하며 2,734개의 용맹 훈장을 받았다.[20]

영국-인도-네팔 삼자 협정에 따라 인도 독립과 인도 분할 이후, 원래 10개 구르카 연대는 영국 육군과 새로 독립한 인도 육군으로 분할되었다.[20] 6개 구르카 연대(12개 대대)가 인도 육군으로, 4개 연대(8개 대대)가 영국 육군으로 이관되었다.[20] 대부분의 구르카족은 인도군 복무를 선택했는데, 이는 구르카 연대가 익숙한 지역에서 기존의 역할로 계속 복무할 것이라는 실용적인 이유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7]

삼자 협정의 주된 목표는 왕실에서 복무하는 구르카족이 인도 육군에서 복무하는 병사들과 동일한 임금을 받도록 보장하는 것이었다.[17] 2008년 네팔 군주제가 폐지되면서 구르카족 채용이 의문시되었으나, 2023년 현재 외국 군대 복무를 위한 구르카족 채용은 계속되고 있다.

2. 4. 현재

네팔 육군, 영국 육군, 인도 육군에는 네팔에서 모집한 구르카 부대가 있다. 이들은 제네바 조약 제1추가의정서 47조[56]의 여러 요건을 충족하지만, 프랑스 외인부대처럼 47조 a, c, d, e, f항의 규제는 받지 않는다.

구르카는 흔히 앞쪽으로 굽은 네팔식 칼인 쿠크리로 유명하며 용감한 군대로도 알려져 있다.

2005년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국제 올림픽 위원회 회의의 회장 경비를 맡은 싱가포르 경찰 부대의 구르카 병사


역사적으로 영국 및 영연방 국가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영국 육군에는 구르카 병사로 구성된 구르카 여단이 있으며, 2005년 현재 영국군에 복무하는 구르카 병사는 약 3,600명이다. 영국의 구르카 병사 수는 대전기에 11만 2,000명이었지만, 홍콩 반환 이후에는 3,400명으로 줄었다.[47] 매우 용맹하여 포클랜드 전쟁영국이 관여하는 전쟁이나 분쟁 지역에 파병될 때 선견대로 파견되는 경우가 많다. 현재에도 영국으로부터 신뢰가 매우 두터워, 2004년에는 영국의 블레어 수상이 영국군에서 근무한 구르카 병사에게 완전한 영국 시민권을 부여했다.

2010년 아프가니스탄 헬만드 주에서 순찰 중인 제1 로열 구르카 소총연대 병사.


1948년 1월 1일, 4개의 구르카 연대가 영국 육군으로 이관되었다.

연대
제2 킹 에드워드 7세 친위 구르카 소총 연대 (시르무어 소총)
제6 엘리자베스 여왕 친위 구르카 소총 연대
제7 에든버러 공작 친위 구르카 소총 연대
제10 메리 공주 친위 구르카 소총 연대



이들은 '''구르카 여단'''을 형성했으며, 처음에는 말라야 연방에 주둔했다. 이후 영국 구르카는 보르네오에서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대치 기간 동안, 포클랜드 전쟁에서, 그리고 시에라리온, 동티모르, 보스니아, 코소보에서 다양한 평화 유지 임무를 수행했다.[30][31][32]

2021년 8월 현재, 영국 육군의 ''구르카 여단''은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class="wikitable"

|-

! 부대

|-

| 제1 대대, 로열 구르카 소총 연대 (1RGR)

|-

| 제2 대대, 로열 구르카 소총 연대 (2RGR)

|-

| 제3 대대, 로열 구르카 소총 연대 (3RGR)

|-

| 구르카 연합 신속 대응 군단 지원 대대[29]

|-

| 여왕 친위 구르카 통신대 (다음 부대 포함):

|

제250 구르카 통신 중대, 제30 통신 연대
제246 구르카 통신 중대, 제2 통신 연대
제247 구르카 통신 중대, 제16 통신 연대
제248 구르카 통신 중대, 제22 통신 연대
제249 구르카 통신 중대, 제3 (영국) 사단 통신 연대



|-

| 제10 여왕 친위 구르카 병참 연대 RLC

|-

| 여왕 친위 구르카 공병대 (다음 부대 포함):

|

제69 구르카 야전 중대, 제36 공병 연대
제70 구르카 야전 중대, 제36 공병 연대



|-

| 구르카 참모 및 인력 지원 중대

|-

| 구르카 여단 군악대

|-

| 구르카 중대 (시탕),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

|-

| 구르카 윙 (만달레이), 보병 전투 학교

|-

| 구르카 중대 (타볼레토), 육상 전쟁 센터

|}

인도 육군의 5 구르카 라이플 연대 군인들이 훈련 중 자리를 잡고 있다.


인도에는 2000년 시점에 10만 명의 구르카 병사가 재적하고 있다.[47] (Gorkha regiments (India)|고르카 연대영어) 독립 당시의 협정에서는 12대대 3만 명이었으며, 네팔인 장교가 지휘한다는 것이었으나,[48] 협정을 무시하고 증원했으며, 인도인 부대 안에 투입하거나, 준군대에 배치하기도 했다.[48] 그러나 인도와의 관계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 명확한 태도를 취하기는 어렵다.[48]

1947년 독립 이후, 10개의 원래 구르카 연대 중 6개가 인도 육군에 남게 되었다. 이 연대들은 다음과 같다.

연대
제1 킹 조지 5세 친위 구르카 라이플 연대(말라운 연대)
제3 퀸 알렉산드라 친위 구르카 라이플 연대
제4 웨일스 공 친위 구르카 라이플 연대
제5 로열 구르카 라이플 연대 (프론티어 부대)
제8 구르카 라이플 연대
제9 구르카 라이플 연대



11 구르카 라이플 연대가 추가로 창설되었다. 1949년에 철자가 "Gurkha"에서 "Gorkha"로 변경되었다.[19] 1950년 인도가 공화국이 되면서 모든 왕실 칭호가 삭제되었다.

싱가포르 경찰에도 2,000명의 구르카 부대가 존재하며, 요인 경호 등에 종사하고 있다. 1949년에 조직되었으며, 초대 대통령 리콴유도 "민족 간 분쟁의 폭동 진압을 위해, 민족적으로 중립적인 그들을 등용했다"라고 회고록에 기록하고 있다.[49]

아시아 지역의 영연방 국가에 주둔하는 영국군 부대에는, 독립 이전부터 현지에서 고용한 구르카 병사를 그대로 남겨둔 부대가 있다. 브루나이 주둔 영국군에는 구르카 병사로 구성된 Royal Gurkha Rifles영어이 있으며, 전 세계에 전개하는 즉응 예비 부대가 되고 있다. 그 외에도, 말레이시아군이나 미국 해군 등 아시아 지역에서 고용되고 있다. 비동맹 정책을 취하는 네팔은, 유엔의 PKO 요원으로서 받아들여지는 경우도 많다.[48] 2014년 1월 말 시점에서 인구 2,700만 명의 소국이지만 4,692명을 파견했으며, 이것은 세계에서 7번째 규모이다.[46]

3. 특징

네팔 육군, 영국 육군, 인도 육군에는 네팔에서 모집한 구르카 군 부대가 있다. 이들은 제네바 조약 제1추가의정서 47조[56]의 여러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나 프랑스 외인부대와 마찬가지로 47조 a, c, d, e, f항의 규제에서 면제되어 있다.

1814년 영국은 네팔 왕국과 전쟁을 하는 과정에서 고르카 지방을 공격했으나, 고르카 용사들은 영국 군인과 비전투원을 구분하지 않고 존중했으며 전투에서도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1816년 영국이 네팔 왕국과 평화조약을 맺으면서 고르카 용사들은 영국 동인도 회사에 구르카라는 이름으로 용병 활동을 시작했고, 이는 현대 영국군 구르카 여단으로 이어진다.[57]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의 경호를 맡았다.

3. 1. 용맹성과 전투 기술

구르카 병사는 산악 민족 특유의 작은 체격(150cm 전후)을 가진 사람이 많다. 성격은 용맹하고 민첩할 것을 요구받는다. 구르카 병사는 칼날이 안쪽으로 굽은 칼인 쿠크리를 장비한다. 쿠크리는 영국 육군 구르카 라이플 연대에서는 부대 마크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네팔에서는 식사 등에 관한 금기가 적은 것이 근대적인 병사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3. 2. 쿠크리

구르카는 앞쪽으로 굽은 네팔식 칼인 쿠크리로 유명하며 용맹한 군대로도 잘 알려져 있다. 구르카 병사는 칼날이 안쪽으로 굽은 칼인 쿠크리를 장비한다. 쿠크리는 영국 육군 구르카 라이플 연대에서 부대 마크로 사용되고 있다.

3. 3. 신체적 특징

구르카 병사는 산악 민족 특유의 작은 체격(150cm 전후)을 가진 사람이 많다. 성격은 용맹하고 민첩할 것을 요구받는다. 구르카 병사는 칼날이 안쪽으로 굽은 칼인 쿠크리를 장비하며, 쿠크리는 영국 육군 구르카 라이플 연대에서 부대 마크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네팔에서는 식사 등에 관한 금기가 적은 것이 근대적인 병사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4. 한국과의 관계

2018년 북미정상회담 당시 싱가포르 경찰의 구르카 분견대가 경호를 맡으면서 국내에 구르카 용병에 대한 관심이 커졌고, 언론에서 관련 기사들을 보도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한국전쟁에 구르카 부대가 참전했다는 오보가 나오기도 했다.

4. 1. 한국전쟁 참전 오보

2018년 북미정상회담 당시 싱가포르 경찰의 구르카 분견대가 경호를 맡으면서 국내에 구르카 용병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고, 언론사에서 구르카 용병과 관련된 다양한 기사들을 보도하였다.

그런데 이때 한국전쟁에 참전한 영국군 부대들 중 구르카 부대가 존재했었고 이 구르카 부대가 엄청난 전과를 올렸다는 오보가 많이 나왔으며, 급기야 국방홍보원에서 운영하는 국방TV에서 2021년에 제작한 구르카 관련 영상 콘텐츠에도 이런 내용이 들어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완전히 잘못된 사실로 6.25 전쟁에 참전했던 영국군 부대들 중 구르카 부대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XreIvRtCIsA&t=418s|국방TV 구르카 관련 영상 콘텐츠] 역시 고정댓글로 정정 공지를 하였다.[1]

'''국방홍보원 X-벙커 제작진입니다.'''[1]

'''본 콘텐츠의 구르카 용병 활약상에 대한 내용 중 구르카 용병이 6·25 전쟁에 참전하여 공적을 세웠다는 부분은'''[1]

'''부정확한 내용으로 확인되어 바로잡습니다. 구르카 용병이 6·25 전쟁에 참전하였다는 공식적인 기록은 현재 남아있지 않습니다.'''[1]

'''항상 국방TV를 사랑해 주시는 구독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향후 콘텐츠 제작에 있어'''[1]

'''정확한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할 것을 약속 드립니다.'''[1]

5. 논란과 과제

구르카 용병과 그 가족에 대한 처우 문제는 영국에서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 왔다. 특히 영국군에 비해 적은 연금과 국적 문제는 주요 쟁점이었다. 2007년과 2009년에 걸쳐 영국 정부와 의회는 구르카 용병의 처우 개선과 권리 보장을 위한 조치를 취했지만, 여전히 미흡하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현대 사회에서 구르카 용병 제도는 인권 문제와도 연결된다. 이들은 영국군에 의해 스카우트되어 용병으로 복무하며, 퇴역 후에는 네팔로 돌아가야 하지만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실은 민간 군사 회사를 통해 다시 분쟁 지역으로 파견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5. 1. 처우 문제

구르카 용병과 그 가족에 대한 처우는 영국군에 비해 적은 연금을 받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영국에서 논란이 되었다.[37] 국적 문제도 논란이 되어, 일부 전직 네팔 출신 군인 가족이 영국 거주를 거부당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2007년 3월 8일, 영국 정부는 1997년 7월 1일 이후 입대한 모든 구르카 용병이 영국군과 동일한 연금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구르카 용병은 5년 복무 후 다른 부대로 전출될 수 있으며, 여성도 최전선 부대가 아닌 부대에 한해 입대가 허용되었다. 퇴역한 구르카 용병과 그 가족에게는 영국 거주 권리가 보장되었다.

그러나 이 변화에도 불구하고, 연금을 받을 자격이 없는 많은 구르카 용병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일부 비평가들은 1997년 7월 1일 이후 입대한 사람들에게만 새로운 연금과 시민권 자격을 부여한 정부의 결정을 비난했다.[37] 옹호 단체인 구르카 정의 캠페인은 이 논쟁에 참여했다.

2008년 9월 30일, 런던 고등법원의 블레이크 판사는 1997년 이전에 군대를 떠난 구르카 용병에게 영국 정착을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한 내무장관의 정책이 불합리하게 제한적이라고 판결했다. 그는 6명의 구르카 용병이 영국 정착 권리를 주장하는 소송을 지지하며, 군사 협약을 언급하고 그들에게 영국 거주권을 부여하는 것이 "이 협약을 옹호하고 강화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38]

2009년 4월 29일, 자유민주당이 발의한 모든 구르카 용병에게 동등한 거주 권리를 제공하라는 동의안이 하원에서 통과되었다. 닉 클레그는 "정의를 오랫동안 기다려온 구르카 용병의 권리를 위한 엄청난 승리"라고 말했다.[40]

닉 클레그가 2009년 메이드스톤 방문 중, 영국 거주 권리에 대한 공동 캠페인의 성공을 기념하기 위해 구르카 참전 용사로부터 구르카 모자를 받는 모습


2009년 5월 21일, 내무장관 재키 스미스는 1997년 이전에 퇴역한 모든 구르카 참전 용사 중 4년 이상 복무한 사람들에게 영국 정착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배우 조앤나 럼리는 "이것이 우리가 항상 주고 싶어 했던 환영"이라고 말했다.[41]

구르카 복지 재단은 구르카 참전 용병들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한다.

2015년 6월 9일, 로열 첼시 병원에서 열린 구르카 200 행사에는 왕족 구성원들이 참석하여 구르카 복지 재단의 200주년을 기념하고 구르카 문화와 군 복무에 경의를 표했다.[42]

햄프셔 주 플리트에 있는 구르카 광장은 플리트 전쟁 기념관이 있는 곳으로 구르카 용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3]

2008년 영국 고등법원 판결은 1997년 이전에 제대한 구르카 용병에 대한 "명예의 빚"을 인정했다. 법원은 구르카 용병이 "역사적 불의"를 겪었으며, 복무 기간 등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은 비합리적이라고 판결했다.[44]

퇴역한 구르카 병은 고용 계약에 따라 네팔로 귀국해야 한다. 그러나 퇴역 연금은 영국군 병사에 비해 훨씬 적다.[51] 군 연금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워, 민간 군사 회사의 계약 사원으로 현역 복귀를 하는 사람도 있다.

5. 2. 용병 제도와 인권

구르카 병사들은 영국군에 스카우트되어 용병으로 복무하며, 이들의 등용문은 매우 좁다. 네팔에는 초등학생 정도의 어린 나이부터 격투기나 영어 등 기초 교육을 제공하는 전문 학교가 있을 정도이다. 구르카 병은 징병제지원병이 아닌, 영국군의 스카우트 부대가 산촌을 순회하며 모집하는 방식을 취한다.[51]

퇴역 구르카 병은 고용 계약에 따라 네팔로 귀국해야 한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대우는 열악하여, 퇴역 연금은 2000년 퇴역 구르카 병 협회의 시정 운동으로 증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군 병사에 비해 매우 적다. 군 연금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워, 사업을 시작하거나 민간 군사 회사 계약직으로 현역 복귀하여 분쟁 지역으로 가는 경우도 있다.[51]

오늘날에는 구르카 시큐리티 가즈(GSG)를 필두로 구르카 시큐리티 그룹이라는 대규모 민간 군사 회사가 생겨나 전 세계에 구르카 병을 파견하고 있으며, 이는 실질적인 용병 파견업이 되고 있다. 이러한 회사는 주로 영국군이나 로디지아군 등에 소속되었던 백인 장교들이 경영한다.

민간 군사 회사에서 구르카 병은 월급 1000USD 이상을 받을 수 있다. 1인당 연간 GDP가 1200USD인 네팔에서는 매우 높은 수입이다. 또한, 어릴 때부터 영어와 군사 교육을 받은 구르카 병은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군 규율을 준수하여 세계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6. 계급

영국령 인도 육군의 구르카 계급은 인도 육군의 다른 부대와 동일한 체계를 따랐다.[24] 영국 육군과 마찬가지로 사병, 부사관, 장교의 세 가지 계급으로 구분되었다. 구르카 연대의 구르카 장교는 영국 장교의 국왕/여왕 임명과는 다른 "총독 임명"을 받았다. 임명장을 받은 구르카는 계급에 관계없이 모든 영국 장교의 부하였다.[25]

연합군 점령군의 일환으로 1946년 5월 일본에 도착한 후 쿠레를 행진하는 제2/5 로열 구르카 소총대

1947년까지 부왕 임명 장교(VCO) 및 1947년부터 소위 임명 장교(JCO)[26]

  • 수베다르 메이저
  • 수베다르
  • 제마 다르(현재 나이 브 수베다르)

준위

  • 연대 하빌다르 메이저/준위 1계급
  • 중대 하빌다르 메이저/준위 2계급

부사관

  • 중대 쿼터마스터 하빌다르/색상 상사
  • 하빌다르/중사
  • 나이크/병장
  • 랜스 나이크/하사

사병

'''참고'''

  • 영국 육군 장교는 국왕/여왕 임명을 받았지만, 구르카 장교는 부왕 임명을 받았다. 1947년 인도 독립 후, 영국 육군 소속 구르카 장교는 국왕/여왕 구르카 임명(KGO/QGO)을 받았다. 구르카 장교는 영국 연대 병력을 지휘할 권한이 없었다. QGO 임명은 2007년에 폐지되었다.
  • 제마 다르와 수베다르는 소대 지휘관과 중대 부지휘관으로 복무했지만 모든 영국 장교보다 하급이었으며, 수베다르 메이저는 지휘관의 부하 및 복지에 대한 조언자였다. 구르카는 명예 소위 또는 대위가 퇴역하는 구르카에게 (아주 드물게) 수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더 이상 진급할 수 없었다.[25]
  • 1947년 이후 인도 육군의 동등 계급은 소위 임명 장교(JCO)로 알려졌다. 이들은 영국령 인도 육군에서 사용되던 전통적인 계급 명칭인 제마 다르(후에 나이 브 수베다르), 수베다르 및 수베다르 메이저를 유지했다.
  • 구르카는 계급을 거쳐 진급하여 연대가 임명을 제안하기 전에 능력을 증명해야 했다.[25]
  • 1920년대부터 구르카는 국왕 인도 임명, 그리고 완전한 국왕/여왕 임명을 받을 수 있었으며, 이는 그들을 영국 장교와 동등하게 만들었다. 이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드물었다.
  • 샌드 허스트 육군사관학교에서 임명된 구르카 장교와 단기 복무 장교는 정기적으로 소령 계급까지 임명된다. 최소 두 명의 구르카가 중령으로 진급했으며, 이론적으로 더 이상의 진급 제한은 없다.[25]
  • 1948년 이후, 구르카 여단(영국 육군의 일부)은 표준 영국 육군 계급 구조와 명칭을 채택했다. 단, 준위 1계급과 소위 사이의 세 계급(제마 다르, 수베다르 및 수베다르 메이저)은 제외되었으며, 다른 계급 명칭 소위(여왕 구르카 장교), 대위(QGO) 및 소령(QGO)으로 유지되었다. QGO 임명은 2007년에 폐지되었으며, 현재 구르카 군인은 만기 진입 장교로 임명된다.[25]


영국령 인도 육군 시대와 현재 영국 육군의 계급 비교는 다음과 같다.

영국령 인도 육군영국 육군한국군 대응 계급
수베다르 메이저(Subedar Major)메이저(Major)소령
수베다르(Subedar)캡틴(Captain)대위
제마다르(Jemadar)루테넌트/레프테넌트(Lieutenant)중위
컴퍼니 하빌다르 메이저(Company Havildar Major)컴퍼니 서전트 메이저(Company Sergeant Major)2등 준위(중대 선임 상사)
컴퍼니 쿼터마스터 하빌다르(Company Quartermaster Havildar)컴퍼니 쿼터마스터 서전트(Company Quartermaster Sergeant)중대 보급 상사
하빌다르(Havildar)서전트(Sergeant)상사
나이크(Naik)코포럴(Corporal)하사
랜스 나이크(Lance Naik)런스 코포럴(Lance Corporal)병장(하사 진급 예정자)
라이플맨(Rifleman)라이플맨(Rifleman)이등병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Ethnic and National Groups Around the World A-Z [4 Volumes] ABC-CLIO 2002-05-30
[2] 웹사이트 Who are Gurkhas? https://www.gwt.org.[...] 2022-01-27
[3] 웹사이트 Thapa to take charge of Nepali Army as acting CoAS https://thehimalayan[...] 2022-03-17
[4] 뉴스 Number of Gurkha https://assets.publi[...] 2022-03-17
[5] 웹사이트 » About the Gurkhas https://www.gwt.org.[...] 2022-01-29
[6] 웹사이트 Who Are Gurkhas? https://www.gwt.org.[...] 2011-06-23
[7] 뉴스 Who are the Gurkhas? https://www.bbc.com/[...] 2021-01-27
[8] 문서 Land of the Gurkhas; or, the Himalayan Kingdom of Nepal London 1937
[9] 서적 Nepal: Strategy for Survival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1
[10] 웹사이트 Who are the Gorkha? http://asianhistory.[...]
[11] 간행물 International Law and the Control of Mercenaries and Private Military Companies http://journals.open[...] 2021-01-27
[12] 웹사이트 Expeditionary Forces for Post Modern Europe: Will European Military Weakness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New Condottieri? http://da.mod.uk/def[...] 2005-01
[13] 웹사이트 Nepal Origins of the Legendary Gurkha – Flags, Maps, Economy, History, Climate, Natural Resources, Current Issues, International Agreements, Population, Social Statistics, Political System http://www.photius.c[...] Photius.com 2014-01-03
[1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rigade of Gurkhas http://www.army.mod.[...]
[15] 서적 Martial races: the military, race and masculinity in British imperial culture, 1857–1914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6] 서적 Discovering London Statues and Monuments Osprey Publishing
[17] 문서 Sengupta 2007.
[18] 문서 For more detail see
[19] 문서 Cross & Gurung 2002, p. 31.
[20] 문서 Cross & Gurung 2002, p. 32.
[21] 문서 Osprey Military Elite Series #49 The Gurkhas by Mike Chappell 1993
[22] 웹사이트 Participants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in the Second World War http://www.mgtrust.o[...] 2007-02-27
[23] 문서 See
[24] 문서 Cross & Gurung 2002, p. 33.
[25] 문서 Cross & Gurung 2002, p. 34.
[26] 문서 Source: Cross & Gurung 2002, pp. 33–34
[27] 웹사이트 115 Infantry Brigade Subordanates http://www.ordersofb[...] Order of Battle 2009-10-19
[28] 뉴스 The Gurkhas - Britain's oldest allies http://news.bbc.co.u[...] 2006-12-30
[29] 뉴스 August 2021 Soldier Magazine https://edition.page[...] British Army
[30] 뉴스 Bravery medal for Gurkha who fought Taliban https://www.bbc.co.u[...] 2018-06-20
[31] 간행물 Back to the Afghan Future: The return of the Gurkhas http://www.weeklysta[...] 2012-11-01
[32] 뉴스 British Gurkhas shot dead in Afghanistan attack named https://www.telegrap[...] 2012-10-31
[33] 웹사이트 Special Frontier Force: Invaluable yet Inconspicuous https://www.thedefen[...] 2021-09-24
[34] 웹사이트 Brigade of Gurkhas; Honours and Awards: Victoria Cross http://army.mod.uk/g[...] Ministry of Defence 2021-01-27
[35] 웹사이트 Param Vir Chakra http://www.prideofin[...] 2009-05-29
[36] 웹사이트 Decorations, Gallantry and Distinguished Conduct medals: George Cross https://www.gov.uk/g[...] 2021-01-27
[37] 웹사이트 Gurkha Justice Campaign http://gurkhajustice[...] Gurkha Justice Campaign 2011-01-31
[38] 웹사이트 Paragraph 72, Limbu & Ors, R (on the application of) v Secretary of State for the Home Department & Ors http://www.bailii.or[...] 2008-09-30
[39] 뉴스 Gurkhas win right to stay in UK http://news.bbc.co.u[...] 2011-09-02
[40] 뉴스 Brown defeated over Gurkha rules http://news.bbc.co.u[...] 2011-01-31
[41] 뉴스 Gurkhas win right to settle in UK http://news.bbc.co.u[...] 2011-01-31
[42] 웹사이트 Gurkha 200 http://www.gurkha200[...] 2015-06-09
[43] 웹사이트 The Brigade of Gurkhas http://www.fleethant[...] 2019-07-16
[44] 뉴스 Gurkhas win right to stay in UK http://news.bbc.co.u[...] 2008-09-30
[45] 문서 エリア・スタディーズ(2000):45
[46] 웹사이트 私は「グルカ」──ネパールの「安全保障」の要石たち https://www.gqjapan.[...] GQJAPAN 2014-12-24
[47] 문서 エリア・スタディーズ(2000):46
[48] 문서 エリア・スタディーズ(2000):47
[49] 웹사이트 シンガポールの治安を守る勇猛果敢な「グルカ兵」の由縁は…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2-01
[50] 문서 ETV特集 20世紀最強の軍隊 グルカ
[51] 문서 例として、1941年から17年間勤務し、第二次世界大戦で重傷を負ったグルカ兵の退役年金は傷痍年金分も含めて45スターリング・ポンドポンド(是正前)であったのに対し、同条件のイギリス兵の場合は年金だけで1,489ポンドであった。また、1999年のコソボ紛争で戦死したグルカ兵の戦死一時金は19,092ポンド、年金939ポンド(いずれも是正前)であるのに対し、同条件のイギリス兵であればそれぞれ54,548ポンド、15,192ポンドである。エリア・スタディーズ(2000):46
[52] URL http://www.bbc.com/news/uk-10782099 http://www.bbc.com/n[...]
[53] 문서 Land of the Gurkhas; or, the Himalayan Kingdom of Nepal, p. 44, by W.B. Northy (London, 1937)
[54] 웹사이트 Who are the Gorkha? http://asianhistory.[...]
[55] 간행물 Forgetting and remembering Britain's Gurkha War https://www.tandfonl[...] Royal Society for Asian Affairs 2009-11-10
[56] 웹인용 International Law and the Control of Mercenaries and Private Military Companies http://conflits.revu[...] Conflits.revues.org
[57] 웹인용 International Law and the Control of Mercenaries and Private Military Companies http://conflits.revu[...] Conflits.revues.org
[57] 웹인용 Gurkha History https://www.army.mod[...] Army.uk 2021-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