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세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세프는 현재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1580년 프로이센 공국의 문서에 처음 언급되었다. 개신교 교구가 설립되고 도시 특권을 부여받는 등 프로이센 왕국 시대를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중 굼비넨 전투가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편입되었으며, 1946년 붉은 군대 대위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구세프의 이름을 따서 구세프로 개명되었다. 현재는 칼리닌그라드주 내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며, 경제 특구의 일부로 산업 발전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리닌그라드주의 도시 - 발티스크
    발티스크는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의 도시로, 프로이센의 마을에서 시작하여 러시아 해군 발트 함대가 주둔하는 주요 해군 기지로 발전했다.
  • 칼리닌그라드주의 도시 - 소베츠크 (칼리닌그라드주)
    소베츠크는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1288년 튜턴 기사단에 의해 건설된 샬라우너 하우스 성에서 시작되어 틸지트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틸지트 조약이 체결된 역사적 장소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병합되어 소베츠크로 개명되었으며, 현재는 치즈 생산 전통을 바탕으로 산업 발전을 추구한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부에 위치하며 동해에 면하고 중국, 북한과 국경을 접하며, 주도는 블라디보스토크이고, 온대 습윤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상을 보이며, 수산업, 기계 제작, 광업 등이 발달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 교류한다.
구세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현지 이름러시아어: Гу́сев
독일어: Gumbinnen
리투아니아어: Gumbinė
폴란드어: Głąbin/Gąbin
오래된 건물
오래된 건물
행정 구역
국가러시아
연방 주체칼리닌그라드주
행정 구역구셉스키 군
도시 지구구셉스키 도시 지구
읍/면/리구세프 (군 중요 도시)
중심지구셉스키 군
역사 및 지리
최초 언급1580년
도시 지위 획득1724년
면적정보 없음 (문서에 면적 정보가 없습니다.)
해발 고도정보 없음 (문서에 해발 고도 정보가 없습니다.)
인구 통계
2010년 인구 조사28,260명
2021년 인구 조사28,177명
2002년 인구 조사28,467명
1989년 인구 조사27,031명
인구 지표정보 없음 (문서에 인구 지표 정보가 없습니다.)
정치 및 행정
대표정보 없음 (문서에 대표 정보가 없습니다.)
대표 기관정보 없음 (문서에 대표 기관 정보가 없습니다.)
기타 정보
시간대정보 없음 (문서에 시간대 정보가 없습니다.)
우편 번호정보 없음 (문서에 우편 번호 정보가 없습니다.)
지역 번호정보 없음 (문서에 지역 번호 정보가 없습니다.)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구세프의 역사는 16세기 프로이센 공국 시절부터 시작되어, 20세기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거치며 현재의 러시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구 시청 (1844년)


13세기에 독일 기사단이 정복했으며, 1525년 프로이센 공령 성립 당시에는 Kulligkehmen, 1576년 지도에서는 Bisserkeim(비스케임)이라고 불렸다. 1580년 기록에서 군빈넨이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하는데, 이는 리투아니아어의 "gumbine"(혹이 많은 가지)에서 유래했다.

1724년5월 24일 시가 된 군빈넨은 1656년 타타르족의 습격과 1709년부터 이어진 페스트로 인해 인구 감소에 시달렸으며, 18세기 초에는 스위스오스트리아에서 프로테스탄트 집단을 유치하여 이주를 진행했다. 7년 전쟁에서는 1758년부터 1762년까지 러시아 제국군에 점령되었다. 1807년에는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1812년에는 러시아 원정 도중 나폴레옹 1세가 체류했다.

1860년 철도 개통 후 산업이 발전하여 야금 및 기계 등의 공장이 세워졌다. 1890년 시점의 인구는 12,207명이었으며, 그 중 가톨릭 신자는 269명, 유대교도는 95명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1914년8월 18일부터 19일에 걸쳐 러시아군과 독일군이 충돌하는 굼비넨 전투가 일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독소 전쟁 말기 1944년10월 21일부터 붉은 군대독일 국방군 사이에 전차전이 일어났지만, 독일 측은 1945년 1월까지 버텼다.

구세프 중심지, 옛 군빈넨 현 청사

2. 1. 프로이센 시대

폴란드 왕국의 봉신 공국이자 프로이센 공국의 영토였던 구세프는 1580년 문헌에 처음 등장한다. 1545년경 호엔촐레른가의 요청으로 프로이센 공작 알브레히트가 구세프에 개신교 교구를 설립했고, 1582년에는 첫 번째 교회가 세워졌다. 1618년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일부가 되었지만, 폴란드의 봉토로 남았다.

18세기부터 프로이센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1709년부터 1711년까지 대북방 전쟁의 역병 발생으로 황폐화되었으나, "군인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통치 아래 재개발되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1724년 구세프에 도시 특권을 부여했고, 1732년부터 잘츠부르크 대주교령에서 추방된 잘츠부르크 개신교도 난민들을 이곳에 재정착시켰다. 이들은 레오폴트 안톤 폰 피르미안 백작에 의해 추방되었다.[3] 잘츠부르크 개신교도의 첫 지교회는 1752년에 건립되었으며,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의 설계로 1840년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이 교회는 1995년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및 중앙 아시아의 복음주의 루터교회에 의해 복원되었다.

잘츠부르크 루터교회

2. 2. 독일 제국 시대

1815년부터 구세프는 구세프 행정구의 수도이자 동프로이센 주의 행정구였다. 1860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스탈루포넨(현재 네스테로프)까지 프로이센 국영 철도 노선이 건설되어 구세프를 통과하면서 이 지역의 경제적 중요성이 커졌다. 19세기 말 구세프에는 주조 공장, 기계 공장, 가구 공장, 의류 공장, 두 개의 제재소, 여러 개의 벽돌 공장, 낙농업 시설이 들어섰다.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구세프는 굼비넨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동부 전선의 주요 전투였던 이 전투는 1914년 8월 전쟁 초기에 인근에서 벌어졌고, 그 후 몇 달 동안 러시아 제국군에 점령되었다.[3]

전쟁 후 구세프에는 발전소인 Ostpreußenwerk가 건설되어 동프로이센의 많은 지역에 전력을 공급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소련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구세프는 쾨니히스베르크 군사 지역의 군사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1944년 10월 16일, 소련군의 공습으로 도시 내부에 큰 피해를 입었다. 1944년 10월 22일, 도시는 소련군에 점령되었으나, 독일군은 이틀 후에 도시를 되찾았다. 독일군은 구세프를 되찾고 10월 말에 도시 동쪽의 전투선을 안정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1945년 1월 21일 소련의 동프로이센 공세 동안 붉은 군대에 의해 빠르게 재점령되었다. 동프로이센의 대피 동안, 생존한 독일 주민들은 도망치거나 추방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1945년 포츠담 회담의 결과에 따라 구 동프로이센 주의 북부 지역은 구세프를 포함하여 소련의 영토가 되었다. 이 도시는 1945년 1월 구세프 근처에서 전투 중 사망했고, 사후에 소련 영웅 칭호를 받은 붉은 군대 대위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구세프의 이름을 따서 1946년에 구세프로 개명되었다.

2. 5. 러시아 시대

1946년 9월 7일 구세프로 개명되었다. 구세프는 1945년 1월 군빈넨(현 구세프)을 둘러싼 전투에서 전사하고, 사후 소련 영웅 칭호를 받은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구세프 대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0년대에는 시내에 러시아 해군 발트함대 연안부대 제11군단이 주둔하고 있었으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되자 해당 군단은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주 발라클리야로 진출했다. 같은 해 9월 우크라이나군의 공세에 직면하여 패배했으며, 부대는 괴멸되었다.

3. 행정 구역 및 지방 자치

행정 구역상 구세프는 구세프스키 군의 행정 중심지이다.[4] 행정 구역으로서 구세프는 구세프스키 군에 '군 중요 도시 구세프'로 통합되어 있다.[5]

지방 자치 체제에서는 2013년 6월 10일부터 군 중요 도시 구세프의 영토와 구세프스키 군의 4개 농촌 구가 구세프스키 도시 구로 통합되었다.[6] 이전에는 군 중요 도시가 구세프스키 지방 자치구에 '구세프스코예 도시 정착지'로 통합되어 있었다.[6]

4. 경제

1990년대 칼리닌그라드주에 얀타르 경제 특구가 설립되었다. 이 구역의 일부 프로젝트는 구세프에 위치해 있으며, NPO CTS 등이 있다.

4. 1. 교통

구세프는 리투아니아벨라루스를 거쳐 러시아 본토와 연결되는 복선 광궤 철도 노선에 위치해 있다.[1] 베를린, 그단스크, 칼리닌그라드, 빌뉴스, 민스크를 잇는 유럽 고속도로 28호선이 통과한다.[1] 주도 칼리닌그라드에서 동쪽으로 124km 떨어져 있으며, 리투아니아 국경까지는 37km, 폴란드 국경까지는 38km 떨어져 있다.[1]

5. 자매 도시

구세프는 과거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었다.



2022년 3월, 폴란드의 파비아니체와 골다프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대응으로 구세프와의 자매 결연 관계를 종료했다.[8][9]

6. 주요 인물

이름출생-사망직업비고
크리스티요나스 도넬라이티스1714년-1780년루터교 목사, 시인프로이센 리투아니아
크리스티안 다니엘 라우흐1777년-1857년조각가독일
오토 폰 코르빈1812년-1886년작가독일
구스타프 알베르트 페터1853년-1937년식물학자독일
리하르트 프리제1854년-1918년화가독일, 동물 및 풍경
콘라트 그랄레르트 폰 체브로프1865년-1942년군인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 사단장
고트하르트 하인리치1886년-1971년군인독일 장군
브루노 빌러1888년-1966년군인독일 장군
막스 리트케1894년-1955년군인, 열방의 의인독일군 장교
베르너 단크보르트1895년-1986년외교관독일
빈프리트 마흐라운1907년-1973년다이빙 선수독일, 1936년 하계 올림픽 참가
빌헬름 쇠닝1908년-1987년군인독일, 제66 기갑척탄병 연대 사령관
카린 크레브스1943년 출생육상 선수독일
올레크 가즈마노프1951년 출생가수, 작곡가, 시인러시아
니콜라이 추카노프1965년 출생정치인, 심리학자, 사업가, 전기 용접공러시아, 전 칼리닌그라드주 주지사
블라디미르 브도비첸코프1971년 출생배우러시아


참조

[1] 간행물 2010Census
[2] 서적 Ortsnamenverzeichnis der Ortschaften jenseits von Oder u. Neiße G. Rautenberg
[3] 서적 Salzburger, Ostpreußen - Integration und Identitätswahrung https://books.google[...] BWV Verlag 2017-08
[4] 법률 Law #463
[5] 법률 Resolution #640
[6] 법률 Law #230
[7] 웹사이트 Tarptautinis Bendradarbiavimas http://www.kazluruda[...] 2014-05-04
[8] 웹사이트 Pabianice zerwały współpracę z rosyjskim miastem Gusiew https://www.portalsa[...] 2022-03-13
[9] 웹사이트 Warmińsko-mazurskie: Gołdap zerwała współpracę z partnerami z Rosji https://www.wnp.pl/p[...] 2022-03-13
[10]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06
[11] 웹사이트 特別リポート:地下司令部の文書でたどる、ロシア軍敗走までの日々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2-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