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물리 올림피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IPhO)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적인 물리 경시대회이다. 1967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이론 및 실험 시험을 통해 물리적 지식을 평가한다. IPhO는 매년 개최되며, 각국에서 최대 5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대표단을 파견한다. 참가자들에게는 금, 은, 동메달과 장려상이 수여되며, 한국은 1992년 처음 참가하여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아시아 물리 올림피아드(APhO)도 IPhO와 유사한 형태로 진행되며, 한국은 2021년부터 참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학 행사 - 세계 물리의 해
세계 물리의 해는 물리학의 중요성과 현대 기술의 기반임을 알리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05년에 국제 순수 및 응용 물리학 연합과 유네스코의 지지를 받아 유엔에서 지정한 해이다. - 물리학 행사 -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KYPT)는 청소년들의 물리 분야 흥미를 높이고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해 2001년 시작된 물리 경연 대회로, 고등학생들이 참가하여 문제 해결, 발표, 토론 능력을 겨루고 우수 팀은 IYPT에 한국 대표로 참가한다. -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IOI)는 중등 교육 과정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을 겨루는 대회이며, 각국 대표들이 참가하여 5시간 동안 세 문제를 풀고, 채점 결과에 따라 메달을 수여한다. -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 국제 화학 올림피아드
국제 화학 올림피아드는 20세 미만 고등학생들이 화학 실력을 겨루는 국제 대회로, 이론 및 실험 시험을 통해 개인의 화학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며 매년 세계 각국을 순회하며 개최된다. - 과학경시대회 -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IOI)는 중등 교육 과정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을 겨루는 대회이며, 각국 대표들이 참가하여 5시간 동안 세 문제를 풀고, 채점 결과에 따라 메달을 수여한다. - 과학경시대회 - 국제 화학 올림피아드
국제 화학 올림피아드는 20세 미만 고등학생들이 화학 실력을 겨루는 국제 대회로, 이론 및 실험 시험을 통해 개인의 화학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며 매년 세계 각국을 순회하며 개최된다.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 | |
---|---|
개요 | |
![]() | |
종류 | 물리학 |
참가 대상 | 중등학교 학생 (20세 미만) |
웹사이트 |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 공식 웹사이트 |
상세 정보 | |
첫 개최 | 1967년 (바르샤바, 폴란드) |
최근 개최 | 2023년 (도쿄, 일본) |
다음 개최 | 2024년 (이스파한, 이란) |
참가국 수 | 90개국 이상 |
시험 구성 | 이론 시험 및 실험 시험 |
목적 | |
목적 | 물리에 대한 관심 고취 물리에 재능 있는 학생 발굴 및 육성 국가 간의 우호 증진 물리 교육의 발전 |
시험 | |
시험 시간 | 각 시험당 5시간 |
시험 내용 | 고등학교 수준의 물리 (역학, 전자기학, 열역학, 광학, 현대 물리 등) |
평가 방법 | 상대 평가 (메달 수여 기준은 참가 학생들의 성적 분포에 따라 결정) |
참가 | |
참가 자격 | 20세 미만의 중등학교 학생 (대학생은 참가 불가) |
대표 선발 | 각국에서 자체적으로 선발 (국내 물리 올림피아드 등을 통해 선발) |
메달 | |
메달 종류 |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장려상 |
메달 수여 기준 | 참가 학생들의 성적 분포에 따라 결정 (절대 평가가 아닌 상대 평가) |
2. 역사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의 성공에 영감을 받아 동구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IPhO) 창설이 추진되었다.[3] 1967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체스와프 시스워프스키의 주도로 제1회 IPhO가 개최되었다.[3] 초기에는 불가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등 동구권 국가들만 참가하였으나, 점차 서방 국가, 아시아, 아메리카 국가들로 확대되었고, 2000년대에는 아프리카 국가들도 참여하기 시작했다.[7]
1973년에는 개최 희망 국가가 없어 대회가 열리지 않았고, 1978년과 1980년에는 서방 국가들의 준비 부족으로 대회가 개최되지 않기도 했다.[13] 그러나 1982년 서독에서 첫 서방 국가 주최 대회가 열린 이후,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중단을 제외하고는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다.[5]
IPhO의 공식적인 구조는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열린 회의에서 확립되었으며,[4] 1984년에는 상설 사무국과 회장직이 설립되었다.[11] 현재 80개국 이상이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로 성장했다.[9]
2. 1. 창설 배경 및 초기 (1967년 ~ 1970년대)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IPhO)는 1959년에 설립된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영감을 받아 동구권 국가에서 창설 논의가 시작되었다.[3] 1967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체스와프 시스워프스키 교수의 주도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다.[3] 이 대회에는 불가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5개국이 참가했으며, 각 국가는 학생 3명과 지도자 1명으로 구성된 대표단을 보냈다.[3] 첫 대회부터 이론 시험과 실험 시험 두 가지로 구성되었고, 채점 기간 동안 학생들은 관광을 했다.제2회 대회는 헝가리에서 개최되었으며, 독일 민주 공화국, 소련, 유고슬라비아가 추가로 참가했다.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소련, 불가리아, 루마니아에서 차례로 대회가 열렸다. 1972년 제6회 대회에서는 프랑스가 첫 서방 국가로, 쿠바가 첫 유럽 외 국가로 참가했다.[4]
1973년에는 개최 희망 국가가 없어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폴란드가 1974년에 다시 대회를 개최했지만, 독일 연방 공화국, 스웨덴, 핀란드 등 서방 국가들이 추가로 참여하면서 동구권 국가들은 1977년까지 격년으로만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1978년과 1980년에는 서방 국가들의 준비 부족으로 대회가 개최되지 않았다.[13]
2. 2. 발전 및 확장 (1980년대 ~ 현재)
1982년 서독 (말렌테)에서 첫 서방 국가 주최 대회가 개최된 이후,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IPhO)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개최 중단을 제외하고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다.[5] 1984년에는 상설 사무국과 회장직이 설립되었으며, 유네스코와 협력 관계를 맺었다.[11]참가국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1990년대 32개국에서 2000년대 63개국으로, 현재는 80개국 이상으로 확대되었다.[7] 2000년대 이후 아프리카 국가들도 참여하기 시작했다.[7] 각 대회는 약 700명의 참석자와 수백만 유로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행사로 성장했다.[9]
번호 | 연도 | 개최국 | 개최 도시 | 최고 득점자 | 점수 | 메달 컷오프 (금/은/동/장려) |
---|---|---|---|---|---|---|
13 | 1982 | 서독 | 말렌테 | Manfred Lehn (서독) | 43/50 | |
14 | 1983 |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 | Ivan Ivanov (불가리아) | 43.75/50 | |
15 | 1984 | 스웨덴 | 시그투나 | 얀 더 보어 (네덜란드) Sorin Spânoche (루마니아) | 43/50 | |
16 | 1985 | 유고슬라비아 | 포르토로즈 | Patrik Španĕl (체코슬로바키아) | 42.5/50 | |
17 | 1986 | 영국 | 런던-해로우 | Oleg Volkov (소련) | 37.9/50 | |
18 | 1987 | 동독 | 예나 | Catalin Malureanu (루마니아) | 49/50 | |
19 | 1988 | 오스트리아 | 바트이슐 | Conrad McDonnell (영국) | 39.38/50 | |
20 | 1989 | 폴란드 | 바르샤바 | 스티븐 구버 (미국) | 46.33/50 | |
21 | 1990 | 네덜란드 | 흐로닝겐 | 알렉산더 H. 바넷 (영국) | 45.7/50 | |
22 | 1991 | 쿠바 | 아바나 | Timour Tchoutenko (소련) | 48.2/50 | |
23 | 1992 | 핀란드 | 헬싱키 | 첸 한 (중국) | 44/50 | |
24 | 1993 | 미국 | 윌리엄스버그 | 장 주난 (중국) 하랄트 파이퍼 (독일) | 40.65/50 | |
25 | 1994 | 중국 | 베이징 | 양 량 (중국) | 44.3/50 | |
26 | 1995 | 호주 | 캔버라 | 유 하이타오 (중국) | 95/100 | |
27 | 1996 | 노르웨이 | 오슬로 | 류 위런 (중국) | 47.50/50 | |
28 | 1997 | 캐나다 | 서드베리 | 세예드 메흐디 안바리 (이란) | 47.25/50 | |
29 | 1998 | 아이슬란드 | 레이캬비크 | 첸 유아오 (중국) | 47.50/50 | 42 / 36 / 30 / 23 |
30 | 1999 | 이탈리아 | 파도바 | 콘스탄틴 크라프초프 (러시아) | 49.80/50 | 43 / 37 / 31 / 24 |
31 | 2000 | 영국 | 레스터[14] | 루 잉 (중국)[14] | 43.40/50[14] | 37 / 32 / 27 / 20 |
32 | 2001 | 터키 | 안탈리아 | 다니아르 노르갈리예프 (러시아) | 47.55/50 | 42 / 36 / 30 / 23 |
33 | 2002 | 인도네시아 | 발리 | 응옥 듀옹 당 (베트남) | 45.40/50 | 36 / 32 / 24 / 16 |
34 | 2003 | 타이완 | 타이페이 | 파벨 바트라첸코 (미국) | 42.30/50 | 33 / 27 / 22 / 16 |
35 | 2004 | 대한민국 | 포항 | 알렉산더 미할리체프 (벨라루스) | 47.70/50 | 39 / 34 / 25 / 18 |
36 | 2005 | 스페인 | 살라망카 | 가보르 할라스 (헝가리) 린 잉쉬안 (타이완) | 49.50/50 | 45 / 41 / 33 / 21 |
37 | 2006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조나단 프라다나 마일로아 (인도네시아) | 47.20/50 | 37 / 29 / 21 / 14 |
38 | 2007 | 이란 | 이스파한 | 최영준 (대한민국) | 48.80/50 | 44 / 38 / 33 / 22 |
39 | 2008 | 베트남 | 하노이 | 탄 롱즈 (중국) | 44.60/50 | 33 / 26 / 21 / 14 |
40 | 2009 | 멕시코 | 메리다 | 시 한두오 (중국) | 48.20/50 | 33.35 / 25.10 / 17.45 / 13.05 |
41 | 2010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 | 유 이차오 (중국) | 48.65/50 | 38.10 / 30.95 / 22.35 / 16.80 |
42 | 2011 | 태국 | 방콕 | 쉬 쯔밍 (타이완) | 48.60/50 | 41.10 / 34.50 / 24.62 / 18.00 |
43 | 2012 | 에스토니아 | 타르투 및 탈린 | 아틸라 사보 (헝가리) | 45.80/50 | 31.0 / 23.9 / 17.2 / 12.4 |
44 | 2013 | 덴마크 | 코펜하겐 | 아틸라 사보 (헝가리) | 47.00/50 | 38.6 / 29.5 / 21.5 / 16.7 |
45 | 2014 | 카자흐스탄 | 아스타나 | 샤오위 쉬 (중국) | 41.20/50 | 27.21 / 18.40 / 12.70 / 9.15 |
46 | 2015 | 인도 | 뭄바이 | 김태형 (대한민국) | 48.30/50 | 42.20 / 30.00 / 24.00 / 18.00 |
47 | 2016 | 스위스 및 리히텐슈타인 | 취리히 | 마오 첸카이 (중국)[15] | 48.10/50 | 39.80 / 30.70 / 22.70 / 17.50 |
48 | 2017 | 인도네시아 | 족자카르타 | 가오 하오양 (중국, 이론) 와타나베 아키히로 (일본, 실험) | 주최 측의 일관성 없는 채점 등의 이유로 인해 공개되지 않음.[19] | 28.01 / 21.30 / 14.70 / 11.12 |
49 | 2018 | 포르투갈 | 리스본 | 양 티안화 (중국) | 46.80/50 | 35.00 / 27.20 / 17.80 / 14.05 |
50 | 2019 | 이스라엘 | 텔아비브 | 쑨 샹카이 (중국) | 43.50/50 | |
2020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음.[13] 대신 러시아가 조직한 IPhO 2020이 IPhO가 승인한 행사로 개최됨.[20] | |||||
51 | 2021 | 리투아니아 | 빌뉴스 (온라인) | 김경민 (대한민국) | 46.25/50 | 33.37 / 23.74 / 14.50 / 9.15 |
52 | 2022 | 스위스[21] | 온라인으로 개최됨; 벨라루스가 개최국이 될 예정이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연루되어 취소됨.[22] | 쉬궈웨이 (중국) | 43.20/50 | 23.75 / 16.05 / 11.65 / 7.15 |
53 | 2023 | 일본 | 도쿄[23][24] | 유 보웬 (중국) | 45.20/50 | 35.60 / 25.20 / 17.40 / 13.40 |
54 | 2024 | 이란 | 이스파한[25] | 장 신루이 (중국) | 46.38/50 | 33.92 / 19.35 / 12.49 / 9.03 |
55 | 2025 | 프랑스 | 파리 | TBD | TBD | |
56 | 2026 | 콜롬비아 | TBD | TBD | TBD | |
57 | 2027 | 헝가리[5] | TBD | TBD | TBD | |
58 | 2028 | 대한민국 | TBD | TBD | TBD | |
59 | 2029 | 에콰도르 | TBD | TBD | TBD | |
60 | 2030 | 러시아 | TBD | TBD | TBD | |
71 | 2041 | 방글라데시 | TBD | TBD | TBD |
2. 3. 한국의 참여
한국은 1992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제23회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하였다.[13] 2004년에는 포항에서 제35회 대회를 개최하였으며, 당시 벨라루스의 알렉산더 미할리체프가 최고 득점을 기록했다. 2028년에는 한국에서 다시 한번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가 개최될 예정이다.[5]역대 한국인 최고 득점자는 다음과 같다.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IPhO)는 1967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체스와프 시스워프스키의 주최로 처음 개최된 이후, 2020년을 제외하고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다.[3][5][6] 초기에는 동구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참가국이 늘어나 현재는 80개국 이상이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가 되었다.[9]
3. 대회 운영 및 구성
참가 국가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1970년대에는 많은 유럽 국가들이, 1980년대부터는 아시아 및 아메리카 국가들이 참여하였다. 1990년에서 2000년 사이에는 참가 국가 수가 32개국에서 63개국으로 증가했으며, 2000년대부터는 아프리카 국가들도 참여하고 있다.[7]
IPhO에 가입한 모든 국가는 5년 이내에 IPhO를 주최할 의향이 있음을 다른 국가에 통보해야 하며,[8] 올림피아드 개최지는 몇 년 전에 결정된다. 각 대회는 약 700명의 참석자와 총 수백만 유로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행사이며, 비용의 일부는 팀당 약 3500EUR의 참가비로 충당된다.[9][10]
대회는 이론 시험과 실험 시험 두 가지로 구성된다. 1971년에 팀 규모는 학생 5명으로 최종 확정되었고, 1976년에는 실험 문제의 수가 1개 또는 2개, 이론 문제는 3개로 정해졌다.[11]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둔 상위 10개 국가는 다음과 같다.[12]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총계 장려상 최근 10번의 대회 금메달 (2024년까지) 중국 151 21 9 181 2 55 러시아 96 47 10 153 4 48 대한민국 88 28 24 140 7 47 중화민국 80 34 18 132 8 35 미국 78 51 29 158 11 32 루마니아 61 89 62 213 30 26 인도 51 53 14 118 7 23 싱가포르 49 47 27 123 25 24 헝가리 45 68 102 215 35 6 베트남 44 54 49 147 18 29
3. 1. 조직 구조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IPhO)의 공식적인 조직 구조는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열린 회의에서 확립되었다.[4] 이 회의에서 모든 참가국 대표단장으로 구성된 국제 위원회가 규정과 교육 과정(커리큘럼)을 승인했다.[8] 1984년에는 상설 사무국과 회장 직을 신설했다. 초대 회장은 발데마르 고르츠코프스키(2007년까지)가 맡았고, 이후 마이야 아흐티(2007~2008년), 한스 요르덴스(2008~2018년)를 거쳐 2018년부터 라지딥 싱 라왓이 회장직을 맡고 있다.[11] -- 1984년부터 IPhO는 유네스코와 협력하여 도덕적 지원과 홍보를 받고 있다. 1996년부터는 IPhO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14명의 경험 많은 사람들로 구성된 자문 위원회가 도입되었다.
3. 2. 규정 및 참가 자격
각 국가는 최대 5명의 학생과 2명의 지도자로 구성된 대표단을 파견할 수 있다.[3] 1971년에 팀 규모가 학생 5명으로 최종 확정되었다.[11]
대회는 이론 시험과 실험 시험으로 구성되며, 각 시험은 5시간 동안 진행된다.[3] 이론 시험은 3문제, 실험 시험은 1~2문제가 출제된다.[11] 문제는 유럽 제1과정 수준의 물리 범위에서 출제되며, 특수 상대성 이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험에서는 프로그램 기능이 없는 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다.
3. 3. 메달 수여
올림피아드 메달과 장려상은 다음 규칙에 따라 주최측에서 결정한다.
최고 점수를 받은 참가자(최우수상 수상자)에게는 금메달 외에 특별상이 수여된다.[8]
3. 4. 역대 개최지 및 최고 득점자
개최 차수 | 연도 | 개최국 | 도시 | 비고 |
---|---|---|---|---|
1 | 1967년 | 폴란드 | 바르샤바 | |
2 | 1968년 | 헝가리 | 부다페스트 | |
3 | 1969년 | 체코슬로바키아 | 브르노 | |
4 | 1970년 | 소련 | 모스크바 | |
5 | 1971년 | 불가리아 | 소피아 | |
6 | 1972년 |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 | |
1973년 | 미개최 | |||
7 | 1974년 | 폴란드 | 바르샤바 | |
8 | 1975년 | 동독 | 규스트로 | |
9 | 1976년 | 헝가리 | 부다페스트 | |
10 | 1977년 | 체코슬로바키아 | 흐라데츠크랄로베 | |
1978년 | 미개최 | |||
11 | 1979년 | 소련 | 모스크바 | |
1980년 | 미개최 | |||
12 | 1981년 | 불가리아 | 바르나 | |
13 | 1982년 | 서독 | 마렌테 | |
14 | 1983년 |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 | |
15 | 1984년 | 스웨덴 | 시그투나 | |
16 | 1985년 | 유고슬라비아 | 포르토로즈 | |
17 | 1986년 | 영국 | 해로우 | |
18 | 1987년 | 동독 | 예나 | |
19 | 1988년 | 오스트리아 | 바트이슐 | |
20 | 1989년 | 폴란드 | 바르샤바 | |
21 | 1990년 | 네덜란드 | 흐로닝언 | |
22 | 1991년 | 쿠바 | 아바나 | |
23 | 1992년 | 핀란드 | 헬싱키 | |
24 | 1993년 | 미국 | 윌리엄스버그 | |
25 | 1994년 | 중국 | 베이징 | |
26 | 1995년 | 오스트레일리아 | 캔버라 | |
27 | 1996년 | 노르웨이 | 오슬로 | |
28 | 1997년 | 캐나다 | 서드버리 | |
29 | 1998년 | 아이슬란드 | 레이캬비크 | |
30 | 1999년 | 이탈리아 | 파도바 | |
31 | 2000년 | 영국 | 레스터 | |
32 | 2001년 | 터키 | 안탈리아 | |
33 | 2002년 | 인도네시아 | 발리섬 | |
34 | 2003년 | 대만 | 타이베이 | |
35 | 2004년 | 대한민국 | 포항시 | |
36 | 2005년 | 스페인 | 살라망카 | |
37 | 2006년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대한민국: 금메달 0명, 은메달 1명, 동메달 3명, 장려상 1명, 25위[26] |
38 | 2007년 | 이란 | 이스파한 | 대한민국: 금메달 2명, 은메달 2명, 동메달 1명, 5위[27] |
39 | 2008년 | 베트남 | 하노이 | 대한민국: 금메달 1명, 은메달 1명, 동메달 1명, 장려상 2명, 18위[28] |
40 | 2009년 | 멕시코 | 메리다 | 대한민국: 금메달 2명, 은메달 1명, 동메달 2명, 10위[29] |
41 | 2010년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 | 대한민국: 금메달 0명, 은메달 1명, 동메달 3명, 장려상 1명, 33위[30] |
42 | 2011년 | 태국 | 방콕 | 대한민국: 금메달 3명, 은메달 2명, 7위[31] |
43 | 2012년 | 에스토니아 | 타르투 및 탈린 | 대한민국: 금메달 2명, 은메달 3명, 8위[32] |
44 | 2013년 | 덴마크 | 코펜하겐 | 대한민국: 금메달 0명, 은메달 2명, 동메달 3명, 24위[33] |
45 | 2014년 | 카자흐스탄 | 아스타나 | 대한민국: 금메달 0명, 은메달 4명, 동메달 1명, 19위[34] |
46 | 2015년 | 인도 | 뭄바이 | 대한민국: 금메달 1명, 은메달 2명, 동메달 2명, 12위[35] |
47 | 2016년 | 스위스 / 리히텐슈타인 | 취리히 | 대한민국: 금메달 3명, 은메달 1명, 동메달 1명, 6위[36] |
48 | 2017년 | 인도네시아 | 족자카르타 | 대한민국: 금메달 2명, 은메달 3명, 1명 세계 1위, 11위[37] |
49 | 2018년 | 포르투갈 | 리스본 | 대한민국: 금메달 1명, 은메달 4명, 11위[38] |
50 | 2019년 | 이스라엘 | 텔아비브 | 대한민국: 금메달 1명, 은메달 4명, 10위[39] |
51 | 2020년 | 개최 중지 | ||
52 | 2021년 | 리투아니아 | 빌뉴스 | 대한민국: 금메달 1명, 은메달 3명, 동메달 1명, 11위[40] |
53 | 2022년 | 스위스 | 벨라루스가 개최 자격을 박탈당하여 대체 국가에 의한 온라인 개최 | 대한민국: 금메달 0명, 은메달 3명, 동메달 2명, 20위 |
54 | 2023년 | 일본 | 도쿄 | 대한민국: 금메달 2명, 은메달 3명, 8위 |
55 | 2024년 | 이란 | 이스파한 | 대한민국 불참[41] |
56 | 2025년 | 프랑스 | ||
57 | 2026년 | 콜롬비아 | ||
58 | 2027년 | 헝가리 | ||
59 | 2028년 | 대한민국 | ||
60 | 2029년 | 에콰도르 |
3. 5. 국가별 메달 순위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계 | 장려상 | 최근 10번의 대회 금메달 (2024년까지) |
---|---|---|---|---|---|---|
중국 | 151 | 21 | 9 | 181 | 2 | 55 |
러시아 | 96 | 47 | 10 | 153 | 4 | 48 |
대한민국 | 88 | 28 | 24 | 140 | 7 | 47 |
대만 | 80 | 34 | 18 | 132 | 8 | 35 |
미국 | 78 | 51 | 29 | 158 | 11 | 32 |
루마니아 | 61 | 89 | 62 | 213 | 30 | 26 |
인도 | 51 | 53 | 14 | 118 | 7 | 23 |
싱가포르 | 49 | 47 | 27 | 123 | 25 | 24 |
헝가리 | 45 | 68 | 102 | 215 | 35 | 6 |
베트남 | 44 | 54 | 49 | 147 | 18 | 29 |
4. 아시아 물리 올림피아드 (APhO)
아시아 물리 올림피아드(APhO)는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개최되는 물리 경시대회이다(유럽에서도 참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APhO는 국제 물리 올림피아드와 유사한 형태로 진행된다(5시간의 이론 시험 1회, 실험 시험 1회 또는 2회). 각국 대표 선수는 최대 8명이며, 한국은 2021년부터 참가하고 있다.
다음은 소스에 주어진 한국 대표팀 주요 참가자 명단이다.
연도 | 이름 | 학교 | 메달 |
---|---|---|---|
2021년 | 쿠스모토 야스오 | 구루메 대학 부속 중학교·고등학교 | 금메달 |
2023년 | 이와시타 유키오 | 삿포로 시립 카이세이 중등 교육 학교 | 금메달 |
- 한국이 아닌 일본 선수 목록이므로, 한국 선수 정보가 추가될 경우, 표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IPhO - The International Physics Olympiad, Singapore
https://www.ipho-new[...]
2022-07-03
[2]
웹사이트
iPhO - Statutes of the International Physics Olympiads and Syllabus
https://www.ipho-new[...]
2022-07-03
[3]
웹사이트
IPhO history By Waldemar Gorzkowski
http://www.ipho.org/[...]
[4]
웹사이트
IPhO Documentations, History of IPhO
https://www.ipho-new[...]
[5]
웹사이트
IPhO - Documentations
https://www.ipho-new[...]
2021-10-15
[6]
웹사이트
International Physics Olympiad (IPhO) 2021
https://www.ipho2021[...]
2021-10-15
[7]
Youtube
Participation statistics in the International Physics Olympiads, prepared by the IPhO Secretariat
https://www.ipho-new[...]
[8]
웹사이트
Statutes of the International Physics Olympiads
https://www.ipho-new[...]
[9]
웹사이트
Final report of the 47th International Physics Olympiad in Switzerland and Liechtenstein 2016
http://www.ipho2016.[...]
2019-07-31
[10]
Youtube
Minutes of the Meetings of the International Board during the IPhO 2013
https://www.ipho-new[...]
[11]
웹사이트
Secretariat, Advisory Committee & International Board
https://www.ipho-new[...]
[12]
웹사이트
List of Countries
https://ipho-unoffic[...]
2023-07-29
[13]
웹사이트
www.ipho-new.org official
https://www.ipho-new[...]
[14]
웹사이트
IPhO 2000 Results – Gold Medal Holders
http://www.star.le.a[...]
University of Leicester
2015-03-12
[15]
웹사이트
Official final ranking
https://science.olym[...]
[16]
웹사이트
Minutes of the Meetings of the International Board during the IPhO 2017
https://www.ipho-new[...]
[17]
웹사이트
Indonesian students win gold, silver medals in International Physics Olympiad
http://www.thejakart[...]
[18]
웹사이트
Indonesia Wins Two Gold, Three Silver Medals at International Physics Olympiad
http://www.gessindon[...]
[19]
웹사이트
Minute of the International Board 2017
https://www.ipho-new[...]
2022-11-30
[20]
웹사이트
Home
http://i20.mipt.ru/
[21]
웹사이트
IPhO 2022 Website
https://ipho2022.com[...]
2022-07-27
[22]
웹사이트
IPhO Belarus
https://ipho2022.by/
[23]
웹사이트
(IPhO準備会議終了.国際物理オリンピックは2022年に東京で開催.出題委員長を拝命)
https://twitter.com/[...]
2015-12-25
[24]
웹사이트
IPhO 2023 homepage
https://ipho2023.jp/
[25]
웹사이트
IPhO 2024
https://www.ipho2024[...]
2024-05-10
[26]
웹사이트
'2006'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27]
웹사이트
'2007'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28]
웹사이트
'2008'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29]
웹사이트
'2009'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30]
웹사이트
'2010'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31]
웹사이트
'2011'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32]
웹사이트
'2012'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33]
웹사이트
'2013'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34]
웹사이트
'2014'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35]
웹사이트
'2015'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36]
웹사이트
2016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37]
웹사이트
2017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38]
웹사이트
2018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39]
웹사이트
2019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0-11-11
[40]
웹사이트
IPHO 2021
https://ipho-unoffic[...]
ipho-unofficial.org
2021-07-25
[41]
웹사이트
There are 46 participating countries and regions in this event.
https://www.ipho2024[...]
2024-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