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녕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녕군은 조선 태종의 아들로, 본명은 농(禯)이다. 세종을 도운 공으로 익사공신에 녹훈되었으며, 단종이 세조에게 선위할 때 세조에 대한 저항으로 관악산 연주대에서 단식하며 통곡했다. 1461년에 사망했으며, 시호는 희의(僖懿)이다. 슬하에 3남 6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1년 출생 - 박원형
- 1411년 출생 - 제3대 요크 공작 요크의 리처드
에드워드 3세의 후손인 제3대 요크 공작 요크의 리처드는 헨리 6세와 대립하며 장미 전쟁의 주요 인물이 되었고,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며 권력을 장악하려 했으나 웨이크필드 전투에서 전사했다. - 1461년 사망 - 샤를 7세
샤를 7세는 백년 전쟁 시기에 프랑스를 통치했으며, 잔 다르크의 도움으로 잉글랜드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프랑스를 재건했으나 아들과의 갈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461년 사망 - 변효문
변효문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농업 기술 및 법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일본과의 계해약조 체결 등 외교적 역할도 수행했으나, 만년에 불법 장물 사건으로 파직되었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근녕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아버지 | 태종 |
어머니 | 정빈 고씨 |
부인 | 태안군부인 하양 허씨 |
휘 | 농(禯) |
시호 | 희의(僖懿) |
작위 | 조선 태종의 왕자 |
출생일 | 1411년 |
자녀 | 3남 6녀 |
2. 생애
단종이 왕위를 물려줄 때 다른 종친들과 백관들은 모두 동맹에 참여하였으나, 근녕군은 홀로 정난공신 책에 서명하지 않고 관악산 연주대에 올라 14일간 음식을 먹지 않고 통곡하였다. 훗날 현손 원굉이 올린 상소로, 근녕군의 충성과 큰 공업이 종친 중에서 으뜸이었다는 비답을 받았다.[1]
1461년(세조 7년) 11월 15일 근녕군은 세상을 떠났다. 시호는 희의(僖懿)이며, 세조는 3일 동안 조회를 중단하고 쌀·콩 50석, 종이 160권, 베 50필과 유둔(油芚)을 부의(賻儀)로 내려 주었다.[1]
2. 1. 초년기
이름은 농(禯)이며, 처음 정윤에 봉해졌다가 1424년(세종 6년) 10월 근녕군에 봉해졌다. 세종을 도운 공으로 익사공신으로 녹훈되었다.[1] 1426년 가정대부, 1428년 7월 종1품 군, 1430년 12월 정1품 군으로 승계되었다.1429년(세종 11년), 조카 의성군과 살곶이에서 매사냥을 하였는데, 강무장에서의 사냥은 나라에서 엄금하였다. 세종은 근녕군과 의성군의 구사(丘史)에게 채찍 40대를 치고 병조에 사냥을 엄금할 것을 명하였다.
2. 2. 세종과의 관계
1424년(세종 6년) 근녕군은 세종을 도운 공으로 익사공신으로 녹훈되었다.1429년(세종 11년), 근녕군은 조카인 의성군과 살곶이에서 매사냥을 하였다. 그런데 강무장에서의 사냥은 나라에서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었으므로, 세종은 근녕군과 의성군의 구사(丘史)[1]에게 채찍 40대를 치고 병조에 사냥을 엄금할 것을 명하였다.
2. 3. 단종 선위와 절의
1424년(세종 6년) 근녕군에 봉해지고, 세종을 도운 공으로 익사공신으로 녹훈되었다. 단종이 왕위를 물려줄 때, 다른 종친과 백관들은 모두 모여 동맹하였으나, 근녕군은 홀로 정난공신 책에 서명하지 않았다. 관악산 연주대에 올라 14일간 음식을 먹지 않고 통곡하였다. 훗날 현손 원굉이 올린 상소로, 근녕군의 충성과 큰 공업이 종친 중에서 으뜸이었다는 비답을 받았다.[1]2. 4. 사망과 평가
1461년(세조 7년) 11월 15일에 근녕군이 사망하였다. 세조는 3일 동안 조회를 중단하고, 쌀·콩 50석, 종이 160권, 베 50필과 유둔(油芚)을 부의(賻儀)로 내려 주었다.[1] 시호는 희의(僖懿)이다.단종이 왕위를 물려줄 때 종실과 백관이 모여 동맹을 맺었는데, 근녕군은 홀로 정난공신 책에 서명하지 않고 관악산 연주대에 올라 14일간 단식하며 통곡하였다. 훗날 후손인 원굉의 상소로 그의 충성과 큰 공업이 종친 중에서 으뜸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3. 가족 관계
태종과 정빈 고씨 사이에서 태어난 근녕군은 태안군부인 하양 허씨(관찰사 증찬성 허지혜의 딸)와 혼인하여 3남 6녀를 두었다.[1]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태종 | 조선 제3대 왕 |
어머니 | 정빈 고씨 | |
부인 | 태안군부인 하양 허씨 | 관찰사 증찬성 허지혜의 딸 |
장남 | 옥산군 이제 | 1429년 ~ 1490년 |
며느리 | 함안군부인 함안 윤씨 | 첨지중추부사 증 찬성 증 함안군 윤공신의 딸 |
(첩)며느리 | 노비 출신 | |
차남 | 우산군 정민공 종 | ? ~ 1506년, 온녕군에게 출계 |
3남 | 달천정 유 | ? ~ 1454년 |
장녀 | 신상하 | 와 혼인 |
차녀 | 광산 김씨 김현뢰 | 와 혼인 |
3녀 | 하동 정씨 정석년 | 와 혼인 |
4녀 | 동래 정씨 정수 | 와 혼인 |
5녀 | 경주 김씨 김희 | 와 혼인 |
6녀 | 광주 정씨 정윤공 | 와 혼인 |
장남 옥산군 이제는 함안군부인 함안 윤씨(첨지중추부사 증 찬성 윤공신의 딸)와 혼인하여 6남 1녀를 두었고, 첩 며느리(노비 출신)에게서 2남 2녀를 얻었다.[1] 차남 우산군 종은 온녕군에게 출계하였다.[1] 3남은 달천정 유이다.[1]
여섯 딸은 각각 신상하, 광산 김씨 김현뢰, 하동 정씨 정석년, 동래 정씨 정수, 경주 김씨 김희, 광주 정씨 정윤공과 혼인하였다.[1] 며느리는 함안군부인 함안 윤씨(첨지중추부사 증 찬성 증 함안군 윤공신의 딸)와 노비 출신이 있다.
3. 1. 부모
《청장관전서》, 《조선왕조선원록》등의 사서에는 정빈 고씨의 소생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선원계보기략》, 《태종조 고사 본말 - 연려실기술 제2권》에는 신빈 신씨(信嬪 辛氏)의 소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세종 8년(1426년) 7월 13일 기사에 '''근녕군의 어머니'''인 태종의 궁인이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신빈 신씨가 사망한 해는 1435년이다.
3. 1. 1. 아버지
태종[1]3. 1. 2. 어머니
정빈 고씨3. 2. 배우자
태안군부인 하양 허씨(泰安郡夫人 河陽 許氏) - 관찰사(觀察使) 증찬성(贈贊成) 허지혜(許之惠)의 딸[1]3. 3. 자녀
이름 | 생몰년 | 비고 |
---|---|---|
옥산군 이제 | 1429년 ~ 1490년 | 장남 |
우산군 종 | ? ~ 1506년 | 차남, 온녕군에게 출계 |
달천정 유 | ? ~ 1454년 | 3남 |
신상하 | 장녀와 혼인 | |
광산 김씨 김현뢰 | 차녀와 혼인 | |
하동 정씨 정석년 | 3녀와 혼인 | |
동래 정씨 정수 | 4녀와 혼인 | |
경주 김씨 김희 | 5녀와 혼인 | |
광주 정씨 정윤공 | 6녀와 혼인 |
3. 3. 1. 장남
태종과 태안군부인 하양 허씨 사이의 장남은 옥산군 이제(1429 ~ 1490)이다.[1] 옥산군 이제의 부인은 함안군부인 함안 윤씨(첨지중추부사 증 찬성 윤공신의 딸)이다.[1] 슬하에 시안군 이탁, 영인군 이순, 강원부정 이징, 팽성부정 이손, 진강부정 이찬, 검성부정 이읍 여섯 아들과 양주 조씨 부사 조수견의 처가 된 딸 하나를 두었다.[1] 첩실인 노비 출신 며느리와의 사이에서는 서손자 순안군 이희, 의성부정 이식, 그리고 서손녀 청주 곽씨 첨사 곽문백의 처, 밀양 당씨 현령 당직의 처를 두었다.[1]3. 3. 2. 차남
온녕군에게 출계[1]한 우산군 정민공 종(牛山君 貞愍公 踵, ? ~ 1506)이다.[1]3. 3. 3. 3남
달천정 유(達川正 踰, ? ~ 1454)3. 3. 4. 장녀 ~ 6녀
- 장녀: 신상하(辛尙夏)와 혼인하였다.
- 차녀: 광산 김씨 김현뢰(金賢賚)의 처가 되었다.[1]
- 외손자: 건공장군(建功將軍) 김영보(金永寶), 현감(縣監) 김영진(金永珍), 김영호(金永瑚)[1]
- 외손녀: 덕수 이씨 이원(李瑗)의 처, 연일 정씨 참봉(參奉) 증 찬성(贈 贊成) 정규(鄭潙)의 처, 양천 허씨 현령(縣令) 허윤관(許允寛)의 처[1]
- 3녀: 하동 정씨 정석년(鄭錫年)의 처가 되었다.[1]
- 외손녀: 경주 이씨 도사(都事) 이세번(李世蕃)의 처[1]
- 4녀: 동래 정씨 군수(郡守) 정수(鄭穗)의 처가 되었다.[1]
- 외손자: 정인후(鄭仁厚)[1]
- 외손녀: 현감(縣監) 장세린(張世麟)과 혼인[1]
- 5녀: 경주 김씨 부사(府使) 김희(金僖)와 혼인하였다.[1]
- 외손자: 부사(府使) 김양언(金良彦, 1462 ~ ?), 부사(府使) 김양수(金良秀, 1464 ~ ?)[1]
- 외손녀: 함양 오씨 첨지(僉使) 오령(吳齡)과 혼인[1]
- 6녀: 광주 정씨 판관(判官) 정윤공(鄭允功)과 혼인하였다.[1]
- 외손자: 별좌(別坐) 정자란(鄭子蘭), 첨지(僉知) 정자지(鄭子芝), 봉사(奉事) 정자형(鄭子蘅), 봉사(奉事) 정자전(鄭子荃)[1]
- 외손녀: 연안 이씨 부윤(府尹) 이전(李㙉)과 혼인[1]
3. 4. 며느리
근녕군의 정실 며느리는 함안 군부인 함안 윤씨로, 첨지중추부사 증 찬성(贈 贊成) 증 함안군(贈 咸安君) 윤공신(尹恭信)의 딸이다. 첩 며느리는 노비 출신이다.[1]3. 4. 1. 정실 며느리
함안 군부인 함안 윤씨는 첨지중추부사 증 찬성(贈 贊成) 증 함안군(贈 咸安君) 윤공신(尹恭信)의 딸이다.3. 4. 2. (첩) 며느리
근녕군의 첩 며느리는 노비 출신이다.[1]3. 5. 손자/손녀
근녕군의 부인은 관찰사 증찬성 허지혜의 딸인 태안군부인 하양 허씨이다. 슬하에 3남 6녀를 두었다.- 장남 : 옥산군 이제(1429 ~ 1490)
- 며느리 : 함안군부인 함안 윤씨 - 첨지중추부사 증 찬성 증 함안군 윤공신의 딸
- (첩)며느리 : 노비 출신
- 차남 : 우산군 정민공 종(? ~ 1506) - 온녕군에게 출계
- 3남 : 달천정 유(? ~ 1454)
- 장녀 : 신상하와 혼인
- 차녀 : 광산 김씨 현감 김현뢰의 처
- 외손자 : 건공장군 김영보, 현감 김영진, 김영호
- 외손녀 : 덕수 이씨 이원의 처, 연일 정씨 참봉 증 찬성 정규의 처, 양천 허씨 현령 허윤관의 처
- 3녀 : 하동 정씨 정석년의 처
- 외손녀 : 경주 이씨 도사 이세번의 처
- 4녀 : 동래 정씨 군수 정수의 처
- 외손자 : 정인후
- 외손녀 : 현감 장세린과 혼인
- 5녀 : 경주 김씨 부사 김희와 혼인
- 외손자 : 부사 김양언(1462 ~ ?), 부사 김양수(1464 ~ ?)
- 외손녀 : 함양 오씨 첨지 오령과 혼인
- 6녀 : 광주 정씨 판관 정윤공과 혼인
- 외손자 : 별좌 정자란, 첨지 정자지, 봉사 정자형, 봉사 정자전
- 외손녀 : 연안 이씨 부윤 이전과 혼인
3. 5. 1. 친손자
태종의 아들 근녕군의 친손자는 다음과 같다.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시안군 이탁 | 1446 ~ ? | |
영인군 이순 | 1448 ~ ? | |
강원부정 이징 | ? ~ ? | |
팽성부정 이손 | ? ~ ? | |
진강부정 이찬 | ? ~ ? | |
검성부정 이읍 | ? ~ ? | |
양주 조씨 | ? ~ ? | 조수견의 처 |
3. 5. 2. 서손자
첩며느리 소생으로 순안군 이희와 의성부정 이식이 있다.3. 5. 3. 서손녀
3. 6. 외손자/외손녀
혼인 관계 | 이름 | 비고 |
---|---|---|
장녀 신상하(辛尙夏)와 혼인 | 슬하 자녀 없음 | |
차녀 광산 김씨 김현뢰(金賢賚)와 혼인 | ||
3녀 하동 정씨 정석년(鄭錫年)과 혼인 | ||
4녀 동래 정씨 정수(鄭穗)와 혼인 | ||
5녀 경주 김씨 김희(金僖)와 혼인 | ||
6녀 광주 정씨 정윤공(鄭允功)과 혼인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