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근지구 천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지구 천체(NEO)는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가 태양에서 1.3 천문 단위(AU) 이내에 있는 모든 태양계 소천체를 의미한다. NEO는 소행성 또는 혜성일 수 있으며, 궤도와 크기에 따라 유성체, 소행성, 혜성으로 분류된다. 일부 NEO는 지구와 충돌할 위험이 있어, 잠재적으로 위험한 천체(PHO)로 분류되기도 한다. NEO의 발견과 추적을 위해 다양한 천문 조사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NASA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NEO의 위협을 평가하고 대응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NEO 연구 및 대응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지구 천체 - 지구 위협 천체
    지구 위협 천체는 지구와의 최소 궤도 교차 거리가 0.05 천문 단위 이하이고 절대 등급이 22.0 이상인 소행성을 의미하며, 소행성 충돌 위험 평가 척도로 팔레르모 기술적 충돌 위험 척도와 토리노 척도가 사용된다.
  • 근지구 천체 -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행성 방어 - 니어 슈메이커
    존스홉킨스 대학교 응용물리학 연구소에서 개발한 최초의 로봇 소행성 탐사선인 NEAR 슈메이커는 지구 근접 소행성 433 에로스를 탐사하며 크기, 형태, 질량, 밀도, 구성, 지표 및 내부 구조, 자기장 정보를 수집하고 소행성 마틸다에 대한 근접 통과 관측을 수행하여 16만 장 이상의 이미지와 과학 데이터를 얻었으며, 소행성 궤도를 도는 최초의 탐사선이 되어 태양계 형성 연구에 기여했다.
  • 행성 방어 - 지구 위협 천체
    지구 위협 천체는 지구와의 최소 궤도 교차 거리가 0.05 천문 단위 이하이고 절대 등급이 22.0 이상인 소행성을 의미하며, 소행성 충돌 위험 평가 척도로 팔레르모 기술적 충돌 위험 척도와 토리노 척도가 사용된다.
근지구 천체
개요
이름근지구 천체
원어영어: near-Earth object, NEO
특성
정의태양으로부터 1.3 AU 이내에 있는 작은 태양계 천체
분류아폴로군 소행성
아모르군 소행성
아텐군 소행성
아티라군 소행성
혜성
설명지구 근처를 지나가는 작은 천체들을 말한다. 이러한 천체들은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이 있으며, 잠재적으로 위험한 천체(PHAs)로 분류될 수 있다.
[[NASA 심우주 네트워크|DSN]] 안테나로 기록한 {{mpl|(388188) 2006 DP|14}}의 레이다 이미지
DSN 안테나로 기록한 의 레이다 이미지
[[매우 큰 망원경|VLT]] 망원경으로 관측한 매우 희미한 근지구 소행성 {{mpl|2009 FD}}
VLT 망원경으로 관측한 매우 희미한 근지구 소행성
NASA의 ''[[딥 임팩트 (우주선)|딥 임팩트]]'' 탐사선이 촬영한 근지구 혜성 [[103P/하틀리]]의 핵
NASA의 딥 임팩트 탐사선이 촬영한 근지구 혜성 103P/하틀리의 핵
통계
통계 자료34,000개 이상의 알려진 NEO가 궤도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알려진 NEO의 파이 차트
알려진 NEO의 파이 차트
아폴로군 소행성19,613 (56.48%)
아모르군 소행성12,213 (35.17%)
아텐군 소행성2,744 (7.90%)
혜성122 (0.35%)
아티라군 소행성33 (0.10%)
위험성
잠재적 위험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천체
영향크기의 소행성이 도시를 파괴할 수 있다.
크기의 소행성이 폭발하여 상당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크기의 소행성이 지구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요 근지구 천체
103P/하틀리NASA의 딥 임팩트 탐사선이 촬영한 혜성

2. 정의 및 분류

국제천문연맹(IAU)은 태양으로부터 1.3 천문 단위(AU) 이내에 궤도가 있는 모든 태양계 소천체를 근지구천체(NEO)로 정의한다. 이 정의는 행성, 자연 위성, 인공 천체를 제외한다. NEO는 근지구 소행성(NEA) 또는 근지구 혜성(NEC) 중 하나이다. NEO 목록화 기관은 궤도 주기가 200년 미만인 천체로 NEO 정의를 제한하기도 하지만,[3][4] 보편적인 것은 아니다. 일부는 0.983 AU 이상 떨어진 궤도로 추가 제한하기도 한다.[96][5] NEO는 현재 지구에 가깝지 않더라도 잠재적으로 지구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으며, 지구 중력에 의한 섭동으로 궤도가 변경될 수 있다.[132]

일부 NEO 궤도는 지구 궤도와 교차하여 충돌 위험을 제기한다.[6] 이들은 추정 지름이 140미터 이상인 경우 잠재적으로 위험한 천체(PHO)로 간주되며, 여기에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소행성(PHA)이 포함된다.[86] PHA는 지구와의 최소 궤도 교차 거리(MOID)가 0.05 AU 이하이고 절대 등급이 22.0 이상인 천체로 정의된다. 지구에 0.05AU 이상 접근할 수 없거나, H = 22.0보다 어두운 천체(가정된 알베도가 14%인 경우 지름 약 140m)는 PHA로 간주되지 않는다.[3]

NEO가 발견되면 소행성체 센터(MPC, IAU)에 등록되며, MPC는 확인된 NEO와 잠재적 NEO의 별도 목록을 유지한다.[84][85] 또한 잠재적으로 위험한 소행성(PHA)에 대한 별도의 목록을 유지한다.[86] NEO는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의 근지구 천체 연구 센터(CNEOS)[104]와 태양계 역학 그룹, 유럽 우주국(ESA)의 근지구 천체 조정 센터(NEOCC)에서도 분류된다.[88]

2013년 초 기준 알려진 잠재적으로 위험한 소행성 궤도 도표(크기 이상이고 지구 궤도에서 4.7e6mi 이내로 통과함)(대체 이미지)


400px

2. 1. 크기에 따른 분류

근지구 천체는 크기, 구성, 궤도에 따라 유성체, 소행성, 혜성으로 분류된다. 소행성은 소행성족의 구성원이 될 수 있으며, 혜성은 유성우를 생성할 수 있는 유성체 흐름을 만든다.[138] 1961년 국제천문연맹(IAU)은 유성체를 소행성과 구별되는, 크기가 훨씬 작은 고체 행성간 천체로 정의했다.[138] 2017년 4월, IAU는 유성체를 지름 30μm ~ 1m 사이 천체로 제한했지만, 유성을 일으킨 모든 크기 물체에 대해 이 용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39]

; 종류와 크기에 따른 근지구 천체의 분류

2. 2. 궤도에 따른 분류 (근지구 소행성)

근지구 소행성은 궤도 긴반지름(a), 근일점 거리(q), 원일점 거리(Q)를 기준으로 여러 그룹으로 나뉜다.[3][4]

근지구 천체 궤도 그룹 (NASA/JPL)

  • '''아티라''' 또는 '''아포헬레스'''는 지구 궤도 안쪽에 위치한 궤도를 갖는다. 아티라 소행성의 원일점 거리(Q)는 지구의 근일점 거리(0.983 AU)보다 작다. 즉, Q < 0.983 AU이며, 이는 소행성의 궤도 긴반지름 또한 0.983 AU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114] 이 그룹에는 지구에 접근하지 않는 궤도를 가진 소행성이 포함되며, ꞌ아일로착심의 하위 그룹도 포함된다. 이들은 금성의 궤도 안쪽에서 태양을 공전하며,[115] 벌컨족 소행성의 가상 하위 그룹도 포함하는데, 이들은 수성의 궤도 안쪽에서 공전한다.[116]
  • '''아텐'''은 1 AU 미만의 궤도 긴반지름을 가지며 지구의 궤도를 교차한다. 수학적으로, a < 1.0 AU 그리고 Q > 0.983 AU이다. (0.983 AU는 지구의 근일점 거리이다.)
  • '''아폴로'''는 1 AU보다 큰 궤도 긴반지름을 가지며 지구의 궤도를 교차한다. 수학적으로, a > 1.0 AU 그리고 q < 1.017 AU이다. (1.017 AU는 지구의 원일점 거리이다.)
  • '''아모르'''는 지구 궤도 바깥에 위치한 궤도를 갖는다. 즉, 아모르 소행성의 근일점 거리(q)는 지구의 원일점 거리(1.017 AU)보다 크다. 아모르 소행성은 또한 근지구 천체이므로 q < 1.3 AU이다. 요약하면, 1.017 AU < q < 1.3 AU이다. (이는 소행성의 궤도 긴반지름(a) 또한 1.017 AU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아모르 소행성의 궤도는 화성의 궤도를 교차한다.


몇몇 연구자들은 아텐을 다르게 정의하기도 한다. 궤도 긴반지름이 1 AU 미만인 모든 소행성을 아텐으로 정의한다.[117][118] 즉, 아티라를 아텐의 일부로 간주한다.[118] 1998년까지는 알려지거나 추정되는 아티라 소행성이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필요하지 않았다.

아티라와 아모르는 지구 궤도를 교차하지 않아 즉각적인 충돌 위험은 없지만, 향후 궤도가 변경되어 지구 궤도 교차 궤도가 될 수 있다.[96][119]

2024년 3월 30일 기준으로, 발견되어 목록에 등재된 소행성은 다음과 같다.

소행성 그룹발견된 소행성 수
아티라33
아텐2,744
아폴로19,613
아모르12,213


3. 관측 및 연구 역사

인간이 관측한 최초의 근지구 천체는 혜성이었다. 혜성의 외계 기원은 1577년 티코 브라헤가 혜성의 시차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려 했을 때, 그 혜성의 하한선이 지구 지름보다 훨씬 컸을 때 비로소 인식되고 확인되었다. 일부 혜성의 주기성은 1705년 에드먼드 핼리가 현재 핼리 혜성으로 알려진 천체의 귀환에 대한 궤도 계산을 발표했을 때 처음 인식되었다.[7] 핼리 혜성의 1758년~1759년의 귀환은 최초로 예측된 혜성 출현이었다.[8] 1770년의 렉셀 혜성이 최초로 발견된 근지구 천체로 기록되었다.

핼리 혜성의 궤적을 그린 1910년 그림


최초로 발견된 근지구 소행성은 1898년433 에로스였다.[10] 이 소행성은 여러 차례의 광범위한 관측 캠페인의 대상이 되었는데, 그 이유는 궤도 측정을 통해 당시 불완전하게 알려져 있던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11]

탐사선 니어 슈메이커가 촬영한 근지구 소행성 433 에로스


지구 대기 상층에 얕은 각도로 진입하는 일부 소행성은 파괴되지 않고 다시 대기를 벗어나 태양 궤도를 계속 돈다. 대기 통과 중 표면 연소로 인해 이러한 물체는 지구접근 화구로 관찰될 수 있다.

1972년 8월 10일, 1972년 대주간 화구로 알려진 유성이 많은 사람들에게 목격되었으며 미국 남서부에서 캐나다로 로키 산맥 상공을 북쪽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촬영되었다.[23] 이 유성은 지구 표면에서 58km 이내로 지나갔다.[24]

1990년 10월 13일, 1990년 10월 13일 지구접근 유성체 EN131090가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 상공에서 관찰되었으며, 초속 41.74km/s의 속도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409km의 궤적을 따라 이동했다. 지구와의 가장 가까운 접근 거리는 표면 위 98.67km였다. 이 유성체는 유럽 화구 네트워크의 두 대의 전천 카메라에 포착되었으며, 이를 통해 처음으로 이러한 물체의 궤도에 대한 기하학적 계산이 가능해졌다.[25]

2008년 10월 7일, 2008 TC3 (추정 지름 2-5m)이 지구 대기권에 돌입하여 수단 상공에서 폭발했다. 파편의 일부는 지상에 떨어졌지만, 거주자가 거의 없는 사막 지대였기 때문에 피해는 없었다. 이 소행성은 대기권 돌입 약 20시간 전에 발견되었으며, 낙하 직전까지 그 궤도가 추적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4. 충돌 위험성

근지구 천체가 지구와 충돌할 때, 지름이 수십 미터 이하인 물체는 일반적으로 중간권에서 폭발하며(보통 무해함), 대부분 또는 전부가 증발하고 소량의 운석만 지구 표면에 도달한다. 반대로 더 큰 물체는 수면을 강타하여 쓰나미를 일으키거나, 고체 표면을 강타하여 충돌구를 형성한다.[26]

다양한 크기의 물체 충돌 빈도는 근지구 천체(NEO) 개체군의 궤도 시뮬레이션, 지구와 달의 충돌구 빈도, 근접 조우 빈도를 기반으로 추정된다.[27][28] 충돌구 연구에 따르면 지난 35억 년 동안 충돌 빈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이는 소행성대에서 NEO 개체군의 지속적인 보충이 필요함을 의미한다.[96]

널리 받아들여지는 NEO 개체군 모델을 기반으로 한 하나의 충돌 모델은 지름이 4m 이상인 두 개의 암석 소행성 충돌 사이의 평균 시간을 약 1년으로 추정한다. 이 모델에서는 다음과 같은 충돌 빈도를 제시한다.


  • 지름 7m 소행성(히로시마 원자폭탄과 같은 에너지, 약 15킬로톤 TNT): 5년
  • 지름 60m 소행성(퉁구스카 폭발과 비슷한 10 메가톤 충돌 에너지): 1,300년
  • 지름 1km 소행성: 44만 년
  • 지름 5km 소행성: 1800만 년


다른 일부 모델에서는 유사한 충돌 빈도를 추정하고,[96] 다른 모델에서는 더 높은 빈도를 계산한다.[28] 퉁구스카 크기(10메가톤) 충돌은 2,000~3,000년에 한 번, 또는 300년에 한 번 꼴로 발생한다고 추정된다.[28]

지구 대기에 충돌하는 작은 소행성의 위치 및 충돌 에너지


2013년 첼랴빈스크 유성은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20m 소행성이 러시아 도시 상공에서 폭발하여 400~500킬로톤에 해당하는 폭발력을 발생시킨 사건이다.[31]

발견 7시간 후, 이 프랑스 북부 상공에서 유성으로 타오름


2008년 10월 7일에는 4m 소행성 이 수단 누비아 사막 상공 37km에서 폭발했다. 이는 소행성이 관측되고 대기 진입 전에 유성으로의 충돌이 예측된 첫 번째 사례였다.[33]

현재까지 아홉 번의 충돌이 예측되었으며, 모두 유성 폭발을 일으킨 작은 물체였다.[34] 일부 충돌은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의 국제 감시 시스템(IMS)에 의해서만 감지되었다.[35] 소행성 충돌 예측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성공적으로 예측된 소행성 충돌은 드물다.[36]

인류는 역사적으로 근지구 천체가 제기하는 위험을 인류 사회의 문화기술을 모두 고려하여 평가해 왔다. 종교적, 철학적, 과학적 관점뿐만 아니라 그러한 위험에 대처하는 기술적, 경제적 능력에 따라 NEO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았다.[42]

과학자들은 1980년대부터 충돌 물체보다 훨씬 더 큰 충돌구를 만들고 넓은 지역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충돌 위협을 인식했다. 특히 6,500만 년 전 백악기-고생대 멸종 사건 (비조류 공룡 멸종)이 대형 소행성 충돌로 인해 발생했다는 이론이 힘을 얻으면서 이러한 인식은 더욱 확산되었다.[42][46]

1998년 영화 ''딥 임팩트''와 ''아마겟돈''은 근지구 천체가 치명적인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는 개념을 대중화했다.[46]

; 종류와 크기에 따른 근지구 천체의 분류

4. 1. 충돌 가능성 평가

근지구 천체(NEO)의 충돌 위험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한 과학적 분류 체계는 토리노 척도와 팔레르모 기술적 충돌 위험 척도 두 가지가 있다.

토리노 척도는 1999년 6월 토리노에서 열린 국제천문연맹(IAU) 워크숍에서 제정되었다. 충돌 에너지와 충돌 확률에 따라 향후 100년 동안의 충돌 위험을 0에서 10 사이의 정수로 평가한다.[51][52]

  • 0과 1 등급은 우려가 적으며, 향후 100년 동안의 충돌 확률이 1% 미만이다.
  • 2에서 4 등급은 천문학자에게 보다 정확한 궤도 계산을 시도하도록 하는 수준이다.
  • 5에서 7 등급은 일반 대중의 우려와 정부의 비상 계획이 필요한 수준이다.
  • 8에서 10 등급은 심각도가 증가하는 확실한 충돌을 의미한다.


팔레르모 기술적 충돌 위험 척도는 2002년에 제정되었으며, 토리노 척도보다 복잡하다. 특정 날짜에 충돌할 가능성을, 가능한 충돌까지 유사한 에너지 또는 그 이상의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횟수와 비교하고, 이 비율의 로그를 취한다. 팔레르모 척도 등급은 모든 양수 또는 음의 실수일 수 있으며, 모든 우려되는 위험은 0보다 큰 값으로 표시된다. 토리노 척도와 달리 팔레르모 척도는 신뢰도가 낮은 궤도로 알려진 새로 발견된 작은 물체에 민감하지 않다.[53]

2004년 12월 25일, 소행성 (99942) 아포피스는 당시 최대치인 토리노 척도 4로 지정되었다. 2029년 4월 13일에 2.7%의 확률로 지구와 충돌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추가 계산 결과 충돌 가능성이 거의 0으로 떨어졌고 토리노 척도도 0이 되었다.

2005년 1월, 토리노 척도 1 이상인 소행성이 2,053개 있었지만, 이후 관측과 함께 감소하여 2014년 5월 시점에는 NASA의 "Sentry Risk Table" 목록에 남아있는 소행성은 모두 토리노 척도 0이 되었다[186] . 같은 달 시점에서 팔레르모 척도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소행성은 -0.44인 2009 FD이며, 다음으로 -0.83인 (29075) 1950 DA가 있다[186] .

소행성 '''(29075) 1950 DA'''는 약 1.1km의 지름을 가진 아폴로 소행성군으로, 2880년 3월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그러나 추가적인 관측 결과 실제 충돌 가능성은 감소하였다.[192] 2013년 중반 시점에서 팔레르모 척도가 -0.58로, 2,270분의 1(0.044%)의 확률로 2880년 3월 16일에 지구와 충돌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같은 해 후반에는 충돌 위험이 후퇴했다.

NASA는 앞으로 지구와 충돌할 위험이 있는 소행성 목록을 공개하고 있다[186] .

4. 2. 주요 충돌 위협 사례

소행성 1950 DA의 레이더 이미지

  • (29075) 1950 DA: 아폴로군 소행성으로 지름은 약 1.1km이다. 2880년 3월 충돌 가능성이 300분의 1로 추산되었으나, 추가 관측으로 2만분의 1로 감소했다.[192] 2002년 4월 팔레르모 척도 값이 0보다 큰 최초의 천체로 센트리 목록에 추가되었지만,[59] 현재 충돌 확률은 34,000분의 1이다.

  • 99942 아포피스: 2004년 12월 24일 토리노 척도 4등급(2029년 4월 지구 충돌 가능성 1.6%)을 받아 역대 최고 등급을 기록했다.[62] 이후 관측으로 2029년 충돌 가능성은 0으로 떨어졌고,[64] 2021년에는 모든 충돌 위험이 제거되어 센트리 위험 표에서 삭제되었다.[65][57]

  • (144898) 2004 VD17: 2006년 2월, 2102년 5월 4일 근접 조우로 토리노 척도 2등급을 받았다.[66] 추가 관측으로 2006년 5월에 1등급, 10월에 0등급으로 낮아졌고, 2008년 2월 센트리 위험 표에서 삭제되었다.[57]

  • 2010 RF12: 2021년, 2095년 9월 5일 지구 충돌 가능성이 가장 높은 천체(22분의 1)로 등재되었다. 지름이 7m에 불과해 심각한 위협은 아니며, 2095년 충돌 위험은 10분의 1로 유지되고 있다.

  • 기타:
  • 2013년 6월 26일 현재, 혜성을 제외한 근지구 소행성(NEA) 발견 총수는 9910개이며,[184] 이 중 1408개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소행성(PHA)으로 분류된다.
  • 2013년 6월 18일 발견된 2013 MZ5는 소행성과 혜성을 포함한 NEO 전체에서 10000번째 천체이다.[185]
  • 지구 충돌 위험성은 토리노 척도와 팔레르모 척도로 추정한다.
  • 2004년 12월 25일 아포피스는 토리노 척도 4로 지정되었으나, 12월 28일 충돌 가능성이 거의 0으로 떨어져 토리노 척도도 0이 되었다.
  • 2005년 1월 토리노 척도 1 이상인 소행성은 2,053개였지만, 2014년 5월에는 모두 토리노 척도 0이 되었다.[186]

5. 감시 및 대응 노력

1968년 소행성 이카루스가 지구에 근접 통과하기 1년 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학생들은 이카루스가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에 대비해 로켓으로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프로젝트 이카루스'를 계획했다.[68] 이 프로젝트는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1979년 영화 메테오에 영감을 주었다.[69]

팔로마 행성 횡단 소행성 조사는 근지구 소행성 발견에 전념한 최초의 천문 프로그램이었다. 1981년 콜로라도주 스노매스에서 열린 학제간 회의에서 충돌 위험, 전담 조사 망원경의 필요성, 충돌 방지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46] 1992년 미국 의회의 지시에 따라 NASA는 '스페이스가드 서베이'라는 포괄적인 조사 계획을 개발했다.[70][71]

국제천문연맹(IAU)은 1995년 이탈리아 불카노에서 워크숍을 개최하여 국제적 협력을 도모했고,[70] 1년 후 스페이스가드 재단이 설립되었다.[72]

2013년 12월부터 시작된 근지구 천체 WISE 프로그램의 첫 3년간 발견된 소행성 (녹색 점은 근지구 천체 표시)


2016년 1월, NASA는 행성 방어 조정 사무소(PDCO)를 설립하여 직경 30m 이상의 근지구 천체를 추적하고 위협 대응 노력을 조정하고 있다.[78][79]

조사 프로그램의 목표는 위협을 수년 전에 식별하여 우주 임무를 준비할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2013년 미국 의회 청문회에서 마이클 F. A'헤른 박사는 소행성 요격 기술은 아직 없으며, 우주선 계획부터 발사까지 최소 4년이 걸린다고 증언했다.[80]

과학자들은 지구 충돌 궤도에 있는 물체의 위협을 막는 방법을 연구해왔다.[46] 실행 가능한 방법은 위협적인 근지구 천체를 파괴하는 대신 궤도를 변경하는 것이다.[143] 예상된 충돌 몇 달에서 몇 년 전에 궤도를 변경하면 에너지 요구량이 훨씬 적다.[143]

1998년 미국 의회는 NASA에 1km 이상의 근지구 천체의 90%를 2008년까지 탐지하라는 지시를 내렸고[71][73], 2005년에는 조지 E. 브라운 주니어 근지구 천체 조사법에 의해 2020년까지 140m 이상의 근지구 천체 90%를 탐지하도록 연장되었다.[74]

2013년 6월 26일 현재, 혜성을 제외한 근지구 소행성(NEA)은 9910개가 발견되었다. 이 중 아텐형이 784개, 아모르형이 4173개, 아폴로형이 4953개이며, 1408개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소행성(PHA)으로 분류된다. 2013년 6월 18일에 발견된 는 소행성과 혜성을 포함한 NEO 전체에서 10000번째 천체이다.[185]

5. 1. 주요 감시 프로젝트

1998년, 미국 의회는 NASA에 전 세계적 파괴를 위협하는 직경 1km 이상의 근지구 소행성 90%를 2008년까지 탐지하라는 지시를 내렸다.[71][73] 여러 조사 프로그램이 "스페이스가드" 활동(포괄적인 용어)을 수행했는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조사 프로그램설명
링컨 근지구 소행성 연구 (LINEAR)
스페이스워치
근지구 소행성 추적 (NEAT)
로웰 천문대 근지구 천체 탐색 (LONEOS)
카탈리나 하늘 조사 (CSS)
캄포 임페라토르 근지구 천체 조사 (CINEOS)
일본 스페이스가드 협회
아시아고-DLR 소행성 조사 (ADAS)
근지구 천체 WISE (NEOWISE)



그 결과, 직경이 1km 이상인 알려진 근지구 소행성의 비율이 증가했다. 원래의 스페이스가드 목표는 3년 늦게 달성되었다.[109] 2024년 3월 기준, 직경 1km 이상인 근지구 천체 861개가 발견되었다.

2005년, 미국의 스페이스가드 지시는 조지 E. 브라운 주니어 근지구 천체 조사법에 의해 연장되었으며, 이 법은 NASA가 2020년까지 140m 이상의 직경을 가진 근지구 천체의 90%를 탐지하도록 요구한다.[74]

ATLAS 프로젝트는 충돌 직전의 소행성을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81] 즈위키 과도 현상 시설 (ZTF)은 지구에 근접하는 소행성도 탐지한다.[83]

하와이에 전용 망원경을 설치하는 팬스타즈 계획도 진행되고 있다.

5. 2. 소행성 충돌 회피 연구

DART 우주 탐사선이 소행성 위성 디모르포스에 충돌했을 때의 플룸 확산 (SAAO)


2022년 9월 26일, NASA의 쌍 소행성 궤도 변경 시험(DART) 우주선은 행성 방어 방법 시험의 일환으로, 아폴로 소행성의 위성 디모르포스에 충돌했다.[168] 이 충돌은 지구 궤도나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망원경 외에도, DART에서 충돌 15일 전에 분리된 이탈리아 소형 우주선(큐브위성) ''LICIACube''에 의해 관찰되었다.[168] 충돌 결과, 디모르포스가 디디모스 주위를 공전하는 주기가 33분 단축되었다. 이는 위성의 운동량 변화가 충돌 우주선 운동량의 3.6배임을 나타내며, 변화의 대부분은 위성 자체에서 분출된 물질로 인한 것이다.[169]

2024년 10월, ESA는 헤라 우주선을 발사했으며, 이 우주선은 2026년 12월에 디디모스 주위를 공전하며 DART 충돌 결과를 연구할 예정이다.[170]

6. 탐사 임무

일부 근지구 천체(NEO)는 우주선을 보내 물리적으로 탐사하는 데 필요한 궤도 속도 변화의 총합이 탐사 임무보다 적게 든다. 이는 지구에 대한 낮은 속도와 약한 중력의 조합으로 가능하며, 직접적인 지구화학적, 천문학적 조사는 물론 인간이 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경제적 외계 물질 공급원으로서의 가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점은 NEO를 매력적인 탐사 대상으로 만든다.[45]

6. 1. 소행성 탐사

NASA의 NEAR Shoemaker 탐사선이 촬영한 433 에로스의 다양한 모습


NASA의 OSIRIS-REx 탐사선의 목표인 소행성 101955 베누의 이미지 모자이크


일부 근지구 천체(NEO)는 우주선을 보내 물리적으로 탐사하는 데 필요한 궤도 속도 변화량이 달 탐사보다 적어 특별한 관심을 받는다. 이는 직접적인 지구화학적, 천문학적 조사와 인간의 이용을 위한 잠재적인 경제적 외계 물질 공급원으로서 흥미로운 과학적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45]

우주선이 방문한 최초의 근지구 소행성은 433 에로스였으며, NASA의 ''NEAR Shoemaker'' 탐사선이 2000년 2월부터 궤도를 돌았고, 2001년 2월에 소행성 표면에 착륙했다.[155] JAXA의 ''하야부사'' 임무는 2005년 9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땅콩 모양의 25143 이토카와를 탐사하여 지구로 물질 표본을 성공적으로 가져왔다.[156] CNSA의 ''창어 2호'' 우주선은 2012년 12월에 길쭉한 4179 투타티스를 근접 비행하며 탐사했다.[157]

JAXA의 ''하야부사 2호'' 우주 탐사선은 아폴로 소행성 162173 류구를 2018년 6월부터[158] 2019년 11월까지[159] 탐사하여 지구로 표본을 반환했다.[160] NASA의 ''OSIRIS-REx'' 탐사선은 아폴로 소행성 101955 베누를 목표로[161] 2018년 12월 베누 궤도에 진입, 2020년 10월 표면에 착륙했고,[163] 3년 후 지구로 표본을 성공적으로 반환했다.[164]

''OSIRIS-REx'' 탐사선은 베누 임무 완료 후 99942 아포피스로 방향을 전환, 2029년 4월부터 궤도를 돌 예정이다.[163] ''하야부사 2호'' 우주 탐사선은 162173 류구 탐사 완료 후 임무가 연장되어, 2026년 7월에 S형 아폴로 소행성 98943 토리후네와 2031년 7월에 빠르게 회전하는 아폴로 소행성의 근접 비행을 할 예정이다.[166]

6. 2. 혜성 탐사

유럽 우주국의 ''로제타'' 탐사선이 촬영한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의 핵


1985년, NASA와 ESA가 공동 개발한 탐사선 ''국제 혜성 탐사선''(ICE)이 21P/자코비니-지너 혜성의 코마를 통과하면서, 우주 탐사선이 방문한 최초의 근지구 혜성이 되었다.[143] 1986년 3월, 소련의 ''베가 1'', ''베가 2'', 우주과학연구소의 ''사키가케'', ''스이세이'', ESA의 ''지오토''를 포함한 여러 탐사선이 핼리 혜성 핵 근처를 비행했다. 1992년, ''지오토''는 또 다른 근지구 혜성인 26P/그리그-셰예를루프를 방문했다.[143]

NASA의 탐사선 ''딥 임팩트''는 템펠 1 혜성에 대한 주요 임무를 완료한 후, 2010년 11월 근지구 혜성 103P/하틀리를 지나갔다.[181]

2014년 8월, ESA의 탐사선 ''로제타''는 근지구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궤도를 돌기 시작했고, 2014년 11월에는 탐사선 ''필레''가 혜성 표면에 착륙했다. ''로제타''는 2016년에 혜성 표면에 충돌하며 임무를 종료했다.[182]

7. 인공 근지구천체

고장난 무인 우주선다단 로켓의 최종 단계는 태양 주위의 근지구 궤도에 도달할 수 있으며, 근지구 천체(NEO) 탐사에서 지구 근처로 돌아올 때 재발견될 수 있다.

2002년 9월, 천문학자들은 J002E3로 지정된 물체를 발견했다. 이 물체는 지구 주위의 임시 위성 궤도에 있었으며, 2003년 6월에 태양 궤도로 이동했다. 계산 결과, 2002년 이전에도 태양 궤도에 있었지만 1971년에 지구에 근접했음이 밝혀졌다. J002E3는 아폴로 12호를 달로 운반한 새턴 V 로켓의 3단계로 확인되었다.[146][147]

2006년에는 두 개의 더 많은 임시 위성이 발견되었으며, 인공 물체일 것으로 의심되었다.[147] 그 중 하나는 결국 소행성으로 확인되어 임시 위성으로 분류되었고, 다른 하나인 6Q0B44E는 인공 물체로 확인되었지만, 그 정체는 알려지지 않았다.[147]

2013년에는 또 다른 임시 위성이 발견되었고, 소행성으로 의심되어 임시 명칭이 부여되었다. 이후 정체불명의 인공 물체임이 밝혀졌으며, 소행성 센터 목록에서 삭제되었다.[147][148]

2020년 9월, 지구와 매우 유사한 궤도에서 감지된 물체는 임시적으로 2020 SO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궤도 계산과 스펙트럼 관측을 통해 이 물체가 1966년 서베이어 2호 무인 달 착륙선의 켄타우루스 로켓 부스터임이 확인되었다.[149][150]

이와 같이 지구 근접 천체로 여겨졌던 소행성이, 이후 관측을 통해 다단식 로켓의 일부 등 인공물임이 밝혀진 경우가 몇몇 있다. 이들은 주로 궤도 관측을 통해 특정 시점에 지구에 매우 접근하거나, 스펙트럼 관측에서 특이한 성분이 관측됨으로써 판명된다. 밝혀진 것으로는 아폴로 12호 발사 시 사용된 새턴 V 로켓의 3단 스테이지 S-IVB인 J002E3와, 우주 쓰레기였던 6Q0B44E가 있다.

8. 한국의 NEO 연구 및 대응

한국은 지구 근처를 지나가는 천체, 즉 근지구 천체(NEO)에 대한 연구와 대응에 참여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The Call of Catastrophes https://www.sciencen[...] 1997-03-01
[2] 간행물 Asteroid impact effects and their immediate hazards for human populations 2017-03-23
[3] 웹사이트 NEO Basics. NEO Groups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2024-01-27
[4] 웹사이트 Definitions & Assumptions https://neo.ssa.esa.[...] ESA NEOCC 2024-01-27
[5] 간행물 Small Near-Earth Asteroids in the Palomar Transient Factory Survey: A Real-Time Streak-detection System 2017
[6] 간행물 The hazard of near-Earth asteroid impacts on earth 2004-05
[7] 서적 A synopsis of the astronomy of comets https://library.si.e[...] John Senex 2024-01-26
[8] 서적 Atlas of Great Come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1-26
[9] 간행물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Leonid meteors over the last millennium https://adsabs.harva[...] 2024-02-21
[10] 간행물 Discovery Circumstances of the First Near-Earth Asteroid (433) Eros 2002
[11] 웹사이트 Eros comes on stage, finally a useful asteroid http://near.jhuapl.e[...]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2024-01-26
[12] 간행물 Origin of the Marsden and Kracht Groups of Sunskirting Comets. I. Association with Comet 96P/Machholz and Its Interplanetary Complex https://ui.adsabs.ha[...] 2024-01-27
[13] 웹사이트 Small-Body Database Lookup. P/1999 J6 (SOHO) https://ssd.jpl.nasa[...] NASA/JPL 2024-01-27
[14] 웹사이트 Radar observations of long-lost asteroid 1937 UB (Hermes) http://www2.ess.ucla[...] UCLA 2024-01-26
[15] 웹사이트 Small-Body Database Lookup. 1566 Icarus (1949 MA) https://ssd.jpl.nasa[...] NASA/JPL 2024-01-26
[16] 간행물 Radar observations of Icarus 1969-05
[17] 간행물 Radar Observations of Icarus 1968-11
[18] 간행물 Near miss of the Earth by a small asteroid 1991-11-28
[19] 뉴스 This asteroid just skimmed Earth's atmosphere https://earthsky.org[...] 2024-01-25
[20] 웹사이트 Small-Body Database Lookup. 308635 (2005 YU55) https://ssd.jpl.nasa[...] NASA/JPL 2024-01-27
[21] 뉴스 Asteroid 2012 DA14 in record-breaking Earth pass https://www.bbc.com/[...] BBC 2024-01-27
[22] 뉴스 Near-Earth Asteroid {{mp|2012 DA|14}} to Miss Earth on February 15, 2013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2024-01-27
[23] 웹사이트 Grand Teton Meteor (video) https://www.youtube.[...] 2024-01-27
[24] 간행물 Earth-grazing daylight fireball of August 10, 1972 https://ui.adsabs.ha[...] 2024-02-18
[25] 간행물 Earth-grazing fireball of October 13, 1990 https://adsabs.harva[...] 2024-01-27
[26] 간행물 Impacts on the Earth by asteroids and comets: Assessing the hazard https://zenodo.org/r[...] 2024-01-27
[27] 간행물 Earth Impact Effects Program: A Web-based computer program for calculating the regional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a meteoroid impact on Earth https://impact.ese.i[...] 2024-01-27
[28] 간행물 Earth in the Cosmic Shooting Gallery https://articles.ads[...] 2024-01-27
[29] 간행물 Antarctic Explosion Could Have Been Nuclear Detonation https://cdnc.ucr.edu[...]
[30] 간행물 An estimate of the terrestrial influx of large meteoroids from infrasonic measurements
[31] 뉴스 Russian fireball explosion shows meteor risk greater than thought http://www.space.com[...] 2024-01-27
[32] 간행물 Reconstructing the Chelyabinsk event: Pre-impact orbital evolution 2014-09-01
[33] 간행물 The recovery of asteroid {{mp|2008 TC|3}} http://asima.seti.or[...] 2024-01-27
[34] 뉴스 Tiny asteroid burns up over Philippines. 'Discovered this morning,' ESA says https://www.space.co[...] 2024-09-05
[35] 뉴스 Small asteroid 2014 AA hits Earth http://www.skyandtel[...] 2024-01-27
[36] 웹사이트 Fireballs. Fireball and Bolide Data http://cneos.jpl.nas[...] NASA/JPL 2023-12-30
[37] encyclopedia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of Meteoroid Impact Flashes on the Moon Springer
[38] 웹사이트 Lunar Impact Monitoring Program https://www.nasa.gov[...] NASA 2024-01-27
[39] 웹사이트 About the NELIOTA project https://neliota.astr[...] ESA 2024-01-27
[40] 뉴스 Largest lunar impact caught by astronomers https://www.nature.c[...] 2014-02-24
[41] 웹사이트 MIDAS: Moon Impacts Detection and Analysis System. Main Results http://www.meteoroid[...] 2024-01-27
[42] 간행물 The evolution of near Earth objects risk perception http://www.thespacer[...] 2012-05-14
[43] 뉴스 Apocalypse postponed: how Earth survived Halley's comet in 1910 https://www.theguard[...] 2024-01-26
[44] 웹사이트 Noah's Comet. Edmond Halley 1694 http://www.jasoncola[...] 2024-01-27
[45] 뉴스 Earth-Approaching Asteroids as Targets for Exploration (1978) https://www.wired.co[...] 2013-03-23
[4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steroid/Comet Impact Hazard http://www.boulder.s[...]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2024-01-26
[47] 뉴스 Big Asteroid Passes Near Earth Unseen In a Rare Close Call https://www.nytimes.[...] 2024-01-26
[48] 뉴스 How the Asteroid Story Hit: An Astronomer Reveals How a Discovery Spun Out of Control http://www.minorplan[...] 2024-01-26
[49] 뉴스 Nibiru: How the nonsense Planet X Armageddon and Nasa fake news theories spread globally https://www.telegrap[...] 2024-01-26
[50] conference NEO Research and the IAU https://adsabs.harva[...] IAU 2024-02-22
[51] 웹사이트 Torino Impact Hazard Scale http://cneos.jpl.nas[...] NASA/JPL CNEOS 2024-02-21
[52] 간행물 Torino Impact Hazard Scale
[53] 웹사이트 Palermo Technical Impact Hazard Scale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2024-02-21
[54] 뉴스 Big new asteroid has slim chance of hitting Earth https://www.newscien[...] 2024-01-26
[55] 웹사이트 NEODyS-2 Risk List https://newton.space[...] ESA 2024-02-18
[56] 뉴스 The problem with 2002 CU11 http://spaceguard.rm[...] NEODyS 2018-01-29
[57] 웹사이트 Date/Time Removed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2024-01-26
[58] 웹사이트 Small-Body Database Lookup. 163132 (2002 CU11) https://ssd.jpl.nasa[...] NASA/JPL 2024-01-26
[59] 웹사이트 29075 (1950 DA) Analyses, 2001-2007 http://cneos.jpl.nas[...] NASA/JPL CNEOS 2024-01-26
[60] 간행물 Asteroid 1950 DA's Encounter with Earth in 2880: Physical Limits of Collision Probability Prediction https://cneos.jpl.na[...] 2024-01-26
[61] 간행물 Assessment of the 2880 impact threat from asteroid (29075) 1950 DA 2013
[62] 뉴스 Near-Earth Asteroid 2004 MN4 Reaches Highest Score To Date On Hazard Scale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2024-01-31
[63] 뉴스 NASA Refines Asteroid Apophis' Path Toward Earth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2024-01-31
[64] 뉴스 Possibility of an Earth Impact in 2029 Ruled Out for Asteroid 2004 MN4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2024-01-31
[65] 뉴스 NASA Analysis: Earth Is Safe From Asteroid Apophis for 100-Plus Years https://www.jpl.nasa[...] NASA/JPL 2024-01-31
[66] 뉴스 Asteroid 2004 VD17 classed as Torino Scale 2 http://impact.arc.na[...] NASA 2017-11-10
[67] 웹사이트 2022 recovery of 2010 RF12? https://groups.io/g/[...] 2024-01-26
[68] 뉴스 Giant bombs on giant rockets: Project Icarus http://www.thespacer[...] 2024-01-26
[69] 뉴스 MIT Course precept for movie http://tech.mit.edu/[...] MIT 2017-11-15
[70] conference Vulcano Workshop. Beginning the Spaceguard Survey http://spaceguard.rm[...] IAU 2018-03-13
[71] 웹사이트 Statement on The Threat of Impact by Near-Earth Asteroids before the Subcommittee on Space and Aeronautics of the Committee on Science of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at its hearings on "Asteroids: Perils and Opportunities" http://www.boulder.s[...]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1998-05-21
[72] 웹사이트 NASA on the Prowl for Near-Earth Objects https://www.nasa.gov[...] NASA/JPL 2004-05-26
[73] 뉴스 New telescope will hunt dangerous asteroids https://www.newscien[...] 2006-06-27
[74] 웹사이트 Public Law 109–155–DEC.30, 2005 http://www.gpo.gov/f[...]
[75] 뉴스 Inside the mission to stop killer asteroids from smashing into Earth https://www.newscien[...] 2020-01-22
[76] 웹사이트 Science Goals. What's in our Solar System? https://rubinobserva[...] Vera C. Rubin Observatory
[77] 간행물 The NEO Surveyor Near-Earth Asteroid Known Object Model 2023-12-05
[78] 뉴스 NASA is opening a new office for planetary defense http://www.extremete[...] 2016-01-12
[79] 웹사이트 Planetary Defense Coordination Office https://science.nasa[...] NASA
[80] 웹사이트 Threats From Space: a Review of U.S. Government Efforts to Track and mitigate Asteroids and Meteors (Part I and Part II) – Hearing Before the Committee on Science, Space, and Technology House of Representatives One Hundred Thirteenth Congress First Session http://www.gpo.gov/f[...] United States Congress 2013-03-19
[81] 뉴스 ATLAS: The Asteroid Terrestrial-impact Last Alert System https://www.astronom[...] 2013-02-18
[82] 뉴스 The Zwicky Transient Facility (ZTF) begins http://www.astronome[...] 2018-02-07
[83] 뉴스 First Discovery of a Small Near Earth Asteroid with ZTF (2018 CL) http://www.astronome[...] 2018-02-08
[84] 웹사이트 The NEO Confirmation Page http://www.minorplan[...] IAU/MPC
[85] 간행물 The NEO Confirmation Page
[86] 웹사이트 List Of Potentially Hazardous Minor Planets (by designation) https://www.minorpla[...] IAU/MPC
[87] 웹사이트 NEO Earth Close Approaches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88] 웹사이트 About NEOCC https://neo.ssa.esa.[...] ESA NEOCC
[89] 뉴스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of Near-Earth Asteroids
[90] 뉴스 Mathematicians Say Asteroid May Hit Earth in a Million Years https://www.nytimes.[...] 1996-04-25
[91] 간행물 On the Relative Numbers of C Types and S Types among Near-Earth Asteroids https://articles.ads[...] 1989-11
[92] 웹사이트 Why Infrared? https://neos.arizona[...] UA LPL
[93] 웹사이트 Mission Orbit and Timeline https://neos.arizona[...] UA LPL
[94] 간행물 Origin of the Spacewatch Small Earth-Approaching Asteroids https://www.boulder.[...] 1996-08
[95] 간행물 2. Asteroid Compositional Types and their Distributions
[96] 서적 Origin and Evolution of Near-Earth Objects http://www.boulder.s[...] 2002-01
[97] 간행물 The Yarkovsky-driven origin of near-Earth asteroids 2003-05
[98] 간행물 On the Origins of Earth-Approaching Asteroids 2001-05
[99] 간행물 W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near-Earth asteroids tell us about sources of their origin? 2000-09
[100] 웹사이트 Asteroids with Satellites http://www.johnstons[...] Johnston's Archive 2024-04-05
[101] 뉴스 Radar Reveals Two Moons Orbiting Asteroid Florence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2017-09-01
[102] 뉴스 UW-developed, cloud-based astrodynamics platform to discover and track asteroids https://www.washingt[...] University of Washington 2022-05-31
[103] 뉴스 Asteroid Institute Uses Revolutionary Cloud-Based Astrodynamics Platform to Discover and Track Asteroids https://www.prnewswi[...] B612 Foundation 2022-05-31
[104] 웹사이트 Discovery Statistics. Introduction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2012
[105] 뉴스 Asteroids and Adversaries: Challenging What NASA Knows About Space Rocks https://www.nytimes.[...] 2018-06-14
[106] 뉴스 Asteroid Population Count Slashed https://www.jpl.nasa[...] NASA/JPL 2000-01-12
[107] 간행물 A reduced estimate of the number of kilometer-sized near-Earth asteroids 2000-01-13
[108] 간행물 A Near-Earth Asteroid Population Estimate from the LINEAR Survey 2001-11-23
[109] 간행물 NEOWISE Observations of Near-Earth Objects: Preliminary Results 2011-12-20
[110] 뉴스 WISE's Survey of Near-Earth Asteroids http://www.skyandtel[...] 2024-01-27
[111] 뉴스 Good News Everyone! There are Fewer Deadly Undiscovered Asteroids than we Thought https://www.universe[...] 2017-10-20
[112] 간행물 The near-Earth asteroid population from two decades of observations http://orbit.psi.edu[...] 2017-03-01
[113] 웹사이트 1036 Ganymed (A924 UB) https://ssd.jpl.nasa[...] NASA/JPL 2024-01-25
[114] 간행물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Atira-class asteroid 2019 AQ3, a major step towards the future discovery of the Vatira population 2019-08-01
[115] 간행물 The dis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594913) 'Ayló'chaxnim, a kilometre sized asteroid inside the orbit of Venus https://authors.libr[...] 2024-01-25
[116] 뉴스 Astronomers Discover Asteroid that Flies Close to the Sun https://skyandtelesc[...] 2024-02-14
[117] 웹사이트 Unusual Minor Planets https://minorplanetc[...] IAU/MPC 2024-01-27
[118] 웹사이트 Asteroid Classification I – Dynamics http://minorplanetce[...] IAU/MPC 2018-03-09
[119] 간행물 Dynamical study of the Atira group of asteroids https://academic.oup[...] 2024-01-27
[120] 뉴스 NASA's WISE mission finds first Trojan asteroid sharing Earth's orbit https://www.prnewswi[...] NASA 2024-01-27
[121] 뉴스 Earth has an extra companion, a Trojan asteroid that will hang around for 4,000 years https://www.space.co[...] 2024-04-24
[122] 간행물 A trio of horseshoes: Past, present, and future dynamical evolution of Earth co-orbital asteroids {{mp|2015 XX|169}}, {{mp|2015 YA}} and {{mp|2015 YQ|1}} https://ui.adsabs.ha[...] 2024-02-03
[123] letter An asteroidal companion to the Earth http://www.astro.uwo[...] 2024-01-27
[124] 웹사이트 Cruithne https://astro101.wwu[...]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Planetarium 2024-01-27
[125] 간행물 A long-lived horseshoe companion to the Earth https://academic.oup[...] 2024-01-27
[126] 간행물 Asteroid {{mp|469219|2016 HO|3}}, the smallest and closest Earth quasi-satellite 2016-11-11
[127] 간행물 Lunar ejecta origin of near-Earth asteroid Kamo'oalewa is compatible with rare orbital pathways https://www.nature.c[...] 2024-02-03
[128] 뉴스 Earth's weird 'quasi-moon' Kamo'oalewa is a fragment blasted out of big moon crater https://www.space.co[...] 2024-04-24
[129] 간행물 On the co-orbital asteroids in the solar system: medium-term timescale analysis of the quasi-coplanar objects https://www.scienced[...] 2024-02-07
[130] 뉴스 Corkscrew asteroid http://science.nasa.[...] NASA 2017-11-13
[131] 뉴스 Astronomers have discovered an asteroid that orbits the Sun with Earth, earning it the moniker "quasi-moon." https://skyandtelesc[...] 2024-01-24
[132] 뉴스 Pseudo-moons orbit Earth https://skyandtelesc[...] 2024-02-03
[133] 간행물 Dynamical evolution of near-Earth asteroid 1991 VG 2018-01-01
[134] 뉴스 Earth's "other moon" https://skyandtelesc[...] 2024-01-25
[135] 뉴스 Tiny Object Discovered in Distant Orbit Around the Earth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2024-02-03
[136] 간행물 When the horseshoe fits: Characterizing {{mp|2023 FY|3}} with the 10.4 m Gran Telescopio Canarias and the Two-meter Twin Telescope https://ui.adsabs.ha[...] 2024-02-03
[137] 간행물 Threat from Within: Excitation of Venus's Co-orbital Asteroids to Earth-crossing Orbits 2021-10-01
[138] 간행물 Meteorite and meteoroid: New comprehensive definitions 2010-01-01
[139] 뉴스 Definitions of terms in meteor astronomy (IAU) https://www.imo.net/[...] International Meteor Organization 2024-01-27
[140] 웹사이트 Great Comets in History https://ssd.jpl.nasa[...] NASA/JPL 2024-01-27
[141] 간행물 Meteor Showers from Broken Comets 2005-09
[142] 논문 The Tunguska object – A fragment of Comet Encke 1978
[143] 서적 Report of the Task Force on potentially hazardous Near Earth Objects https://spaceguardce[...] British National Space Centre 2000-09
[144] 서적 Study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Extending the Search for Near-Earth Objects to Smaller Limiting Diameters https://cneos.jpl.na[...] NASA 2003-08-22
[145] 웹사이트 What about the comet that's supposed to hit the Earth in 130 years? https://astrosociety[...]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993
[146] 뉴스 J002E3: An Update http://neo.jpl.nasa.[...] NASA/JPL 2002-10-09
[147] 뉴스 Rocket or Rock? NEO Confusion Abounds http://www.spacesafe[...] 2013-09-25
[148] 웹사이트 MPC Database Search. Unknown object: 2013 QW1 https://minorplanetc[...] IAU/MPC
[149] 뉴스 Earth May Have Captured a 1960s-Era Rocket Booster https://www.jpl.nasa[...] NASA/JPL 2020-11-12
[150] 뉴스 New Data Confirm 2020 SO to Be the Upper Centaur Rocket Booster From the 1960's https://www.jpl.nasa[...] NASA/JPL 2020-12-02
[151] 뉴스 Astronomers defend asteroid warning mix-up https://www.newscien[...] 2007-11-13
[152] 웹사이트 MPEC 2015-H125: Deletion Of 2015 HP116 http://www.minorplan[...] IAU/MPC 2015-04-27
[153] 뉴스 Near-Earth asteroids could be 'steppingstones to Mars' https://www.usatoday[...] 2007-02-02
[154] 논문 Design and optimization of trajectory to Near-Earth asteroid for sample return mission using gravity assists 2007-03-18
[155] 뉴스 NEAR Mission Completes Main Task, Now Will Go Where No Spacecraft Has Gone Before http://nssdc.gsfc.na[...] NASA 2001-01-31
[156] 웹사이트 Hayabusa. The Final Approach. Overview https://hayabusa.jax[...] JAXA
[157] 뉴스 Chang'e 2 imaging of Toutatis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12-12-14
[158] 뉴스 Japanese spacecraft reaches asteroid after three-and-a-half-year journey https://spaceflightn[...] 2018-06-28
[159] 뉴스 Farewell, Ryugu! Japan's Hayabusa2 Probe Leaves Asteroid for Journey Home https://www.space.co[...] 2019-11-13
[160] 뉴스 Hayabusa-2: Capsule with asteroid samples in 'perfect' shape https://www.bbc.com/[...] BBC 2020-12-06
[161] 뉴스 'Exactly Perfect'! NASA Hails Asteroid Sample-Return Mission's Launch https://www.space.co[...] 2016-09-09
[162] 뉴스 NASA's OSIRIS-REx Begins Earth-Trojan Asteroid Search https://www.nasa.gov[...] NASA 2017-02-09
[163] 뉴스 OSIRIS-REx: A complete guide to the asteroid-sampling mission https://www.space.co[...] 2023-09-25
[164] 뉴스 NASA finally opens OSIRIS-REx asteroid sample canister after freeing stuck lid https://www.space.co[...] 2024-01-23
[165] 뉴스 China conducts parachute tests for asteroid sample return mission https://spacenews.co[...] 2023-06-26
[166] 간행물 Hayabusa2#'s Exploration to Asteroids 2001 CC21 and 1998 KY26 Provides Key Insights Into Planetary Defense https://ntrs.nasa.go[...] 2023-02-15
[167] 뉴스 Japan's mission to bizarre asteroid Phaethon delayed to 2025 https://www.space.co[...] 2023-11-06
[168] 뉴스 NASA's DART Mission Hits Asteroid in First-Ever Planetary Defense Test https://www.nasa.gov[...] NASA 2022-09-27
[169] 뉴스 Early Results from NASA's DART Mission http://www.nasa.gov/[...] NASA 2022-12-15
[170] 웹사이트 Hera https://www.esa.int/[...] ESA
[171] 뉴스 China to target asteroid 2019 VL5 for 2025 planetary defense test https://spacenews.co[...] 2023-04-11
[172] 웹사이트 Does Commercial Asteroid Mining Still Have A Future? https://www.forbes.c[...] 2021-08-31
[173] 뉴스 Asteroid Mining for Fun and Profit http://www.skyandtel[...] 2012-04-24
[174] 뉴스 Planetary Resources Launches Latest Spacecraft in Advance of Space Resource Exploration Mission https://www.planetar[...] Planetary Resources 2018-01-12
[175] 뉴스 Planetary Resources' Arkyd-6 prototype imaging satellite has left the building https://www.geekwire[...] 2017-11-13
[176] 뉴스 One year after Planetary Resource faded into history, space mining retails its appeal https://www.geekwire[...] 2019-11-04
[177] 뉴스 An update on our progress towards mining in space https://www.astrofor[...] 2023-12-11
[178] 웹사이트 Falcon 9 Block 5 - PRIME-1 (IM-2) https://nextspacefli[...] 2024-08-26
[179] 뉴스 Asteroid mining startup AstroForge to launch first missions this year https://spacenews.co[...] 2023-01-30
[180] 뉴스 Space mining startup AstroForge aims to launch historic asteroid-landing mission in 2025 https://www.space.co[...] 2024-08-21
[181] 뉴스 Mr. Hartley's Amazing Comet https://skyandtelesc[...] 2010-11-04
[182] 뉴스 Rosetta lands on 67P in grand finale to two year comet mission https://www.newscien[...] 2016-09-30
[183] 웹사이트 Discovery Statistics – Cumulative Totals https://cneos.jpl.na[...] NASA/JPL CNEOS 2019-01-06
[184] 문서 Unusual Minor Planets http://www.cfa.harva[...]
[185] 문서 Ten Thousandth Near-Earth Object Unearthed in Space NASA http://www.jpl.nasa.[...]
[186] 웹사이트 Sentry Risk Table (Current Impact Risks) http://neo.jpl.nasa.[...] NASA/JPL Near-Earth Object Program Office 2014-05-21
[187] 서적 A synopsis of the astronomy of comets https://library.si.e[...] John Senex 1705
[188] 서적 Atlas of Great Come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189] 논문 Finding Long Lost Lexell's Comet: The Fate of the First Discovered Near-Earth Object 2018-03-21
[190] 웹인용 직경 400m 소행성, 11월 8일 달보다 가깝게 지구 지나친다 http://news.mt.co.kr[...] 2011-11-03
[191] 웹인용 Asteroid 2012 DA14 To Pass Very Close to the Earth on February 15, 2013 http://neo.jpl.nasa.[...] NASA/JPL Near-Earth Object Program Office 2015-02-24
[192] 웹인용 Sentry Risk Table http://neo.jpl.nasa.[...] NASA/JPL Near-Earth Object Program Office 2014-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