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폴로 12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폴로 12호는 1969년 11월 14일 발사되어 인류의 두 번째 달 착륙에 성공한 유인 우주 비행 임무이다. 찰스 "피트" 콘래드, 리처드 "딕" 고든, 앨런 빈으로 구성된 승무원은 폭풍의 바다에 착륙하여 정밀 착륙 기술을 입증하고, 서베이어 3호 탐사선의 부품을 회수했다. 두 차례의 선외 활동을 통해 과학 실험 장비를 설치하고 달 암석을 채취했으며, 달 표면에 설치된 지진계는 달 착륙선 인트레피드 상승단의 충돌로 인한 진동을 기록했다. 발사 중 낙뢰로 인한 문제와, 3단 로켓 S-IVB의 궤도 진입 실패 등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하고 11월 24일 지구로 귀환했다. 아폴로 12호 사령선은 버지니아 항공우주센터에 전시되어 있으며, 달 착륙선 인트레피드의 상승단은 달 표면에 충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 달 - 아폴로 11호
아폴로 11호는 1969년 미국 NASA에서 발사된 유인 우주선으로,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하여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을 탐사하고 월석을 채집했으며, 냉전 시대 우주 경쟁에서 미국의 우위 확보와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1969년 재진입한 우주선 - 아폴로 10호
아폴로 10호는 1969년 5월 NASA에서 발사한 아폴로 계획의 유인 우주 임무로, 달 착륙 리허설을 위해 토머스 스태포드, 존 영, 유진 서넌이 달 궤도를 탐사하고 달 착륙선 '스누피'를 이용하여 아폴로 11호의 착륙 예정지를 사전 답사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 1969년 재진입한 우주선 - 아폴로 9호
아폴로 9호는 1969년 3월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미션으로, 아폴로 우주선 전체를 지구 궤도에서 처음 시험하고 달 착륙선의 성능 검증 및 사령선과의 도킹을 포함한 우주 기동 능력을 입증하여 달 궤도 임무 수행 가능성을 확인했다. - 1969년 11월 - 아라카와 사건
아라카와 사건은 1969년 일본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 아라카와 다카시의 지명 거부, 금전 거래 의혹, 상해 사건 등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계약 규정 개정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와 와세다 대학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 1969년 11월 - 미주인권협약
미주인권협약은 미주기구 회원국 간 인권 조약으로, 미주 지역 내 개인의 자유와 사회 정의 시스템을 강화하고 인간의 기본적 권리 보호를 목표로 시민적, 정치적 권리 외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까지 보장하며, 미주인권재판소 해석 및 의정서를 통해 내용이 확대되어 왔다.
아폴로 12호 | |
---|---|
임무 정보 | |
임무 종류 | 유인 달 착륙 (H) |
운영자 | NASA |
COSPAR ID | CSM: 1969-099A LM: 1969-099C |
SATCAT | CSM: 4225 LM: 4226 |
임무 기간 | 10일 4시간 36분 24초 |
우주선 | 사령・기계선 CSM-108 달 착륙선 LM-6 |
제조사 | CSM: North American Rockwell LM: Grumman |
발사일 | 16:22:00 UTC (11:22 EST) |
발사 로켓 | 새턴 V SA-507 |
발사 장소 | 케네디, LC-39A |
착륙일 | 20:58:24 UTC (10:58:24 HST) |
착륙 지점 | 남태평양 () |
궤도 정보 | |
궤도 기준 | 달 궤도 |
궤도 근지점 | (54.59 nmi; ) |
궤도 원지점 | (66.1 nmi; ) |
달 궤도 정보 | |
종류 | 궤도선 |
천체 | 달 |
공전 횟수 | 45 |
도착일 | 1969년 11월 18일 03:47:23 UTC |
출발일 | 1969년 11월 21일 20:49:16 UTC |
달 착륙 정보 | |
종류 | 착륙선 |
구성 요소 | 달 착륙선 (LM) |
도착일 | 1969년 11월 19일 06:54:35 UTC |
출발일 | 1969년 11월 20일 14:25:47 UTC |
위치 | 폭풍의 대양 |
표면 선외 활동 | 2 |
표면 선외 활동 시간 | 총계: 7시간 45분 18초 1회: 3시간 56분 03초 2회: 3시간 49분 15초 |
도킹 정보 | |
도킹 대상 | LM |
도킹 방식 | 도킹 |
도킹 날짜 | 1969년 11월 14일 19:48:53 UTC |
분리 날짜 | 1969년 11월 19일 04:16:02 UTC |
도킹 대상 | LM 상승 단계 |
도킹 방식 | 도킹 |
도킹 날짜 | 1969년 11월 20일 17:58:20 UTC |
분리 날짜 | 1969년 11월 20일 20:21:31 UTC |
승무원 정보 | |
승무원 수 | 3명 |
승무원 | 찰스 콘래드 주니어 앨런 L. 빈 |
콜사인 | CSM: Yankee Clipper (양키 클리퍼) LM: Intrepid (인트레피드) |
기타 정보 | |
이전 미션 | 아폴로 11호 |
다음 미션 | 아폴로 13호 |
프로그램 | 아폴로 계획 |
이미지 | |
![]() | |
![]() | |
![]() |
2. 승무원
아폴로 12호의 승무원은 정규 승무원, 예비 승무원, 지원 승무원, 그리고 비행 관제사로 구성되었다. 정규 승무원은 찰스 콘라드, 리처드 고든, 앨런 빈이 실제 임무를 수행했고, 예비 승무원은 데이비드 스콧, 알프레드 워든, 제임스 어윈이었다. 지원 승무원은 제럴드 P. 카, 에드워드 G. 기브슨, 폴 J. 와이츠였다.[1]
비행 관제사는 제1교대 제리 그리핀, 제2교대 피트 프랑크, 제3교대 클리포드 E. 찰스워스, 제4교대 밀턴 윈들러였다.[2] 캡슐 통신원(CAPCOM)은 스콧, 워든, 어윈, 카, 기브슨, 와이츠 및 돈 린드였다.
아폴로 12호 우주비행사들은 총 1,000시간 이상을 임무 관련 훈련에 할애했다. 콘래드와 빈은 사령선(CM)과 LM 시뮬레이터에서 400시간 이상 훈련을 받았고, 일부는 미션 통제실과 실시간으로 연결되었다. 콘래드는 달 착륙 훈련 차량(LLTV)을 조종하여 달 착륙을 연습했다.
콘래드는 NASA 지질학자들과 만나 달 표면 활동 훈련을 아폴로 11호와 거의 동일하게 진행하되, 언론 참여는 최소화했다. 1969년 7월 아폴로 11호 귀환 후 지질학 연구에 더 많은 시간이 할당되었지만, 우주비행사들은 시뮬레이터 훈련에 집중했다. 이들은 달에서처럼 샘플을 수집하고 사진을 찍는 연습을 했고, CAPCOM 및 지질학자들과 소통했다.
아폴로 11호는 특정 지점이 아닌 타원형 착륙 구역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지질학 횡단 계획이 없었다. 아폴로 12호는 NASA 지질학 팀이 승무원과 만나 콘래드와 빈을 위한 경로를 요청했고, LM의 4개 잠재적 착륙 지점을 기반으로 4개의 횡단로가 마련되었다.
달 착륙선 LM-6 단계는 1969년 3월 24일 케네디 우주 센터(KSC)에 인도되었고, 4월 28일에 결합되었다. 사령선 CM-108과 서비스 모듈 SM-108은 3월 28일에 KSC에 인도되었고, 4월 21일에 결합되었다. 장비 설치 및 테스트 후 발사체는 우주선을 싣고 1969년 9월 8일 발사 단지 39A로 이동했다. 훈련 일정은 1969년 11월 1일에 완료되었다.
2. 1. 정규 승무원


- 찰스 콘라드 - 선장
- 리처드 고든 - 사령선 조종사
- 앨런 빈 - 달착륙선 조종사
해군 소속 아폴로 12호 승무원의 사령관은 당시 39세였던 찰스 "피트" 콘래드였다. 그는 1953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항공 공학 학사 학위를 받은 후 해군 비행사가 되었고, 미국 해군 비행 시험 학교를 퍼턱센트 리버 해군 항공 기지에서 졸업했다. 1962년 두 번째 우주 비행사 그룹에 선발되었고, 1965년 제미니 5호에 탑승했으며, 1966년에는 제미니 11호의 사령 조종사로 활동했다.
아폴로 12호 당시 40세였던 사령선 조종사 리처드 "딕" 고든 역시 1953년에 워싱턴 대학교에서 화학 학위를 받고 해군 비행사가 되었으며, 퍼턱센트 리버에서 비행 시험 학교를 졸업했다. 1963년 3기 우주 비행사로 선발된 그는 콘래드와 함께 제미니 11호에 탑승했다.[1]
콘래드가 함께 일할 달 착륙선 조종사로 처음 배정받은 사람은 클리프턴 C. 윌리엄스 주니어였지만, 그는 1967년 10월 T-38기를 조종하다가 탤러해시 근처에서 추락하여 사망했다. 콘래드는 승무원을 구성하면서 비행 시험 학교에서 자신의 제자였던 앨런 L. 빈을 원했지만, 비행 승무원 운영 이사 데케 슬레이튼은 빈이 아폴로 응용 프로그램에 배정되어 기용할 수 없다고 하였다. 윌리엄스가 사망한 후 콘래드는 다시 빈을 요청했고, 이번에는 슬레이튼이 요청을 받아들였다. 임무를 수행했을 때 37세였던 빈은 1955년 텍사스 대학교에서 항공 공학 학위를 받았다. 해군 비행사이기도 했던 그는 1963년에 고든과 함께 선발되었고, 아폴로 12호에서 처음으로 우주 비행을 했다.[2] 아폴로 12호의 세 승무원은 1969년 초에 아폴로 9호를 지원했다.[3]
2. 2. 예비 승무원
데이비드 스콧이 사령관, 알프레드 워든이 사령선 조종사, 제임스 어윈이 달 착륙선 조종사를 맡았다.[3] 이들은 아폴로 15호의 승무원이 되었다.[3]
2. 3. 지원 승무원
아폴로 12호의 지원 승무원은 제럴드 P. 카, 에드워드 G. 기브슨, 폴 J. 와이츠였다.[1] 이들은 임무 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임무 규칙, 비행 계획,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업데이트하는 일을 맡았다.2. 4. 비행 지휘자
팀 색상 | 이름 | 역할 |
---|---|---|
골드 팀 | 게리 그리핀 | 비행 책임자 |
오렌지 팀 | 페테 프랭크 | 비행 책임자 |
그린 팀 | 클리프 찰스워스 | 비행 책임자 |
마룬 팀 | 밀튼 윈들러 | 비행 책임자 |
아폴로 12호는 발사 당시 기상 상태가 좋지 않았다. 지상 요원 중 일부는 발사 중지를 권고했지만, 관제 센터는 발사를 강행했다. 발사 후 수십 초 뒤, 뇌운에서 발생한 번개가 새턴 V 로켓을 직격했고, 전류는 로켓 배기가스를 통해 지표로 방출되었다. 이 사고로 사령선의 장치 전원이 꺼져 관제실은 몇 초 동안 사령선으로부터의 텔레메트리(원격 측정)를 수신할 수 없게 되었다.[34] 곧 텔레메트리 수신은 회복되었지만, 데이터가 잘못되어 있었다.
아폴로 시대의 비행 관제사는 "비행 관제사는 승무원의 안전과 임무 성공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수 있다."라는 한 문장으로 직무가 요약되었다.[2]
3. 준비
관제실의 전기·환경·소모품 담당관 존 아론은 텔레메트리 데이터 문제의 원인이 로켓의 신호 제어 장치(SCE) 고장이라고 판단했다. 신호 제어 장치는 우주선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며, 낙뢰 등으로 우주선의 전기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한다.
아론은 승무원에게 신호 제어 장치 스위치를 보조 세트 옆으로 전환하도록 지시했다. 달 착륙선 조종사 앨런 빈은 1년 전 훈련에서 이와 같은 상황을 가정한 훈련을 받았기 때문에 SCE 스위치 위치를 기억하고 있었다. 존 아론의 빠른 판단과 앨런 빈의 기억 덕분에 데이터를 복구하여 미션은 중단되지 않았다. 텔레메트리가 회복되자 승무원은 지구 주회 대기 궤도에 진입하여 달로 향하기 전, 제3단 로켓 S-IVB를 재점화하기 전에 우주선의 모든 기능을 점검했다.
아폴로 12호의 S-IVB는 원래 달 착륙선 분리 후 남은 추진제를 방출하여 태양 주회 궤도에 진입시킬 예정이었다. 그러나 제3단 점화 시 모터가 예정보다 오래 연소하여 지구 궤도를 탈출할 수 없었다. 결국 제3단은 1969년 11월 18일에 달을 통과한 후 지구를 공전하는 준안정 궤도에 머물렀다. 1971년에 태양 주회 궤도에 진입했지만, 약 31년 후인 2002년에 다시 지구 주회 궤도로 돌아왔다. 이 제3단은 2002년 9월 3일 아마추어 천문학자 빌 영에 의해 발견되었고, 인공 천체로 확인되기 전까지 J002E3라는 임시 명칭이 붙여졌다.[5][6]
아폴로 12호는 이전의 무인 탐사선(루나 5호, 서베이어 3호, 레인저 7호)이 방문했던 폭풍의 바다가 있는 지역에 착륙했다. 국제 천문 연맹은 이를 기념하여 이 부근을 '기존의 바다'라고 명명했다. 달 표면 지도에는 아폴로 12호의 착륙 지점이 '기존의 바다 기지'(Statio Cognitium)라고 기록되어 있다. 콘라드와 빈은 착륙 지점에 정식 이름을 붙이지 않았지만, 콘라드는 착륙 목표 지점을 ''피트의 주차장''(Pete's Parking Lot)이라고 불렀다.
아폴로 12호는 아폴로 11호에 이어 두 번째로 달에 착륙했으며, 고정밀 착륙을 목표로 하였다. 달 표면에 착륙하는 과정은 콘라드가 수동으로 몇 차례 수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자동으로 진행되었다. 아폴로 11호는 지정된 목표 지점에서 크게 벗어났지만, 아폴로 12호는 11월 19일 목표 지점에 정확하게 착륙했다.
아폴로 11호에 사용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발사 전 기자 회견에서 컴퓨터 시스템과 연료 탑재량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졌다는 언급이 있었다.
3. 1. 착륙 지점 선정
아폴로 11호의 성공에 힘입어, NASA 기획 조정관 잭 세비어와 휴스턴의 유인 우주 비행 센터 엔지니어들은 우주 비행사들이 1967년 서베이어 3호 탐사선이 착륙했던 분화구 근처에 착륙하여 지구로 가져갈 부품을 가져올 수 있도록 제안했다.[3] 정밀 착륙 능력을 입증하는 것은 아폴로 탐사 프로그램 수행에 필수적이었다. 1969년 7월 25일, 아폴로 프로그램 매니저 새뮤얼 필립스는 서베이어 분화구를 착륙 지점으로 지정했다.[3]
아폴로 12호는 1967년 4월에 서베이어 3호가 착륙한 지점에서 가까운 거리(200m 이내)에 착륙했다.[36] 콘라드는 달 착륙선 ''인트레피드''를 예정하고 있던 ''피트의 주차장''에서 580피트(177m) 정도 앞에 착륙시켰는데, 이는 착륙 최종 단계에서 예정 지점이 예상보다 요철이 많아 보였기 때문이다. 당초 착륙 예정 지점은 서베이어 3호로부터 약 1,180피트(360m) 떨어진 지점이었으나, ''인트레피드''의 강하 중 엔진 분사로 인해 달의 모래가 날려 서베이어 3호에 닿는 것을 막기 위해 이 거리를 두었다.[37] 실제 착륙 지점은 서베이어 3호에서 600피트(183m) 지점이었기 때문에, 서베이어 3호에는 희미하게 티끌이 쌓여 조금 햇볕에 그을린 것 같은 색이 되었다.[38]
3. 2. 훈련
아폴로 12호 승무원들은 달 표면 활동, 사령선 및 달 착륙선 시뮬레이터 훈련, 달 착륙 훈련 차량 (LLTV) 조종 등 총 1,000시간 이상의 임무 관련 훈련을 받았다. 특히 지질학 현장 방문 훈련을 통해 달 샘플 채취 및 사진 촬영 기술을 연마했다.[1]
4. 장비
아폴로 12호의 우주선은 사령선 108호(''Yankee Clipper'')와 서비스 모듈 108호, 달 착륙선 6호(''Intrepid''), 발사 탈출 시스템 (LES), 우주선-달 착륙선 어댑터 15호 (SLA-15)로 구성되었다. 아폴로 11호와 비교하여 사령선에는 수소 분리기가 추가되었고, 달 착륙선에는 과학 실험 패키지 설치를 위한 구조 변경, 해먹 추가, 컬러 텔레비전 카메라 탑재 등의 변화가 있었다.[15]
콘래드와 빈은 달에 미국 국기를 꽂은 후, 첫 번째 선외 활동(EVA) 시간 대부분을 아폴로 달 표면 실험 패키지(ALSEP)를 설치하는 데 할애했다.[18] 설치 과정에서 빈은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의 플루토늄 연료 원소를 보호용 케이스에서 꺼내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우주 비행사들은 망치로 케이스를 두드려 연료 원소를 빼내야 했다. 일부 ALSEP 패키지 설치에도 어려움이 있었지만, 우주 비행사들은 모든 설치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18]
4. 1. 발사체
아폴로 12호에는 새턴 V 로켓 (SA-507)이 사용되었으며, 아폴로 11호와 비교하여 큰 변화는 없었다. 발사체에는 17개의 계측 측정치가 추가되어 총 1,365개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었다.[11]발사 당시 기지 주변의 기후는 불안정했다. 발사 후 36.5초와 52초에 새턴 V 로켓은 뇌운으로부터 발생한 번개에 직격당했다.[12] 이 사고로 사령선의 장치 전원이 떨어져 관제실은 몇 초간 텔레메트리를 수신할 수 없게 되었다. 텔레메트리 수신은 곧 회복되었지만, 데이터에 이상이 발생하여 관제실의 전기·환경·소모품 담당관 존 아론은 신호 제어 장치(SCE)의 고장을 의심했다.
존 아론은 "SCE를 보조로 전환하라"고 무선으로 호출했다. 이는 SCE의 전원을 예비용으로 전환하는 조작이었다. 앨런 빈은 1년 전 훈련에서 이와 같은 상황을 겪었기 때문에 SCE 스위치 위치를 기억하고 있었다. 존 아론의 빠른 판단과 앨런 빈의 기억 덕분에 데이터는 복구되었고, 미션은 중단되지 않았다. 텔레메트리 회복 후 승무원은 지구 주회 대기 궤도에서 달로 향하기 위한 제 3단 로켓 S-IVB를 재점화하기 전 우주선의 모든 기능을 회복 및 점검할 수 있었다.
4. 1. 1. 3단 궤적
아폴로 12호는 폭풍우 속에서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예정된 시각에 발사되었다. 발사장에는 당시 미국 대통령인 리처드 닉슨이 참석했는데, 이는 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발사 후 36.5초 후, 기체에 낙뢰가 직격했다. 전류는 로켓의 배기가스를 타고 내려와 땅으로 방전되었다. 기계선의 연료 전지 브레이커는 이 때 오작동하여 과부하를 감지, 세 개의 전지 모두와 사령선 및 기계선의 거의 모든 장비를 차단시켰다. 52초 후에도 두 번째 낙뢰를 맞아, "8볼"식 자세 지시기가 멈춰버렸다. 관제 센터로 전송되는 원격 측정 데이터는 완전히 혼란스러워졌지만, 새턴 5호 로켓에 탑재된 자동 비행 제어 장치는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로켓은 정상적으로 비행을 계속했다.연료 전지 3개가 모두 멈추면서 우주선은 완전히 비상 배터리에 의존해야만 했지만, 이는 평상시 28볼트의 전압을 발사 시 75암페어라는 고부하로 유지할 수 없었기에, 인버터 중 하나가 멈췄다. 이 전원 문제로 인해 계기판의 모든 경고등이 켜졌고, 대부분의 장비가 "고장"으로 표시되었다.
NASA의 관제관 존 아론 (John Aaron)은 아폴로 계획 초기에 실시되었던 한 가지 시험 결과를 기억하고 있었다. 그 시험은 신호 조절 장치(Signal Conditioning Equipment, SCE)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을 재현하는 것이었다. SCE는 장비에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를 우주선의 계기판이나 원격 측정 부호기에 표시하기 위해 표준 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32]
아론은 "SCE를 보조로 전환하라"고 무선으로 호출했다. 이것은 SCE의 전원을 예비용으로 전환하는 조작이었지만, 비행 책임자인 제럴드 그리핀 (Gerald Griffin), 우주선 통신 담당관(Capsule communicator, CAPCOM) 제럴드 카 (Gerald Carr), 선장인 콘래드는 즉시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없었다. 그 중 사령선의 가장 오른쪽 자리에 앉아 있던 착륙선 조종사인 앨런 빈만이 비슷한 상황을 재현했던 1년 전 훈련에서 SCE 전환 조작을 했던 것을 기억하고 있었다. 아론의 신속한 대처와 앨런 빈의 기억 덕분에 비상 탈출 로켓을 작동시켜 비행을 중단하는 사태는 면할 수 있었다. 그 후 앨런 빈이 연료 전지를 재가동시키고 원격 측정 데이터도 복구되면서, 발사는 무사히 속행되었다. 대기 궤도에 진입하자, 비행사들은 전이 궤도 진입을 위한 새턴 로켓 3단 S-IVB의 재점화를 대비하여 우주선을 꼼꼼히 점검했다. 낙뢰는 결국 우주선에 심각한 피해를 주지는 않았다.
관제실에서는 낙뢰로 사령선의 낙하산 전개 장치의 일부가 오작동하여 점화된 것이 아닌가 우려했다. 만약 그렇게 되었다면, 낙하산을 펴기 위한 폭발 볼트가 작동하지 않아 사령선은 태평양에 추락할 것이었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는 실제로 점화되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었고, 점화되었다는 것을 확인했더라도 대처 방법이 없었기에, 관제실은 이러한 우려를 비행사들에게 알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결국 낙하산은 비행 마지막에 정상적으로 전개되었고, 비행사들은 무사히 태평양에 착수했다.
3단 S-IVB는 착륙선을 분리한 후 태양을 주회하는 궤도에 진입하도록 되어 있었다. 지상으로부터의 명령으로 보조 추진 장치를 점화, 탱크 내에 남은 연료를 방출하여 속도를 줄이고, 달의 후방을 통과하도록 궤도가 변경되었다 (아폴로 우주선은 항상 전방을 통과하는 궤도로 달에 접근했다). 이것으로 달의 중력에 의한 스윙바이 효과를 받아 속도가 증가하여 태양을 도는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었지만, 로켓의 자동 비행 제어 장치 내에서 상태 상태 벡터에 작은 오류가 발생했다. 그 결과, 달 표면을 통과할 때 고도가 예정보다 너무 높아져 지구 탈출 속도에 도달할 수 없었다. 최종적으로 S-IVB는 1969년 11월 18일에 달을 통과한 후, 잠정적인 지구 주회 궤도에 남게 되었다. 1971년에 일시적으로 지구 주회 궤도에서 탈출했지만, 31년 후인 2002년에는 다시 지구의 중력에 포획되었다. 같은 해 9월 3일, 홍콩 출신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양광위에 의해 발견되어 인공물임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잠정적으로 J002E3의 소행성 번호가 부여되었다.[33][34]
4. 2. 우주선
아폴로 12호 우주선은 사령선 108호 (''Yankee Clipper'')와 서비스 모듈 108호, 달 착륙선 6호 (''Intrepid''), 발사 탈출 시스템 (LES), 우주선-달 착륙선 어댑터 15호 (SLA-15)로 구성되었다. 아폴로 11호와 비교하여 사령선에는 수소 분리기가 추가되었고, 달 착륙선에는 과학 실험 패키지 설치를 위한 구조 변경, 해먹 추가, 컬러 텔레비전 카메라 탑재 등의 변화가 있었다.[15]4. 3. ALSEP
달에 미국 국기를 꽂은 후, 콘래드와 빈은 첫 번째 선외 활동(EVA)의 나머지 시간 대부분을 아폴로 달 표면 실험 패키지(ALSEP)를 설치하는 데 할애했다.[18] 설치에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다. 빈은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의 플루토늄 연료 원소를 보호용 케이스에서 꺼내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우주 비행사들은 망치로 케이스를 두드려 연료 원소를 빼내야 했다. 일부 ALSEP 패키지는 설치하기 어려웠지만, 우주 비행사들은 모든 경우에 성공했다.[18]
5. 임무 진행
리처드 고든은 달 착륙선이 달 표면에 있는 동안 사령선 ''Yankee Clipper''에 남아 달 궤도를 돌았다. 달 착륙선(LM)이 출발한 후, 미션 통제실이 달 착륙에 집중하는 동안 고든은 별다른 말을 하지 않았다. 착륙이 완료되자 고든은 축하 인사를 보냈고, 다음 궤도에서 LM과 서베이어를 지상에서 발견하여 그 위치를 휴스턴에 알렸다.[19]
고든은 첫 번째 선외 활동 동안 궤도면 변경 기동을 준비했는데, 이는 달의 자전을 보상하기 위해 CSM의 궤도를 변경하는 연소였지만, 콘래드와 빈이 같은 통신 회선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휴스턴과의 통신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고든은 궤도에 혼자 있는 동안, CM의 창문 중 하나를 통해 4대의 하셀블라드 카메라를 고리 모양으로 배열하고 조준하여 달 다중 분광 사진 실험을 수행했다. 각 카메라에는 다른 색상 필터가 부착되어, 각 카메라가 동시에 사진을 찍어 스펙트럼의 다른 지점에서 달 지형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미지 분석을 통해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거나 일반 컬러 필름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색상을 밝혀낼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인간이 방문하지 않을 지역의 구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된 지역 중에는 향후 아폴로 임무의 예상 착륙 지점도 포함되었다.
5. 1. 발사

1969년 11월 14일 16:22:00 UTC, 아폴로 12호는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었다. 발사 당시 리처드 닉슨 대통령과 스피로 애그뉴 부통령이 참석했는데, 이는 현직 미국 대통령이 유인 우주 발사를 목격한 첫 사례였다.[31] 발사 36.5초 후, 기체에 낙뢰가 직격했다. 전류는 로켓의 배기가스를 타고 내려와 땅으로 방전되었다. 기계선의 연료 전지 브레이커가 오작동하여 세 개의 전지 모두와 사령선 및 기계선의 거의 모든 장비가 차단되었다. 52초 후에도 두 번째 낙뢰를 맞아, "8볼"식 자세 지시기가 멈춰버렸다.[32]
연료 전지 3개가 모두 멈추면서 우주선은 비상 배터리에 의존해야만 했지만, 이는 평상시 28V 전압을 발사 시 75A라는 고부하로 유지할 수 없었기에, 인버터 중 하나가 멈췄다. 이 전원 문제로 인해 계기판의 모든 경고등이 켜졌고, 대부분의 장비가 "고장"으로 표시되었다.
NASA 관제관 존 아론(John Aaron)은 신호 조절 장치(Signal Conditioning Equipment, SCE)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을 재현하는 시험 결과를 기억하고 "SCE를 보조로 전환하라"고 무선으로 호출했다. 이것은 상당히 이해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비행 책임자, 우주선 통신 담당관(CAPCOM), 선장인 콘래드는 즉시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없었다. 사령선의 가장 오른쪽 자리에 앉아 있던 착륙선 조종사 앨런 빈만이 1년 전 훈련에서 SCE 전환 조작을 했던 것을 기억하고 있었다. 아론의 신속한 대처와 빈의 기억 덕분에 비상 탈출 로켓을 작동시켜 비행을 중단하는 사태는 면할 수 있었다. 그 후 빈이 연료 전지를 재가동시키고 원격 측정 데이터도 복구되면서, 발사는 무사히 속행되었다. 대기 궤도에 진입하자, 비행사들은 전이 궤도 진입을 위한 새턴 로켓 3단 S-IVB의 재점화를 대비하여 우주선을 꼼꼼히 점검했다. 낙뢰는 결국 우주선에 심각한 피해를 주지는 않았다.[33][34]
5. 2. 달 궤도 진입 및 착륙



착륙선 "인트레피드"는 1969년 11월 19일, 폭풍의 바다에 착륙했다.[35] 이 지점에는 이전에도 루나 5호, 서베이어 3호, 레인저 7호 등 몇몇 무인 탐사선이 도달했었다. 국제천문연맹은 이 지역을 "인지해 (Mare Cognitum)"라고 명명했다. 착륙 지점의 달 표면 좌표는 남위 3.01239°, 서경 23.42157°로, 이후 달 표면 지도에는 "Statio Cognitum"으로 등록될 예정이었다. 콘라드와 빈은 자신들이 착륙한 장소에 공식적으로 이름을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콘라드는 착륙 지점을 개인적으로 "피트의 주차장 (Pete's Parking Lot)"이라고 불렀다.
아폴로 12호의 달 착륙은 향후 아폴로 계획에 필요했던 "목표 지점에 정확하게 도달"하는 연습이었다. 하강의 대부분은 자동으로 이루어졌고, 콘라드가 조작한 것은 마지막 수백 피트의 조종뿐이었다. 11호에서는 착륙 지점에 큰 바위가 흩어져 있어 닐 암스트롱 선장이 컴퓨터가 목표로 정한 예정 비행 경로에 착륙선을 맞추기 위해 수동으로 제어해야 했지만, 12호는 처음에 목표로 정했던 지점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 그곳은 1967년 4월에 탐사선 서베이어 3호가 착륙했던 지점에서 걸어갈 수 있는 거리였다.[36] 인류가 이전에 발사한 탐사선과 지구 이외의 세계에서 "재회"하는 것은, 이후에도 이것이 유일한 사례였다.
인트레피드가 착륙한 곳은, 실제로 "피트의 주차장"보다 약 176.78m (177m) 앞선 지점이었다. 이는 목표 지점의 요철이 예상보다 심해 보였기 때문에, 콘라드가 최종 단계에서 급하게 착륙 지점을 변경했기 때문이다. 처음 인트레피드는 하강용 엔진의 배기 가스로 인해 날아오는 달 표면의 모래가 서베이어 3호를 덮어 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37] 약 359.66m (360m) 떨어진 지점에 착륙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콘라드의 조작에 의해 실제 거리는 약 182.88m (183m)로 좁혀져, 서베이어 3호는 고속의 먼지 바람에 휩쓸리게 되었다. 나중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 먼지 바람은 오히려 서베이어를 덮고 있던 먼지를 날려 버리는 결과가 되었다. 처음에 비행사가 관찰했을 때, 서베이어 3호는 원래 얇은 먼지 층에 덮여 있었기 때문에 옅은 갈색으로 보였다. 그 후 비행사가 가까이서 살펴보니, 착륙선의 배기 가스에 노출된 부분은 먼지가 날아가 원래 색인 흰색에 가까워졌다.[38]
콘래드가 달 표면에 착륙했을 때의 첫 마디는 "우히요! (Whoopie!), 닐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었을지 몰라도 나에게는 큰 발걸음이다!"였다.[39][40] 이것은 즉흥적으로 한 발언이 아니었다. 그는 언론인 오리아나 팔라치와 달 표면에 발을 디디는 순간 이 발언을 할지에 대해 500USD를 걸고 내기를 했다. 팔라치는 11호의 닐 암스트롱 선장의 "이것은 한 인간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라는 발언이 너무 모범적이라고 생각하여, NASA가 사전에 그렇게 말하도록 지시했을 것이라고 의심했다. 콘래드의 발언은 덩치가 큰 암스트롱과 키가 160cm대인 자신을 비교한 농담이기도 했다. 콘래드가 나중에 말하기를, 그는 결국 팔라치로부터 내기 돈을 받아낼 수 없었다.[41][42]
5. 3. 달 표면 활동
콘래드와 빈은 두 차례의 선외 활동(EVA)을 통해 달 표면에서 총 7시간 45분 동안 과학 실험, 샘플 채취, 사진 촬영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39][40]활동 | 내용 | 시간 |
---|---|---|
선외 활동 1 | 아폴로 달 표면 실험 장비(ALSEP) 설치, 달 암석 채집, 태양풍의 강도, 자기장 등을 계측 | 3시간 56분 03초 |
선외 활동 2 | 서베이어 3호 탐사선 방문 및 부품 회수, 주변 지역 탐사 및 샘플 채취 | 3시간 49분 15초 |
콘래드가 달 표면에 착륙했을 때의 첫 마디는 "우히요! (Whoopie!), 닐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었을지 몰라도 나에게는 큰 발걸음이다!"였다.[39][40] 그는 언론인 오리아나 팔라치와 이 발언에 대해 500USD를 걸고 내기를 했다.[41][42] 콘래드의 발언은 덩치가 큰 닐 암스트롱과 키가 160cm대인 자신을 비교한 농담이기도 했다. 콘래드는 나중에 내기 돈을 받아낼 수 없었다고 말했다.[41][42]
아폴로 12호는 달 표면에서 찍은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컬러 텔레비전 카메라를 가져갔다. 그러나 빈이 실수로 카메라 렌즈를 태양에 향하게 하여 촬상관이 망가져 버렸다.[43] 그 결과, 달 표면에서의 컬러 중계는 좌절되었다.
아폴로 12호는 서베이어 3호에 매우 가까운 거리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고, 콘래드와 빈은 3호의 기기 일부를 떼어내 분석을 위해 지구로 가져왔다.
콘래드와 빈은 암석을 채취하는 한편, 달의 지진 빈도, 태양풍 유량, 자기장 등을 측정하는 기기와 지구와의 중계기 등을 달 표면에 설치했다. 이러한 기기들은 아폴로 달 표면 실험 장비(Apollo Lunar Surface Experiments Package, ALSEP)라고 불리는 것으로, 원자력으로 작동하며, 달 표면에서의 관측 결과를 장기간에 걸쳐 지상으로 전송했다.
착륙선 인트레피드의 하강단에 부착된 명판은 몇 가지 점에서 아폴로의 다른 비행의 것들과 비교해 독특했다. 먼저 (a) 지구에 관한 기술이 없었고, (b) 구성이 달랐다는 점이다 (다른 비행에서는 광택이 나는 스테인리스 강판에 검은 글씨로 글자가 쓰여 있었지만, 12호에서는 판을 평평하게 연마한 위에 광택이 나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글자를 새겼다).
5. 4. 달 궤도 단독 활동
리처드 고든은 달 착륙선이 달 표면에 있는 동안 사령선 ''Yankee Clipper''에 남아 달 궤도를 돌았다. 달 착륙선(LM)이 출발한 후, 미션 통제실이 달 착륙에 집중하는 동안 고든은 별다른 말을 하지 않았다. 착륙이 완료되자 고든은 축하 인사를 보냈고, 다음 궤도에서 LM과 서베이어를 지상에서 발견하여 그 위치를 휴스턴에 알렸다.[19]
고든은 궤도에 혼자 있는 동안, CM의 창문 중 하나를 통해 4대의 하셀블라드 카메라를 고리 모양으로 배열하고 조준하여 달 다중 분광 사진 실험을 수행했다. 각 카메라에는 다른 색상 필터가 부착되어, 각 카메라가 동시에 사진을 찍어 스펙트럼의 다른 지점에서 달 지형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미지 분석을 통해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거나 일반 컬러 필름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색상을 밝혀낼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인간이 방문하지 않을 지역의 구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된 지역 중에는 향후 아폴로 임무의 예상 착륙 지점도 포함되었다.
5. 5. 귀환
달 착륙선 ''인트레피드''는 달 표면에 약 31시간 30분 동안 머문 후, 1969년 11월 20일에 달 궤도로 복귀하여 사령선과 도킹했다.[19] 승무원들은 달 궤도에서 하루 더 머물며 사진 촬영을 했다. 이후 지구 귀환 궤도에 진입하여 1969년 11월 24일 UTC 20시 58분 (미국 동부 표준시 3시 58분, 하와이-알류샨 표준시 10시 58분)에 태평양 상 아메리카령 사모아 동쪽 약 약 804.67km 지점에 착수했다.[45] 착수 당시 16mm 필름 카메라가 수납함에서 떨어져 앨런 빈의 이마를 쳐서 그는 6바늘을 꿰매는 상처를 입었고, 가벼운 뇌진탕으로 잠시 의식을 잃었다. 비행사들은 항공모함USS 호넷에 의해 회수되었다.6. 임무 성과 및 의의
아폴로 12호는 1969년 11월 14일 플로리다주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어, 아폴로 11호에 이어 두 번째로 달 착륙에 성공한 임무이다. 선장 피트 콘래드와 달 착륙선 조종사 앨런 빈은 폭풍의 대양 남부에 착륙하여 1일 7시간 동안 달 표면에서 선외 활동을 수행했다. 한편, 사령선 조종사 리처드 고든은 달 궤도에 머물렀다.
아폴로 12호는 1967년 4월 20일에 착륙한 서베이어 3호 탐사선 근처에 정밀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아폴로 계획에서 중요한 기술적 진보를 보여주는 성과였다. 비록 아폴로 12호는 최초로 컬러 텔레비전 카메라를 탑재했지만, 빈의 실수로 카메라가 손상되어 중계 방송은 실패했다.[1]
우주비행사들은 두 차례의 선외 활동을 통해 서베이어 3호의 부품 일부를 떼어 지구로 가져왔다. 이를 통해 우주 환경이 장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었다.[2] 아폴로 12호는 11월 24일 지구로 귀환하여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3]
아폴로 12호는 기본적으로 아폴로 11호와 동일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했지만, 컴퓨터 시스템과 연료 탑재량 측면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4]
7. 사후 관리 및 우주선 위치
아폴로 12호 사령선 '양키 클리퍼'는 버지니아주 햄프턴의 버지니아 항공우주센터(Virginia Air and Space Center)에 전시되어 있다.[52]
착륙선 '인트레피드'의 상승단은 1969년 11월 20일 22시 17분 17.07초 (미국 동부 표준시 5시 17분)에 달 표면에 충돌했다.
2009년, 달 정찰 궤도선(LRO)은 아폴로 12호의 착륙 지점을 촬영하여 '인트레피드'의 하강단, 관측 장비 (ALSEP), 서베이어 3호, 비행사들의 발자국 등을 확인했다.[53] 2011년, LRO는 더욱 고해상도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고도를 낮춰 다시 착륙 지점에 접근했다.[54]
8. 기타
아폴로 12호 승무원들은 모두 해군 출신으로, 임무 휘장에 클리퍼선을 그려 넣어 해군과의 연관성을 강조했다. 휘장의 파란색과 금색은 미국 해군의 전통적인 색상이다. 휘장에 있는 네 개의 별 중 세 개는 임무를 수행한 승무원들을, 나머지 하나는 1967년에 사망한 클리프턴 윌리엄스를 나타낸다.[46]
승무원들은 달 표면에서 사용할 체크리스트에 플레이보이 잡지 사진을 몰래 숨겨 넣는 장난을 쳤다. 예비 승무원들이 플레이메이트 사진을 숨겨 콘래드와 빈을 놀라게 하려 한 것이다.[47][48] 콘래드의 체크리스트에는 1967년 9월의 미스 안젤라 도리안과 10월의 미스 레건 윌슨의 사진이, 빈의 체크리스트에는 1968년 12월의 미스 신시아 마이어스와 1969년 1월의 미스 레슬리 비안키니의 사진이 있었다. 각 사진에는 여성의 신체를 빗댄 표현이나 서베이어를 이용한 말장난 등의 캡션이 적혀 있었다.[47][48]
조각가 포레스트 마이어스(Forrest Myers)는 착륙선 ''Intrepid''의 다리 안에 "달의 박물관(Moon Museum)"이라는 작은 작품을 숨겨두었다고 주장한다.[51]
참조
[1]
간행물
The fourth crewmember
https://www.airspace[...]
2019-10-04
[2]
뉴스
A legendary tale, well-told
https://news.rice.ed[...]
Rice University Office of Public Affairs
2012-09-13
[3]
간행물
"A Pinpoint on the Ocean of Storms: Finding the Target for Apollo 12" (with Ewen A. Whitaker)
https://www.academia[...]
2024-11-18
[4]
웹사이트
Lunar Landing Training Vehicle NASA 952
https://history.nasa[...]
NASA
2021-01-04
[5]
뉴스
J002E3: An Update
http://neo.jpl.nasa.[...]
nasa.gov
2013-09-18
[6]
간행물
Observations of J002E3: Possible Discovery of an Apollo Rocket Body
2003-05
[7]
뉴스
Apollo spaceships have name with salty ring
https://timesmachine[...]
1969-11-15
[8]
뉴스
NASA giving Bendix $17 million lunar pact
https://aadl.org/aa_[...]
1966-03-17
[9]
웹사이트
Houston, we have a solution, part 3
https://spectrum.iee[...]
2019-09-08
[10]
뉴스
What did the Apollo astronauts leave behind?
https://astronomy.co[...]
2019-06-21
[11]
웹사이트
Launch Weather
https://history.nasa[...]
NASA
2021-01-07
[12]
웹사이트
Day 1, Part 1: Launch and Reaching Earth Orbit
https://history.nasa[...]
NASA
2021-03-03
[13]
서적
What Made Apollo a Success?
https://history.nasa[...]
NASA
2011-11-07
[14]
웹사이트
Day 1, part 3: Transposition, Docking and Extraction
https://history.nasa[...]
NASA
2021-01-08
[15]
웹사이트
Apollo 12 – The Sixth Mission: The Second Lunar Landing
https://history.nasa[...]
NASA
2019-06-26
[16]
웹사이트
Apollo landing sites
https://airandspace.[...]
National Air and Space Museum
2021-02-10
[17]
간행물
Apollo 12 Lunar Module Exhaust Plume Impingement on Lunar Surveyor III
Elsevier
2011-02
[18]
웹사이트
TV troubles
https://www.hq.nasa.[...]
NASA
2021-01-24
[19]
웹사이트
Day 5: Yankee Clipper Rev 14 to 24
https://history.nasa[...]
NASA
2021-01-27
[20]
웹사이트
Apollo 12
https://www.nasa.gov[...]
NASA
2021-01-27
[21]
뉴스
Moon film and rocks are viewed
https://timesmachine[...]
1969-11-28
[22]
웹사이트
50 Years Ago: Apollo 12 Return to Houston
https://www.nasa.gov[...]
NASA
2019-11-25
[23]
웹사이트
Location of Apollo Command Modules
https://airandspace.[...]
Smithsonian National Air and Space Museum
2019-08-27
[24]
웹사이트
Apollo/Skylab ASTP and Shuttle Orbiter Major End Items
https://s3.documentc[...]
NASA
1978-03
[25]
뉴스
How a long-gone Apollo rocket returned to Earth
https://astronomy.co[...]
2021-02-01
[26]
웹사이트
Lunar Reconnaissance Orbiter Looks at Apollo 12, Surveyor 3 Landing Sites
https://www.nasa.gov[...]
NASA
2023-11-11
[27]
웹사이트
NASA Spacecraft Images Offer Sharper Views of Apollo Landing Sites
http://www.nasa.gov/[...]
NASA
2011-11-07
[28]
서적
Apollo by the Numbers: A Statistical Reference
http://history.nasa.[...]
NASA
2004-09
[29]
뉴스
アポロ12号 今夜半に打つ上げ
『朝日新聞』
1969-11-14
[30]
웹사이트
Apollo Landing Site Coordinates
https://nssdc.gsfc.n[...]
NASA
2011-11-07
[31]
서적
Lost Moon
1994
[32]
서적
What Made Apollo a Success?
http://history.nasa.[...]
NASA
2011-11-07
[33]
뉴스
J002E3: An Update
http://neo.jpl.nasa.[...]
nasa.gov
2013-09-18
[34]
논문
Observations of J002E3: Possible Discovery of an Apollo Rocket Body
https://ui.adsabs.ha[...]
2003-05
[35]
웹사이트
Landing Sites
http://www.nasm.si.e[...]
National Air and Space Museum
2011-11-07
[36]
문서
Chaikin 1995
[37]
뉴스
1969 Year in Review: Apollo 11
http://www.upi.com/A[...]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11-11-07
[38]
논문
Apollo 12 Lunar Module Exhaust Plume Impingement on Lunar Surveyor III
http://www.sciencedi[...]
Elsevier
2013-06-23
[39]
문서
原文:Whoopie! Man, that may have been a small one for Neil, but that's a long one for me.
[40]
Youtube
"Apollo 12 First Steps"
[41]
문서
Chaikin 1995, p. 261
[42]
뉴스
Conrad: Pioneer of the Final Frontier
https://www.washingt[...]
2011-11-07
[43]
웹사이트
One Small Step
http://www.hq.nasa.g[...]
NASA
2011-11-07
[44]
웹사이트
Earth Microbes on the Moon
http://science.nasa.[...]
NASA
2011-11-07
[45]
웹사이트
Apollo 12 Mission Report
http://www.hq.nasa.g[...]
NASA
2013-06-23
[46]
웹사이트
Cuff Checklists
http://www.hq.nasa.g[...]
NASA
2011-11-07
[47]
웹사이트
Playboy Playmates pranked into Apollo 12 mission checklists
http://www.boingboin[...]
2011-11-07
[48]
웹사이트
On Buckeyes, Nanotechnology and Playmates in Space
http://www.playboy.c[...]
Playboy Enterprises
2011-11-07
[49]
뉴스
NASA Memorabilia Auction
http://www.cnbc.com/[...]
CNBC
2011-11-07
[50]
웹사이트
Playmate Flashback: DeDe Lind Circles the Moon
http://pmoy.playboy.[...]
Playboy Enterprises
2011-11-07
[51]
웹사이트
The Moon Museum
http://greg.org/arch[...]
greg.org
2011-11-07
[52]
웹사이트
How Many Moons Does Earth Have?
http://www.universet[...]
2011-11-07
[53]
웹사이트
Apollo 12 and Surveyor 3
http://www.nasa.gov/[...]
NASA
2011-11-07
[54]
웹사이트
NASA Spacecraft Images Offer Sharper Views of Apollo Landing Sites
http://www.nasa.gov/[...]
NASA
2011-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