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 (야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동수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포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를 거쳐 1990년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신인왕과 한국시리즈 우승을 경험했으며, KBO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이후 삼성 라이온즈, SK 와이번스를 거쳐 현대 유니콘스에서 2003년 3할 타율을 기록하고 한국시리즈 2연패를 달성했다. 2008년 히어로즈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며, 2009년 은퇴 후 넥센 히어로즈 배터리코치를 거쳐 LG 트윈스 2군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프로 야구 800타점 클럽 - 이만수
이만수는 KBO 리그 원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한국 프로 야구 최초의 홈런을 기록하고 "헐크", "한국의 베이브 루스"라는 별명으로 불린 KBO 리그의 간판 타자 출신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은퇴 후 메이저 리그 코치와 SK 와이번스 감독을 거쳐 현재 라오스 야구 보급에 힘쓰고 있다. - 한국 프로 야구 800타점 클럽 - 김기태 (1969년)
김기태는 KBO 리그에서 좌타 거포로 활약하며 홈런왕과 타격왕을 차지한 야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은퇴 후 요미우리 자이언츠 코치를 거쳐 LG 트윈스와 KIA 타이거즈의 감독을 역임하며 2017년 KIA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 한국 프로 야구 200홈런 클럽 - 이만수
이만수는 KBO 리그 원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한국 프로 야구 최초의 홈런을 기록하고 "헐크", "한국의 베이브 루스"라는 별명으로 불린 KBO 리그의 간판 타자 출신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은퇴 후 메이저 리그 코치와 SK 와이번스 감독을 거쳐 현재 라오스 야구 보급에 힘쓰고 있다. - 한국 프로 야구 200홈런 클럽 - 김기태 (1969년)
김기태는 KBO 리그에서 좌타 거포로 활약하며 홈런왕과 타격왕을 차지한 야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은퇴 후 요미우리 자이언츠 코치를 거쳐 LG 트윈스와 KIA 타이거즈의 감독을 역임하며 2017년 KIA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 한국 프로 야구 1000안타 클럽 - 김성래
김성래는 1984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2000년 SK 와이번스에서 은퇴한 한국 프로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로, 삼성 라이온즈 시절 2루수와 1루수로 활약하며 골든글러브, MVP, 팀 내 최다 홈런 등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코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한양대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로 활동하고 있다. - 한국 프로 야구 1000안타 클럽 - 박정태
박정태는 롯데 자이언츠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로, '탱크'라는 별명과 독특한 '흔들 타법'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KBO 리그 최다 연속 경기 안타 기록과 2루수 골든글러브 5회 수상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은퇴 후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김동수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동수 |
원어명 | Kim Dong-Soo |
출생일 | 1967년 10월 27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신장 | 180 |
체중 | 85 |
포지션 | 포수 / 코치 |
투구 | 우 |
타석 | 우 |
데뷔 | KBO / 1990년 4월 8일 |
데뷔 팀 | LG 트윈스 |
마지막 경기 | KBO / 2009년 9월 8일 |
드래프트 | 1990년 1차 지명 (MBC 청룡) |
계약금 | 4,000만원 |
선수 경력 | |
선수 | LG 트윈스 (1990년~1999년) 삼성 라이온즈 (2000년~2001년) SK 와이번스 (2002년) 현대 유니콘스 (2003년~2007년) 우리 히어로즈·히어로즈 (2008년~2010년) |
코치 | 넥센 히어로즈 배터리코치 (2010년~2014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배터리코치 (2015년, 2017년, 2023년) LG 트윈스 어시스턴트 코치 (2019년) LG 트윈스 2군 타격코치 (2020년) LG 트윈스 수석코치 (2021년) |
감독 | LG 트윈스 2군 감독 (2015년~2017년) 서울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24년~) |
스카우트 | LG 트윈스 스카우트 총괄 (2018년) |
해설 | SBS 스포츠 야구 해설위원 (2022년~2023년) |
수상 | |
신인왕 | KBO 신인왕 (1990년) |
골든 글러브 | 1990년, 1993년 ~ 1995년, 1997년, 1999년, 2003년 KBO 골든 글러브 |
KBO 리그 기록 | |
타율 | .263 |
안타 | 1,556 |
홈런 | 202 |
타점 | 871 |
등번호 | |
등번호 | 80 |
2. 선수 시절
서울화곡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야구를 시작했다. 서울고등학교 시절 서울 전국대회 우승을 이끌었다. 1986년 서울고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에 진학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야구 종목(당시 시범 경기) 국가대표팀에 뽑혀 출전했다.[1]
한양대학교를 졸업하고 1990년에 1차 지명을 받아 계약금 4000만원, 연봉 1200만원의 조건으로 LG 트윈스에 입단했다. 데뷔 첫 해인 1990년에 팀의 주전 포수 자리를 꿰차고 2할대 타율, 13홈런, 62타점, 15도루를 기록하며 신인왕을 차지했고, 그 해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다. 또한 신인 포수로서는 처음으로 KBO 골든 글러브(포수 부문)를 수상했다.[3] 1991년에는 혹독한 2년차 징크스를 겪었으나, 다음 해 풀타임 포수로 출전하며 2할대 타율, 20홈런, 69타점을 기록해 건재함을 과시했다. 해마다 꾸준히 두 자릿수 홈런에 정평이 난 포수 리드를 보여 1990년대 최고의 포수로 군림했는데, 1990년 8월 4일 잠실 롯데전에서 도루에 성공하여 역대 포수 최초로 단일 시즌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했으며 총 15개로 마감했으나 이 기록은 2001년 박경완 (21도루)에 의해[4] 갱신됐다.
1999년에 FA 자격을 얻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으나, 이적 첫 해에 데뷔 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는 부진을 겪었다. 이후 OB에서 트레이드로 이적해 온 진갑용과의 주전 경쟁에서 밀렸다. 2001년 시즌 후 6:2 현금 트레이드를 통해 SK 와이번스로 이적했다. 두 번째 이적 후에도 뚜렷한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2002년 시즌 후 조범현이 감독으로 취임했는데, 조범현이 부임하자마자 그를 내쳤다.[1] 이는 조범현이 삼성 라이온즈 배터리코치 시절에 진갑용을 더 중용해 그가 벤치를 지키는 일이 많아져 사이가 안 좋았던 것이 빌미가 되었기 때문이었다.[1]
조범현과의 불화로 SK 와이번스에서 방출된 후 은퇴를 고려했고, 코치 자리를 알아보고 있었다. 때마침 박경완이 FA를 선언해 SK 와이번스로 이적했고, 그 때 주전 포수 공백이 발생한 팀 사정상 현대 유니콘스에서 그에게 입단 제의를 해 1억원에 계약하며 이적했다. 2003년에 데뷔 첫 3할 타율을 기록했고, 2003년 ~ 2004년 팀의 연속 우승 당시 주전 포수로 활약했다. 2003년에는 생애 첫 3할 타율을 달성함과 동시에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그 이후에도 이숭용, 전준호와 더불어 팀의 고참으로 활약했다.
2008년 현대 유니콘스 해체 후, 팀을 인수한 히어로즈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통산 200홈런과 국내 포수 최초 2000경기 출장을 기록했고, 2009년부터 플레잉코치로 승격됐다.[5] 2009년 시즌 후 은퇴했다.[6]
2. 1. 아마추어 시절
서울화곡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야구를 시작했다. 서울고등학교 시절 서울 전국대회 우승을 이끌었다. 1986년 서울고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에 진학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야구 종목(당시 시범 경기) 국가대표팀에 뽑혀 출전했다.[1]2. 2. LG 트윈스 시절
한양대학교를 졸업하고 1990년에 1차 지명을 받아 계약금 4000만원, 연봉 1200만원의 조건으로 입단했다. 데뷔 첫 해인 1990년에 팀의 주전 포수 자리를 꿰차고 2할대 타율, 13홈런, 62타점, 15도루를 기록하며 신인왕을 차지했고, 그 해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다. 또한 신인 포수로서는 처음으로 KBO 골든 글러브(포수 부문)를 수상했다.[3] 그러나 다음 해인 1991년에는 혹독한 2년차 징크스를 겪었다. 하지만 그 다음 해 풀타임 포수로 출전하며 2할대 타율, 20홈런, 69타점을 기록해 건재함을 과시했고, 해마다 꾸준히 두 자릿수 홈런에 정평이 난 포수 리드를 보여 1990년대 최고의 포수로 군림했는데, 1990년 8월 4일 잠실 롯데전에서 도루에 성공하여 역대 포수 최초로 단일 시즌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했으며 총 15개로 마감했으나 이 기록은 2001년 박경완 (21도루)에 의해[4] 갱신됐다.2. 3. 삼성 라이온즈 시절
1999년에 FA 자격을 얻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으나, 이적 첫 해에 데뷔 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는 부진을 겪었다. 이후 OB에서 트레이드로 이적해 온 진갑용과의 주전 경쟁에서 밀렸다. 2001년 시즌 후 6:2 현금 트레이드를 통해 SK 와이번스로 이적했다.2. 4. SK 와이번스 시절
두 번째 이적 후에도 뚜렷한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2002년 시즌 후 조범현이 감독으로 취임했는데 조범현이 부임하자마자 그부터 내쳤다.[1] 이는 조범현이 삼성 라이온즈 배터리코치 시절에 진갑용을 더 중용해 그가 벤치를 지키는 일이 많아져 사이가 안 좋았던 것이 빌미가 되었기 때문이었다.[1]2. 5. 현대 유니콘스 시절
조범현과의 불화로 SK 와이번스에서 방출된 후 은퇴를 고려했고, 코치 자리를 알아보고 있었다. 때마침 박경완이 FA를 선언해 SK 와이번스로 이적했고, 그 때 주전 포수 공백이 발생한 팀 사정상 현대 유니콘스에서 그에게 입단 제의를 해 1억원에 계약하며 이적했다. 2003년에 데뷔 첫 3할 타율을 기록했고, 2003년 ~ 2004년 팀의 연속 우승 당시 주전 포수로 활약했다. 2003년에는 생애 첫 3할 타율을 달성함과 동시에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그 이후에도 이숭용, 전준호와 더불어 팀의 고참으로 활약했다.2. 6. 히어로즈 시절
2008년 현대 유니콘스 해체 후, 팀을 인수한 히어로즈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통산 200홈런과 국내 포수 최초 2000경기 출장을 기록했고, 2009년부터 플레잉코치로 승격됐다.[5] 2009년 시즌 후 은퇴했다.[6]3. 야구선수 은퇴 후
2010년부터 넥센 히어로즈의 배터리 코치로 활동하다가 2014년 한국시리즈 후 친정 팀인 LG 트윈스의 2군 감독으로 활동했다.
4.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 나이 | 출장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루타 | 병살타 | 몸맞 | 희타 | 희플 | 고4 |
---|---|---|---|---|---|---|---|---|---|---|---|---|---|---|---|---|---|---|---|---|---|---|---|---|---|
1990 | LG | 22 | 110 | 416 | 352 | 46 | 102 | 20 | 1 | 13 | 62 | 15 | 10 | 45 | 40 | .290 | .379 | .463 | .842 | 163 | 6 | 10 | 2 | 7 | 1 |
1991 | 23 | 90 | 294 | 255 | 29 | 50 | 8 | 3 | 5 | 24 | 5 | 6 | 26 | 38 | .196 | .288 | .310 | .598 | 79 | 4 | 8 | 2 | 3 | 0 | |
1992 | 24 | 121 | 433 | 381 | 47 | 98 | 15 | 4 | 20 | 69 | 3 | 2 | 45 | 45 | .257 | .343 | .475 | .818 | 181 | 10 | 5 | 1 | 1 | 4 | |
1993 | 25 | 115 | 427 | 372 | 47 | 102 | 16 | 3 | 16 | 56 | 7 | 0 | 41 | 40 | .274 | .351 | .462 | .814 | 172 | 11 | 6 | 3 | 5 | 3 | |
1994 | 26 | 95 | 369 | 316 | 45 | 91 | 20 | 3 | 6 | 42 | 4 | 4 | 43 | 39 | .288 | .381 | .427 | .808 | 135 | 6 | 5 | 4 | 1 | 3 | |
1995 | 27 | 108 | 393 | 334 | 40 | 87 | 15 | 2 | 10 | 35 | 4 | 0 | 40 | 45 | .260 | .343 | .407 | .750 | 136 | 8 | 4 | 11 | 4 | 3 | |
1996 | 28 | 108 | 385 | 330 | 43 | 81 | 11 | 0 | 12 | 50 | 0 | 4 | 33 | 36 | .245 | .330 | .388 | .718 | 128 | 9 | 10 | 9 | 3 | 1 | |
1997 | 29 | 121 | 472 | 394 | 54 | 93 | 26 | 0 | 17 | 66 | 2 | 2 | 54 | 70 | .236 | .336 | .431 | .767 | 170 | 6 | 9 | 7 | 8 | 4 | |
1998 | 30 | 118 | 471 | 408 | 67 | 116 | 28 | 2 | 20 | 66 | 2 | 3 | 44 | 71 | .284 | .362 | .510 | .872 | 208 | 8 | 9 | 4 | 6 | 2 | |
1999 | 31 | 104 | 389 | 334 | 55 | 96 | 22 | 1 | 16 | 65 | 1 | 3 | 39 | 46 | .287 | .376 | .503 | .879 | 168 | 7 | 10 | 3 | 3 | 2 | |
2000 | 삼성 | 32 | 90 | 238 | 200 | 23 | 41 | 9 | 1 | 11 | 30 | 0 | 2 | 31 | 43 | .205 | .319 | .425 | .744 | 85 | 7 | 4 | 0 | 3 | 2 |
2001 | 33 | 89 | 217 | 181 | 18 | 50 | 11 | 0 | 5 | 30 | 0 | 0 | 22 | 23 | .276 | .360 | .420 | .780 | 76 | 5 | 4 | 6 | 4 | 0 | |
2002 | SK | 34 | 95 | 299 | 251 | 28 | 61 | 10 | 2 | 11 | 32 | 1 | 1 | 22 | 51 | .243 | .323 | .430 | .753 | 108 | 4 | 9 | 14 | 3 | 1 |
2003 | 현대 | 35 | 117 | 441 | 367 | 48 | 113 | 15 | 1 | 16 | 68 | 3 | 4 | 45 | 57 | .308 | .390 | .485 | .875 | 178 | 10 | 8 | 15 | 6 | 5 |
2004 | 36 | 113 | 381 | 311 | 38 | 78 | 13 | 1 | 2 | 31 | 2 | 2 | 32 | 42 | .251 | .342 | .318 | .660 | 99 | 10 | 13 | 21 | 4 | 0 | |
2005 | 37 | 96 | 318 | 274 | 24 | 60 | 4 | 2 | 10 | 30 | 2 | 1 | 20 | 56 | .219 | .283 | .358 | .641 | 98 | 2 | 5 | 18 | 1 | 0 | |
2006 | 38 | 115 | 391 | 333 | 38 | 93 | 12 | 0 | 5 | 40 | 3 | 1 | 29 | 39 | .279 | .348 | .360 | .708 | 120 | 10 | 8 | 17 | 4 | 3 | |
2007 | 39 | 111 | 356 | 306 | 22 | 85 | 18 | 0 | 4 | 39 | 2 | 4 | 26 | 19 | .278 | .329 | .376 | .705 | 115 | 6 | 1 | 16 | 7 | 2 | |
2008 | 우리 | 40 | 94 | 180 | 159 | 15 | 38 | 7 | 2 | 1 | 23 | 0 | 0 | 15 | 15 | .239 | .305 | .327 | .632 | 52 | 4 | 1 | 3 | 2 | 0 |
2009 | 41 | 29 | 70 | 57 | 14 | 21 | 6 | 0 | 2 | 13 | 0 | 0 | 9 | 6 | .368 | .456 | .579 | 1.035 | 33 | 0 | 1 | 2 | 1 | 0 | |
KBO 통산 : 20년 | 2039 | 6940 | 5915 | 741 | 1556 | 286 | 28 | 202 | 871 | 56 | 49 | 661 | 821 | .263 | .346 | .423 | .769 | 2504 | 133 | 130 | 158 | 76 | 36 |
참조
[1]
뉴스
LG 코치진에 김동수 합류…2군 감독 유력
http://www.yonhapnew[...]
2016-03-18
[2]
뉴스
호적상 1968년 출생
https://sports.news.[...]
[3]
간행물
대타라도.. 기록 도전은 계속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6-12
[4]
뉴스
리얼무토, MLB 역대 두 번째 '포수 20홈런·20도루'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4-04-04
[5]
뉴스
히어로즈 김동수, 플레잉코치로 변신
https://news.naver.c[...]
[6]
뉴스
김동수, 히어로즈 코치로 새 출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