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상관은 임진왜란 시기 명나라에 군량을 조달하고, 호조정랑, 진산군수, 회양부사, 장단부사 등을 역임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그의 둘째 아들 김광찬은 김상헌의 양자로 입적되었고, 김광찬의 후손들은 조선 후기 세도 정치를 이끌었다. 사후 이조참판에 증직되었으며,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음보로 관직에 오른 뒤 1592년 임진왜란을 맞았고, 여러 관직을 거쳤다. 그의 후손들이 크게 현달하여 조선 후기 정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이로 인해 사후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가 다시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 산12-4에 있다.
(내용 없음)
2. 생애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음보(蔭譜)로 관직에 진출했으며,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시 관직에 있었다. 1599년(선조 32년)에는 호조정랑으로서 조선을 구원하러 온 명나라 파견 군대에 군량을 조달·지원하였다. 1604년(선조 37년) 다시 호조정랑에 임명되었다.
1607년(선조 40년) 진산군수로 부임하였고, 이후 회양부사, 판관 등을 역임했다. 한 달 안에 정3품 당상관으로 승진하기도 했으나, 사헌부의 탄핵을 받기도 했다. 1609년(광해군 1년)에는 장단부사로 임명되어 부임했다.
2. 2. 임진왜란과 군량 조달
음보로 관직에 오른 뒤 1592년 임진왜란을 맞았다. 1599년(선조 32년)에는 호조정랑으로서 조선을 돕기 위해 파견된 명나라 군대에 군량을 조달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1604년(선조 37년) 다시 호조정랑으로 임용되었으며, 1607년(선조 40년)에는 진산군수로 부임하였다. 회양부사와 판관을 거쳐 정3품 당상관으로 승진하기도 했으나, 사헌부로부터 탄핵을 받기도 했다. 1609년(광해군 1년)에는 장단부사로 부임했다.
2. 3. 지방관 역임
음보( )로 관직에 오른 뒤 1592년 임진왜란을 맞았다. 1599년(선조 32년)에는 호조정랑( )으로서 조선을 지원하러 온 명나라 군대에 군량을 조달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 뒤 1604년(선조 37년) 다시 호조정랑으로 임용되었다.
1607년(선조 40년)에는 진산 군수( )로 부임하여 지방관 생활을 시작했으며, 이후 회양 부사( )와 판관( )을 거쳤다. 한때 정3품 당상관으로 빠르게 승진했으나 사헌부( )로부터 탄핵을 받기도 했다. 1609년(광해군 1년)에는 장단 부사( )로 부임했다.
2. 4. 가문의 번성과 세도 정치
김상관의 둘째 아들 김광찬(金光燦)은 삼촌인 청음 김상헌의 양자로 들어갔다. 그의 후손들은 조선 후기 정권을 장악했으며, 특히 조선 말기 세도정치 시기의 핵심 세력이 되었다.[1] 김광찬을 시작으로 김수항, 김창집, 김제겸, 김달행, 김이중, 김조순, 김좌근, 김병기로 이어지는 안동 김씨 세도 가문의 실질적인 선조가 바로 김광찬이다.[1]
첫째 아들 김광혁(金光爀) 또한 1612년(광해군 4년) 임자 식년사마시(壬子式年司馬試)에 진사 1등으로 합격하고, 1624년(인조 2년) 갑자 알성문과(甲子謁聖文科)에 을과 1등으로 급제하여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내는 등 가문의 명성을 높였다.[1]
김상관 사후에는 후손들이 크게 성공하여(현달, 顯達), 그 공으로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가 다시 종1품 증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으로 추증되었다.[1]
2. 5. 후손들의 번성과 정치적 영향력
둘째 아들 김광찬(金光燦)은 삼촌인 청음 김상헌의 양자로 들어갔다. 그의 후손들은 조선 후기 정권을 좌지우지했으며, 조선 말기 세도정치의 주역이 되었다. 김광찬에서 시작하여 김수항, 김창집, 김제겸, 김달행, 김이중, 김조순, 김좌근, 김병기로 이어지는 세도 가문의 실질적인 선조가 바로 김상관의 아들인 김광찬이다.
김상관은 사후 후손들이 크게 현달(顯達)함에 따라 이조참판에 증직되었고, 이후 다시 종1품 증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다.
3. 가계
3. 1. 가계도
'''적장녀''' : 김유순(金柔順, 1587 ~ ?)
'''사위''' : 연일 정씨 정홍택(鄭弘澤)
* '''외손자''' : 정보한(鄭輔漢, 1608 ~ ?)
* '''외손자''' : 정영한(鄭榮漢, 1610 ~ ?)
'''적장남''' : 김광혁(金光爀, 1590 ~ 1643)
'''며느리''' : 동중추(同中樞) 김존경(金存敬)의 딸 광산 김씨
* '''손녀''' : 성주 이씨 이빈(李忄+賓)의 처(1616 ~ ?)
* '''손녀''' : 김무일(金無一, 1620 ~ ?)
* '''손녀''' : 김애(金愛, 1628 ~ ?)
'''적차남''' : 김광찬(金光燦, 1597 ~ 1668) - 작은아버지 김상헌(金尙憲)의 양자로 출계
'''적차녀''' : 김종순(金終順, 1594 ~ ?)
'''사위''' : 진주 류씨 류시정(柳時定, 1596 ~ 1658)
* '''외손녀''' : 류혜애(柳惠愛, 1614 ~ ?)
* '''외손자''' : 류연(柳㝚, 1621 ~ ?)[3]
* '''외손녀''' : 류혜숙(柳惠叔, 1627 ~ ?)
'''서장남''' : 김광업(金光㸁, 1603 ~ ?)
'''며느리''' : 군수(郡守) 증 참판(贈 參判) 류춘발(柳春發)의 딸
'''며느리''' : 군수(郡守) 허천경(許天慶)의 딸
'''서차남''' : 김광적(金光熵, 1610 ~ 1673)
'''며느리''' : 류옥(柳沃)의 딸
* '''손자''' : 김수억(金壽億, 1632 ~ ?)
'''며느리''' : 민대남(閔大男)의 딸
* '''손자''' : 김수만(金壽萬, 1646 ~ ?) - 큰아버지 김광한(金光㸁)의 양자로 출계
* '''손녀''' : 김차응(金次應, 1648 ~ ?)
* '''손자''' : 김수천(金壽千, 1651 ~ 1724)
* '''손자''' : 김수백(金壽百, 1653 ~ ?)
* '''손녀''' : 김우응(金又應, 1659 ~ ?)
* '''손자''' : 김수기(金壽期, 1662 ~ 1694)
'''며느리(양첩)''' : 진이(珍伊)
* '''서손자''' : 김수하(金壽河, 1665 ~ ?)
'''서3남''' : 김광료(金光炓, 1614 ~ ?)
'''며느리''' : 판서(判書) 이명(李溟)의 서녀 전주 이씨
* '''손녀''' : 김숙일(金淑一, 1635 ~ ?)
* '''손녀''' : 김계애(金季愛, 1662 ~ ?)
'''며느리''' : 현감(縣監) 증 참의(贈 參議) 이경선(李慶善)의 딸
* '''손자''' : 김수최(金壽最, 1655 ~ ?)
* '''손녀''' : 김종애(金終愛, 1666 ~ ?)
* '''손녀''' : 김소애(金小愛, 1670 ~ ?)
'''서장녀''' : 김신순(金申順, 1608 ~ ?)
'''사위''' : 청해 이씨 이시로(李時老)
* '''외손녀''' : 이일애(李一愛, 1629 ~ ?)
* '''외손녀''' : 이이애(李二愛, 1632 ~ ?)
* '''외손녀''' : 이삼애(李三愛, 1635 ~ ?)
* '''외손녀''' : 이사애(李四愛, 1638 ~ ?)
* '''외손녀''' : 이오애(李五愛, 1641 ~ ?)
* '''외손녀''' : 이육애(李六愛, 1644 ~ ?)
* '''외손녀''' : 이칠애(李七愛, 1647 ~ ?)
'''서차녀''' : 김갑순(金甲順, 1614 ~ ?)
'''사위''' : 함평 이씨 주부(主簿) 이시양(李時陽)
* '''외손녀''' : 이망희(李望喜, 1631 ~ ?)
* '''외손자''' : 이지영(李之英, 1636 ~ ?)
* '''외손녀''' : 이차희(李次喜, 1641 ~ ?)
* '''외손녀''' : 이말희(李末喜, 1647 ~ ?)
* '''외손자''' : 이지형(李之馨, 1653 ~ ?)
참조
[1]
문서
성종 (조선)의 11남 경명군의 장녀
[2]
문서
정종(定宗)의 14남 정석군(貞石君)의 고손녀
[3]
문서
경창군의 사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