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원균은 강원도 원산 출신의 북한 작곡가이다. 8·15 광복 이후 북조선공산당에서 활동하며 음악 경력을 시작했으며, 애국가와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작곡했다. 소련 모스크바 차이콥스키 음악원에서 유학 후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학장, 피바다가극단 총장, 조선음악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등 요직을 역임했다. 김일성상, 김일성훈장을 받았으며, 인민예술가 및 로력영웅 칭호를 받았다. 주요 작품으로는 《김일성 장군의 노래》, 《애국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원균 -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은 1949년 국립음악학교로 시작하여 김정일의 지시로 김원균의 이름을 부여받았으며, 평양음악학원과 금성학원 예술반을 흡수하여 종합대학으로 확장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 교육 기관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곡가 - 김동진 (작곡가)
김동진은 평안남도 안주 출신의 작곡가로, 가곡 〈가고파〉, 오페라 《심청전》, 《춘향전》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으나, 만주국 시기 친일 활동 논란으로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곡가 - 안성현
안성현은 일제강점기 나주 출신으로 도호 음악학교를 졸업한 작곡가이며, 대표작으로는 동요 〈엄마야 누나야〉와 가곡 〈부용산〉이 있고, 한국 전쟁 중 월북하여 북한 공훈예술가가 되었으나 남한에서는 그의 업적이 제대로 조명받지 못하고 있다. - 원산시 출신 - 김학철 (1916년)
김학철은 1916년 함경남도 원산 출생으로, 항일 투쟁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이며, 중국과 북한에서 활동하다가 중국으로 망명하여 문학 활동을 펼쳤다. - 원산시 출신 - 주운화
주운화는 일제강점기에 법학과를 졸업하고 판사, 검사를 거쳐 대법원 판사가 되었으며, 동백림 간첩단 사건의 주심판사를 맡았고 변호사로 활동했다.
김원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원균 |
한자 | }} |
로마자 표기 | Kim Won-gyun |
출생일 | 1917년 1월 2일 |
출생지 | 원산시, 강원도, 일본 제국 조선 |
사망일 | 2002년 4월 5일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직업 | 작곡가, 정치인 |
활동 시기 | 20세기 |
음악 활동 | |
장르 | 클래식 |
주요 작품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 |
기타 |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생애
김원균은 강원도 원산시에서 태어나 어려운 가정 환경 속에서 성장했다.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8·15 광복 이후 북조선공산당에서 활동하며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 애국가와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작곡했다.
김원균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6]을 역임하며 북한의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했다. 또한, 평양음악무용대학 학장[6], 조선민족음악위원회 위원장[15], 조선음악가동맹 고문[17], 피바다가극단 총감독[6][12], 국제음악협의회 명예회원[16] 등을 역임하며 북한 음악계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952년부터 1959년까지 소련 모스크바 차이콥스키 음악원에서 유학하며 서양 음악을 공부했다. 귀국 후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학장, 피바다가극단 총장, 조선음악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등 요직을 역임했다.
1972년 김일성상, 1992년 김일성훈장을 받았으며, 인민예술가 및 로력영웅 칭호를 받는 등 북한에서 최고의 영예를 누렸다. 국제음악이사회 명예위원, 조선민족음악위원회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2002년 심부전으로 사망했으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그의 장례에 화환을 보냈다.
3. 경력
1954년 조선음악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이 되었고, 이후 동맹의 부위원장과 위원장을 역임했다.[6] 1960년부터 평양음악무용대학 총장을 역임했다.[6] 1985년에는 피바다가극단 총감독을 맡았다.[6][12] 1990년 9월 통일음악축제의 북한 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6]
3. 1. 주요 직책
김원균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6], 평양음악무용대학 학장[6], 조선민족음악위원회 위원장[15], 조선음악가동맹 고문[17], 피바다가극단 총감독[6][12], 국제음악협의회 명예회원[16] 등을 역임했다. 1954년 조선음악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이 되었고, 이후 동맹의 부위원장과 위원장을 역임했다.[6] 1960년부터 평양음악무용대학 총장을 역임했다.[6] 1985년에는 피바다가극단 총감독을 맡았다.[6][12]
4. 주요 작품
김원균은 1945년 《조선행진곡》을 작곡하였고, 1946년에는 김일성 찬양곡인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작곡하였다. 1947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인 《애국가》를 작곡하였다. 1949년에는 가극 《지리산》을 작곡하였다.
그 외에도 《투쟁가》(1946년), 《민주청년행진곡》(1947년), 전시가요 《강철의 대오는 전진한다》(1950년), 《우리의 최고사령관》(1951년), 서정가요 《당신을 보낸 셈터길에서》(1951년), 가요 《우리는 천리마를 타고 달린다》(조길석과 공동 작곡, 1958년), 칸타타 《조국이여 찬연히 빛나라》(김옥성과 공동 작곡, 1958년), 가요 《향로》(1958년), 가요 《빛나는 청봉 숙영지》(1960년), 가요 《반제투쟁가》(1963년), 합창곡 《원쑤의 가슴팍에 불을 지르라》(1964년), 동요 《아버지 원수님께 영광드려요》(1966년), 가요 《철천지 원쑤 일본 군국주의 때려부수자》(1972년), 합창곡 《영광 빛나라 조선로동당》(1980년), 합창곡 《우리는 천리마 타고 달린다》(1984년), 합창곡 《민족대단결의 노래》(1991년) 등을 작곡하였다.
4. 1. 대표작
김원균은 1945년 《조선행진곡》을 작곡하였고, 1946년에는 김일성 찬양곡인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작곡하였다. 1947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인 《애국가》를 작곡하였다. 1949년에는 가극 《지리산》을 작곡하였다. 그 외에도 《투쟁가》, 《민주청년행진곡》, 전시가요 《강철의 대오는 전진한다》, 《우리의 최고사령관》, 서정가요 《당신을 보낸 셈터길에서》, 가요 《우리는 천리마를 타고 달린다》, 칸타타 《조국이여 찬연히 빛나라》, 가요 《향로》, 가요 《빛나는 청봉 숙영지》, 가요 《반제투쟁가》, 합창곡 《원쑤의 가슴팍에 불을 지르라》, 동요 《아버지 원수님께 영광드려요》, 가요 《철천지 원쑤 일본 군국주의 때려부수자》, 합창곡 《영광 빛나라 조선로동당》, 합창곡 《우리는 천리마 타고 달린다》, 합창곡 《민족대단결의 노래》 등을 작곡하였다.5. 평가
5. 1. 긍정적 평가
5. 2. 부정적 평가
6. 상훈
김원균은 로력영웅, 인민예술가, 김일성상, 김일성훈장 등 많은 상을 받았다.[6][16]
6. 1. 주요 상훈
김원균은 로력영웅, 인민예술가, 김일성상, 김일성훈장 등 많은 상을 받았다.[6][16]참조
[1]
서적
North Korea Handbook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2-12-27
[2]
웹사이트
Gukka
http://nk.joins.com/[...]
[3]
서적
Soviet Works on Korea, 1945-1970: Prepared for the Joint Committee on Korean Studies of the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and the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ress
[4]
웹사이트
http://www.kcckp.net[...]
[5]
서적
Shoot the Singer!: Music Censorship Today
https://books.google[...]
Zed Books
2004-09-04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2-07-13
[7]
웹사이트
Kim Won Gyun, World-famous Composer
http://www.kcna.co.j[...]
2018-05-04
[8]
서적
Leader Symbols and Personality Cult in North Korea: The Leader Sta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3-24
[9]
서적
Art Under Control in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05-08-15
[10]
서적
Korea North Country Study Guide Volume 1 Strategic Information and Developments
https://books.google[...]
Lulu.com
2015-04-13
[11]
웹사이트
Kim Won Gyun concert
http://www.kcna.co.j[...]
1997-03-10
[12]
웹사이트
Famous Musician Kim Won Gyun
http://www.kcna.co.j[...]
2006-06-30
[13]
서적
Music, Power, and Politics
Routledge
2004-12-22
[14]
백과사전
Korea
http://encyclopedia2[...]
The Gale Group
1970–1979
[15]
서적
Korea Annual
https://books.google[...]
Yonhap News Agency
[16]
웹사이트
Composer Living along with Conservatory
http://www.kcna.co.j[...]
2009-08-10
[17]
웹사이트
Kim Won Gyun passed away
http://www.kcna.co.j[...]
2002-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