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진 (작곡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동진은 평안남도 안주 출신의 작곡가로, 숭실중학교와 숭실전문학교에서 음악을 공부하고 일본 고등음악학교에서 바이올린을 전공했다. 1930년대에 가곡 〈가고파〉를 작곡하여 널리 알려졌으며, 만주 신경교향악단에서 활동하며 관현악곡, 가곡, 오페라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한국 전쟁 중에는 대한민국 육군과 해군에서 활동했으며, 서라벌예술대학과 경희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오페라 〈심청전〉, 가곡 〈가고파〉, 칸타타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등이 있으며, 신창악 운동을 통해 판소리의 현대화를 시도했다. 대한민국예술원 종신회원이었으며, 국민훈장 모란장 등을 수훈했으나, 만주국 활동으로 인해 친일 논란에 휩싸였다. 신민당 당무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곡가 - 김원균
김원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곡가로서 애국가와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작곡하고 혁명가극 창작에 참여했으며 평양음악무용대학 학장, 피바다가극단 총장, 조선음악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했고 로력영웅,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곡가 - 안성현
안성현은 일제강점기 나주 출신으로 도호 음악학교를 졸업한 작곡가이며, 대표작으로는 동요 〈엄마야 누나야〉와 가곡 〈부용산〉이 있고, 한국 전쟁 중 월북하여 북한 공훈예술가가 되었으나 남한에서는 그의 업적이 제대로 조명받지 못하고 있다. - 바이올린 연주자 - 야샤 하이페츠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바이올린 연주자 야샤 하이페츠는 뛰어난 기교와 독특한 음색으로 20세기 최고 바이올린 연주자 중 한 명으로 꼽히며 전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 바이올린 연주자 - 핀커스 주커만
핀커스 주커만은 이스라엘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지휘자이며, 레벤트리 국제 콩쿠르 우승, 줄리어드 음악 학교 수학, 잉글리쉬 챔버 오케스트라 지휘 데뷔, 그래미 어워드 2회 수상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김동진 (작곡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동진 |
로마자 표기 | Kim Dong-jean |
한글 | 김동진 |
한자 | 金東振 |
출생일 | 1913년 3월 22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평안남도 안주군 |
사망일 | 2009년 7월 31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 |
음악 경력 | |
악기 | 바이올린 |
장르 | 클래식 |
직업 |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지휘자 |
기타 |
2. 생애
평안남도 안주군에서 태어나, 아버지가 목사인 가정에서 자랐다. 어릴 때부터 교회를 통해 서양음악을 접했으며,[2] 1923년부터 바이올린 연주를 배웠다. 평양의 숭실중학교에 진학한 뒤에는 바이올린과 피아노, 화성학, 작곡을 공부했고, 숭실중학교 밴드부에서 바리톤과 클라리넷 등 여러 악기를 연주하기도 했다. 1931년 숭실중학교 재학 중 김동환의 시에 곡을 붙인 〈봄이 오면〉을 작곡했는데, 이는 처음으로 본격적으로 작곡한 노래이다.
1932년 숭실중학교를 졸업하고 숭실전문학교에 진학했다. 숭실전문학교 2학년 때 이은상이 작사한 가곡 〈가고파〉를 작곡했는데, 이 노래는 한국인이 오랫동안 애창하는 유명한 노래가 되었으며, 한국 가곡의 최고 역작이자 가곡 저변 확대에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3] 1936년 숭실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한 뒤 일본고등음악학교에 유학하여 바이올린을 전공했다. 일본에서는 〈양산도를 주제로 한 바이올린 협주곡〉 제1악장을 완성했다.
1938년 일본 고등음악학교를 졸업하고 만주 신경교향악단에서 바이올린 및 작곡을 담당했으며, 평양 국립심포니 창설 기념 지휘를 하기도 했다. 만주에서는 관현악곡 〈양산가〉와 〈제례악〉, 교향시곡 〈만가〉를 비롯해 가곡 〈내마음〉, 〈수선화〉를 작곡하며 활발히 활동했다. 1945년 일본 제국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하자 평양으로 돌아와 김원균평양음악대학의 전신인 국립음악학원 교수가 되었다. 평양에서도 관현악곡 〈신 밀양아리랑〉, 오페라 〈심청전〉을 썼으나, 목사인 아버지가 수감되는 등 기독교 집안이라는 특성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하에서 자유롭게 활동하기는 어려웠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대한민국으로 거처를 옮겼다. 대한민국 육군 종군작가단과 대한민국 해군 정훈음악대에서 창작부장 겸 지휘자로 활동했고, 초대 예술원회원을 역임했다. 이후 숙명여자대학교 강사를 거쳐 1953년 서라벌예술대학 음악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김동진은 당시 뒷배경이 없는 월남 음악인이라는 이유로 활동에 많은 방해를 받았고, 좌익이라는 모함에 시달렸다고 회고했다. 서라벌예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영화음악 작곡을 시작했고, 이후 경희대학교로 옮겨 갔다.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1913년 ~ 1938년)
평안남도 안주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목사인 가정에서 자라 어릴 때부터 교회를 통해 서양음악을 접하게 되었다.[2] 1923년부터 바이올린 연주를 배웠고 평양의 숭실중학교에 진학한 뒤에는 바이올린과 피아노, 화성학, 작곡을 공부했다. 숭실중학교 밴드부에서 바리톤과 클라리넷 등 여러 악기를 연주하기도 했다. 1931년 숭실중학교 재학 중 김동환의 시에 곡을 붙인 〈봄이 오면〉을 작곡했는데, 이는 본격적으로 작곡한 첫 노래이다.1932년 숭실중학교를 졸업하고 숭실전문학교에 진학했다. 숭실전문학교 2학년 때 이은상이 작사한 가곡 〈가고파〉를 작곡했는데, 이 노래는 한국인이 오랫동안 애창하는 유명한 노래가 되었다. 〈가고파〉는 한국 가곡의 최고 역작이자 가곡 저변 확대에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도 평가받는다.[3] 1936년 숭실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한 뒤 일본고등음악학교에 유학하여 바이올린을 전공했다. 일본에서는 〈양산도를 주제로 한 바이올린 협주곡〉 제1악장을 완성했다.
1938년에 일본 고등음악학교를 졸업하고 만주 신경교향악단에서 바이올린 및 작곡을 담당했으며, 평양 국립심포니 창설 기념 지휘를 하기도 했다.[4]
2. 2. 만주 및 북한 활동 (1938년 ~ 1950년)
1938년 일본 고등음악학교를 졸업하고 만주 신경교향악단에서 바이올린 및 작곡을 담당했으며, 평양 국립심포니 창설 기념 지휘를 하기도 했다.[4]만주에 머무는 동안 관현악곡 〈양산가〉와 〈제례악〉, 교향시곡 〈만가〉를 비롯해 가곡 〈내마음〉, 〈수선화〉를 작곡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945년 일본 제국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하자 평양으로 돌아와 김원균평양음악대학의 전신인 국립음악학원 교수가 되었다. 평양에서도 관현악곡 〈신 밀양아리랑〉, 오페라 〈심청전〉을 썼으나, 목사인 아버지가 수감되는 등 기독교 집안이라는 특성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하에서 자유로운 활동을 하기 어려웠다.
2. 3. 대한민국 활동 (1950년 ~ 2009년)
1950년 한국 전쟁 중에 대한민국으로 거처를 옮겼고, 대한민국 육군 종군작가단과 대한민국 해군 정훈음악대에서 창작부장 겸 지휘자로 활동했으며, 초대 예술원회원을 역임했다.[4] 이후 숙명여자대학교 강사를 거쳐 1953년 서라벌예술대학 음악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김동진은 이 시기에 뒷배경이 없는 월남 음악인이라는 이유로 활동에 많은 방해를 받고 좌익이라는 모함에 시달렸다고 회고했다.[4] 서라벌예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영화음악 작곡을 시작했고, 이후 경희대학교로 옮겨 갔다.3. 작품 활동
김동진은 오페라, 교성곡, 교향모음곡, 가곡, 영화음악, 칸타타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 작품을 남겼다.[4] 박정희 대통령 취임식 칸타타를 작곡하는 등 대한민국 정부 관련 음악 활동도 했으며, 경희대학교 교화인 목련을 기념하는 가곡 〈목련화〉를 작곡하기도 했다.
그는 〈육군가〉(1951), 〈행군의 아침〉, 〈국군의 날 노래〉, 〈6.25 노래〉, 〈발명의 노래〉, 〈철도의 노래〉 등도 작곡했다.[5]
3. 1. 주요 작품
김동진의 주요 작품으로는 오페라 〈심청전〉, 교성곡 〈조국〉, 〈승리의 길〉, 〈만가〉, 교향모음곡 〈제례가(祭禮歌)〉, 서곡 〈양산가〉, 가곡 〈가고파〉, 〈내 마음〉, 〈뱃노래〉, 〈수선화〉, 영화음악 〈백치 아다다〉(1956) 외 다수가 있다.[4]또한 대한민국 정부 수립 10주년 기념 칸타타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1958), 박정희 대통령 취임식 칸타타 〈민족의 축원〉(1967) 및 〈민족의 행진〉(1971), 경희대학교 축전용 〈대학찬가〉(1969)와 〈대학송가〉(1974)를 작곡했다. 특히 〈목련화〉는 〈대학송가〉 삽입곡으로, 경희대학교가 목련을 교화로 삼은 의미를 설명하고자 개교 25주년을 기념하여 만들어졌다.
김동진은 가극 《심청전》(1977)에서 1930년대 숭실전문학교 재학 시절부터 관심을 가진 판소리 현대화를 시도, '신창악'이라는 장르를 개척했다. 신창악 가극 《춘향전》은 1997년 초연되었다.
기타 노래는 다음과 같다.
3. 2. 신창악 운동
김동진은 가극 《심청전》(1977)을 통해 판소리의 현대화를 시도했다.[4] 이 작품은 평양에서 작곡했던 심정천을 개작한 것으로, 1930년대 숭실전문학교 재학 시절 창극을 본 후 판소리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온 결과였다. 김동진은 이 장르에 '신창악'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했다. 또 다른 신창악 가극 《춘향전》은 1997년에 처음 공연되었다.3. 3. 기타 작품
작품으로는 오페라 〈심청전〉, 교성곡 〈조국〉, 〈승리의 길〉, 〈만가〉 등이 있고, 교향모음곡 〈제례가(祭禮歌)〉, 서곡 〈양산가〉와 가곡 〈가고파〉, 〈내 마음〉, 〈뱃노래〉, 〈수선화〉 등이 있으며, 그 외에 1956년 〈백치 아다다〉를 비롯하여 수많은 영화음악을 남겼다.[4]대한민국 정부 수립 10주년 기념 칸타타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1958), 박정희 대통령 취임식을 위한 칸타타 〈민족의 축원〉(1967), 〈민족의 행진〉(1971), 경희대학교 축전용인 〈대학찬가〉(1969), 〈대학송가〉(1974) 등을 작곡했다. 가곡 〈목련화〉는 〈대학송가〉에 삽입된 곡으로, 본래 목련을 경희대학교 교화로 삼게 된 의미를 설명하고자 개교 25주년을 기념하여 만든 작품이다.
김동진의 가극 《심청전》(1977)은 평양에서 작곡했던 심정천을 개작하여 1930년대 숭실전문학교 재학 중 창극을 보고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던 판소리의 현대화를 시도한 작품이다. 김동진은 이 장르에 '신창악'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보급을 위해 노력했다. 또 다른 신창악 가극 《춘향전》은 1997년에 초연되었다.
기타 노래는 다음과 같다.
4. 수상 경력
국민훈장 모란장, 3·1문화상, 대한민국예술원상, 은관 문화훈장을 받았다.[1]
5. 정치 활동
1977년 6월부터 1978년 3월까지 신민당 당무위원 겸 문화예술행정특임고문을 역임했다.
6. 친일 논란
1939년 만주국 신징 교향악단에 입단하여 제1바이올린 연주자 겸 작곡가로 활동했다. 만주국 작곡가 협회에 가입하고 만주국 건국을 찬양하는 음악을 작곡하는 등 일본 제국의 만주 정책에 협조한 행적이 있다. 이 때문에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음악 부문에 선정되었다.
참조
[1]
뉴스
満州文化物語】(2)「音楽の都」ハルビン オーケストラがやってきた(3/3ページ)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3-07-15
[2]
저널
김동진의 가곡 「수선화」에서 가사와 음악의 관계
[3]
저널
민족의 해방과 통일의 꿈이 담긴 노래 “가고파”
http://www.komca.or.[...]
[4]
백과사전
김동진
글로벌 세계 대백과
[5]
뉴스
기록으로 보는 의식곡&기념곡들
http://www.archives.[...]
아시아경제신문
201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