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조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조이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주의 운동가로, 경성에서 고등 교육을 받고 3·1 운동을 겪으며 항일 운동에 참여했다. 조선공산당에 가입하여 활동했으며, 모스크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서 유학했다. 1925년 경성여자청년동맹을 조직하여 좌파 여성 운동을 이끌었으며,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조봉암과 결혼했으나, 조봉암의 외도로 헤어졌다가 재결합했으며, 남편의 정치 활동을 내조했다. 한국 전쟁 중 실종되었으며, 2008년 건국포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노동운동가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노동운동가 - 이현상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까지 활동한 이현상은 6·10 만세운동 참여, 노동 및 항일 운동, 남로당 활동, 남부군 사령관으로서의 게릴라전 지휘 등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빨치산 지도자로서의 삶을 살았으며 북한에서 애국렬사로 추앙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실종자 - 김형욱
    김형욱은 5·16 군사정변에 참여하여 박정희 정권 시절 중앙정보부장을 지내며 권력 핵심으로 활동했으나, 미국 망명 후 정권 비판 활동을 하다 프랑스 파리에서 실종되었고, 국가정보원 과거사 진실규명위원회는 그의 죽음을 중앙정보부의 살해로 결론지었다.
  • 대한민국의 실종자 - 방응모
    방응모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초기에 조선일보를 인수하여 사장이 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광산업과 장학 사업, 간척 사업을 추진하고 잡지 창간 등의 활동을 했으나, 친일 행위와 납북 행적으로 논란이 있다.
  • 일제강점기의 공산주의자 - 강해석
    강해석은 광주학생항일운동을 배후에서 지도하고 조선공산당 사건으로 징역형을 받은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유공자로, 광복 후 농민운동과 통일운동에 헌신하다 만성 저혈압으로 사망, 사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공산주의자 - 이영 (1889년)
    이영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정치인으로, 독립운동가와 북한 정권 인사라는 양면성을 지닌 인물이다.
김조이
정보

2. 생애

김조이는 경상남도 창원군의 비교적 부유한 가정 출신으로, 계광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으로 유학하여 고등 교육을 받았다. 3·1 운동을 겪으며 항일 운동에 뜻을 세웠고, 조선공산당에 가입하여 사회주의 계열에서 활동했다. 모스크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서 2년간 유학했으며, 귀국 후 1925년 경성여자청년동맹을 조직하여 주세죽, 허정숙과 함께 경성 지역 좌파 여성 운동의 중심 인물로 활동했다.

제1차 조선공산당 사건 이후 함경남도로 파견되어 노동 운동을 하다 1934년 체포,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24년 조선청년총동맹에서 활동하던 조봉암과 결혼했으나, 조봉암이 상하이에서 다른 여성과 동거하며 헤어졌다. 이후 조봉암이 수감 중 사별하고 출옥한 뒤 1938년 재결합하여 인천에서 상업에 종사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조봉암이 정계에 입문하면서 정치인의 아내로서 내조했다. 1950년 한국 전쟁 중 서울에서 실종되었고, 가족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강제 납북된 것으로 주장한다. 사회주의 활동과 남편 조봉암의 간첩 혐의 사형으로 오랫동안 항일 공적을 인정받지 못하다가, 2008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에서 건국포장을 수여하기로 결정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경상남도 창원군에서 태어났으며, 비교적 부유한 가정 출신이었다. 고향인 창원군 웅천면에 있는 사립 계광학교를 졸업하고 경성부로 유학을 떠나,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고등 교육을 받았다.

경성에서 3·1 운동을 겪으면서 항일 운동에 뜻을 세웠다. 이후 조선공산당에 가입하여 사회주의 계열에서 활동하였고, 모스크바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2년 동안 유학을 다녀오기도 했다.

2. 2. 항일 운동과 사회주의 활동

3·1 운동을 겪으면서 항일 운동에 뜻을 세우게 되었다. 이후 조선공산당에 가입하여 사회주의 계열에서 활동하였고, 모스크바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도 2년 동안 유학을 다녀왔다.

모스크바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뒤인 1925년에 경성여자청년동맹이라는 여성 단체를 조직하였다. 이 시기에 김조이는 박헌영의 부인인 주세죽, 변호사 허헌의 딸이자 임원근의 부인인 허정숙과 함께 경성 지역의 좌파 여성 운동을 이끄는 중심 인물이었다.

제1차 조선공산당 사건 이후 함경남도 지역에 파견되어 노동 운동을 벌이다가 1934년에 검거되었다. 이때 함흥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2. 3. 조봉암과의 결혼과 해방 이후 활동

1924년, 당시 조선청년총동맹에서 활동하던 조봉암과 결혼했다. 그러나 조봉암이 1927년 상하이에서 김이옥과 함께 살며 딸 조호정을 낳는 등 조봉암과 헤어졌다가, 조봉암이 1932년에 상하이에서 체포되어 수감되어 있던 중 김이옥과 사별하자, 1938년 조봉암이 출옥한 뒤 재결합하였다. 조봉암과 김조이 부부는 인천에 정착하여 상업으로 생계를 이었다.

태평양 전쟁이 종전되고 남편 조봉암이 대한민국 건국에 참여하며 정계에 입문했고, 김조이는 이 과정에서 정치인의 아내로서 내조 역할을 했다.

2. 4. 한국 전쟁 중 실종

1950년 한국 전쟁 중 서울에서 실종되었다. 가족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강제 납북된 것으로 주장하고 있으며, 이후의 행적이나 생사 여부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3. 사후 평가 및 추서

한국 전쟁 중 서울에서 소식이 끊겼으며, 가족들은 김조이가 납북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2008년에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김조이에게 건국포장을 수여하기로 결정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남편조봉암1924년 결혼, 1927년 별거, 1938년 재결합
남편
(별거 중)
김이옥1927년 조봉암과 동거, 1932년 사별
자녀
(별거 중
조봉암
김이옥 사이)
조호정1927년 조봉암과 김이옥 사이에서 태어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