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민 (196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종민은 1964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내일신문 기자, 시사저널 기자로 활동했다. 참여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부대변인, 국정홍보비서관을 역임했으며, 이후 안희정 충청남도지사 정무부지사로 활동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에 당선되어 초선 국회의원이 되었고,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선되었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 갑 선거구에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이 되었으나 이후 새로운미래를 탈당했다. 1987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2년을 선고받은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 부지사 - 이명수 (1955년)
이명수는 1955년생으로 성균관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 생활을 시작, 충청남도 행정부지사를 거쳐 2008년 국회의원이 되어 4선 의원을 지냈다. - 서울당곡초등학교 동문 - 오신환
오신환은 서울특별시의원과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를 지냈으며,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서울당곡초등학교 동문 - 김민주 (가수)
김민주는 2001년생으로, 아이즈원 멤버로 데뷔하여 배우로 전향,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2022년 MBC 연기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국회의원 - 이해찬
이해찬은 충남 청양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 7선 국회의원, 교육부 장관, 국무총리, 민주당 대표 등을 역임하며 한국 정치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진보 성향의 정치인이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국회의원 - 홍성국
홍성국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금융 전문가로서, 대우증권 및 미래에셋대우의 주요 직책을 거쳐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으며, 제2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활동하며 더불어민주당의 주요 당직을 역임했고, 경제 관련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김종민 (196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종민 |
출생일 | 1964년 5월 12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시 |
본관 | 김해 김씨 |
종교 | 개신교 |
군복무 | 전시근로역(질병) |
웹사이트 | 국회의원 김종민 블로그 |
학력 | |
학교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 학사 |
경력 | |
주요 경력 | 내일신문 기자 시사저널 기자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 홍보기획비서관실 행정관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 부대변인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 국정홍보비서관 충청남도 정무부지사 제20·21·22대 국회의원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원회 부의장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선임부의장 더불어민주당 제3정책조정위원장 국회 정무위원회 간사 개혁신당 최고위원 새로운미래 공동대표 새로운미래 원내대표 새로운미래 책임위원 새로운미래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
정당 | |
소속 정당 | 무소속 |
국회의원 정보 | |
지역구 | 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20·21) 세종특별자치시 갑(22) |
소속 위원회 |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
의원 선수 | 3 |
의원 대수 | 20·21·22 |
직위 | |
직위 | 새로운미래 대표 |
임기 시작 | 2024년 2월 4일 |
공동 대표 | 이낙연 |
이전 직위 | 당 창립 |
직위 | 국회의원 |
임기 시작 | 2024년 5월 30일 |
이전 직위 | 홍성국 |
선거구 | 세종시 갑 |
임기 시작 | 2016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 2024년 5월 29일 |
이전 직위 | 이인제 |
다음 직위 | 황명선 |
선거구 | 논산시·계룡시·금산군 |
직위 | 충청남도 정무부지사 |
지사 | 안희정 |
이전 직위 | 채훈 |
다음 직위 | 권희태 |
임기 시작 | 2010년 7월 5일 |
임기 종료 | 2011년 9월 14일 |
직위 |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
이전 직위 | 윤태영 |
다음 직위 | 김만수 |
대통령 | 노무현 |
임기 시작 | 2004년 6월 30일 |
임기 종료 | 2005년 5월 17일 |
2. 학력
3. 정치 입문 전 경력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93년 내일신문에서 정치부 기자로 활동했다.[1][2] 1999년에는 시사저널에서 정치팀장으로 일했다.[2]
4. 참여정부 시절 경력
김종민은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의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비서관실 행정관으로 정계에 입문했다.[3] 2004년에는 대통령 부대변인으로 승진했고, 한 달 뒤에는 노무현 대통령의 세 번째 대변인이 되었는데, 40세의 나이로 이 직책을 맡은 최연소 인물이었다.[3] 헌법재판소가 국회의 탄핵 표결을 기각하고 노무현 대통령이 대통령직에 복귀한 후 첫 대변인이 바로 김종민이었다.[2] 2005년에는 국정홍보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겨 2008년 노무현 대통령 임기 종료 때까지 일했다.[4]
김종민의 참여정부 시절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 | 직책 |
---|---|
2003년 2월 ~ 2004년 5월 |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비서관실 홍보기획비서관실 행정관(정무기획/홍보기획) |
2004년 5월 ~ 2004년 6월 |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비서관실 부대변인 |
2004년 6월 ~ 2005년 7월 |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
2005년 7월 ~ 2008년 2월 |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비서관실 국정홍보비서관 |
김종민은 노무현 대통령의 5년 임기 동안 청와대에서 근무한 후, 노무현 대통령 지지자들의 온라인 토론 플랫폼인 '민주주의 2.0'의 개발 및 운영에 참여했지만,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로 인해 이 플랫폼은 짧은 기간만 운영되었다.[4]
5. 참여정부 이후 경력
2008년 노무현 대통령 퇴임 후, 온라인 시민토론 사이트인 <민주주의 2.0> 개발 및 운영에 참여했지만,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로 인해 이 플랫폼은 짧은 기간만 운영되었다.[4]
이후 대학교 시절 처음 만난 안희정 전 충청남도지사의 첫 부지사로 합류했다.[5] 2012년 총선을 위해 사퇴했다.
그 뒤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 | 직책 |
---|---|
2010. 7.~2011. 9. | 충청남도 정무부지사 |
2012. 4. 11.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 민주통합당) |
2012. 5.~2013. 5. | 민주통합당 충청남도당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2. 9.~2016. 3. | 건양대학교 기초교양교육대학 인문융합교육학부 대우교수, 평생교육정책연구소장 |
2013. 5.~2014. 3. | 민주당 충청남도당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4. 3.~2015. 12. | 새정치민주연합 충청남도당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5 |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원회 부의장 |
2015. 12.~2024. 1. | 더불어민주당 충청남도당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6. 4. 13.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 더불어민주당, 초선) |
2016. 9.~2017. 5. |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2018. 5.~2019. 5. |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
2018. 10.~2020. 5. | 국회 수소경제포럼 운영위원 |
2019. 5.~ |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정당) |
2020. 4. 15.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 더불어민주당, 재선) |
2020. 8~2021. 4. |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 |
2020. 11~2024. 1. | 민주주의 4.0 연구원 이사 |
2021. 5~2024. 1. | 더불어민주당 미디어혁신특별위원회 위원 |
2022. 10~2024. 1. |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선임부의장 |
2023. 11~2024. 1. |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제3정책조정위원장 |
2024. 1.~2024. 2. | 미래대연합 창당준비위원장 겸 원내대표 |
2024. 2.~2024. 2. | 새로운미래 공동대표 |
2024. 2.~2024. 2. | 개혁신당 최고위원 |
2024. 2.~2024. 4. | 새로운미래 공동대표 |
2024. 2.~2024. 9. | 새로운미래 원내대표 |
2024. 3.~2024. 4. | 새로운미래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상임선거대책위원장 |
2024. 4. 10.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세종특별자치시 갑, 새로운미래, 3선[13][14]) |
2024. 5.~2024. 9. | 새로운미래 세종특별자치시당 세종특별자치시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24. 7.~2024. 9. | 새로운미래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
2024. 9. | 새로운미래 탈당 |
6. 국회의원 경력
김종민은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민주통합당 후보로 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건양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기도 했다.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로운미래 소속으로 세종특별자치시 갑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13][14]
2020년 8월에는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에 선출되었으며,[7] 2020년 9월부터 검찰, 경찰, 국정원 등 권력기관 개혁을 위한 당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8][9] 2020년 10월부터는 당 자체 개혁을 위한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10]
2024년에는 새로운미래 창당에 참여하여 공동대표, 원내대표 등을 역임하였으며, 개혁신당과의 합당 과정에서 최고위원을 맡기도 했다. 이후 새로운미래로 복귀했다가 탈당했다.
6. 1. 제20대 국회의원 (충남 논산·계룡·금산, 더불어민주당)
2016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지역구에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2년 총선에서 자신에게 패배를 안겨주었던 6선의 이인제 후보를 꺾고 국회에 입성했다.[6]- 2016. 5. ~ 2020. 5. 제20대 국회의원(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 더불어민주당, 초선)
- * 2016. 6. ~ 2018. 5. 제20대 국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 * 2016. 6. ~ 2017. 5. 제20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 2016. 7. ~ 2017. 7. 제20대 국회 지방재정분권특별위원회 위원
- * 2017. 1. ~ 2017. 12. 제20대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
- * 2017. 6. ~ 2017. 7. 제20대 국회 대법관(박정화·조재연)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 2018. 1. ~ 2018. 6. 제20대 국회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
- * 2018. 7. ~ 2019. 5. 제20대 국회 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
- * 2018. 7. ~ 2020. 5. 제20대 국회 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 * 2018. 10. ~ 2019. 8. 제20대 국회 정치개혁 특별위원회 간사
당선 이후,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정책위원회 부의장(2016. 9. ~ 2017. 5.)[6], 원내부대표(2018. 5. ~ 2019. 5.) 등 주요 직책을 맡았다.
6. 2. 제21대 국회의원 (충남 논산·계룡·금산, 더불어민주당 → 무소속 → 새로운미래 → 개혁신당 → 무소속 → 새로운미래)
2020년 5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제21대 국회의원(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 더불어민주당→무소속→새로운미래→개혁신당→무소속→새로운미래, 재선)을 역임했다.- 2020. 6.~2022. 5. 제21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 2020. 7.~: 대한민국 미래혁신포럼 구성의원
- 2020. 7.~: 국회수소경제포럼 공동연구책임의원
- 2021. 11.~2022. 5. 제21대 국회 언론미디어제도개선 특별위원회 간사
- 2022. 7~2024. 1. 제21대 국회 후반기 정무위원회 간사
- 2024. 1~2024. 5. 제21대 국회 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20년 8월,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7]
2020년 9월부터 검찰, 경찰, 국정원 등 "권력기관" 개혁을 위한 당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8][9] 2020년 10월부터는 당 자체 개혁을 위한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10]
이후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무소속, 새로운미래, 개혁신당, 다시 무소속을 거쳐 새로운미래 소속으로 활동했다.
6. 3. 제22대 국회의원 (세종특별자치시 갑, 새로운미래 → 무소속)
2024년 4월 10일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세종특별자치시 갑 선거구에 새로운미래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3][14] 3선 국회의원이 된 김종민은 2024년 9월 새로운미래를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2024. 5.~ 제22대 국회의원(세종특별자치시 갑, 새로운미래→무소속, 3선)
- * 2024. 6.~ 제22대 국회 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 * 2024년 12월~2024년 12월: 제22대 국회 헌법재판소 재판관(마은혁·정계선·조한창) 선출에 관한 인사청문 특별위원회 위원
선거 | 년도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2024 | 세종특별자치시 갑 | 새로운미래 | 65,599 | 56.93% | 당선 |
7. 정당 활동
김종민은 2012년 5월부터 2013년 5월까지 민주통합당 충청남도당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지역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이후 민주당(2013년 5월~2014년 3월), 새정치민주연합(2014년 3월~2015년 12월)에서도 같은 지역의 위원장을 맡았다. 2015년에는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원회 부의장을 지냈다.[6] 2015년 12월부터 2024년 1월까지는 더불어민주당 충청남도당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지역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된 후, 2016년 9월부터 2017년 5월까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을 역임했고, 2018년 5월부터 2019년 5월까지는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를 맡았다.
2020년 8월, 김종민은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7] 임기는 2021년 4월까지였다. 2020년 9월부터는 검찰, 경찰, 국정원 등 "권력기관" 개혁을 위한 당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8][9] 10월부터는 당 자체 개혁을 위한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10] 2020년 11월부터 2024년 1월까지는 민주주의 4.0 연구원 이사로 활동했다.
2021년 5월부터 2024년 1월까지 더불어민주당 미디어혁신특별위원회 위원을 맡았고, 2022년 10월부터 2024년 1월까지는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선임부의장을, 2023년 11월부터 2024년 1월까지는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제3정책조정위원장을 역임했다.
2024년 1월, 김종민은 미래대연합 창당준비위원장 겸 원내대표를 맡았고, 2월에는 새로운미래 공동대표 및 개혁신당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이후 다시 새로운미래 공동대표(2024년 2월~4월, 2024년 2월~9월)와 원내대표(2024년 2월~9월)를 맡았다. 2024년 3월부터 4월까지는 새로운미래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상임선거대책위원장을 지냈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로운미래 소속으로 세종특별자치시 갑에 당선된 후, 2024년 5월부터 9월까지 새로운미래 세종특별자치시당 세종특별자치시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을, 2024년 7월부터 9월까지 새로운미래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을 역임했다.
2024년 9월, 새로운미래를 탈당했다.[13][14]
8. 논란 및 사건
김종민은 1987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2년, 자격정지 2년을 선고받았다.[11]
8. 1. 국가보안법 위반
1987년 3월 14일, 국가보안법 위반(기타)으로 징역 2년, 자격정지 2년을 선고받았다.[11]9. 역대 선거 결과
선거 | 년도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당선 여부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2012년 | 논산시·계룡시·금산군 | 민주통합당 | 37,701표 | 39.85% | 낙선 | 낙선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2016년 | 논산시·계룡시·금산군 | 더불어민주당 | 45,203표 | 43.55% | 당선 | 초선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2020년 | 논산시·계룡시·금산군 | 더불어민주당 | 58,319표 | 51.01% | 당선 | 재선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2024년 | 세종특별자치시 갑 | 새로운미래 | 65,599표[12][14] | 56.93% | 당선 | 3선 |
참조
[1]
웹사이트
김종민의 출사표 "文 정부 성공, 정권 재창출"
http://www.dtnews24.[...]
2020-07-21
[2]
웹사이트
청와대가 선택한 ‘젊은 입’ 김종민
http://www.sisajourn[...]
2004-07-06
[3]
웹사이트
청와대대변인 김종민씨
http://www.jjan.kr/n[...]
2004-07-01
[4]
웹사이트
[의원의 맛과 멋]①`노무현 주의자` 김종민이 생각하는 좋은 정치란
http://naon.go.kr/co[...]
[5]
웹사이트
김종민 정무부지사 내정자, 안희정 지사와 동지
http://www.dtnews24.[...]
2010-07-05
[6]
웹사이트
[20대 총선]불사조 이인제 꺾은 김종민은 누구?
https://mobile.newsi[...]
2016-12-28
[7]
웹사이트
[속보]민주당 최고위원, 김종민 염태영 노웅래 신동근 양향자
http://www.fnnews.co[...]
2020-08-29
[8]
웹사이트
(LEAD) Moon urges continued push for reform of prosecution, police, state spy agency
https://en.yna.co.kr[...]
2020-09-21
[9]
웹사이트
민주, 권력기관·정치개혁 TF 구성…"현안 신속 대응"
https://www.mk.co.kr[...]
2020-09-21
[10]
웹사이트
민주당 혁신위 구성…이낙연 "미래 백년정당 되겠다"
https://www.yna.co.k[...]
2020-10-14
[11]
웹인용
전과기록증명에 관한 제출서
http://info.nec.go.k[...]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0-03-27
[12]
웹사이트
김종민(金鍾民) 1964년 05월 12일(남) [2024.04.10] 제22대 국회의원선거새로운미래 / 국회의원선거 / 세종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갑) / 65,599표 (56.93%) 당선
http://info.nec.go.k[...]
[13]
뉴스
[화제의 당선인] 민주당 후보 공천 취소 세종갑서 3선 성공한 김종민
https://www.yna.co.k[...]
2024-05-14
[14]
뉴스
[화제의 당선인]'운 좋은 남자' 김종민 세종서 3선 고지(종합)
https://www.news1.kr[...]
2024-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