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베시마 다다시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베시마 다다시게는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사가번 초대 번주 나베시마 가쓰시게의 동생이다. 1584년 사가성에서 태어나 임진왜란에 참전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형 가쓰시게가 서군에 가담하자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처벌받는 것을 막기 위해 활약했다. 이후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섬기며 총애를 받아 '충무'로 개명했고, 시모사 야하기에 5000석을 받았다. 1609년에는 2만 석을 분봉받아 가시마번을 입번했으나, 병으로 인해 번정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1614년 오사카 겨울 전투에 참전했으며, 1624년 야하기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시마번주 - 나베시마 하루시게
나베시마 하루시게는 에도 시대 가시마 번과 사가 번의 번주로서, 사가 번주 재임 시절 번정 개혁을 통해 메이지 유신 시기 사가 번이 활약하는 기반을 다진 명군으로 평가받는다. - 나베시마씨 - 사가번
사가번은 히젠국을 지배하며 사가성을 번청으로 둔 번으로,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실권을 장악한 후 성립되었고, 에도 시대 나가사키 경비 부담 대신 산킨코타이 단축 특혜를 받았으며, 막말에는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주도로 근대화를 추진, 메이지 유신에는 삿초토히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나베시마씨 - 사가성
사가성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류조지 가문과 나베시마 가문의 거점이었으며, 1726년 대화재와 1874년 사가의 난을 겪었으며, 현재는 샤치 문과 쓰즈키 망루가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1624년 사망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 1624년 사망 - 후쿠시마 마사노리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긴 일본 아즈치-모모야마,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임진왜란 참전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의 공으로 히로시마 번주에 임명되었으나 금령 위반으로 강등된 인물이다.
나베시마 다다시게 | |
---|---|
기본 정보 | |
![]() | |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출생 | 덴쇼 12년 11월 28일 (1584년12월 29일) |
사망 | 간에이 원년 8월 4일 (1624년9월 16일) |
개명 | 헤이시치로, 한스케 (유명), 다다시게 |
이명 | 오가와 나오후사 (별명) |
계명 | 도쿠즈이인덴고소조돈다이고지 |
묘소 | 지바현가토리시 가미오가와의 엔쓰지 |
관위 | 종5위하, 이즈미노카미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히데타다 |
번 | 히젠가시마번 번주 |
씨족 | 나베시마 씨 → 오가와 씨 → 나베시마 씨 |
부모 | 아버지: 나베시마 나오시게 어머니: 이시이 쓰네노부의 딸, 요타이인 (일설에는 이데구치 쇼자에몬의 여동생이라고도 함) |
형제자매 | 가쓰시게, 다다시게 |
배우자 | 정실: 에가미 이에타네의 딸, 아키야마 사치 (지코) 계실: 세키베 효부의 딸, 류코 (붓코인) |
자녀 | 마사시게 사노 시게히사 딸 (나베시마 시게쓰나 실) 시게사다 |
가시마번 번주 (나베시마가) | |
대수 | 1 |
임기 | 1609년 ~ 1624년 |
전임자 | (나베시마 가쓰시게) |
후임자 | 나베시마 마사시게 |
2. 생애
나베시마 나오시게의 차남으로 사가성에서 태어났으며, 형은 사가번의 초대 번주인 나베시마 가쓰시게이다. 어릴 때부터 아버지, 형과 함께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다. 1595년 분로쿠의 역(임진왜란)과 1597년 게이초의 역(정유재란)에 참전하였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형 가쓰시게가 서군에 가담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처벌받을 위기에 처하자, 아버지의 명으로 서군의 다치바나 무네시게를 공격하여 가문 존속에 기여했다. 1601년 이에야스에게 인질로 에도에 갔고, 1602년부터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섬기며 총애를 받아 '충(忠)' 자를 받아 다다시게(忠茂)로 개명하고 시모사 야하기에 5000석을 받았다.
1608년 중풍으로 귀국하여 요양했으나, 1609년 2만 석을 추가로 받아 가시마번을 세웠다. 1614년 오사카 겨울 전투에 참전 후 1624년 사망했다. 장남 마사시게가 뒤를 이었다.
2. 1. 출생과 임진왜란
나베시마 나오시게의 차남으로 사가성에서 태어났다. 형은 사가번의 초대 번주인 나베시마 가쓰시게이다. 생모에 관해서는 간세이 중수 제씨보에서는 이시이 쓰네요의 딸 요타이인을, 다른 계도에서는 이데구치 코자에몬의 여동생이라고 한다. 다만, 다다시게가 창건한 다이치사는, 다다시게가 양친을 위해 세웠고, 절호는 나오시게의 법명 니치호 소치, 요타이인의 법명에서 명명했으며, 요타이인이 생모였을 가능성이 높다.어릴 때부터 아버지나 형과 함께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1595년 분로쿠의 역(임진왜란)에서는 아버지와 형과 함께 조선에 건너가 조선군과 싸웠다. 1597년 게이초의 역(정유재란)에도 참가했다.
2. 2. 세키가하라 전투와 에도 막부
1600년 9월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형인 나베시마 가쓰시게가 서군에 가담했기 때문에, 전투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처벌을 받을 뻔했다. 하지만 아버지 나베시마 나오시게의 명령으로 서군의 다치바나 무네시게를 공격하여 나베시마 가문의 존속에 힘썼다. 1601년에는 이에야스에게 인질로 에도로 향했다. 1602년부터 이에야스의 삼남 히데타다의 측근으로 섬겼지만, 히데타다에게 총애를 받아 "충"(忠) 자를 편휘받아 다다시게(忠茂)로 개명했다. 또한, 시모사 야하기에 5000석을 받아 종5위하 이즈미노카미에 서임되었다.2. 3. 가시마번 번주
1608년 중풍을 앓아 귀국을 허가받은 후 하스이케에서 요양했다. 그러나 아버지 나베시마 나오시게와 형 나베시마 가쓰시게로부터 막부와의 연결고리 역할로 중용되었으며, 1609년에 2만 석을 분지받았다. 시모사의 5000석과 합쳐 2만 5000석의 다이묘가 되었고, 쓰네히로성을 수축하여 거성으로 삼고 가시마번을 세웠다. 그러나 병 때문에 번정을 맡는 일은 거의 없었다고 한다.2. 4. 오사카 전투와 죽음
나베시마 다다시게는 병든 몸을 이끌고 오사카 겨울 전투에 참가하여 히데타다에게 격찬을 받았다. 그 후 야하기에서 요양했지만 회복하지 못하고, 1624년(간에이 원년) 8월 4일에 야하기에서 사망했다. 향년 41세였다.뒤는 장남인 마사시게가 이었다.
3. 가계
항목 | 내용 |
---|---|
아버지 | 나베시마 나오시게 |
어머니 | 요타인 (이시이 쓰네요의 딸, 일설에는 이데구치 코자에몬의 여동생) |
정실 | 아키야마 사치 (에가미 이에타네의 딸) |
계실 | 류시, 붓코인 (세키베 효부의 딸) |
장남 | 나베시마 마사시게 (생모: 붓코인) |
기타 자녀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