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 (대구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 남구는 1963년 대구시의 구제 실시로 설치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대구의 중앙에 위치하며, 3개의 법정동과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교육기관으로는 대구교육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등이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이 지나간다. 이천동 고미술 거리, 고산골 조각공원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으며, 여러 지역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남구의 행정 구역 - 대명동 (대구광역시)
대명동은 대구광역시 남구에 있는 행정동으로, 임진왜란 때 귀화한 명나라 장수 두사충에서 유래되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이 지나고 다양한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대구 남구 - 영남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은 1983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원하여 암센터 개설, 영남대학교의료원 발족, 상급종합병원 지정 등의 역사를 거쳐 영천병원을 부속병원으로 두고 있다. - 대구 남구 - 대구교통방송
대구교통방송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교통 전문 라디오 방송국으로, FM 103.9MHz와 김천 FM 95.9MHz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며,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안전 운전 캠페인, 재난 방송 등 지역 사회에 필요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 대구광역시의 구 - 수성구
대구광역시 수성구는 1980년 동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구로, 2021년 기준 418,883명의 인구와 76.46km²의 면적을 가지며, 범어동과 황금동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수성못 주변에 관광 및 문화 시설이 발달하였고, 23개의 행정동과 26개의 법정동, 대구도시철도 2, 3호선, 국립대구박물관, 대구미술관, 수성대학교 등이 위치하며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구 - 달서구
달서구는 대구광역시 서남부에 위치하며 1988년 설치되어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성서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발전했고, 현재 23개 행정동과 두류공원, 대구수목원, 이월드 등의 문화·휴양 시설, 그리고 대구 도시철도 1, 2호선을 갖춘 교통의 요충지이다.
남구 (대구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로마자 표기 | Nam-gu |
맥큔-라이샤워 표기 | Nam-gu |
![]() | |
![]()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영남 지방 |
광역 자치 단체 | 대구광역시 |
행정 구역 | 13개 행정동 |
면적 | 17.43 km² |
인구 (2024년 9월 기준) | 135,957명 |
인구 밀도 | 7,836명/km² |
방언 | 경상 방언 |
웹사이트 | 남구청 웹사이트 |
![]() | |
행정 구역 | |
![]() | |
상징 | |
구의 나무 | 이팝나무 |
구의 꽃 | 개나리 |
구의 새 | 까치 |
정치 | |
구청장 | 조재구 |
국회의원 | 김기웅 (국민의힘, 중구·남구) |
2. 역사
1965년 당시 행정동 |
---|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대봉1동, 대봉2동, 대봉3동, 봉덕1동, 봉덕2동,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
- 1970년 7월 1일: 봉덕2동이 봉덕3동으로, 대명4동이 대명6동으로, 대명3동이 대명7동으로, 대명2동이 대명8동으로 분동되었다.[6] (17행정동)
- 1975년 10월 1일: 남산1동이 남산2동에 합동되었고, 남산3동을 남산1동으로 개칭하였으며, 대명1동을 대명9동, 대명10동으로 분동하였다. (18행정동)
- 1979년 1월 1일: 대명1동이 대명11동으로 분동되었다.[7] (19행정동)
- 1980년 4월 1일: 남산동 일원(남산1동, 남산2동), 대봉동 일부(대봉1동, 대봉3동), 대명동 일부(대명4동, 대명6동)를 중구에 편입하였고,[8] 남구 대봉동을 이천동으로 개칭,[9] 남은 대봉3동을 이천1동으로, 대봉2동을 이천2동으로, 대명11동을 대명4동으로, 대명10동을 대명6동으로 개칭하였다.[10] (14행정동 3법정동)
- 1980년 12월 1일: 중구 남산동 693-7번지(남문시장네거리)에서 봉덕동 565-5번지로 구 청사를 이전하였다.
- 1981년 7월 1일: 달성군 월배읍 일원을 편입하여 '''대구직할시 남구'''로 승격, 월배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2년 9월 1일: 월배1동, 월배2동, 송현동이 설치되었다.
- 1983년 3월 15일: 월배3동이 설치되었다.
- 1985년 12월 1일: 대명1동이 대명10동으로, 대명6동이 대명11동으로 분동되었다.
- 1987년 1월 1일: 서구 본리동 일부(구마로 이남)를 남구에 편입하여 본동을 신설하였다.[11]
- 1987년 6월 15일: 송현동이 송현1동, 송현2동으로 분동되었다.
- 1988년 1월 1일: 남구 일부와 서구 일부를 관할로 달서구가 설치되었고,[12] 월배출장소를 폐지하였다.
-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하였다.[13]
-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남구'''로 개칭되었다.
3. 지리
남구는 대구의 중앙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신천을 경계로 수성구와 접경하고 있고, 남쪽으로는 앞산공원이 소재하고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과 접경하며, 북쪽으로는 명덕로를 경계로 중구와 접경하고 있다. 남구 지역은 조령에서 발원하여 남경산을 양분하고 북쪽으로 흐르는 신천의 범람으로 형성된 충적 평야이며, 사력질 토양으로 투수성이 강하여 항상 건조한 지반을 유지하고 있다.[17]
4. 행정 구역
대구광역시 남구는 이천동, 봉덕동, 대명동의 3개 법정동과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구의 면적은 17.44km2이며, 2015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16만 852명, 7만 4949 가구이다.[18]
4. 1. 행정 구역 목록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명) | 세대 |
---|---|---|---|---|
이천동 | 梨泉洞 | 1.09km2 | 13,652 | 6,094 |
봉덕1동 | 鳳德1洞 | 0.49km2 | 9,352 | 4,960 |
봉덕2동 | 鳳德2洞 | 3.07km2 | 10,849 | 4,655 |
봉덕3동 | 鳳德3洞 | 2.69km2 | 16,418 | 7,776 |
대명1동 | 大明1洞 | 0.45km2 | 11,830 | 5,562 |
대명2동 | 大明2洞 | 0.83km2 | 11,882 | 6,420 |
대명3동 | 大明3洞 | 0.94km2 | 12,863 | 6,674 |
대명4동 | 大明4洞 | 0.71km2 | 11,360 | 5,661 |
대명5동 | 大明5洞 | 0.92km2 | 8,173 | 4,327 |
대명6동 | 大明6洞 | 1.5km2 | 10,307 | 5,148 |
대명9동 | 大明9洞 | 3.38km2 | 15,713 | 7,723 |
대명10동 | 大明10洞 | 0.5km2 | 9,433 | 4,730 |
대명11동 | 大明11洞 | 0.87km2 | 8,669 | 4,404 |
행정동은 13개, 법정동은 3개로 구성된다.
행정동 | 법정동 |
---|---|
이천동 | 이천동 |
봉덕1동 | 봉덕동 |
봉덕2동 | |
봉덕3동 | |
대명1동 | 대명동 |
대명2동 | |
대명3동 | |
대명4동 | |
대명5동 | |
대명6동 | |
대명9동 | |
대명10동 | |
대명11동 |
5. 인구
南區|남구중국어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19]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80년 | 358,267명 | 일부 지역 중구 이관[20] |
1982년 | 285,232명 | 달성군 월배읍이 남구로 편입[21] |
1988년 | 279,539명 | 월배동이 달서구로 분리[22] |
2022년 | 142,753명 |
6. 교육
7. 교통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남구를 지난다. 1호선에는 서부정류장역, 대명역, 안지랑역, 현충로역, 영대병원역, 교대역이 있으며, 3호선에는 건들바위역과 대봉교역이 있다. 명덕역은 중구와 경계에 걸쳐있다.[1]
7. 1. 철도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서부정류장역, 대명역, 안지랑역, 현충로역, 영대병원역, 교대역이 남구를 지난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명덕역, 건들바위역, 대봉교역도 남구를 지난다. 명덕역은 중구에 있지만, 남구와의 경계에 걸쳐있다.[1]8. 주요 기관
- 대구남부경찰서
- 남대구우체국
- 남대구세무서
- 달성교육청
- 남부교육청
9. 관광
- 이천동 고미술 거리
- 고산골 조각공원
- 대명 공연 문화 거리
- 앞산빨래터공원
- 앞산 고산골 공룡 화석지
10. 자매 도시
지역 | 도시 |
---|---|
강원특별자치도 | 평창군 |
경기도 | 의왕시 |
경상남도 | 고성군 |
대구광역시 | 군위군 |
광주광역시 | 남구 |
광주광역시 | 북구 |
대전광역시 | 유성구 |
울산광역시 | 북구 |
인천광역시 | 부평구 |
전라남도 | 완도군 |
전북특별자치도 | 진안군 |
전북특별자치도 | 무주군 |
충청남도 | 금산군 |
충청북도 | 충주시 |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 날짜 형식에 맞춰 수정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5]
조례
대구시 조례 제387호
1965-01-27
[6]
조례
대구시 조례 제610호
1970-07-01
[7]
조례
대구시 조례 제1144호
1978-12-29
[8]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9630호
1979-09-26
[9]
조례
대구시 조례 제1243호
1979-03-18
[10]
조례
대구시 조례 제1244호
1979-03-18
[11]
조례
대구시 조례 제2057호 동의명칭과구역에관한조례
1986-12-31
[12]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13]
법률
법률 제4004호 지방자치법
1988-04-06
[14]
조례
남구 조례 제413호
1998-04-10
[15]
조례
남구 조례 제556호
2001-12-10
[16]
조례
남구 조례 제595호
2003-02-28
[17]
웹사이트
대구 남구 지역특성 및 기후
http://nam.daegu.kr/[...]
2012-09-05
[18]
웹사이트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6-04-30
[19]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0]
문서
남산동 전체·대명동·대봉동 일부가 중구로 편입
1981-04-01 #날짜추정
[21]
문서
1981-07-01
[22]
문서
서구 성서동·내당동과 달서구로 분리
1987-01-01 #날짜추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