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큰돌고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방큰돌고래는 큰돌고래와 외형적으로 유사하나 몸집이 더 가늘고 부리가 긴 특징을 지닌 종이다. 1998년 별개의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쇠돌고래속에 속한다. 다양한 물고기와 두족류를 먹이로 하며, 보통 5~15마리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서식지는 북태평양 서쪽, 오스트레일리아 부근의 남태평양, 인도양 등 따뜻한 바다 연안이며, 대한민국 제주도 연안에도 서식한다. 환경 훼손, 포획, 어업과의 충돌 등으로 위협받고 있으며, 야생동물 이동종 보존에 관한 협약의 적용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포경위원회 지정 포획금지종 - 혹등고래
혹등고래는 긴수염고래과의 수염고래로, 큰 가슴지느러미와 등에 있는 혹으로 구별되며,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고 회유하는 동물로, 과거 포경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현재는 회복 중이지만, 일부 개체군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인위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국제포경위원회 지정 포획금지종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 인도양의 고래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 인도양의 고래 - 남극밍크고래
남극밍크고래는 남극해를 중심으로 남반구에 서식하는 수염고래로, 북방쇠정어리고래와는 다른 종이며, 일반 밍크고래와 형태적 차이를 보이고 크릴을 주식으로 하며, 범고래가 주요 천적이고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1833년 기재된 포유류 - 물영양
물영양은 소과에 속하는 아프리카 포유류로, 물에 대한 의존성이 높고 수컷은 뿔을 가지며, 무리 생활을 하며 초식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이다. - 1833년 기재된 포유류 - 케이프여우
케이프여우는 남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은회색 털과 검은색 꼬리 끝을 가진 작은 개과 동물로, 건조 및 반건조 지역에서 잡식성으로 생활하는 야행성 동물이며, 농부들의 오해와 질병 등으로 위협받지만 개체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남방큰돌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서식지 | 인도양과 서태평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 |
분포 지역 | 인도양 서태평양 동아프리카 해안 인도 아대륙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해안 뉴기니 일본 남부 해안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고래목 |
아목 | 이빨고래아목 |
과 | 참돌고래과 |
속 | 핸두돌고래속 |
종 | 인도태평양 큰돌고래 (Tursiops aduncus) |
학명 | Tursiops aduncus |
명명자 | (Ehrenberg, 1833) |
형태 | |
몸길이 | 약 2.6 m |
몸무게 | 약 230 kg |
특징 | 다른 큰돌고래에 비해 더 작고 날씬한 체형 부리(주둥이)가 길고 가늘다 |
보전 상태 | |
IUCN | 준위협 |
CITES | 부속서 II |
아종 | |
아종 | T. aduncus australis (버루난돌고래) |
이명 | |
이명 | Delphinus aduncus Ehrenberg, 1833 Delphinus hamatus Wiegmann, 1841 Delphinus abusalam Rüppell, 1842 Tursiops catalania Gray, 1862 Tursio abusalam Gray, 1866 Steno gadamu Gray, 1866 Sotalia gadumu Owen, 1866 Clymenia gudamu Gray, 1868 Delphinus salam Van Beneden, 1886 Sotalia perniger Trouessart, 1898 Tursiops fergusoni Lydekker, 1903 Tursiops abusalam Trouessart, 1904 Tursiops truncatus aduncus Hershkovitz, 1966 Tursiops australis Charlton-Robb, et al, 2011 |
기타 | |
영어 이름 | Indian Ocean Bottlenose Dolphin |
2. 분류
1998년까지 남방큰돌고래는 큰돌고래(*Tursiops truncatus*)와 같은 종으로 여겨졌으나, 그해 연구를 통해 별개의 종인 남방큰돌고래(*Tursiops aduncus*)로 재분류되었다.[5][7] 국제포경위원회(IWC) 과학위원회 역시 2000년에 남방큰돌고래를 별개의 종으로 공식 인정하였다.[36] 두 종은 약 100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 중기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8]
남방큰돌고래는 외형적으로 큰돌고래와 매우 유사하지만, 몇 가지 뚜렷한 차이점을 보인다. 큰돌고래가 비교적 튼튼한 몸집과 적당한 길이의 부리를 가진 반면, 남방큰돌고래는 몸집이 더 가늘고 부리가 더 길고 가늘다.[12] 몸 색깔은 대체로 밝은 파란색 또는 회색을 띠며, 등 쪽은 약간 진하고 배 쪽은 밝은 회색이다. 등지느러미 아래로 밝은 등줄무늬(spinal blaze)가 확장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큰돌고래보다 더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다.[12] 가장 확실한 구분 특징 중 하나는 성체 남방큰돌고래의 배에 나타나는 검은 점이나 반점인데, 이는 큰돌고래에게서는 매우 드물게 관찰된다.[12] 이빨은 위턱과 아래턱에 각각 23개에서 29개 사이로 나 있으며, 큰돌고래의 이빨보다 더 가늘다.[12]
분류학적으로 남방큰돌고래의 위치에 대해서는 몇 가지 다른 견해가 제시되었다. 일부 초기 유전학 연구에서는 남방큰돌고래가 큰돌고래보다 꼬마돌고래속(*Stenella*)의 특정 종, 특히 대서양점박이돌고래(*S. frontalis*)와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5][9][37] 그러나 최근의 포괄적인 연구들은 이러한 결과가 과거 꼬마돌고래속과 조상 큰돌고래속(*Tursiops*) 간의 잡종화로 인한 망상 진화 또는 불완전 계통 분류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하며, 남방큰돌고래와 큰돌고래가 같은 큰돌고래속에 속한다는 기존 분류를 지지하고 있다.[8]
한편,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해안에 서식하는 버루난돌고래(*T. (aduncus) australis*)의 분류학적 위치는 논쟁 중이다. 과거 별개의 종 또는 큰돌고래의 아종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2020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포유류학회(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는 이를 남방큰돌고래의 아종으로 잠정 분류하고 있다.[8][10] 해당 연구는 남방큰돌고래 내에 유전적으로 구분되는 세 그룹, 즉 인도양 계통, 오스트랄라시아 계통, 그리고 버루난돌고래 계통이 존재하며, 이들이 각각 아종의 지위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8] 하지만 해양포유류학회(Society for Marine Mammalogy)는 버루난돌고래의 분류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아직 이를 별도의 종이나 아종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11]
3. 형태 및 생태
남방큰돌고래의 크기는 서식하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성체의 평균 몸길이는 약 2.6m이고 최대 몸무게는 230kg에 달한다.[4] 이는 큰돌고래에 비해 약간 작은 크기이다. 출생 시 새끼의 길이는 0.84m에서 1.5m 사이이다.[4]
일본 미쿠라지마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개체군은 별개의 형태 또는 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13]
3. 1. 먹이
남방큰돌고래는 다양한 물고기와 두족류(특히 오징어)를 먹는다.[14]
탄자니아 잔지바르 연안에서 자망 어업에 걸린 남방큰돌고래의 위 내용물을 분석하여 먹이 생태를 조사한 연구가 있다.[14] 이 연구에 따르면, 위 내용물에서 50종의 어류와 3종의 오징어가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 가장 중요한 먹이는 어류로, 전체 먹이 수의 87%를 차지했으며, 조사된 26개의 위 중 24개에서 발견되었다. 두족류는 먹이 수의 나머지 13%를 차지했고, 26개의 위 중 13개에서 확인되었다.[14] 일부 갑각류의 잔해도 발견되었지만, 상당수가 먹이인 물고기의 위장에서 온전한 상태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는 2차적으로 섭취된 것으로 추정되어 식단 분석에는 포함되지 않았다.[14]
서일본 이남에서 얻어진 표본에는 남방큰돌고래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나, 식성에 대해서는 남방큰돌고래와 큰돌고래를 명확히 구분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3. 2. 행동
남방큰돌고래는 수백 마리까지 무리를 지어 생활하지만, 보통 5~15마리 정도의 무리를 이루는 것이 가장 흔하다.[6] 서식 범위의 일부 지역에서는 큰돌고래[6] 및 혹등돌고래와 같은 다른 돌고래 종과 어울리기도 한다.[6]
주요 번식기와 새끼 출산기는 봄과 여름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일년 내내 번식과 출산이 이루어진다. 임신 기간은 약 12개월이다. 갓 태어난 새끼의 길이는 0.84m에서 1.5m 정도이고, 몸무게는 9kg에서 21kg 정도이다. 새끼는 1.5년에서 2.0년 사이에 젖을 떼지만, 최대 5년 동안 어미와 함께 지낼 수 있다. 암컷의 출산 간격은 일반적으로 4.5년에서 6년 사이이다.[4] 어미를 잃은 새끼에게 다른 암컷이 수유하는 경우도 확인되었다.[38]
서식 범위의 일부 지역에서는 상어의 포식 대상이 되기도 하며,[6] 수명은 40년 이상이다.[4]
오스트레일리아 샤크 만(Shark Bay)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는 '스펀징(sponging)'이라는 독특한 행동을 보이는데, 이는 스펀지를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다. 돌고래는 해저에서 해양 스펀지를 떼어내 주둥이에 덮어 쓰는데, 이는 먹이를 찾는 과정에서 주둥이를 보호하거나 먹이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받기 위한 행동으로 추정된다.[15][16]
또한 남방큰돌고래는 특정 종류의 산호와 스펀지 근처에서 헤엄치며 자신의 몸을 문지르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해당 산호와 스펀지에는 항균, 항산화, 호르몬 활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돌고래가 이를 이용하여 피부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행동일 수 있다.[18]
수중 포유류에서 자발적 사정(spontaneous ejaculation)에 대한 최초의 보고와 영상은 2012년 일본 미쿠라 섬(Mikura Island) 근처 야생 남방큰돌고래에서 기록되었다.[17]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모튼 섬과 몽키마이아에서 야생 개체에게 먹이를 주는 활동이 오랫동안 이루어져 왔으며, 이곳의 돌고래들은 사람에게 매우 익숙해져 있다.
한편, 2023년 일본 후쿠이현 와카사만 연안에 나타난 개체는 해수욕객에게 반복적으로 접근하여 몸을 부딪치거나 무는 등의 행동으로 부상을 입히기도 했다.
4. 서식지
남방큰돌고래는 북태평양 서쪽, 오스트레일리아 부근의 남태평양, 인도양 등 따뜻한 바다 연안에 주로 서식한다.
일본에서는 오가사와라 제도, 이즈 제도, 일본해의 나나오만, 와카사만, 아마쿠사 제도, 가고시마만, 아마미오시마 등 서일본을 중심으로 여러 곳에 정착한 개체군이 존재한다. 일본 내 돌고래 관광(ホエールウォッチング)이나 돌핀 스윔(돌고래와 함께 수영하는 활동)에서 관찰 대상이 되는 것은 낫돌고래가 아닌 남방큰돌고래인 경우가 많다.
특히 도야마만의 수계인 나나오만에는 2001년경부터 이 종의 무리가 정착했는데, 남방큰돌고래가 이러한 위도와 기후에 정착하는 것은 드문 사례로 여겨진다.
4. 1. 대한민국
제주도 연안에는 남방큰돌고래의 아종인 제주남방큰돌고래가 서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를 막고 제주남방큰돌고래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이들의 서식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제주도에는 이미 제주마, 제주개 등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특히 최근 제주도에서 추진되는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이 제주남방큰돌고래의 서식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이들에 대한 보호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50][51][52]5. 인간과의 관계
호주 모닝턴 섬에 사는 원주민 부족은 수천 년 동안 야생 돌고래와 의사소통을 해왔다고 전해진다. 이들은 부족의 주술사가 돌고래를 부르고 텔레파시로 그들과 이야기한다고 믿으며, 이러한 소통이 부족의 행운과 행복을 지켜준다고 여긴다.
5. 1. 사육
남방큰돌고래는 전 세계적으로 사육되는 경우가 흔하며,[14] 이는 여러 보존 문제를 야기한다. 야생 개체군에서 동물을 포획하는 것의 영향, 포획 및 운송 과정, 그리고 사육 환경에서의 생존 문제 등이 우려된다. 특히 동물을 장거리로 운송하거나 해상 가두리에 수용할 때, 외래종의 의도치 않은 유입이나 동물 전염병이 야생 개체군과 생태계로 확산될 위험이 있다.[22]돌고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하게 사육되는 고래류이다.[22] 1980년 이전에는 미국, 멕시코, 바하마에서 1,500마리가 넘는 돌고래가 포획되었고, 일본에서는 550마리가 넘는 쇠돌고래와 60마리의 인도양 돌고래가 사육 목적으로 포획되었다.[22] 그러나 1980년대 후반 미국은 돌고래 포획을 중단했으며, 북미 수족관에서는 사육 상태에서 태어난 개체 수가 1976년 6%에서 1996년 약 44%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대한민국에서는 2010년대에 환경 단체와 동물 보호 단체들이 중요한 활동을 벌였다. 이들은 어부들에게 불법으로 포획되어 제주 패시픽랜드[23]와 서울대공원[24]에 갇혀 있던 남방큰돌고래들을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캠페인(2013년 대한민국 남방큰돌고래 방사)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2019년 캐나다는 '고래와 돌고래의 사육 종식 법'(Bill S-203)으로도 알려진 법안을 통과시켜, 오락 목적의 고래, 돌고래, 쇠돌고래의 거래, 소유, 포획 및 사육을 금지하는 중요한 조치를 취했다.[25]
6. 보존 상태 및 위협
이 종은 멸종위기종으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연안에 서식하는 특성 때문에 환경 훼손, 직접적인 착취, 그리고 지역 어업과 관련된 문제에 취약하다.[19]
남방큰돌고래의 주요 포식자는 일반적으로 상어이며, 인간, 범고래(''Orcinus orca''), 그리고 가오리도 포함될 수 있다.
인간 활동으로 인한 위협도 상당하다. 1980년대 초, 호주 북서부 아라푸라해에서는 대만의 유자망 어업으로 인해 많은 개체가 의도적으로 사살되었다.[20] 또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호주에서는 해수욕객을 상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대형 그물에 걸려 상당수의 돌고래가 폐사하기도 했다.[21] 자망 역시 이 종의 서식 범위 대부분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돌고래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변 환경의 소음 또한 남방큰돌고래에게 영향을 미친다. 일본의 세 개체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26]에 따르면, 돌고래 서식지의 주변 소음 특징과 발생하는 휘슬 소리를 비교한 결과, 주변 소음이 적은 서식지의 돌고래는 더 다양한 주파수와 큰 변조를 가진 휘슬 소리를 내는 반면, 주변 소음이 큰 서식지의 돌고래는 더 낮은 주파수와 적은 주파수 변조를 가진 휘슬 소리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돌고래가 주변 소음 환경에 맞춰 의사소통 신호를 조절하며, 신호 간섭이나 고주파 신호 감소를 피하려 함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주변 소음이 남방큰돌고래 개체군의 휘슬 소리 변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소형 모터보트의 접근 역시 돌고래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 연구[27]에서는 100m 이내로 접근하는 모터보트가 돌고래의 수면 행동을 이동에서 맴도는 행동으로 바꾸고, 이동 방향을 모터보트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바꾸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터보트가 떠나 소음이 사라지면 돌고래는 이전 행동으로 돌아갔다. 서호주 샤크 베이에서 수행된 다른 연구[28]에서도 소형 수상 운송 수단의 접근 전후에 돌고래 행동에 상당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교통량이 적은 지역의 돌고래가 많은 지역의 돌고래보다 더 강하고 오래 지속되는 반응을 보였는데, 이는 장기간 선박 교통에 노출된 돌고래가 선박에 익숙해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이 고래 관찰 보트가 돌고래 행동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을 보여주지만, 장기적인 개체군 생존력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샤크 베이 개체군은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29]
국제적인 보호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아라푸라해와 티모르해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 개체군은 야생동물의 이동종 보존에 관한 협약(CMS) 부속서 II[30]에 등재되어 있다. 이는 이들이 불리한 보존 상태에 있거나 국제 협력을 통해 상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31] 또한, 남방큰돌고래는 태평양 제도 지역의 고래류 및 서식지 보존을 위한 양해각서(태평양 고래류 MoU)의 적용을 받는다.[32]
지역적인 보호 구역 설정 사례도 있다. 애들레이드 돌핀 보호구역은 호주 남호주주의 세인트빈센트 만 동해안에 위치한 해양보호구역으로, 2005년 해당 지역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 개체군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34]
참조
[1]
MSW3
[2]
IUCN
Tursiops aduncus
2021-11-19
[3]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4]
서적
Whales Dolphins and Other Marine Mammals of the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Academic Press
[6]
서적
Guide to Marine Mammal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7]
학술지
Coastal bottlenose dolphins from southeastern Australia are ''Tursiops aduncus'' according to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8]
학술지
Phylogenomics of the genus Tursiops and closely related Delphininae reveals extensive reticulation among lineages and provides inference about eco-evolutionary drivers
https://www.scienced[...]
2020-05-01
[9]
학술지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Delphinid Cetaceans Based on Full Cytochrome B Sequences
1998-08-18
[10]
웹사이트
Explore the Database
https://www.mammaldi[...]
2021-09-05
[11]
웹사이트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
https://www.marinema[...]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2016-11-13
[12]
웹아카이브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https://web.archive.[...]
Worlds Creatures
2020-09-25
[13]
웹사이트
御蔵島のイルカ 基礎知識/ドルフィンスイム・三宅島から行く
http://www.betanagi.[...]
[14]
학술지
Feeding ecology of th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ursiops aduncus'') incidentally caught in the gillnets fisheries off Zanzibar, Tanzania
[15]
학술지
Sponge Carrying by Dolphins (Delphinidae, ''Tursiops'' sp.): A Foraging Specialization Involving Tool Use?
[16]
학술지
Why do dolphins carry sponges?
2008
[17]
학술지
Spontaneous Ejaculation in a Wild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ursiops aduncus)
2013-08-27
[18]
웹사이트
Watch dolphins line up to self-medicate skin ailments at coral "clinics"
https://www.eurekale[...]
2022-05-31
[19]
간행물
Phylogeographic structure of the bottlenose dolphin (''Tursiops truncatus''): stock identification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Special Publication No. 3, Allen Press, Lawrence, Kansas.
[20]
학술지
Incidental catch of small cetaceans in the offshore gillnet fishery in northern Australian waters: 1981–1985
http://www.spc.int/D[...]
[21]
학술지
Delphinids of southern Africa: a review of their distribution, status and life history
https://www.research[...]
[22]
학술지
The Global Trade in Live Cetacean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23]
뉴스
[Column] The fate of Bibong the Korean dolphin, released as a means to an end
https://english.hani[...]
2023-04-07
[24]
뉴스
Dolphins returned to the wild
https://www.korea.ne[...]
2023-04-03
[25]
뉴스
Government of Canada announces new policies that support ending the captivity of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https://www.canada.c[...]
2024-09-10
[26]
학술지
Effects of Ambient Noise on the Whistles of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Populations
[27]
학술지
Response of traveling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to experimental approaches by a powerboat in Jervis Bay, New South Wales, Australia
[28]
학술지
Interpreting short-term behavioural responses to disturbance within a longitudinal perspective
http://researchrepos[...]
[29]
학술지
The relative importance of reproduction and survival for the conservation of two dolphin populations
[30]
웹아카이브
Appendix II
https://web.archive.[...]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of Wild Animals (CMS)
2011-06-11
[31]
웹아카이브
Convention on Migratory Species page on th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https://web.archive.[...]
2012-04-02
[32]
웹사이트
Memorandum of Understanding for the Conservation of Cetaceans and Their Habitats in the Pacific Islands Region
http://www.pacificce[...]
[33]
학술지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the occurrence and foraging activity of coastal dolphins in Menai Bay, Zanzibar, Tanzania.
[34]
서적
Adelaide Dolphin Sanctuary Management Plan
http://www.environme[...]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Department for Environment and Heritage (DEH)
2008-06
[35]
문서
七尾湾など、東日本における分布の一部が含まれていない。
[36]
논문
ミナミハンドウイルカの社会行動に関する研究
https://t2r2.star.ti[...]
東京工業大学
[37]
저널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DELPHINID CETACEANS BASED ON FULL CYTOCHROME B SEQUENCES
[38]
웹사이트
野生イルカも授乳など孤児の世話 近畿大が初確認
http://this.kiji.is/[...]
共同通信
2016-04-06
[39]
웹사이트
イルカ、京都「定住」の可能性 日本海では珍しい種類、宮津湾や伊根湾に
https://web.archive.[...]
2020-08-27
[40]
웹사이트
イルカの棲む島
https://www.notojima[...]
[41]
서적
北陸における海獣類出土遺跡の環境と動物遺体組成
日本海の鯨たち:日本海セトロジー研究
[42]
문서
미나미세미쿠지라 등의 호에루왓칭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43]
저널
''Tursiops aduncus''
http://www.iucnredli[...]
IUCN
2012-01-16
[44]
데이터베이스
[45]
서적
Whales Dolphins and Other Marine Mammals of the World
[46]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47]
논문
Coastal bottlenose dolphins from southeastern Australia are ''Tursiops aduncus'' according to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48]
서적
Guide to Marine Mammals of the World
[49]
저널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Delphinid Cetaceans Based on Full Cytochrome B Sequences
http://www3.intersci[...]
1998-08-18
[50]
뉴스
줌in제주 남방큰돌고래 천연기념물 지정될까?…"서식지보호 시급
https://www.yna.co.k[...]
연합뉴스
[51]
논문
2000년대 초반 제주도 남방큰돌고래(Tursiops aduncus)의 분포 양상
https://www.koreasci[...]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 한국수산과학회지
[52]
웹사이트
카드뉴스 환경영향평가에서 남방큰돌고래를 한 번도 못봤다고요?
http://hotpinkdolp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