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서방면함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서방면함대는 1942년 4월 10일 일본 제국 해군 연합함대 소속으로 창설된 작전 사령부이다. 필리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말라야,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침공, 점령 및 방어를 위해 해군, 공군 및 육군 부대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제1, 제2, 제3남견함대와 제13항공함대가 작전 통제를 받았으며, 1945년 5월 29일 대본영 직속으로 변경되었다. 1944년 3월 제9함대, 8월 제1항공함대가 전속되었으나, 필리핀 전역에서 패배하며 지휘 체계가 붕괴되었고, 1945년 2월 제10방면함대로 지휘권이 이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남아시아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 버마국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의 지원으로 독립을 선포한 버마국은 바 모를 국가원수로 내세웠으나 실질적인 주권은 일본의 제약 하에 있었으며, 일본 패전과 함께 붕괴 후 현재 미얀마 정부는 연속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 동남아시아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 베트남 제국
베트남 제국은 1945년 일본의 지원을 받아 바오다이 황제가 건국한 국가로, 쩐쫑낌 내각을 구성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일본의 항복과 베트민의 혁명으로 멸망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 제1함대 (일본)
제1함대 (일본)는 1903년 창설되어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며 일본 해군의 주요 전력으로 활동하다가 1944년 해체되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일본 제국 해군 - 욱일기
욱일기는 태양 문양 주위로 햇살을 그린 깃발로, 일본에서 경사스러운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나,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져 한국 등 피해 국가에서는 사용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 일본 제국 해군 - 5·15 사건
5·15 사건은 1932년 일본 해군 청년 장교들이 이누카이 쓰요시 총리를 암살하고 주요 시설을 공격했으나 실패한 쿠데타 미수 사건으로, 정당 내각 붕괴와 군부 영향력 강화로 이어져 일본이 군국주의 시대로 접어드는 계기가 되었다.
남서방면함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부대명 | 남서방면함대 |
원어 이름 | (난세이 호멘 칸타이) |
활동 기간 | 1942년 4월 10일 – 1945년 9월 15일 |
국가 | 일본 제국 |
소속 | 일본 제국 해군 |
종류 | 함대 |
역할 | 남서태평양 지역 관할 |
참전 | 동남아시아 전구 |
전투 훈장 | 태평양 전역 |
지휘부 | |
주요 지휘관 | 다카스 시로 |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해군성 군령부 해군함정본부 해군항공본부 외국 등 일람 |
지방 조직 | 진수부 경비부 요항부 주만 해군부 |
함대 | 연합함대 북동방면함대 중부태평양방면함대 남동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 제10방면함대 지나방면함대 해상호위총사령부 해군총대 |
다른 작전 부대 | 해군 항공대 해군 육전대 |
주요 기관 | 학교 일람 |
역사 및 전통 | 일본 해군의 역사 일본 해군의 군복 |
기타 | 계급 일람 함정 일람 병장 일람 |
2. 역사
일본 제국 해군의 남서방면함대는 태평양 전쟁 중반기인 1942년 4월 10일에 창설된 작전 사령부이다.[5][3] 주요 임무는 필리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말라야, 네덜란드령 동인도 등 동남아시아 점령지의 방어와 작전 조정을 위한 해군, 공군, 육군 부대의 통합 지휘였다.[1]
창설 당시에는 제1남견함대[8], 제2남견함대[9], 제3남견함대[10]를 주력으로 편성되었으며[5], 연합함대 소속이었다.[3] 초기에는 제2남견함대 사령장관 다카하시 이모 중장이 남서방면함대 사령장관을 겸임했다.[11]
이후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전력이 증강되고 재편되었다. 1943년에는 항공 전력 강화를 위해 제13항공함대가 편입되었고[5][12], 뉴기니 방면 작전을 위해 제2남견함대를 분할하여 제4남견함대가 신설, 편입되었다.[5][13] 1944년에는 제9함대 (얼마 지나지 않아 전멸 후 해체[14])와 제1항공함대가 편입되었으며[5], 필리핀 전역이 본격화되면서 제2항공함대와 제5함대도 일시적으로 편입되었다.[5]
1944년 10월 필리핀 방어전이 시작되자, 남서방면함대는 마닐라에 사령부를 두고 레이테 만 해전 등 주요 전투를 지휘했다. 그러나 1945년 초 루손섬 전투 이후 사령부가 필리핀 내륙에 고립되면서[1] 다른 지역의 예하 부대에 대한 지휘가 불가능해졌다. 이에 대본영은 2월 5일 싱가포르에 제10방면함대를 신설하여 제1, 2남견함대와 제13항공함대의 지휘권을 이관했다.[1][5][17] 3월에는 제 기능을 상실한 제4남견함대가 해체되었다.[13]
결국 남서방면함대는 필리핀에 고립된 제3남견함대와 일부 잔존 부대만을 지휘하게 되었으며, 미군의 필리핀 재점령 작전 과정에서 격렬한 전투 끝에 1945년 5월 말 대부분의 전력을 상실했다.[1] 5월 29일 연합함대 편성에서 제외되어 대본영 직할 부대가 된[3][18] 남서방면함대는 사실상 기능이 마비된 상태로 종전을 맞이했다.
2. 1. 창설
1942년 3월 초 남방 작전이 완료된 후, 일본 제국 해군은 점령한 동남아시아 지역의 방위를 위해 새로운 지휘 체계가 필요했다. 당시 필리핀, 인도차이나, 네덜란드령 동인도, 말레이 반도 등 광범위한 지역의 초계, 수송, 경비는 다음과 같이 분산된 함대들이 담당하고 있었다.- 제1남견함대: 말레이 반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버마, 보르네오 방면 담당.[8] (1942년 1월 3일, 남견함대에서 개칭[19][20])
- 제2남견함대: 네덜란드령 동인도 및 호주 북부 방면 담당.[9] (1942년 3월 10일, 제3함대로부터 개편[21][22])
- 제3남견함대: 필리핀 방면 담당.[10] (1942년 1월 3일 신편[20])
이러한 분산된 지휘 체계를 통합하고, 필리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말라야,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침공, 점령 및 방어를 위한 해군, 공군, 육군 부대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목적으로[1] 남서방면함대가 창설되었다.[3] 1942년 4월 10일, 쇼와 17년도 해군 전시 편제 실시에 따라 남서방면함대가 공식적으로 편성되었으며[4][5], 연합함대 소속이 되었다.[3]
창설 당시 남서방면함대는 제1남견함대[8], 제2남견함대[9], 제3남견함대[10]를 주력 부대로 삼았으며[5], 신편된 제1해상호위대 역시 남서방면함대 직할 부대로 편입되었다.[4] 초대 사령장관은 제2남견함대 사령장관이었던 다카하시 이모 중장이 겸임했다.[11] 이 겸임 체제는 다음 해 4월까지 이어졌다.
1942년 9월 15일, 남서방면함대 사령장관(제2남견함대 사령장관 겸임)은 다카하시 이모 중장에서 다카스 시로 중장으로 교체되었다.[11][23]
2. 2. 전력 증강 및 재편
1943년 4월 15일, 전시 편제 개정에 따라 제21항공전대가 남서방면함대에서 제외되어 제11항공함대로 편입되었다.[24] 동시에 제2남견함대 사령부가 새로 설치되었고, 이와무라 세이이치 중장이 사령장관으로 임명되었다.[11][24] 이로써 기존에 남서방면함대 사령장관을 겸임하던 다카스 시로 중장은 남서방면함대 지휘에 전념하게 되었다.[11]같은 해 9월 20일, 함대급 항공대 사령부인 제13항공함대가 제23항공전대와 제28항공전대를 기반으로 창설되어 남서방면함대에 편입되면서 항공 전력이 증강되었다.[5][12][25] 남서방면함대 사령장관인 다카스 중장이 제13항공함대 사령장관을 겸임했다.[11][25] 11월 15일에는 새로 창설된 해상호위총사령부로 제1해상호위대가 전속되었다.[26][27]
11월 30일, 뉴기니 해역을 담당하던 제2남견함대를 분할하여 제4남견함대가 창설되었고, 동뉴기니 해역을 담당하게 되었다.[5][13][28] 이에 따라 제2남견함대의 책임 지역은 서뉴기니 해역으로 축소되었다.[9] 제4남견함대 역시 남서방면함대에 편입되었다.[13]
1944년 3월 25일, 남동방면함대 소속이던 제9함대가 남서방면함대로 편입되었다.[5][14][29] 그러나 제9함대는 얼마 지나지 않아 홀란디아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르미로 퇴각하던 중 5월 3일에 사실상 전멸하였고,[14] 7월 10일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30] 6월 18일에는 남서방면함대 사령장관이 다카스 시로 중장에서 미카와 군이치 중장(당시 제2남견함대 사령장관)으로 교체되었고, 후임 제2남견함대 사령장관으로는 가와세 시로 중장이 임명되었다.[11][31]
8월 10일에는 테니안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고 재편된 제1항공함대가 남서방면함대에 편입되었다.[5][15][33] 8월 15일부터는 남서방면함대 사령장관 미카와 군이치 중장이 제3남견함대 사령장관 직위를 겸임하게 되었다.[11] 제1항공함대 사령장관은 10월 20일 테라오카 킨페이 중장에서 오니시 다키지로 중장으로 교체되었다.[11][35]
필리핀 전투가 본격화되면서 남서방면함대의 전력은 계속 변화했다. 레이테섬 전투 중이던 11월 1일, 사령장관이 미카와 군이치 중장에서 오코치 덴시치 중장으로 교체되었다.[11][37] 11월 15일에는 제2항공함대가 편입되어, 남서방면함대 휘하에는 제1, 제2, 제13항공함대의 3개 항공 함대가 속하게 되었다.[5][16][38] 12월 5일에는 북동방면함대 소속이던 제5함대가 남서방면함대로 편입되었다.[5][39]
1945년 초 루손 전투 이후 남서방면함대 사령부는 필리핀에 고립되었다. 이로 인해 다른 지역의 예하 부대 지휘가 어려워지자, 대본영은 2월 5일 싱가포르에 제10방면함대를 창설하여 제1남견함대, 제2남견함대, 제13항공함대의 지휘권을 넘겼다.[5][17] 3월 10일에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역의 제해권을 상실하여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 제4남견함대가 해체되었고, 그 예하 부대는 제10방면함대로 전속되었다. 5월 8일에는 제1항공함대가 연합함대로 편입되었다.[5]
2. 3. 필리핀 전역
1944년 3월 25일, 남동방면함대 소속이던 제9함대가 남서방면함대에 편입되었다.[29][14] 그러나 제9함대는 홀란디아 전투에서 미군에게 패배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실상 전멸하여 7월 10일에 해체되었다.[14][30] 6월 18일에는 함대 사령장관이 다카스 시게타로 중장에서 미카와 군이치 중장으로 교체되었다.[11][31] 8월에는 마리아나 전역에서 괴멸된 제1항공함대가 재건되어 남서방면함대에 편입되었고,[15][33] 사령장관 미카와 중장은 제3남견함대 사령장관도 겸임하게 되었다.[11]1944년 10월, 미군의 레이테섬 상륙으로 필리핀 방어전이 시작되자, 마닐라에 사령부를 둔 남서방면함대는 레이테 만 해전, 레이테섬 전투, 민도로섬 전투, 레이 작전 등에 휘하 부대를 투입하여 지휘했다. 전투가 한창이던 11월 1일, 사령장관이 미카와 중장에서 오코치 덴시치 중장으로 다시 교체되는[11][37] 혼란 속에서도 작전을 이어갔다. 11월 15일에는 대만 해협 해전 이후 필리핀으로 이동한 제2항공함대가,[16][38] 12월 5일에는 북동방면함대에서 제5함대가 남서방면함대로 편입되어 전력 증강이 이루어졌다.[5][39]
하지만 전세는 계속 불리하게 돌아갔다. 1945년 1월 초 미군의 루손섬 상륙으로 루손섬 전투가 시작되면서, 남서방면함대 사령부(제3남견함대 사령부 겸임)는 마닐라를 포기하고 내륙 산악 지대로 후퇴하여 고립되었다.[1] 이로 인해 제1남견함대, 제2남견함대, 제13항공함대에 대한 지휘 통제가 불가능해지자, 대본영은 2월 5일 싱가포르에 제10방면함대를 신설하여 이들 부대의 지휘권을 넘겼다.[1][5][17]
결국 남서방면함대는 필리핀에 갇힌 제3남견함대와 일부 항공 부대만을 지휘하게 되었고, 마닐라 시가전을 포함한 미군의 필리핀 재점령 작전 과정에서 격렬한 전투를 치렀다. 5월 8일에는 제1항공함대가 연합함대로 다시 편입되었고,[5] 5월 29일 이후 남서방면함대는 연합함대 편성에서 제외되어 대본영 직할 부대가 되었다.[3][18] 고립된 남서방면함대와 제3남견함대의 잔존 병력은 5월 말까지 이어진 전투에서 대부분 전멸했으며,[1] 함대는 사실상 기능이 마비된 상태로 종전을 맞이했다.
2. 4. 제10방면함대로의 지휘권 이양
제2차 필리핀 전역 후반, 특히 1945년 1월 초부터 시작된 루손섬 전투로 인해 마닐라에 있던 남서방면함대 사령부(제3남견함대 사령부 겸임)는 내륙 산악 지대에 고립되었다.[1] 이로 인해 제1남견함대와 제2남견함대에 대한 지휘 통제가 불가능해졌다.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대본영은 1945년 2월 5일, 싱가포르에 제10방면함대를 새로 창설했다.[1][5][17][43] 이와 함께 기존 남서방면함대 소속이었던 제1남견함대, 제2남견함대, 제4남견함대, 제13항공함대의 지휘권을 제10방면함대로 넘겼다.[1][5][17][43] 제10방면함대는 해체된 제5함대의 잔존 전력을 기반으로 편성되었으며, 사령장관에는 후쿠도메 시게루 중장이 임명되었다.[11][17][44] 필리핀에 함께 고립된 제3남견함대는 예외적으로 남서방면함대의 지휘 하에 남았다.[1]
한편,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역에서 제해권을 상실하여 사실상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된 제4남견함대는 1945년 3월 10일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고, 남은 예하 부대들은 제10방면함대로 전속되었다.[13][45] 이로써 남서방면함대의 지휘 범위는 필리핀에 고립된 제3남견함대로 크게 축소되었다. 미군의 필리핀 재점령 과정에서 남서방면함대와 제3남견함대의 잔존 부대는 1945년 5월 말까지 대부분 전멸했다.[1]
2. 5. 종전
1945년 1월 초 이후 루손섬 전투로 인해 남서방면함대 사령부는 필리핀 루손섬에 고립되었다.[1] 이로 인해 말라야, 네덜란드령 동인도 등에 있는 제1남견함대와 제2남견함대, 그리고 제13항공함대를 직접 지휘하기 어렵게 되었다. 대본영은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2월 5일 싱가포르에 제10방면함대를 새로 창설하고, 남서방면함대가 지휘하던 제1남견함대, 제2남견함대, 제13항공함대의 지휘권을 넘겼다.[5][17][1] 이로써 남서방면함대는 필리핀에 함께 고립된 제3남견함대만을 지휘하게 되었다.[1]한편,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활동하던 제4남견함대는 제해권을 상실하여 제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자 3월 10일에 해체되었고, 그 예하 부대들은 제10방면함대로 편입되었다. 5월 8일에는 남서방면함대에 편입되어 있던 제1항공함대가 연합함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5]
미군의 필리핀 재점령 작전이 진행되면서, 남서방면함대와 제3남견함대는 마닐라, 세부, 민다나오 등에서 격렬한 전투를 치렀으나 큰 피해를 입었다. 1945년 5월 말에는 생존 부대 대부분이 사실상 전멸 상태에 이르렀다.[1]
결국 1945년 5월 29일, 남서방면함대는 연합함대 편성에서 제외되어 대본영 직할 부대가 되었으며, 사령장관은 계속해서 제3남견함대 사령장관을 겸임하는 상태로 종전을 맞이했다.[3][18]
3. 지휘부
남서방면함대의 지휘부는 사령장관과 참모장으로 구성되었다. 역대 지휘관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3. 1. 사령장관
대수 | 이미지 | 계급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비고 |
---|---|---|---|---|---|---|
1 | ]] || 중장 || 다카하시 이보 || 1942년 4월 10일 || 1942년 9월 15일 || 제2남견함대 사령장관 겸임[2] | |||||
2 | ]] || 중장 (임기 중 대장 진급) || 다카스 시로 || 1942년 9월 15일 || 1944년 6월 18일 || 제2남견함대 사령장관 겸임 (1943년 4월 15일까지)[2] | |||||
3 | ]] || 중장 || 미카와 군이치 || 1944년 6월 18일 || 1944년 11월 1일 || [2] | |||||
4 | 중장 | 오코우치 덴시치 | 1944년 11월 1일 | 1945년 9월 15일 (종전) | [2] |
3. 2. 참모장
wikitext계급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
소장 | 나카무라 도시히사 | 1942년 4월 10일 | 1942년 11월 10일 |
소장 | 다다 다케오 | 1942년 11월 10일 | 1944년 3월 1일 |
소장 | 니시오 히데히코 | 1944년 3월 1일 | 1944년 11월 1일 |
소장 | 아리마 가오루 | 1944년 11월 1일 | 종전 |
4. 부대
남서방면함대는 태평양 전쟁 중반 1942년 4월 10일에 편성되어[5] 남서 방면(동남아시아, 필리핀 방면) 작전을 담당했으며[3], 여러 경비 함대의 집합체 성격을 가졌다.
편성 초기에는 제1남견함대[8], 제2남견함대[9], 제3남견함대[10]를 주력 부대로 삼았고[5], 연합함대 소속이었다[3]. 이후 전황 변화에 따라 1943년 9월에는 제13항공함대[5][12], 같은 해 11월에는 제4남견함대[5][13]가 편입되었다. 1944년에는 제9함대[5][14]와 제1항공함대[5][15]가 일시적으로 소속되기도 했으며, 필리핀 전투 시기에는 제2항공함대[5][16]와 제5함대[5]도 지휘 하에 두었다.
4. 1. 초기 편성 (1942년 4월 10일)
1942년 3월 초 일본 제국의 남방 작전이 완료된 후, 점령 지역인 필리핀, 인도차이나, 인도네시아, 말레이 반도 등 광범위한 지역의 초계, 수송, 경비는 여러 함대가 분담하여 수행하고 있었다. 각 함대의 담당 구역은 다음과 같았다.- 제1남견함대: 말레이 반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버마, 보르네오 방면 담당.[8] 1942년 1월 3일 기존 남견함대에서 개칭되었으며,[19][20] 당시 사령장관은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이었다.[11] 사령부는 싱가포르에 위치했다.
- 제2남견함대: 네덜란드령 동인도 지구 및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방면 작전 담당.[9] 1942년 3월 10일 제3함대로부터 개편되었으며,[21][22] 당시 사령장관은 다카하시 이모 중장이었다.[11] 사령부는 수라바야에 위치했다.
- 제3남견함대: 필리핀 방면 담당.[10] 1942년 1월 3일 새롭게 편성되었으며,[20] 당시 사령장관은 스기야마 로쿠조 중장이었다.[11] 사령부는 마닐라에 위치했다.
남서방면함대는 이처럼 분산되어 있던 각 지역 함대의 작전을 통합적으로 지휘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설되었다. 1942년 4월 10일, 쇼와 17년도 해군 전시 편제가 실시되면서 남서방면함대가 새롭게 편성되었고,[4] 본부는 마닐라에 설치되었다.
초대 남서방면함대 사령장관에는 제2남견함대 사령장관이었던 다카하시 이모 중장이 겸임으로 임명되었다.[11] 창설 당시 남서방면함대에 편입된 부대는 다음과 같다.
이후 1942년 9월 15일[23], 남서방면함대 사령장관(제2남견함대 사령장관 겸임)은 다카하시 이모 중장에서 다카스 시로 중장으로 교체되었다.[11]
4. 2. 예하 함대
남서방면함대에 소속되었던 주요 함대와 그 변천 과정은 아래 표와 같다. 편성 초기에는 제1, 2, 3남견함대가 주력이었다.[5] 이후 전쟁 상황에 따라 여러 함대가 편입되거나 다른 부대로 전속되었다.함대명 | 담당 지역 / 역할 | 소속 기간 | 비고 |
---|---|---|---|
제1남견함대 | 말레이, 인도차이나 (싱가포르) | 1942년 4월 10일[5] ~ 1945년 2월 5일 | 제10방면함대로 전속[5][17] |
제2남견함대 |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 1942년 4월 10일[5] ~ 1945년 2월 5일 | 제10방면함대로 전속[5][17] |
제3남견함대 | 필리핀 (마닐라) | 1942년 4월 10일[5] ~ 종전 | 사령장관이 남서방면함대 사령장관 겸임[11] |
제13항공함대 | 항공 작전 | 1943년 9월 20일[5][12] ~ 1945년 2월 5일 | 제10방면함대로 전속[5][17] |
제4남견함대 | 네덜란드령 동인도 (암본) | 1943년 11월 30일[5][13] ~ 1945년 3월 10일 | 해체[5] |
제9함대 | 서뉴기니 | 1944년 3월 25일[5] ~ 1944년 7월 10일 | 남동방면함대에서 전속[5]. 사령부 전멸 후 해산[5][14] |
제1항공함대 | 항공 작전 | 1944년 8월 10일[5][15] ~ 1945년 5월 8일 | 연합함대로 전속[5] |
제2항공함대 | 항공 작전 | 1944년 11월 중순 편입[5][16] | 필리핀 전투 시 편입 |
제5함대 | 수상 작전 | 1944년 12월 초순 편입[5] | 필리핀 전투 시 편입 |
제1해상호위대 | 선단 호위 | 불명 |
4. 3. 전투 서열
남서방면함대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5]- 남서방면함대 (본부: 마닐라)
- * 제1남견함대 (싱가포르)[8]
- * 제2남견함대 (수라바야)[9]
- * 제3남견함대 (마닐라)[10]
- * 제4남견함대 (암본)[5][13]
- * 제13항공함대[5][12]
특정 시점의 상세한 전투 서열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1942년 7월 14일, 미드웨이 해전 이후
- 1943년 4월 1일, 과달카날 제도 철수 이후
- 1944년 4월 1일, 전시편제제도 개정 이후
- 1944년 8월 15일, 마리아나 해전 이후
- 1945년 3월 1일, 기쿠스이 작전 직전
- 1945년 6월 1일, 말기
이 외에도 시기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부대가 편입되거나 소속되었다.
- 제1해상호위대 (선단 호위)
- 제9함대 (1944년 3월 25일 편입[29][14], 동년 7월 10일 해체[14][30])
- 제1항공함대 (1944년 8월 10일 편입[15][33], 1945년 5월 8일 연합함대 편입[5])
- 제2항공함대 (1944년 11월 15일 편입[38][16])
- 제5함대 (1944년 12월 5일 편입[39][5])
함대 구성은 태평양 전쟁의 전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였다. 편성 초기에는 제1남견함대, 제2남견함대, 제3남견함대를 주력으로 하였으며[5], 이후 제13항공함대[5][12], 제4남견함대[5][13] 등이 차례로 편입되었다. 필리핀 전투 시기에는 제1항공함대, 제2항공함대, 제5함대까지 지휘 하에 두기도 했으나[5][16][39], 1945년 초 루손섬 전투 이후 고립되면서 제1남견함대, 제2남견함대, 제13항공함대가 신편된 제10방면함대로 이관되었다[5][17].
5. 소속
남서방면함대는 1942년 4월 10일에 편성되어 연합함대에 소속되었다.[5][3] 이후 태평양 전쟁 말기인 1945년 5월 29일, 연합함대에서 제외되어 대본영 직할 부대가 되었고[3][18], 이 상태로 종전을 맞이했다.
참조
[1]
서적
D'Albas, Death of a Navy
[2]
웹사이트
Wendel, Axis History Database
[3]
서적
戦史叢書102巻、530頁「南西方面艦隊」
[4]
서적
戦史叢書102巻、115頁「昭和17年(1942年)4月10日」
[5]
서적
戦史叢書102巻、524-526頁「付録第77 陸海軍の組織・編制関係概見表(昭和12年~20年)」「(7)大東亜戦争間における艦隊の新設・解隊」
[6]
서적
戦史叢書102巻、418-419頁「付録第3、軍隊符号等(隊号・略字等)」「2.海軍関係」
[7]
서적
戦史叢書102巻、376頁「南西方面部隊」
[8]
서적
戦史叢書102巻、529頁「第一南遣艦隊」
[9]
서적
戦史叢書102巻、530頁「第二南遣艦隊」
[10]
서적
戦史叢書102巻、530頁「第三南遣艦隊」
[11]
서적
戦史叢書102巻、457-459頁「付録第6 陸海軍首脳者在職推移表(昭和6年9月~20年12月)」「2 海軍首脳者」「(4)聯合艦隊、その他の艦隊」
[12]
서적
戦史叢書102巻、529頁「第13航空艦隊」
[13]
서적
戦史叢書102巻、530頁「第四南遣艦隊」
[14]
서적
戦史叢書102巻、528頁「第9艦隊」
[15]
서적
戦史叢書102巻、528-529頁「第1航空艦隊(2)」
[16]
서적
戦史叢書102巻、529頁「第2航空艦隊」
[17]
서적
戦史叢書102巻、530頁「第10方面艦隊」
[18]
서적
戦史叢書102巻、526-527頁「(3)終戦時昭和20年8月における海軍の隷属・指揮・指示系統概要」
[19]
서적
戦史叢書102巻、528頁「南遣艦隊」
[20]
서적
戦史叢書102巻、99頁「昭和17年(1942年)1月3日」
[21]
서적
戦史叢書102巻、527-528頁「第3艦隊(2)」
[22]
서적
戦史叢書102巻、111頁「昭和17年(1942年
[23]
서적
戦史叢書102巻、140頁「昭和17年(1944年)9月15日」
[24]
서적
戦史叢書102巻、172頁「昭和18年(1943年)4月15日」
[25]
서적
戦史叢書102巻、194頁「昭和18年(1944年)9月20日」
[26]
서적
戦史叢書102巻、202頁「昭和18年(1943年)11月15日」
[27]
서적
戦史叢書102巻、530頁「海上護衛総司令部」
[28]
서적
戦史叢書102巻、204頁「昭和18年(1943年)11月30日」
[29]
서적
戦史叢書102巻、222頁「昭和19年(1944年)3月25日」
[30]
서적
戦史叢書102巻、241-242頁「昭和19年(1944年)7月10日」
[31]
서적
戦史叢書102巻、237頁「昭和19年(1944年)6月18日」
[32]
서적
戦史叢書102巻、247頁「昭和19年(1944年)8月7日」
[33]
서적
戦史叢書102巻、248頁「昭和19年(1944年)8月10日」
[34]
서적
戦史叢書102巻、252-253頁「昭和19年(1944年)9月10日」
[35]
서적
戦史叢書102巻、259-260頁「昭和19年(1944年)10月19日、20日」
[36]
서적
戦史叢書102巻
[37]
서적
戦史叢書102巻
[38]
서적
戦史叢書102巻
[39]
서적
戦史叢書102巻
[40]
서적
戦史叢書102巻
[41]
서적
戦史叢書102巻
[42]
서적
戦史叢書102巻
[43]
서적
戦史叢書102巻
[44]
서적
戦史叢書102巻
[45]
서적
戦史叢書102巻
[46]
서적
戦史叢書102巻
[47]
서적
戦史叢書102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