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재 가치 (윤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재 가치(윤리학)는 다양한 삶의 자세와 관점에서 추구하는 주요 가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가치는 도덕적 허무주의의 부재, 인본주의의 인간 번영, 환경주의의 생명 번영 등 다양하며, 쾌락주의의 쾌락, 공리주의의 효용, 기독교의 신의 형상 등 여러 종교 및 철학적 입장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내재 가치는 0개, 1개 또는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으며, 각각 허무주의, aliquidism, 다원론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구체적 대상 또는 추상적 대상일 수 있으며, 절대적 가치와 상대적 가치, 긍정적 가치와 부정적 가치로 구분될 수 있다. 내재 가치는 '궁극적 중요성', '최고선'과 같은 유사 개념으로도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치관 - 정의
정의는 각자에게 그의 몫을 돌려주려는 의지이자 불평등이 없는 상태를 추구하는 가치로, 서양에서는 사법적 의미가, 동양에서는 도덕적 당위성을 포함하며, 권리 행사와 제한에 적용되는 원리이다. - 가치관 - 공동체주의
공동체주의는 개인보다 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하는 정치 철학으로, 자유주의에 반대하며 사회 자본과 시민 사회 제도를 강화하려 한다. - 윤리학 개념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윤리학 개념 - 필요악
필요악은 더 큰 선을 이루거나 더 큰 해악을 막기 위해 불가피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악을 의미하며, 불편함이나 성가심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일부 사상가들은 그 개념 자체를 거부하고 한국 사회에서도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고 진보와 보수 진영 간의 시각차를 보인다.
내재 가치 (윤리학) | |
---|---|
윤리학에서의 내재적 가치 | |
정의 | 어떤 것이 그 자체로, 또는 그 자체를 위해서 가치를 가지는 윤리적 또는 철학적 가치 |
관련 개념 | 도구적 가치 |
상세 내용 | |
설명 | 어떤 것이 다른 것을 위해 가치가 있다면, 그것은 외재적 가치를 가진다. |
예시 | 행복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것이지만, 종종 다른 것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된다. |
관련 분야 | 환경 윤리, 동물 윤리 |
2. 삶의 자세와 내재적 가치
다양한 삶의 자세는 각기 다른 내재적 가치를 추구한다. 페미니즘은 성 평등을, 환경주의는 생명 번영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2. 1. 주요 삶의 자세와 내재적 가치
다음 표는 다양한 삶의 자세와 기타 관점의 주요 내재적 가치를 요약한 것이다. 각 관점 안에는 매우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삶의 자세 및 기타 관점 | 주요 내재적 가치 |
---|---|
도덕적 허무주의 | 없음 |
인본주의 | 인간 번영 |
환경주의 | 생명 번영 |
페미니즘 | 성 평등 |
다문화주의 | 자신의 문화를 넘어선 문화적 가치의 번영 |
쾌락주의 | 쾌락 |
에우다이모니즘 | 인간 번영 |
공리주의 | 효용 (전통적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행복 또는 쾌락과 고통의 부재) |
합리적 의무론 | 덕 또는 의무 |
합리적 에우다이모니즘 또는 절제된 의무론 | 덕과 행복의 결합[4] |
상황 윤리 | 사랑 |
기독교 | 신의 형상 |
유대교 | Tikkun olam |
불교 | 깨달음 및 열반 |
내재 가치는 0개, 1개 또는 여러 개가 있을 수 있다.[5]
3. 내재 가치의 수량
3. 1. 내재적 허무주의
'''내재적 허무주의'''(라틴어 ''nihil'', '무(無)'에서 유래)는 내재적 가치를 가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주장한다.[5]
3. 2. 내재적 aliquidism
내재적 알리퀴디즘(aliquidism), 또는 간단히 '''알리퀴디즘'''(aliquid|알리퀴드|'어떤 것'la)은 하나 이상의 내재적 가치가 있다는 입장이다.[6] 이는 단 하나에서 가능한 모든 것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수량일 수 있다.
알리퀴디즘적 삶의 태도를 따르는 사람들 사이에서, 내재적 가치를 갖는 것들은 똑같이 내재적으로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불평등한 수단적 가치로 인해 불평등한 윤리적 전체 가치를 초래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도 불평등하게 가치를 부여받을 수 있다.
3. 2. 1. 내재적 일원론
내재적 일원론(그리스어 ''monos'', '단일')은 내재적 가치를 가진 단 하나의 것이 있다고 주장하는 견해이다. 이 견해는 이 대상을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삶의 태도만을 가질 수 있다.[6]
3. 2. 2. 내재적 다원론
내재적 다원론(라틴어 multus|무투스|'많은'la)은 내재적 가치를 가진 것이 여러 개 있다고 주장한다. 즉, 이 견해는 여러 삶의 태도의 내재적 가치를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6]
3. 2. 3. 내재적 범신론
내재적 범신론(그리스어 ''pan'', '모든 것')은 모든 것이 내재적 가치를 가진다고 주장한다.[6]
3. 2. 4. 내재적 다원론 (Intrinsic multism)
내재적 다원론(라틴어 multus|많은la)은 내재적 가치를 가진 많은 것이 있다고 주장한다. 즉, 이 견해는 여러 삶의 태도의 내재적 가치를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6] 이 관점은 여러 삶의 태도에서 내재적 가치를 내재적으로 가치 있다고 여길 수 있다. 여러 내재적 가치를 다소 도구적으로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과 이것의 차이점에 주목해야 하는데, 내재적 일원론적 관점 또한 자신이 선택한 것 외에 다른 내재적 가치를 가치 있다고 여길 수 있지만, 이는 다른 내재적 가치가 자신이 선택한 내재적 가치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정도에 국한된다.
내재적 다원론의 가장 단순한 형태는 '''내재적 이원론'''(라틴어 ''two''에서 유래)으로, 행복과 미덕과 같이 두 가지 대상이 내재적 가치를 갖는다고 본다. 인본주의는 여러 가지가 내재적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삶의 태도의 한 예이다.[5]
다원론은 내재적 가치가 부정적인 측면을 가질 필요는 없는데, 예를 들어 공리주의는 고통과 쾌락 모두를 내재적 가치로 받아들이는 특징을 갖는데, 이는 고통과 쾌락이 같은 동전의 양면으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3. 2. 5. 불특정 aliquidism (Unspecified aliquidism)
'어떤 것'(이에치즘)이 존재한다고 믿지만, 특정 종교나 신념 체계는 따르지 않는 다양한 신념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ietsisme|이에치즘nl은 네덜란드어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에치즘은 더 이상의 구체화 없이 대략 유사한 것 주의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삶의 자세는 "어떤 것, 삶의 어떤 의미, 그 자체가 목적이거나 실존에 더 많은 무언가가 있고, 그것이 있다"는 것을 수용하며 다양한 대상이나 "진실"을 가정하지만, 이에치즘은 이에 대한 더 이상의 가정이 없이 "어떤 것이 있다"는 것을 받아들인다.
3. 3. 총 내재 가치 (Total intrinsic value)
어떤 대상의 총 내재 가치는 해당 대상의 평균 내재 가치, 평균 가치 강도, 가치 지속 기간의 곱이다. 이는 절대적 가치 또는 상대적 가치일 수 있다. 총 내재 가치는 총 도구적 가치와 함께 대상의 총체적 가치를 이룬다.
4. 구체적 대상과 추상적 대상
내재 가치를 지닌 대상, 즉 '목적'은 구체적 대상이거나 추상적 대상일 수 있다.
4. 1. 구체적 대상
구체적인 대상이 '목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 이는 단일한 개별자이거나 하나 이상의 보편자의 모든 개별자로 일반화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인생관은 보편자의 모든 개별자를 '목적'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인본주의는 개별 인간을 '목적'으로 상정하지 않고, 오히려 인류 전체를 '목적'으로 상정한다.4. 2. 연속체 (Continuum)
삶의 입장은 구체적인 '목적'과 추상적인 '목적' 사이의 연속체가 될 수 있다.이것은 삶의 입장이 동시에 내재적 다원주의적이면서도 내재적 일원론적이 되도록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량적 모순'은 단지 작은 실질적 중요성만을 가질 수 있는데, '목적'을 많은 '목적'으로 분할하는 것은 전체 가치를 감소시키지만 가치 강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5. 내재 가치의 유형
내재 가치는 크게 상대적 가치와 절대적 가치, 긍정적 가치와 부정적 가치로 나눌 수 있다.
상대적 내재 가치는 개인이나 문화의 관점, 삶의 태도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인 가치이다. 반면 절대적 내재 가치는 철학적으로 절대적이며, 개인이나 문화의 관점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가치이다. 존 듀이[7]는 내재 가치를 목적 지향적인 존재로서 인간의 지속적인 윤리적 가치 평가 활동의 산물로 보았으며, 상황에 따라서만 상대적으로 내재적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그는 상대적 내재 가치만을 인정하고 절대적 내재 가치는 부정했다.
공리주의에서는 쾌락을 긍정적 내재 가치로, 고통을 부정적 내재 가치로 본다. 쾌락은 추구하고 극대화해야 할 가치이며, 고통은 회피하고 최소화해야 할 가치이다.
5. 1. 절대적 가치와 상대적 가치
절대적 가치와 상대적 가치 사이에는 내재 가치와 관련된 구분이 있을 수 있다.'''상대적 내재 가치'''는 개인적, 문화적 관점 및/또는 개인의 삶의 태도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인 가치이다. 반면, '''절대적 내재 가치'''는 철학적으로 절대적이며, 개별적, 문화적 관점에 의존하지 않고, 어떤 대상이 그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발견되었는지 여부와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실용주의에서 절대적 내재 가치가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진행 중이다. 실용주의에서 존 듀이[7]의 경험적 접근 방식은 내재 가치를 사물의 고유하거나 영속적인 속성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그것을 목적 지향적인 존재로서 우리의 지속적인 윤리적 가치 평가 활동의 허상적 산물로 보았다. 듀이는 일부 맥락에서만 유지될 때, 선은 상황에 상대적으로 내재적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즉, 그는 상대적 내재 가치만 믿었을 뿐, 절대적 내재 가치는 믿지 않았다. 그는 모든 맥락에서 선은 대비되는 내재적 선 없이 도구적 가치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듀이는 기여하는 선인 경우에만 어떤 것이 내재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5. 2. 긍정적 가치와 부정적 가치
공리주의에서는 쾌락은 추구되거나 극대화되는 긍정적 내재 가치를 가지며, 고통은 회피되거나 최소화되는 부정적 내재 가치를 가진다.6. 유사 개념
내재 가치는 주로 윤리학에서 사용되지만, 철학에서도 유사한 개념들이 있다.
- '''목적''' 또는 '''목표''':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행동을 이끄는 예상 결과이다.
- '''목표''' 또는 '''객관적 목표''': 사람 또는 시스템이 달성하거나 실현하기 위해 계획하거나 의도하는 예상된 상황이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의 목표는 행복이다. 돈이나 권력은 행복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대상은 동시에 목표이자 수단이 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nvironmental Values
https://courses.wash[...]
2017-03-06
[2]
서적
Value: Sources and Readings on a Key Concept of the Globalized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12
[3]
문서
Robert S. Hartman's use of the term regarding the science of value
[4]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Universal Knowledge Foundation
1913
[5]
간행물
Meaning and Nothingness: A personal journey
http://www.secularhu[...]
Council for Secular Humanism
2008-04-09
[6]
문서
“Metaphysical Nihilism or Aliquidism? Against an Empty World,” presented at the Kentucky Philosophical Association, Transylvania University. Lexington, KY. 28 October 2006.
[7]
서적
Theory of Valuation
[8]
웹사이트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Life
http://www.ed.uiuc.e[...]
University of Helsinki
2007-07-26
[9]
서적
Value: Sources and Readings on a Key Concept of the Globalized World
http://books.google.[...]
BRILL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