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키크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키크티스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척삭동물의 일종으로, 2024년 발표된 논문을 통해 척추동물 줄기군으로 분류되었다. 유타주의 퇴적층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몸길이 약 32.4mm의 방추형 체형에 지느러미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길쭉한 머리와 칠성장어와 유사한 카메라형 수정체를 가진 눈이 특징이며, 2024년 논문에서는 지느러미의 부재와 눈의 위치를 근거로 누키크티스가 활발하게 유영하는 동물이 아닌, 플랑크톤성 생물이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브리아기의 척추동물 - 밀로쿤밍기아
    밀로쿤밍기아는 뚜렷한 머리와 몸통, 돛 모양의 등지느러미, 한 쌍으로 추정되는 배지느러미 주름을 가진 초기 척삭동물로, 아가미 새낭, V자 모양의 근절, 배척삭 등의 내부 기관을 갖추고 지느러미 방사구조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단 한 개체의 표본만이 발견되었다.
  • 202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슈카리스
    슈카리스는 독특한 전방부속지를 가진 멸종된 방사치류로, 아노말로카리스과 내 초기 분류군이거나 암플렉토벨루아과와 아노말로카리스과를 포함하는 분류군의 자매 분류군으로 추정되며, 작은 구주를 통해 단단한 껍질의 먹잇감을 섭취했을 것으로 보인다.
  • 202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이로비우스
    아이로비우스 닥틸루스는 2024년에 발견된 호박 속 화석 완보동물로, 부유 상태와 발톱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통 모양의 체형, 엽족성 다리, 발톱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비우스과 물곰과 관련된 몸길이 약 0.1mm의 작은 물곰류이다.
  • 척추동물 - 유인원
    유인원은 꼬리 없는 영장류로, 인간을 포함하여 긴팔원숭이과와 사람과로 나뉘며, 높은 지능과 복잡한 사회 구조를 공유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척추동물 - 양막류
    양막류는 파충류, 조류, 포유류를 포함하는 척추동물 분류군으로, 양막을 형성하며 육상 번식에 중요한 진화적 도약을 이루었고, 배외막, 두개골 구조, 번식 방식에 따라 다양한 분류로 나뉜다.
누키크티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모식표본
†누키크티스속 (Nucichthys)
속 명명Lerosey-Aubril & Ortega-Hernández, 2024
모식종Nuucichthys rhynchocephalus
모식종 명명Lerosey-Aubril & Ortega-Hernández, 2024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학명
인용
화석 범위

2. 연구사

누키크티스라는 속명은 우테 족의 언어와 그리스어 단어를 조합한 것이고, 종소명은 머리 앞부분의 독특한 형태를 반영하여 지어졌다.[1]

2. 1. 발견

누키크티스의 모식표본 UMNH.IP.6084는 유타 하우스 산줄기의 퇴적층에서 발견되어 유타자연사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이 표본은 개체화석이며 양 옆으로 납작하고 잘 보존되어 있다. 화석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마점 지층 중간 부분에 해당하는 Ptychagnostus punctuosus|프티캉노스투스 풍크투오수스la 생존대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1][2]

2. 2. 명명

누키크티스(Nuu-ci-ichthys)라는 속명은 우테 족 언어로 '사람'을 뜻하는 'Núu-ci'와 그리스어로 '물고기'를 뜻하는 'ichthys'를 합쳐 만든 것이다. 이는 한때 우테 족이 살았던 땅에서 모식지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1] 종명인 링코케팔루스(rhynchocephalus)는 그리스어로 주둥이를 뜻하는 'rhynchos'와 머리를 뜻하는 'kephale'를 합쳐 만든 것으로, 이 종의 머리 앞부분이 튀어나온 특징에서 따왔다.[1]

3. 특징

누키크티스 (a,b) 및 메타스프리기나 (c,d), 엠몬사스피스(''Emmonsaspis'') (e,f), 밀로쿤밍기아 (g,h), 윈나노조온 (i,j) 등 다른 척삭동물들의 비교 모습


누키크티스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척삭동물의 일종으로, 독특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식표본의 몸길이는 약 32.4mm(눈과 꼬리 포함)이며 몸높이는 7.9mm이다. 몸은 방추형이며 꼬리에는 지느러미 흔적이 없다. 몸길이에 따라 약 40개의 근절이 배열되어 있고, 배쪽에는 아가미방, , 내장, 항문으로 추정되는 기관들이 있다. 몸통 꼬리에는 윈나노조온 등에서도 발견되는 가시 모양 구조물이 있다.[1][3][4]

길다란 머리는 다른 캄브리아기 척삭동물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머리에는 눈 한 쌍이 있고, 칠성장어나 메타스프리기나처럼 잘 발달된 카메라형 수정체가 있다. 누키크티스는 지느러미가 없어 당시 다른 척삭동물과 다른 방식으로 헤엄쳤을 것으로 보이며, 섭식 구조는 화석으로 남아있지 않다.[1][3][4]

3. 1. 신체 구조



누키크티스의 모식표본 몸길이는 약 32.4mm(눈과 꼬리 포함)이며 몸높이는 7.9mm이다. 체형은 방추형이며, 꼬리에는 지느러미가 달린 흔적이 없다. 몸길이에 따라 배열된 약 40개의 근절이 있으며, 모식표본은 죽은 이후 크기가 수축된 것으로 보인다. 배쪽에는 커다란 아가미방, , 내장, 항문으로 추정되는 여러 기관들이 들어있다. 몸통 꼬리에는 가시 모양의 구조물이 있으며, 이는 윈나노조온 등 다른 동물에게서도 발견된다.[1][3][4]

누키크티스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길다란 머리이며, 다른 캄브리아기 척삭동물들과 차이가 있다. 이 부분은 등고의 급작스런 변화와 뚜렷한 근절이 없기 때문에 몸의 나머지 부분과 차이점이 존재한다. 머리에는 다양한 새열 요소들과는 구별되는 눈 한 쌍이 달려있다. 눈에는 칠성장어 및 메타스프리기나의 눈처럼 잘 발달한 카메라형 수정체가 있다. 다른 로렌시아 척추동물 줄기군과는 달리 누키크티스는 별다른 지느러미가 없으며 그 당시 다른 척삭동물들과 매우 다른 방식으로 헤엄을 친 것으로 보인다. 누키크티스는 어떤 섭식구조(또는 최소 화석화로 남아있는 것들)도 달려있지 않다.[1][3][4]

3. 2. 머리 및 감각 기관



누키크티스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길다란 머리이며, 이는 다른 캄브리아기 척삭동물들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머리 부분은 등고의 급작스런 변화나 뚜렷한 근절이 없어 몸의 나머지 부분과 구별된다. 머리에는 다양한 새열 요소들과 구별되는 한 쌍의 눈이 달려있다. 이 눈은 칠성장어 및 메타스프리기나의 눈처럼 잘 발달된 카메라형 수정체를 가지고 있다. 누키크티스는 먹이를 섭취하는 구조(또는 최소한 화석으로 남아있는 것)를 가지고 있지 않다.[1][3][4]

3. 3. 지느러미 부재

다른 로렌시아 척추동물 줄기군과는 달리 누키크티스는 별다른 지느러미가 없었으며, 그 당시 다른 척삭동물들과는 매우 다른 방식으로 헤엄을 쳤을 것으로 보인다.[1][3][4]

4. 계통

2024년 Lerosey-Aubril & Ortega-Hernández의 논문에 따르면, 누키크티스는 척추동물 전체군 내 척추동물 줄기군으로 분류된다. 메타스프리기나, 엠몬사스피스와 함께 다분할을 형성하며, 밀로쿤밍기아과와 매우 가깝다. 이 분류는 무악 척추동물 코노돈트가 척추동물 왕관군의 자매군을 형성하고, 후구동물 고충동물문이 피낭동물문, 두삭동물과 연관된 초기 척삭동물임을 보여준다.[1]

4. 1. 척추동물 줄기군

유영성 환경에 있는 누키크티스의 복원도와 계통도


2024년 Lerosey-Aubril & Ortega-Hernández의 논문에서 누키크티스는 척추동물 전체군 내의 척추동물 줄기군으로 분류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다른 로렌시아 척추동물 줄기군인 메타스프리기나와 엠몬사스피스에서 다분할을 형성했으며, 밀로쿤밍기아과와 매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분류는 무악 척추동물의 한 부류인 코노돈트가 척추동물 왕관군의 자매군을 형성하는 것을 밝혀냈다. 또, 후구동물의 하나인 고충동물문이 피낭동물문과 두삭동물과 관계된 초기 척삭동물인 것도 밝혀냈다.[1]

4. 2. 근연 관계



2024년 Lerosey-Aubril & Ortega-Hernández의 논문에서, 누키크티스는 척추동물 전체군 내의 척추동물 줄기군으로 분류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다른 로렌시아 척추동물 줄기군인 메타스프리기나와 엠몬사스피스에서 다분할을 형성했으며, 밀로쿤밍기아과와 매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분류는 무악 척추동물의 한 부류인 코노돈트가 척추동물 왕관군의 자매군을 형성하는 것을 밝혀냈다. 또, 후구동물의 하나인 고충동물문피낭동물두삭동물과 관계된 초기 척삭동물인 것도 밝혀냈다.[1]

5. 생태

2024년 논문에 따르면 누키크티스는 지느러미가 없어 활발하게 유영하는 동물은 아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눈은 몸 양옆에 위치했을 것으로 보인다.[1][4] 이러한 특징들은 누키크티스가 유영을 거의 하지 않고 수중 환경에서 살아가는 플랑크톤성 생물 지위를 가졌음을 시사한다. 먹이 섭식 구조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영 생활을 고려했을 때 부유 섭식과 비슷한 소식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체형이 비슷한 근연종에게서도 나타난다.[1][4]

5. 1. 유영 방식

어떠한 형태의 지느러미도 없기 때문에 2024년 논문에서는 누키크티스가 활발하게 유영하는 동물은 아니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으며, 눈은 몸을 중심으로 양 옆으로 향해 있는 것으로 보았다.[1][4] 이러한 특징들은 누키크티스가 유영을 거의 하지 않은 채로 수중 환경에서 살아가는 플랑크톤성 생물 지위를 점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밝혀지지 않은 먹이 섭식 구조와 추측되는 유영 생활 때문에, 이 동물을 부유 섭식과 비슷한 소식 생활을 한 동물로 추정한다. 이 생물 지위는 체형이 비슷한 근연종들에게서도 나타난다.[1][4]

5. 2. 눈의 위치와 생활 방식

2024년 논문에서는 누키크티스가 활발하게 헤엄치는 동물이 아니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눈이 몸을 중심으로 양옆으로 향해 있다는 점을 들어 누키크티스가 플랑크톤성 생물 지위를 점유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4] 밝혀지지 않은 먹이 섭식 구조와 추측되는 유영 생활 때문에, 이 동물을 부유섭식과 비슷한 소식 생활을 한 동물로 추정한다. 이러한 생물 지위는 체형이 비슷한 근연종들에게서도 나타난다.[1][4]

5. 3. 섭식 방식

어떠한 형태의 지느러미도 없기 때문인지 2024년 논문에서는 누키크티스가 그렇게 활발한 유영성 동물은 아니라는 가설을 세웠으며, 눈은 몸을 중심으로 양 옆으로 향해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런 여러 특징들은 (유영을 거의 하지 않는 채로 수주환경에서 살아가는) 플랑크톤성 생물지위를 점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밝혀지지 않은 먹이 섭식 구조와 추측되는 유영 생활 때문에, 이 동물을 부유 섭식과 비슷한 소식 생활을 한 동물로 여겨진다. 이 생물 지위는 체형이 비슷한 근연종들에게서도 나타난다.[1][4]

참조

[1] 저널 A long-headed Cambrian soft-bodied vertebrate from the American Great Basin region
[2] 저널 Taphonomy and paleoecology of the "middle" Cambrian (Series 3) formations in Utah's West Desert: Recent finds and new data https://www.research[...] 2016-10
[3] 저널 New data on the palaeobiology of the enigmatic yunnanozoans from the Chengjiang Biota, Lower Cambrian, China https://onlinelibrar[...]
[4] 저널 A Redescription of a Rare Chordate, ''Metaspriggina walcotti'' Simonetta and Insom, from the Burgess Shale (Middle Cambrian), British Columbia, Canada The Paleontological Society 20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