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카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카리스는 캄브리아기 생물로, 여러 개의 표본이 발견되었다. 부속지 형태는 2개의 자루마디와 15개의 원위관절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방사치류와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슈카리스는 수더간 교수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과거에는 'C형 방사치류'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불확실한 관계를 가진 방사치류로 재분류되었다. 슈카리스는 작은 구주를 가지고 있어, 유영성 저서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누키크티스
누키크티스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몸길이 30cm의 척삭동물로, 강력한 턱과 카메라형 눈을 가졌으며 척추동물 줄기군에 속하여 초기 척추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202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이로비우스
아이로비우스 닥틸루스는 2024년에 발견된 호박 속 화석 완보동물로, 부유 상태와 발톱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통 모양의 체형, 엽족성 다리, 발톱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비우스과 물곰과 관련된 몸길이 약 0.1mm의 작은 물곰류이다. - 라디오돈트목 - 아노말로카리스
캄브리아기에 번성한 라디오돈타류에 속하는 멸종된 속인 아노말로카리스는, 기묘한 새우라는 뜻의 학명처럼 부분적인 화석으로 인해 갑각류로 오해받았으나, 캄브리아기 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포식자로서 당시 생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라디오돈트목 - 아이기로카시스
아이기로카시스는 오르도비스기 지층에서 발견된 멸종된 해양 절지동물 라디오돈트류의 일종으로, 지느러미와 잎 모양 아가미를 가지고 플랑크톤을 섭식했으며, 캄브리아기 멸종으로 알려진 라디오돈트류가 오르도비스기까지 생존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견이다. - 캄브리아기의 절지동물 - 삼엽충
삼엽충은 고생대 캄브리아기부터 페름기까지 번성한 절지동물로, 약 5억 2천만 년 전 등장하여 2억 7천만 년 동안 생존하며 바다에 서식했다. - 캄브리아기의 절지동물 - 오파비니아
오파비니아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멸종된 해양 절지동물로, 5개의 눈, 코, 지느러미를 가진 몸통과 꼬리를 가지며, 절지동물 줄기군으로 분류되어 캄브리아기 대폭발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슈카리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Shucaris ankylosskelos |
학명 명명자 | Wu et al., 2024 |
속 | 슈카리스속 |
속 명명자 | Wu et al., 2024 |
종 | 슈카리스 앙킬로스켈로스 |
화석 범위 | 521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공하강 |
목 | †방사치목 |
2. 특징
슈카리스는 여러 개의 표본이 알려져 있다. 모식표본 JS-0972B는 전방부속지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모식표본 JS-1950 및 JS-0658은 각각 거의 완전한 몸체 표본과 불완전하게 탈구된 전방부속지 한 쌍, 악기물, 구주, 머리경판의 일부, 그리고 깃아가미가 붙은 지느러미로 이루어져 있다.
슈카리스의 부속지 형태는 많은 면에서 다른 방사치류와 다른 점이 많아, 분류 위치를 정의 내리기 힘든 구석이 있다.[1] 부속지는 2개의 자루마디와 보통 접히는 부위에서 발견되는 15개의 원위관절마디(일명 DAR이라 부르며, 발톱이라고도 한다)로 이루어진다.[1] 마디는 멀어질수록 크기가 줄어들며, 그와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진 속가시가 달린다.[1] 속가시들은 짝을 이루며 길이에 따라 어긋나 있고, 홀수 위치의 마디마다 비교적 더 긴 가시가 달린다.[1] 좀 더 멀리 떨어진 마디에 나 있는 속가시들은 안쪽으로 크게 휘어 있으며, 보조가시가 안쪽과 옆쪽을 향하고 있다.[1] 이러한 보조가시는 속가시의 끝에 가까워질수록 더 커진다.[1] 보조가시는 속가시의 전방 모서리에 더 많이 있으며, 앞쪽에는 네 개 이상의 보조가시가 있고 뒤쪽에는 2개의 보조가시가 있으나 전방부속지의 멀리 떨어진 부분에는 보조가시의 수가 적다.[1] 8~14개의 원위관절마디(제15원위관절마디)의 가시는 온전히 남아있지 않았는데, 여기에 각각 하나의 보조가시만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1]
제1원위관절마디는 보통의 방사치류와는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1] 두 쌍의 속가시가 같은 가로선상에 놓여 있으며, 한 쌍이 다른 한 쌍 사이에 있다.[1] 바깥쪽 쌍은 멀어질수록 구부러지고 안쪽 쌍은 대부분 선형이며 뒤쪽을 가리킨다.[1] 두 쌍 모두 원위 여백에 있는 각 속가시마다 하나의 옆가시를 가지고 있다.[1] 제12~15원위관절마디는 등가시를 지니며, 제14마디에서 가장 큰 가시를 지니고 있다.[1] 제14원위관절마디도 이차적으로 등가시를 가지고 있다.[1] 속가시는 짝을 이루는데, 이는 다른 방사치류에게서는 보이지 않는 특징이다.[1]
2. 1. 부속지의 형태
슈카리스의 부속지 형태는 많은 면에서 다른 방사치류와 다른 점이 많아, 분류 위치를 정의 내리기 힘든 구석이 있다.[1] 부속지는 2개의 자루마디와 보통 접히는 부위에서 발견되는 15개의 원위관절마디(일명 DAR이라 부르며, 발톱이라고도 한다)로 이루어진다.[1] 마디는 멀어질수록 크기가 줄어들며, 그와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진 속가시가 달린다.[1] 속가시들은 짝을 이루며 길이에 따라 어긋나 있고, 홀수 위치의 마디마다 비교적 더 긴 가시가 달린다.[1] 좀 더 멀리 떨어진 마디에 나 있는 속가시들은 안쪽으로 크게 휘어 있으며, 보조가시가 안쪽과 옆쪽을 향하고 있다.[1] 이러한 보조가시는 속가시의 끝에 가까워질수록 더 커진다.[1] 보조가시는 속가시의 전방 모서리에 더 많이 있으며, 앞쪽에는 네 개 이상의 보조가시가 있고 뒤쪽에는 2개의 보조가시가 있으나 전방부속지의 멀리 떨어진 부분에는 보조가시의 수가 적다.[1] 8~14개의 원위관절마디(제15원위관절마디)의 가시는 온전히 남아있지 않았는데, 여기에 각각 하나의 보조가시만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1]제1원위관절마디는 보통의 방사치류와는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1] 두 쌍의 속가시가 같은 가로선상에 놓여 있으며, 한 쌍이 다른 한 쌍 사이에 있다.[1] 바깥쪽 쌍은 멀어질수록 구부러지고 안쪽 쌍은 대부분 선형이며 뒤쪽을 가리킨다.[1] 두 쌍 모두 원위 여백에 있는 각 속가시마다 하나의 옆가시를 가지고 있다.[1] 제12~15원위관절마디는 등가시를 지니며, 제14마디에서 가장 큰 가시를 지니고 있다.[1] 제14원위관절마디도 이차적으로 등가시를 가지고 있다.[1] 속가시는 짝을 이루는데, 이는 다른 방사치류에게서는 보이지 않는 특징이다.[1]
3. 명명
속명 ''Shucaris''는 청쟝 생물군 연구의 선구자이자 노스웨스트 대학 소속 초기생물 연구팀(Early Life Research Team)의 학문적 지도자, 수더간(舒德干, 서덕간) 교수를 기리는 의미에서 그의 성을 따와, 새우를 뜻하는 라틴어 'caris'에 붙인 합성어이다. 종소명 ''ankylosskelos''는 그리스어로 '휘다'는 의미의 'ankylos'와 '다리'를 뜻하는 'skelos'가 합쳐진 단어로, 이는 이 동물의 부속지가 휘어있음을 암시한다.
4. 분류
과거의 연구에서 슈카리스는 'C형 방사치류'로 분류되었으며, 암플렉토벨루아과[2] 및 초기 아노말로카리스류[3]로 복원된 적이 있다.
Wu ''et al.'' (2024)의 계통 발생 분석에서 슈카리스는 불확실한 관계를 가진 방사치류(종종 아노말로카리스과의 구성종으로)로 복원되었다.
Wu 등(2024)은 슈카리스가 '모든 암플렉토벨루아 동물과 대부분의 아노말로카리스류보다 발톱 부위에 더 많은 지절을 가지고 있다'는 새로운 특징을 논의하며, 슈카리스를 '아노말로카리스과 내에서 가장 초기의 분류군이거나 암플렉토벨루아과와 아노말로카리스과를 포함하는 분류군의 자매 분류군'으로 간주한다.[1]
4. 1. 계통 발생
과거의 연구에서 슈카리스는 'C형 방사치류'로 분류되었으며, 암플렉토벨루아과[2] 및 초기 아노말로카리스류[3]로 복원된 적이 있다.Wu ''et al.'' (2024)의 계통 발생 분석에서 슈카리스는 불확실한 관계를 가진 방사치류(종종 아노말로카리스과의 구성종으로)로 복원되었다.
Wu 등(2024)은 슈카리스가 '모든 암플렉토벨루아 동물과 대부분의 아노말로카리스류보다 발톱 부위에 더 많은 지절을 가지고 있다'는 새로운 특징을 논의하며, 슈카리스를 '아노말로카리스과 내에서 가장 초기의 분류군이거나 암플렉토벨루아과와 아노말로카리스과를 포함하는 분류군의 자매 분류군'으로 간주한다.[1]
5. 생태
슈카리스는 비정상적으로 작은 구주를 가지고 있는데, 악기물로 먹이를 씹은 뒤 삼켰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단단한 껍질을 가진 먹잇감을 섭취하는 유영성 저서포식자인 암플렉토벨루아과의 동물들과 유사한 식성을 가진 것으로 추정한다.
참조
[1]
저널
A new radiodont from the lower Cambrian (Series 2 Stage 3) Chengjiang Lagerstätte, South China informs the evolution of feeding structures in radiodonts
2024-07-16
[2]
저널
A large pelagic lobopodian from the Cambrian Pioche Shale of Nevada
https://www.cambridg[...]
2023-12-13
[3]
저널
"''Innovatiocaris'', a complete radiodont from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Lagerstätt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phylogeny of Radiodonta"
https://doi.org/10.1[...]
2022-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