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사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사태는 산이나 경사면에 쌓인 눈이 중력에 의해 붕괴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다. 눈사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강설, 기온 변화, 지형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눈사태는 판 눈사태, 가루눈 눈사태, 습설 눈사태 등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특성과 위험도가 다르다. 눈사태는 지형, 적설, 기상 조건에 따라 발생하며, 특히 30~45도의 급경사면에서 자주 발생한다.
눈사태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한다. 낭떠러지에서 눈더미가 무거워져 측면힘을 주게 되면 그 부분만 쏟아지는 눈사태가 일어난다. 작은 눈더미가 떨어지더라도 경사를 따라 내려오면서 점점 불어 큰 눈사태가 일어나기도 한다. 눈사태에 섞인 공기를 흡입하면 질식할 수도 있다.
눈사태는 낭떠러지에서 눈더미가 무거워져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작은 눈더미라도 경사를 따라 내려오면서 큰 눈사태로 이어지기도 한다. 대부분의 눈사태는 폭풍이 몰아치는 동안이나 직후에 발생하며, 강설, 침식, 태양 복사로 인한 융해 등이 주요 원인이다.[3] 인공적인 요인으로는 스키어, 스노모빌, 폭발 작업 등이 있지만, 큰 소리가 눈사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사실이 아니다.[3]
눈사태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 예방 및 대처가 중요하며, 눈사태 주의보 발령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눈사태 발생 시에는 신속한 대처와 구조가 중요하며, 눈사태 비콘, 삽, 탐침 등 장비를 활용하여 구조 활동을 펼칠 수 있다. 한국에서도 여러 눈사태 피해 사례가 발생했으며, 관련 연구와 대응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 원인 및 형성
대부분의 눈사태는 강설 및/또는 침식으로 인한 하중 증가로 인해 폭풍 중에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태양 복사로 인한 융해와 같은 적설층의 변성 변화는 자연 눈사태의 두 번째로 큰 원인이다. 기타 자연적 원인으로는 강우, 지진, 낙석 및 빙폭 등이 있다. 인공적인 눈사태 유발 요인으로는 스키어, 스노모빌, 통제된 폭발 작업 등이 있다.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눈사태는 큰 소리에 의해 유발되지 않는다. 소리의 압력은 눈사태를 유발하기에는 너무 작은 수준이다.[3]
눈사태는 처음에는 소량의 눈만 움직이는 지점에서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눈이 약한 층 위에 뻣뻣한 슬래브(slab)로 소결되면 파단이 매우 빠르게 전파되어 수천 입방 미터에 달하는 대량의 눈이 거의 동시에 움직이기 시작할 수 있다.
적설층은 하중이 강도를 초과할 때 붕괴된다. 하중은 눈의 무게이다. 그러나 적설층의 강도는 결정하기가 훨씬 더 어렵고 극도로 불균질하다. 눈 입자, 크기, 밀도, 형태, 온도, 수분 함량의 특성과 입자 간 결합 특성에 따라 세부적으로 달라진다.[4] 이러한 특성은 국부적인 습도, 수증기 플럭스, 온도 및 열 플럭스에 따라 시간에 따라 모두 변성될 수 있다. 적설층의 상단은 또한 입사 복사 및 국부적인 기류의 영향을 광범위하게 받는다. 눈사태 연구의 한 가지 목표는 계절별 적설층의 시간 경과에 따른 진화를 설명할 수 있는 컴퓨터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이다.[5] 복잡한 요인으로는 지형과 기상의 복잡한 상호 작용이 있는데, 이는 계절별 적설층의 깊이, 결정 형태 및 층상 구조의 상당한 공간적 및 시간적 변동성을 유발한다.[6]
눈사태는 발생 방식, 적설 범위, 습도,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등산이나 스키, 백컨트리 스키를 하는 사람들이 자주 마주치는 것은 점 발생 표층 눈사태, 면 발생 표층 눈사태가 있는데, 특히 광범위하게 일제히 발생하는 면 발생 표층 눈사태는 위험도가 높다.
급경사면(경사 30도 정도)에서도 눈사태가 일어나기 쉽다.
고대 기원전 218년 카르타고의 용장 한니발이 이끄는 군대가 알프스를 넘을 때 눈사태로 인해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6]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육군은 겨울 알프스산맥을 넘어 진군해 오는 오스트리아군을 맞이하여 오스트리아군이 능선을 넘어 내려가는 시점에서 후방을 노려 포격을 가하여 착탄 시 충격으로 눈사태를 일으켜 적을 생매장하는 작전을 펼쳤다.[106] 또한 군사 작전의 편의가 우선시된 결과, 눈사태 빈발 지역에도 부대가 배치되어 행군 및 진지 구축 등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제1차 세계 대전 중 눈사태로 인한 사망자는 양측 군에서 4만~5만 명, 일설에는 8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106][107]
이후 오스트리아와 스위스에서는 눈사태를 군사 기술로 중시했다. 특히 스위스는 공군에 "눈사태 부대"를 창설하여 겨울이 되면 눈사태 유발 훈련에 매진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제2차 대전 중 히틀러도 스위스 침공을 포기했다는 설이 있다.[106]
현재는 이러한 경험을 살려, 아발란체 컨트롤의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작은 눈사태를 발생시키기 위해 눈사태가 일어나기 쉬운 장소에 정기적으로 고정식 또는 휴대용 소형 화기를 발사하거나 폭약을 폭발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108]
2. 1. 판 눈사태 (Slab avalanches)
판 눈사태는 강력하면서도 얇은 층에 의한 눈사태로 전체 눈사태의 90%를 차지한다.[1] 경사면에 바람이 불면 눈이 다져진다. 판이 깨지게 되면 조각이 훨씬 빨리 이동하기 때문에 수백 미터에 이르도록 급격하게 퍼지며, 폭도 수 미터나 된다.[1]
판 눈사태는 바람에 의해 퇴적되거나 재퇴적된 눈 속에서 자주 형성된다. 이들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균열에 의해 잘려나간 눈 덩어리(판)의 특징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 판 눈사태의 요소로는 시작 지점 상단에 형성되는 크라운 균열, 시작 지점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균열, 그리고 바닥에 형성되는 슈타우흐벽이라고 불리는 균열이 있다. 크라운 균열과 측면 균열은 눈사태에 휩쓸린 눈과 경사면에 남아있는 눈을 구분하는 눈 속의 수직 벽이다. 판의 두께는 몇 센티미터에서 3m까지 다양할 수 있다. 판 눈사태는 눈사태 관련 사망의 약 90%를 차지한다.[1]
2. 2. 가루눈 눈사태 (Powder snow avalanches)
가루눈 눈사태는 밀집된 눈사태 위에 있는 분말 구름으로 구성된 난류 부유류를 형성하며,[7] 일종의 중력류이다. 어떤 유형의 눈이나 시작 메커니즘으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신선하고 건조한 분말과 함께 발생한다. 속도는 300kph 이상, 질량은 1,000,000톤을 초과할 수 있으며, 평평한 계곡 바닥을 따라 장거리를 이동하고 짧은 거리를 오르막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8]
2. 3. 습설 눈사태 (Wet snow avalanches)
습설 눈사태는 주로 늦은 겨울에 무거운 습설(濕雪)이 내리면서 발생한다. 상하층 눈의 무게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분말 눈사태와 대조적으로, 습설 눈사태는 눈과 물의 저속 현탁액이며, 흐름은 궤도 표면에 국한된다.[4] 낮은 이동 속도는 궤도의 미끄러지는 표면과 물이 포화된 흐름 사이의 마찰 때문이다. 낮은 이동 속도(약 10km~40km)에도 불구하고, 습설 눈사태는 큰 질량과 밀도 때문에 강력한 파괴력을 생성할 수 있다. 습설 눈사태의 흐름체는 부드러운 눈을 헤치고 나갈 수 있으며, 바위, 흙, 나무 및 기타 식생을 긁어낼 수 있다. 눈사태 궤도에는 노출되고 종종 긁힌 땅을 남긴다. 습설 눈사태는 헐거운 눈 방출이나 판상 방출에서 시작될 수 있으며, 물이 포화되고 물의 융해점에 등온적으로 평형을 이룬 눈 덩어리에서만 발생한다. 습설 눈사태의 등온 특성으로 인해 문헌에서 등온 슬라이드라는 2차 용어가 사용되었다.[9] 온대 위도에서 습설 눈사태는 종종 겨울철이 끝날 때, 즉 일중 기온이 크게 상승할 때 기후 눈사태 주기와 관련이 있다.
2. 4. 기타 눈사태
눈사태는 발생 방식, 적설 범위, 습도,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점 발생 눈사태는 낭떠러지에서 눈더미가 무거워져 측면힘을 받을 때 발생하며, 작은 눈더미가 경사를 따라 내려오면서 점점 커진다. 면 발생 눈사태는 광범위하게 일제히 발생하는 형태로, 특히 위험도가 높다.
적설 범위에 따라서는 표층 눈사태와 전층 눈사태로 나뉜다.[66] 전층 눈사태는 토사를 휘감으며 사면을 내려간다.
습도에 따라서는 건설 눈사태와 습설 눈사태로 나뉜다. 습설 눈사태는 늦은 겨울 무거운 습설이 내리면서 주로 발생하며, 상하층 눈의 무게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형태에 따라서는 연형, 흐름형, 복합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규모의 연형 건설 표층 눈사태는 포말 눈사태라고 하며, 도야마현 (구로베 지방) 등에서는 호우라고 불리며 두려워하고 있다.
이 외에도 현수 빙하 등의 붕괴에 따른 빙설 붕괴나 눈 처마의 붕괴에 의한 '''블록 눈사태''' 등이 있다.
빙설 붕괴는 세락이나 빙하의 붕괴와 같이 큰 얼음 덩어리가 얼음 위로 떨어지면서 부서진 얼음 덩어리가 움직이면서 발생하며, 예측하기 어렵고 완화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4]
대량의 물을 포함한 눈이 유동하는 눈사태는 '''슬래시 눈사태'''라고 한다.[67]
현대 레이더 기술을 통해 기상 조건에 관계없이 주야를 가리지 않고 광범위한 지역을 감시하여 눈사태 발생 지점을 감지할 수 있다.
위험 지역을 통행 금지하거나 대피시키기 위해 단시간 내에 눈사태를 감지할 수 있는 복잡한 경보 시스템도 존재한다.[75]
3. 발생 조건
눈사태는 지형, 적설, 기상의 세 가지 주요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3. 1. 지형
눈사태는 경사도 30~45도의 급경사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나무가 없는 개방된 경사면이나 계곡에서 발생 확률이 높다.[109] 능선이나 바람의 영향을 받는 지역, 볼록한 지형 등도 눈사태 위험 지역으로 간주된다.[16][17]
눈사태와 눈사태 경로는 시작 구역(눈사태가 발생하는 곳), 눈사태가 흐르는 트랙, 눈사태가 멈추는 런아웃 구역과 같은 공통 요소를 공유한다.[18]
일반적으로 눈사태는 배수 방향을 따라 내리막길로 이동하며, 여름철 유역과 배수 특징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19] 나무 한계선에서 또는 그 아래에서 배수를 통과하는 눈사태 경로는 트리밍 라인이라고 하는 식생 경계로 잘 정의되며, 이는 눈사태로 인해 나무가 제거되고 큰 식생의 재생이 방지된 곳에서 발생한다.
25도보다 완만하거나 60도보다 가파른 경사면은 일반적으로 눈사태 발생률이 낮다.[20] 인위적인 눈사태는 눈의 안식각이 35~45도 사이일 때 발생률이 가장 높다.[6]
3. 2. 적설
적설층 내부에 약한 층이 존재하거나, 굳어진 눈 층 아래에 불안정한 층이 형성될 경우 눈사태 위험이 높아진다. 급격한 기온 변화, 대량의 강설, 지속적인 저온 등은 적설층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눈사태가 발생하려면 적설층이 얇은 눈 덩어리 아래에 약한 층(또는 불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눈이 쌓이면, 눈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데, 쌓인 눈 입자끼리의 결합이 중력, 압력, 기온 상승 등 외부 요인에 의해 파괴될 때 발생한다.
엄동기에 급격한 기온 변화는 적설 내부에 큰 온도 차를 발생시킨다. 이는 "사라메 눈"이라고 불리는 약한 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한 번에 대량의 강설이 있으면, 약한 층 위에 쌓이는 눈에 하중이 증가한다. 급한 경사면의 경우, 약한 층은 지지력을 잃기 쉬워져 눈사태 발생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3]
기상청은 눈사태 위험에 대한 주의 환기로, '''눈사태 주의보'''를 발표하고 있다. 눈사태에서는 주의보는 발령되지만 경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큰 눈사태는 대부분 35도에서 45도의 급경사면에서 발생한다. 수림대에 부분적으로만 나무가 없는 경사면이 있다면, 그곳은 눈사태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곳이 많다. 그 외, 설피나 장애물이 없는 광대한 경사면, 계곡 등도 발생 확률이 높다. 사방댐이나 치산 댐은 눈사태 방지 목적으로 설치된 것이 아니므로, 폭설 지대에서는 이러한 시설에 쌓인 눈으로 인해 오히려 대규모 눈사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눈이 쌓이고 눈사태가 일어날 것 같으면, 그곳에는 부주의하게 들어가지 않아야 한다. 눈사태를 한 번이라도 발견하면 그곳은 '''눈사태 다발 위험 지대'''이며 다시 눈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즉시 되돌아가거나 안전한 장소로 피난해야 한다.
영화 등에서 나오는 것처럼 "큰 소리를 지르면 눈사태에 휩쓸린다"는 것은 없지만, 소리의 발생원이 지표면에 충격을 주는 물건이었을 경우에는 눈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3]
3. 3. 기상
낭떠러지에서 눈더미가 무거워져 측면힘을 주게 되면 그 부분만 쏟아지는 눈사태가 일어난다. 작은 눈더미가 떨어지더라도 경사를 따라 내려오면서 점점 불어 큰 눈사태가 일어나기도 한다.
대부분의 눈사태는 강설 및/또는 침식으로 인한 하중 증가로 인해 폭풍 중에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태양 복사로 인한 융해와 같은 적설층의 변성 변화는 자연 눈사태의 두 번째로 큰 원인이다. 기타 자연적 원인으로는 강우, 지진, 낙석 및 빙폭 등이 있다.[3]
눈사태는 서 있는 눈 덮개에서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고위도, 고지대 또는 둘 다에 위치한 겨울철에는 강설이 계절별 눈 덮개로 축적될 수 있을 정도로 날씨가 불안정하고 추운 경향이 있다. 대륙성 기후는 눈 덮개에서 나타나는 기상 이변에 영향을 미쳐 불안정성이 발생하고 눈사태가 일어나는데 중요한 요인이며, 폭풍이 지나간 후 눈 덮개가 더 빠르게 안정화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21] 눈 덮개의 변화는 눈이 눈 덮개로 쌓일 수 있는 좁은 범위의 기상 조건 내의 작은 변화에도 매우 민감하다. 눈 덮개 변화를 제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는 태양열, 복사 냉각, 서 있는 눈의 수직 온도 기울기, 강설량 및 눈의 유형이 있다. 일반적으로 온화한 겨울 날씨는 눈 덮개를 안정시키지만, 반대로 매우 춥거나 바람이 많이 불거나 더운 날씨는 눈 덮개를 약화시킨다.[22]
물의 어는점영어과 가까운 온도 또는 적당한 태양 복사 시간 동안에는 완만한 해빙-재결빙 주기가 일어난다. 눈 속의 물이 녹고 다시 어는 과정은 어는 단계에서 눈 덮개를 강화하고 녹는 단계에서 약화시킨다. 물의 어는점보다 상당히 높은 지점까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일 년 중 언제라도 눈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23]
지속적인 저온은 새로운 눈의 안정화를 방해하거나 기존 눈 덮개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 눈 표면의 낮은 기온은 눈 속에 온도 기울기를 생성하는데, 눈 덮개 바닥에 있는 지면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0°C이고 주변 기온은 훨씬 더 낮을 수 있기 때문이다. 1m 수직 눈당 10°C 이상의 온도 기울기가 하루 이상 지속되면 심설 또는 팰릿이라고 하는 각형 결정이 온도 기울기를 따라 빠른 수분 이동으로 인해 눈 덮개에서 형성되기 시작한다. 서로 및 주변 눈과 잘 결합되지 않는 이러한 각형 결정은 종종 눈 덮개에 지속적인 약점이 된다. 지속적인 약점 위에 놓인 슬래브에 슬래브와 지속적인 약층의 강도보다 큰 힘이 가해지면 지속적인 약층이 파괴되어 눈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가벼운 산들바람보다 강한 바람은 바람이 불어오는 비탈면에 눈이 빠르게 쌓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풍설은 빠르게 형성되며, 슬래브 아래의 약한 눈이 새로운 하중에 적응할 시간이 없을 수 있다. 맑은 날에도 바람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눈을 날려 비탈면에 빠르게 눈을 쌓을 수 있다. 상부 적재는 바람이 비탈면 상단에서 눈을 쌓을 때 발생하고, 횡적 적재는 바람이 비탈면에 평행하게 눈을 쌓을 때 발생한다. 바람이 산 꼭대기를 지나 불어갈 때, 산의 풍하측 또는 바람이 불어가는 쪽은 그 풍하측 비탈면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부 적재를 경험한다. 바람이 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가로질러 불어갈 때, 능선의 풍하측은 횡적 적재를 받는다. 횡적 적재된 풍설은 일반적으로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어렵다.
눈보라와 폭우는 눈사태 위험에 중요한 요소이다. 많은 양의 강설은 추가적인 무게와 새로운 눈이 하부 눈 층에 결합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기존 눈 덮개에 불안정을 야기한다. 비도 비슷한 영향을 미친다. 단기적으로 비는 폭설과 마찬가지로 눈 덮개에 추가적인 하중을 가하고 빗물이 눈을 통해 스며들면 윤활제 역할을 하여 눈 덮개를 함께 유지하는 눈 층 사이의 자연적인 마찰을 줄이기 때문에 불안정을 야기한다. 대부분의 눈사태는 폭풍 동안 또는 폭풍 직후에 발생한다.
햇빛에 낮 동안 노출되면 햇빛이 눈을 녹일 정도로 강해 경도가 감소하면 눈 덮개의 상층이 빠르게 불안정해진다. 맑은 밤에는 주변 기온이 어는점 이하로 떨어지면 장파 복사 냉각 과정을 통해 눈 덮개가 다시 얼 수 있다. 복사 열 손실은 밤 공기가 눈 덮개보다 상당히 시원하고 눈에 저장된 열이 대기 중으로 다시 방사될 때 발생한다.[24]
엄동기, 급격한 기온 변화는 적설 내부에 큰 온도 차를 발생시킨다. 이것은 "사라메 눈"이라고 불리는 약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한 번에 대량의 강설이 있으면, 약층 위에 쌓이는 눈에 하중이 증가한다. 급한 경사면의 경우, 약층은 지지력을 잃기 쉬워져 눈사태가 발생할 위험도 매우 높아진다.
이처럼 기상이나 기온의 변화가 계기가 되는 것 외에도, 큰 눈사태의 대부분은 35도에서 45도의 급경사면에서 발생하고 있다.
4. 예방 및 대처
눈사태는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산악 스키는 100%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눈사태 위험 지역에서는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적절한 장비를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훌륭한 눈사태 대책은 루트 선택과 적설, 기상 조건, 인위적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노력을 포함한다.
안전 대책
- 그룹 행동: 단독 행동을 피하고, 반드시 여러 명이 함께 움직인다.
- 안전 지대 대기: 위험 지역에서는 안전한 장소에서 대기하며, 상황을 주시한다.
- 지형 검토: 이동 경로는 신중하게 지형을 검토하여, 눈사태 위험이 적은 곳을 선택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한다.
- 사면 아래쪽을 돌아서 이동하지 않는다. (눈 덩어리의 지지대를 파괴할 수 있다.)
- 불룩하게 솟아오른 원통형 지형을 피한다. (눈 덩어리에 장력이 가해지는 곳이다.)
- 노출된 바위와 같이 약한 지점, 지형적인 함정에 빠지기 쉬운 사면에는 접근하지 않는다.
- 위험 요인 인지: 눈사태 위험 요인을 인지하고, 위험을 피하기 위한 명확한 의사 결정 절차를 숙지한다.
- 정보 확인: 지역 당국이 발표하는 눈사태 위험도를 확인하고 주의하며, 이전에 지나간 사람의 발자국이 있더라도 스스로 안전을 확인해야 한다. 눈의 상황은 언제든지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눈사태 통로 관찰: 식생이 사라지거나 손상된 곳, 지상에 발 디딜 곳이 적은 곳, 눈 처마나 얼음 아래 등 눈사태가 자주 발생하는 통로를 파악하고 피한다.
- 타인과의 거리 유지: 다른 사람이 눈사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다른 사람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피한다.
유럽에서는 눈사태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등급을 사용한다.[50] 프랑스에서는 대부분의 눈사태 사망 사고가 위험 수준 3과 4에서 발생하며, 스위스에서는 2와 3에서 주로 발생한다.[51]
위험 수준 | 적설 안정도 | 아이콘 | 눈사태 위험 |
---|---|---|---|
1 – 낮음 | 눈은 일반적으로 매우 안정적입니다. | 극도로 가파른 몇몇 경사면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눈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자발적인 눈사태는 경미한 설사태일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조건입니다. | |
2 – 보통 | 일부 가파른 경사면에서는 눈이 보통 정도만 안정적입니다. 다른 곳에서는 매우 안정적입니다. | 특히 일반적으로 식별된 가파른 몇몇 경사면에서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면 눈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규모 자발적 눈사태는 예상되지 않습니다. | |
3 – 높음 | 많은 가파른 경사면에서 눈은 보통 또는 약하게 안정적입니다. | 가벼운 하중만 가해져도 많은 경사면에서 눈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경사면에서는 중간 또는 상당히 큰 자발적 눈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4 – 매우 높음 | 대부분의 가파른 경사면에서 눈이 그다지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 가벼운 하중만 가해져도 많은 경사면에서 눈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떤 곳에서는 중간 또는 때때로 대규모 자발적 눈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
5 – 최고 | 눈은 일반적으로 불안정합니다. | -- | 완만한 경사면에서도 많은 대규모 자발적 눈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일본에서는 기상청이 눈사태 위험이 있을 때 '''눈사태 주의보'''를 발표한다. 한국에서도 기상청이 눈사태 주의보를 발표한다.
눈사태를 만났을 때는 옆으로 도망치는 것이 최우선이며, 장비를 버리고 눈사태 표면 부근에 떠오르도록 수영하는 것은 비교적 소규모의 흐름형 눈사태에서만 유효하다. 대규모 눈사태에서는 이러한 행동을 할 여유가 없다.
눈사태가 멈추려 할 때는 입 주변에 공기를 모아둘 공간을 만들고, 눈 표면 위에 손, 발 또는 장비 등을 내밀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의식을 잃으면 이러한 행동은 불가능하다. 눈이 멈춰도 움직일 수 있다면 공기 공간을 넓혀야 하지만, 산소 소비를 줄이기 위해 불필요한 운동은 삼가야 한다. 눈사태는 움직이는 동안에는 몸을 움직일 수 있지만, 멈추면 굳어져 움직일 수 없게 된다. 가능한 한 밝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대규모 눈사태에 휘말렸을 때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으므로, 눈사태 위험 지대에서 행동할 때는 예측되는 눈사태의 규모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83]
장비눈사태 비콘, 탐침, 삽은 눈사태 위험 지역에서 행동할 때 필수적인 장비이다.[79] 눈사태 에어백, 아발랑 등 추가적인 장비를 활용하여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 눈사태 비콘: "비퍼"(beeper)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79] 파티의 모든 구성원이 반드시 장비해야 하며, 비콘을 소지한 경우 생존율은 장비하지 않은 경우의 약 3배로 추정된다. 평상시 457kHz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며, 수신 모드로 전환하면 눈사태에 매몰된 80m 이내의 피해자 위치를 찾을 수 있다.
- 탐침 (프로브): 휴대용(접이식) 탐침은 늘려서 탐침봉(존데봉)으로 사용한다. 눈에 수 미터 깊이까지 찔러 넣어 매몰된 피해자의 정확한 위치를 찾는다.
- 삽: 눈사태가 멈추면 눈이 압축되어 단단해지므로, 피해자를 구조하려면 삽이 필수적이다.
- RECCO 시스템: 구조대가 사용하는 소형 휴대용 감지기와, 옷 등에 부착된 "반사기(reflector)"로 구성된다.
- 아발랑 (Avalung): 마우스피스, 가동식 밸브, 배기 파이프, 공기 흡입구로 구성된다. 눈사태 매몰 시 이산화 탄소 농도를 낮춰 구조 시간을 벌 수 있게 한다.[80]
- 기타 장비: 전 지구 측위 시스템(GPS)을 내장한 비상 위치 지시 무선 표지 장치(EPIRB) 또는 개인 위치 특정 비콘(PLB)을 휴대하면 긴급 신호와 위치를 구조대에 전송할 수 있다. 눈사태 볼, 눈사태 조끼, 눈사태 에어백 등도 활용 가능하다.
눈사태 구조견 등에 의한 구조가 이루어진다.[84]
4. 1. 예방 (아발란체 컨트롤)
눈사태 위험 지역에서는 인공적으로 눈사태를 유발하여 위험을 줄이거나, 방설울타리, 눈사태 댐 등을 설치하여 눈사태를 예방한다. 스키장에서는 공인 스키 패트롤 요원이 스키 컷, 폭약 사용 등을 통해 눈사태를 예방한다.[69][70]스키 리조트, 산악 마을, 도로 및 철도와 같이 눈사태가 사람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는 지역에서는 예방 조치가 사용된다. 눈사태를 예방하고 그 힘을 줄이며, 눈 덮개 구조를 파괴하여 눈사태 가능성과 크기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수동적 조치는 현장에서 눈 덮개를 강화하고 안정시키는 것이다. 가장 간단한 능동적 조치는 눈이 쌓일 때 눈 덮개를 반복적으로 밟는 것으로, 부츠 포장, 스키 커팅 또는 기계 정비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폭발물은 눈 덮개의 불안정성을 파괴하고 더 큰 눈사태를 일으킬 수 있는 과부하를 제거하여 작은 눈사태를 유발함으로써 눈사태를 예방하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폭발물은 손으로 던지는 폭탄, 헬리콥터 투하 폭탄, 가제스 충격선, 공기 대포와 포병이 발사하는 탄도 발사체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달된다. 일본에서는 화약류 단속법의 제약 때문에 폭약 대신 연화옥(불꽃놀이)이 사용된다.[69][70]
방설 펜스나 가벼운 벽을 세워 눈이 쌓이는 장소를 조절할 수도 있다. 눈은 울타리 주변, 특히 바람이 많이 부는 쪽에 쌓이고, 울타리의 바람이 덜 부는 쪽에는 눈이 덜 쌓인다. 이는 울타리에서 눈이 손실되어 쌓이지 않고, 바람에 의해 이미 있는 눈이 날아가기 때문이다.
나무가 충분히 밀집되어 있으면 눈사태의 강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나무는 눈을 제자리에 고정시키고, 눈사태가 발생하면 나무에 부딪히는 눈의 충격이 속도를 늦춘다. 나무는 심거나 스키 리조트 건설과 같이 보존하여 눈사태의 강도를 줄일 수 있다. 홋카이도의 하코다테 본선은 메나 역에서 구치안 역을 거쳐 긴잔 역 부근까지 눈사태 대책을 위한 철도 방설림이 조성되어 눈사태, 눈보라, 눈 날림 방지 효과가 있다.[71]
눈사태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인공 방벽을 건설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다. 여러 종류가 있는데, 한 종류의 방벽(눈 그물)은 기초 외에도 가이 와이어로 고정된 기둥 사이에 그물을 쳐서 사용한다. 또 다른 유형의 방벽은 강성 펜스 형태의 구조물(설벽)이며, 강철, 목재 또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로 건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빔 사이에 틈이 있으며, 경사면에 수직으로 건설되며, 내리막 측에 보강 빔이 있다. 강성 방벽은 특히 여러 줄을 건설해야 할 때 보기 흉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따뜻한 달에는 낙석으로 인한 피해에 취약하다.
산업적으로 제조된 방벽 외에도, 눈사태 댐이라고 불리는 조경 방벽은 무게와 강도로 눈사태를 멈추거나 방향을 바꾼다. 이 방벽은 콘크리트, 암석 또는 흙으로 만들어진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보호하려는 구조물, 도로 또는 철도 바로 위에 배치되지만, 눈사태를 다른 방벽으로 유도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때때로 토루는 눈사태의 경로에 배치되어 속도를 늦춘다.
교통로를 따라 눈 가림막이라고 불리는 대형 쉘터를 건설하여 눈사태로부터 교통을 보호할 수 있다.[36] 일본의 철도에서는 눈사태를 장벽으로 막는 대신, 스노 셸터나 스노 셰드라고 불리는 구조물로 선로 위를 눈사태가 통과하도록 처마나 지붕을 설치하는 대책이 주류이다.[72]
캐나다 눈사태 협회(Canadian Avalanche Association, CAA)는 눈사태에 대한 정보 교류를 진행하고, 일본 등 다양한 국가에 눈사태 관련 교육 및 정보 교류를 제공한다. 또한, 'OBSERVATION GUIDELINES. AND RECORDING STANDARDS. FOR WEATHER, SNOWPACK. AND AVALANCHES'라는 무료 눈사태 대책 PDF를 공개하여 다양한 눈사태 발생 시 적설량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73][74]
- 적설 단면 관측
- 설질 체크
- 핸드 테스트
- 취약층 테스트
현대 레이더 기술을 통해 어떠한 기상 조건에서도 주야를 가리지 않고 광범위한 지역을 감시하여 눈사태 발생 지점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위험에 처한 지역을 통행 금지하거나(예: 철도나 도로), 혹은 그 지역에서 대피시키기 위해(예: 공사 현장), 짧은 시간 안에 눈사태를 감지할 수 있는 복잡한 경보 시스템도 존재한다. 그러한 시스템의 예로 스위스의 체르마트로 가는 유일한 접근 도로에 설치된 것이 있다.[75]
4. 2. 경보 시스템
현대 레이더 기술은 어떠한 기상 조건에서도 밤낮을 가리지 않고 넓은 지역을 감시하여 눈사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38] 복잡한 경보 시스템은 눈사태를 짧은 시간 안에 감지하여 위험 지역(예: 건설 현장)을 폐쇄하거나 대피시킬 수 있다.[38] 예를 들어, 스위스 체르마트로 가는 유일한 접근 도로에는 산비탈을 감시하는 레이더 두 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몇 초 안에 차단기와 신호등을 작동시켜 도로를 자동으로 폐쇄하여 인명 피해를 막는다.[38]빙하 낙빙으로 인한 얼음 눈사태와 같이 천천히 발생하는 눈사태는 간섭 레이더, 고해상도 카메라, 모션 센서 등을 통해 며칠에서 몇 년에 걸쳐 불안정한 지역을 모니터링하여 감지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기록된 데이터를 해석하고 곧 발생할 파열을 인식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며칠 전에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37]
한국에서는 기상청이 눈사태 주의보를 발표하여 눈사태 위험을 알린다. 눈사태 주의보는 발령되지만 경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4. 3. 안전 대책
눈사태 위험 지역에서는 안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대책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그룹 행동: 단독 행동을 피하고, 반드시 여러 명이 함께 움직인다.
- 안전 지대 대기: 위험 지역에서는 안전한 장소에서 대기하며, 상황을 주시한다.
- 지형 검토: 이동 경로는 신중하게 지형을 검토하여, 눈사태 위험이 적은 곳을 선택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한다.
- 사면 아래쪽을 돌아서 이동하지 않는다. (눈 덩어리의 지지대를 파괴할 수 있다.)
- 불룩하게 솟아오른 원통형 지형을 피한다. (눈 덩어리에 장력이 가해지는 곳이다.)
- 노출된 바위와 같이 약한 지점, 지형적인 함정에 빠지기 쉬운 사면에는 접근하지 않는다.
- 위험 요인 인지: 눈사태 위험 요인을 인지하고, 위험을 피하기 위한 명확한 의사 결정 절차를 숙지한다.
- 정보 확인: 지역 당국이 발표하는 눈사태 위험도를 확인하고 주의하며, 이전에 지나간 사람의 발자국이 있더라도 스스로 안전을 확인해야 한다. 눈의 상황은 언제든지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눈사태 통로 관찰: 식생이 사라지거나 손상된 곳, 지상에 발 디딜 곳이 적은 곳, 눈 처마나 얼음 아래 등 눈사태가 자주 발생하는 통로를 파악하고 피한다.
- 타인과의 거리 유지: 다른 사람이 눈사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다른 사람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피한다.
유럽에서는 눈사태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등급을 사용한다.[50] 프랑스에서는 대부분의 눈사태 사망 사고가 위험 수준 3과 4에서 발생하며, 스위스에서는 2와 3에서 주로 발생한다.[51]
위험 수준 | 적설 안정도 | 아이콘 | 눈사태 위험 |
---|---|---|---|
1 – 낮음 | 눈은 일반적으로 매우 안정적입니다. | 극도로 가파른 몇몇 경사면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눈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자발적인 눈사태는 경미한 설사태일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조건입니다. | |
2 – 보통 | 일부 가파른 경사면에서는 눈이 보통 정도만 안정적입니다. 다른 곳에서는 매우 안정적입니다. | 특히 일반적으로 식별된 가파른 몇몇 경사면에서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면 눈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규모 자발적 눈사태는 예상되지 않습니다. | |
3 – 높음 | 많은 가파른 경사면에서 눈은 보통 또는 약하게 안정적입니다. | 가벼운 하중만 가해져도 많은 경사면에서 눈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경사면에서는 중간 또는 상당히 큰 자발적 눈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4 – 매우 높음 | 대부분의 가파른 경사면에서 눈이 그다지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 가벼운 하중만 가해져도 많은 경사면에서 눈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떤 곳에서는 중간 또는 때때로 대규모 자발적 눈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
5 – 최고 | 눈은 일반적으로 불안정합니다. | -- | 완만한 경사면에서도 많은 대규모 자발적 눈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일본에서는 기상청이 눈사태 위험이 있을 때 '''눈사태 주의보'''를 발표한다.
눈사태를 만났을 때는 옆으로 도망치는 것이 최우선이며, 장비를 버리고 눈사태 표면 부근에 떠오르도록 수영하는 것은 비교적 소규모의 흐름형 눈사태에서만 유효하다. 대규모 눈사태에서는 이러한 행동을 할 여유가 없다.
눈사태가 멈추려 할 때는 입 주변에 공기를 모아둘 공간을 만들고, 눈 표면 위에 손, 발 또는 장비 등을 내밀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의식을 잃으면 이러한 행동은 불가능하다. 눈이 멈춰도 움직일 수 있다면 공기 공간을 넓혀야 하지만, 산소 소비를 줄이기 위해 불필요한 운동은 삼가야 한다. 눈사태는 움직이는 동안에는 몸을 움직일 수 있지만, 멈추면 굳어져 움직일 수 없게 된다. 가능한 한 밝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대규모 눈사태에 휘말렸을 때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으므로, 눈사태 위험 지대에서 행동할 때는 예측되는 눈사태의 규모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83]
4. 4. 장비
눈사태 비콘, 탐침, 삽은 눈사태 위험 지역에서 행동할 때 필수적인 장비이다.[79] 눈사태 에어백, 아발랑 등 추가적인 장비를 활용하여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눈사태 비콘눈사태 비콘(beacon)은 "비퍼"(beeper), "피프"(peep, piep), "ARVA"(Appareil de Recherche de Victimes en Avalanche|눈사태 희생자 수색 장치프랑스어), "LVS"(Lawinen-Verschütteten-Suchgerät|눈사태 매몰자 수색 장치de), 눈사태 발신기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79] 파티의 모든 구성원이 반드시 장비해야 하며, 비콘을 소지한 경우 생존율은 장비하지 않은 경우의 약 3배로 추정된다. 비콘은 평상시 457kHz 주파수의 "비" 소리 무선 신호를 송신하며, 수신 모드로 전환하면 눈사태에 매몰된 80m 이내의 피해자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아날로그 라디오 수신기로도 "비" 소리를 통해 피해자와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으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구형 모델 중에는 다른 주파수(2.275 kHz)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룹 리더는 확인해야 한다.[77]
최근에는 피해자까지의 방향과 거리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지털 모델도 출시되어 훈련 부담이 적고 유용하다. 그러나 디지털 모델은 아날로그 모델보다 전파 수신 범위가 좁다는 의견도 있다.[78] 눈사태 퇴적물 범위는 폭과 길이가 100-200미터에 달할 수 있으며, 눈 덩어리와 언 경사면으로 인해 발판이 불안정하여 수색이 어려울 수 있다.
비콘은 비교적 소규모 눈사태에서 완전 매몰되었고, 외상으로 인한 사망이 없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단, 매몰자 외에 구조자가 남아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다.
탐침 (프로브)휴대용(접이식) 탐침(프로브)은 늘려서 탐침봉(존데봉)으로 사용한다. 눈에 수 미터 깊이까지 찔러 넣어 매몰된 피해자의 정확한 위치를 찾고, 여러 명의 피해자가 매몰된 경우 구조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사용된다. 가장 얕게 묻힌 사람을 먼저 구조해야 생존 가능성이 높다.[79]
비콘 없이 탐침봉만으로 수색하는 것은 매우 오래 걸리는 작업이다. 미국에서 탐침봉으로 발견된 피해자 중 86%는 이미 사망했으며, 2m 이상 깊이 매몰된 경우 생존 가능성은 약 4%로 매우 낮다. 따라서 수색 시에는 먼저 비콘과 육안으로 흔적을 찾고, 그 후에 탐침봉을 사용해야 한다.
삽눈사태가 멈추면 감속 과정에서 눈이 압축되어 단단해지므로, 피해자를 구조하려면 삽이 필수적이다. 피해자를 덮은 눈은 단단하게 굳어 손이나 스키로 파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삽날이 크고 손잡이가 튼튼한 것이 중요하며, 눈 덩어리 속 위험성을 조사하기 위한 "약층 체크"에도 유용하다.
RECCO 시스템RECCO 시스템은 전 세계 많은 구조 기관에서 사용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 시스템이다. 구조대는 소형 휴대용 감지기를 사용하며, 이 감지기는 코트, 부츠, 헬멧, 보호대 등에 부착된 "반사기(reflector)"에서 반사된 지향성 신호를 수신한다. RECCO 반사기는 눈사태 탐지기를 대체하지 않지만, RECCO 신호는 눈사태 탐지기 신호와 간섭하지 않는다. 현재 RECCO 감지기는 눈사태 탐지기 수신기 기능(457 kHz)도 갖추고 있어, 한 명의 구조자가 두 신호를 동시에 수색할 수 있다.
아발랑 (Avalung)아발랑(Avalung, 눈사태 호흡기)은 마우스피스, 가동식 밸브, 배기 파이프, 공기 흡입구로 구성된다. 가슴이나 백팩에 장착할 수 있다.
눈사태 매몰 시 피해자는 대부분 질식으로 사망한다. 피해자 주변의 눈이 녹았다가 다시 얼면서 얼음층이 형성되어 산소 공급을 방해하고, 이산화 탄소 농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아발랑은 전면의 넓은 표면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따뜻하고 이산화탄소가 섞인 호기를 후방으로 배출하여 구조 시간을 벌 수 있게 한다.[80]
기타 장비전 지구 측위 시스템(GPS)을 내장한 비상 위치 지시 무선 표지 장치(EPIRB) 또는 개인 위치 특정 비콘(PLB)을 휴대하면 긴급 신호와 대략적인 위치(오차 90m)를 구조대에 전송할 수 있다. 단, 장비가 고장나지 않고 스스로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생존자가 GPS 위치 정보를 휴대 전화로 구조 기관에 전달하는 방법도 있지만, 구조대가 도착했을 때는 시신 수색이 될 가능성이 높다.
눈사태 볼, 눈사태 조끼, 눈사태 에어백 등은 질식이 주요 사망 원인이라는 통계에 기반한 장비들이다.
스키 폴을 짧은 프로브로, 스키나 스노보드를 삽 대용으로 사용하는 등 현장에서 구조 자재를 만들 수도 있다. 응급 치료 세트는 베인 상처, 골절 등 부상 치료와 저체온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
산악 스키 등에서는 스키 폴, 배낭, 스키 등이 눈 속으로 끌려 들어가는 요인이 되므로 즉시 벗을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배낭 착용이 부력을 증가시킨다는 의견도 있다.
5. 한국의 눈사태
한국은 산악 지형이 많아 눈사태 위험이 높은 국가 중 하나이다. 특히, 강원도 지역은 겨울철 폭설로 인해 눈사태 발생 빈도가 높다.
5. 1. 주요 피해 사례
다음은 주요 눈사태 피해 사례들이다.발생일 | 지역 | 피해 규모 |
---|---|---|
1918년 1월 9일 | 니가타현 미나미우오누마군 미쓰마타무라 (현재의 유자와마치) | 158명 사망 (일본 최악의 눈사태 피해) |
1938년 | 도야마현 시모니이카와군 (현재의 구로베시) 구로베 협곡 시아이고쿠 | 84명 사망 |
1969년 | 토치기현 닛코 시라네산 텐구다이라 부근 | 3명 사망, 2명 중경상 |
1986년 1월 26일 | 니가타현 니시쿠비키군 노우에마치 (현재의 이토이가와시) 곤겐다케 중턱 | 13명 사망, 9명 중경상 |
2017년 3월 27일 | 토치기현 나스마치 나스 온천 패밀리 스키장 부근 | 토치기현립 오타와라 고등학교 학생 및 교원 8명 사망 (나스 눈사태 사고) |
제1차 세계 대전 중, 알프스산맥의 오스트리아-이탈리아 전선 산악전에서 약 4만에서 8만 명의 군인이 눈사태로 사망했는데, 그 중 다수가 포병 사격으로 인해 발생했다.[41][42] 1916년 12월에는 양측에서 약 1만 명이 눈사태로 사망했다.[43]
6. 눈사태 관련 용어
눈사태 다발 지역에서는 눈사태 슈트라고 불리는 U자곡과 유사한 오목한 지형을 형성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now Avalanches {{!}}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https://nsidc.org/cr[...]
2021-03-23
[2]
서적
Snow Avalanches
Oxford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Avalanche triggering by sound: Myth and truth
http://gblanc.fr/IMG[...]
[4]
서적
The Avalanche Handbook, The Mountaineers'
[5]
논문
A physical SNOWPACK model for the Swiss avalanche warning Part I: Numerical model
https://www.mendeley[...]
2002-05-24
[6]
웹인용
Avalanches: Their Dangers and How to Reduce Your Risks
https://www.wundergr[...]
2024-04-15
[7]
문서
Gravity currents in the environment and the labora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웹인용
Avalanche
https://education.na[...]
2024-04-10
[9]
서적
Avalanche Safety for Skiers, Climbers and Snowboarders
Rocky Mountain Books
[10]
서적
Natural Disasters
McGraw-Hill Education
[11]
웹사이트
Statistics and Reporting
http://avalanche.sta[...]
Colorado Avalanche Information Center
2016-09-03
[12]
웹사이트
Previous Season Avalanche Accidents
http://www.avalanche[...]
Westwide Avalanche Network
2006-12-16
[13]
웹사이트
Avalanche
http://www.ready.gov[...]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019-01-25
[14]
웹사이트
Avalanche Fatalities in IKAR Countries 1976–2001
http://www.avalanche[...]
Utah Avalanche Center
2006-12-16
[15]
웹사이트
Colorado Avalanche Deaths {{!}} 10 Years of Data
https://www.trialpro[...]
2024-12-06
[16]
서적
Snow Sense
Alaska Mountain Safety Center, Inc.
[17]
웹사이트
Avalanche Safety Guidelines
https://www.ehss.vt.[...]
2024-04-10
[18]
웹사이트
Return period calculated for study snow avalanche paths using the existing method
https://www.research[...]
2024-04-10
[19]
웹사이트
Glossary
https://avalanche.ca[...]
2024-04-10
[20]
웹사이트
AVISUALANCHE – SELECTED PUBLICATIONS
http://www.avisualan[...]
[21]
서적
Mountain Meteorolog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Climate Change Indicators: Snowpack
https://www.epa.gov/[...]
2024-04-15
[23]
웹사이트
How Climate Change Impacts Avalanche Conditions
https://protectourwi[...]
2024-04-10
[24]
웹사이트
Physical Properties of Snow
https://www.inscc.ut[...]
2024-04-09
[25]
웹사이트
SATSIE Final Report (large PDF file – 33.1 Mb)
http://www.leeds.ac.[...]
2008-04-05
[26]
웹사이트
Horizon: Anatomy of an Avalanche
http://www.bbc.co.uk[...]
BBC
1999-11-25
[27]
웹사이트
Avalanche Dynamics
http://www.avalanche[...]
2002-07-11
[28]
문서
Snow Avalanches
http://lhe.epfl.ch/p[...]
[29]
문서
"Ober die Zerstorunskraft von Lawinen"
[30]
문서
"Quantification de la sollicitation avalancheuse par analyse en retour du comportement de structures métalliques"
http://www.risknat.o[...]
Pôle Grenoblois d'études et de recherche pour la Prévention des risques naturels
2003-10
[31]
웹사이트
SATSIE – Avalanche Studies and Model Validation in Europe
http://www.leeds.ac.[...]
2008-04-05
[32]
웹사이트
Avalanche Simulation with SAMOS-AT
http://arc.lib.monta[...]
[33]
웹사이트
Rapid Mass Movements System RAMMS
http://www.naturfare[...]
2015-05-19
[34]
논문
Detrainment and braking of snow avalanches interacting with forests
https://nhess.copern[...]
2022-03-29
[35]
웹사이트
Reforestation and land use change as drivers for a decrease of avalanche damage in mid-latitude mountains (NW Spain). Global and Planetary Change, 153:35–50
https://www.research[...]
Elsevier
2017-08-28
[36]
웹사이트
Snow Sheds and Avalanche Safety {{!}} TranBC
https://www.tranbc.c[...]
2023-08-12
[37]
웹사이트
Glacier monitoring Weissmies
https://www.geopraev[...]
2017-10-23
[38]
웹사이트
Avalanche Radar Zermatt
https://www.geopraev[...]
2017-10-23
[39]
웹사이트
Avalanche Accidents in Canada Volume 4: 1984–1996
https://web.archive.[...]
Canadian Avalanche Association
2013-03-07
[40]
웹사이트
Canada's worst avalanche is the 1910 Rogers Pass disaster, a preventable tragedy
https://www.theweath[...]
2021-03-04
[41]
서적
"''[https://books.google.com/books?id=CRzMOYIuLJEC Natural Disasters]''"
Infobase Publishing
2008
[42]
서적
Lawinenhandbuch
Verlaganstalt Tyrolia, Innsbruck
1986
[43]
웹사이트
Soldiers perish in avalanche as World War I rages
https://www.history.[...]
[44]
웹사이트
Deadliest Avalanches In History
https://www.worldatl[...]
2023-02-18
[45]
뉴스
Avalanche Kills 40 Climbers in Soviet Central Asia
https://www.nytimes.[...]
1990-07-18
[46]
웹사이트
Lenin Peak. Historical background of Lenin Peak. The first expedition to Lenin Peak
http://www.centralas[...]
Centralasia-travel.com
2013-06-21
[47]
웹사이트
Montroc Avalanche
http://pistehors.com[...]
[48]
웹사이트
Avalanche Weather Forecasting
http://www.meted.uca[...]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49]
웹사이트
NEWS: Marmolada Serac Collapse - 'A tragedy for the whole valley and alpine community'
https://www.ukclimbi[...]
2022-07-09
[50]
웹사이트
Qu'est-ce qui est NOUVEAU dans la description du danger d'avalanche ?
http://www.slf.ch/la[...]
[51]
문서
"An Analysis of French Avalanche Accidents for 2005–2006"
http://skirando.com/[...]
[52]
웹사이트
Avalanche Canada
https://www.avalanch[...]
2020-03-25
[53]
웹사이트
Avalanche Encyclopedia
https://avalanche.or[...]
2020-03-25
[54]
서적
Backcountry Avalanche Awareness
Canadian Avalanche Association
[55]
서적
Snow, weather, and avalanches : observation guidelines for avalanche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56]
웹사이트
SWAGuidelines
https://www.american[...]
2020-03-26
[57]
웹사이트
Learn how to: Perform A Rutschblock Test
https://web.archive.[...]
USFS National Avalanche Center
2012-11-28
[58]
간행물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Avalanche Accidents and Survival
2021-04-12
[59]
웹사이트
Chapter 2: High Mountain Areas – Special Report on the Ocean and Cryosphere in a Changing Climate
https://www.ipcc.ch/[...]
2022-04-04
[60]
간행물
Potential Changes in the Frequency of Rain-On-Snow Events for U.S. Cascades Ski Areas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Projections for Mt Bachelor, Oregon in the 21st Century
https://arc.lib.mont[...]
2010
[61]
간행물
Decrease of Snow Avalanches Activity and Proliferation of Wet Snow Avalanches in French Alps Under Climate Warming
https://arc.lib.mont[...]
2016-10-02
[62]
간행물
What Do We Know About the Impact on the Snowpack in a Changing Climate – a Work in Progress
https://arc.lib.mont[...]
2016-10-02
[63]
간행물
Climate Change in Lower Austria – A Snow Cover Analysis of the Last 100 Year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Last Century and the Impact of the Avalanche Situation in Lower Austria
https://arc.lib.mont[...]
2010
[64]
간행물
Climate Change in Western Ski Areas: Timing of Wet Avalanches in Aspen Ski Area in the Years 2030 and 2100
https://arc.lib.mont[...]
2006
[65]
간행물
Effects of snow properties on humans breathing into an artificial air pocket – an experimental field study
2017-12-15
[66]
코토뱅크
『表層雪崩』
https://kotobank.jp/[...]
[67]
간행물
富士山周辺で発生するスラッシュ雪崩の発生条件の検討
https://doi.org/10.1[...]
砂防学会
2009
[68]
웹사이트
警報・注意報の種類
https://www.jma.go.j[...]
気象庁
[69]
서적
日本スキー教程 安全編
2018
[70]
서적
一般火薬学
1993
[71]
서적
若濱五郎 (1995)、46頁
[72]
서적
若濱五郎 (1995)、47頁
[73]
논문
ガラガラ沢雪崩事故調査報告
https://doi.org/10.5[...]
[74]
간행물
OBSERVATION GUIDELINES. AND RECORDING STANDARDS. FOR WEATHER, SNOWPACK. AND AVALANCHES
https://cdn.ymaws.co[...]
カナダ雪崩協会
[75]
웹사이트
Avalanche Radar Zermatt
https://www.geopraev[...]
2017-10-23
[76]
학술지
Avalanche survival chances
[77]
서적
阿部幹雄 (2003)、37頁 - ある機種の場合、条件の良い場合で、発信源から20-30メートルまで接近しないと音が鳴らない。
[78]
서적
阿部幹雄 (2003)、37-39頁
[79]
웹사이트
http://outside.away.[...]
[80]
뉴스
I Was an Avalanche Test Dummy
http://outside.away.[...]
Outside
2008-09-26
[81]
간행물
History 101: Avalanche cords
The Avalanche Review
2009-02
[82]
웹사이트
Canadian avalanche centre: Obsolete gear
https://web.archive.[...]
[83]
서적
Staying Alive in Avalanche Terrain
The Mountaineers Books
[84]
웹사이트
"雪崩救助犬" - 犬のおしごと
https://www.nhk.jp/p[...]
日本放送協会
2023-11-12
[85]
문서
河川便覧(平成16年度版)による
[86]
웹사이트
尾神嶽報尽碑 惨事を今に伝える法要 26日(土)
https://www.joetsu.n[...]
上越妙高タウン情報
2018-05-24
[87]
웹사이트
京都の時空に舞った風 旧跡とその周辺の歴史を中心に。 東本願寺 火災後の再建に尽力した門徒の人々
https://kyoto-storie[...]
京都の時空で風が舞う
2019-04
[88]
웹사이트
山形県防災カレンダー
https://www.pref.yam[...]
山形県
2020
[89]
뉴스
湖北の山奥で雪崩、飯場の二十人死傷
大阪毎日新聞
1939-02-08
[90]
서적
昭和15年(1940年)林政・民有林
日本林業調査会
[91]
학술지
日本の雪崩災害DBからわかった那須雪崩災害の特質
https://doi.org/10.1[...]
日本雪氷学会/日本雪工学会
[92]
서적
日本災害史事典 1868-2009
日外アソシエーツ
[93]
서적
日本災害史事典 1868-2009
日外アソシエーツ
[94]
서적
勝山市史 第一巻 風土と歴史
勝山市
[95]
뉴스
なだれ、二人不明
朝日新聞
1969-12-26
[96]
뉴스
二重遭難、二人死ぬ 救助中の玉川大隊 新雪表層なだれ
朝日新聞
1969-12-27
[97]
뉴스
SBC信越放送 - バックカントリーの雪崩に巻き込まれた38歳男性か
https://newsdig.tbs.[...]
[98]
뉴스
スキー客48人が死ぬ 朝食中に大ナダレ
朝日新聞
1970-02-11
[99]
웹사이트
アフガニスタンで雪崩、少なくとも45人死亡
https://jp.reuters.c[...]
ロイター通信
2012-03-12
[100]
웹사이트
生々しい雪崩の爪あと、死者280人超のアフガン被災地
https://www.afpbb.co[...]
AFP
2015-03-05
[101]
웹사이트
大雪に見舞われたアフガン、雪崩などによる死者191人に
https://www.afpbb.co[...]
AFP
2017-02-11
[102]
웹사이트
トルコ東部で2度の雪崩 38人死亡 救助隊員も犠牲
https://www.afpbb.co[...]
AFP
2020-02-06
[103]
문서
ルイ・フィギエ著「産業の驚異」(1873年)より。
[104]
웹사이트
スイス史上最悪の雪崩事故から50年
https://www.swissinf[...]
swissinfo.ch
[105]
웹사이트
雪崩のリスク、危険レベルの細分化でより分かり易く
https://www.swissinf[...]
swissinfo.ch
[106]
문서
若濱五郎 (1995)、45頁
[107]
서적
雪崩の世界
古今書院
1986
[108]
문서
若濱五郎 (1995)、45-46頁
[109]
논문
北アルプス黒部峡谷の雪崩
https://doi.org/10.5[...]
日本雪氷学会
196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