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시무라 에이이치 (189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시무라 에이이치(1897년)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관료 출신으로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을 지냈다. 도호쿠 제국대학 졸업 후 철도성에서 근무했으며, 1949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된 이후 후생대신, 건설대신, 국토청 장관 등을 역임했다. 1978년 자유민주당 부총재가 되었으며, 오히라 마사요시 총리 급사 후 총재 대행을 맡아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었다. 그는 검소한 생활로 칭송받았으며, 1983년 정계 은퇴 후 1987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철도관료 - 시모야마 사다노리
시모야마 사다노리는 일본 철도 관료이자 국철 초대 총재로, 종전 후 대규모 해고 통보 후 실종, 사망하여 그의 죽음을 둘러싼 시모야마 사건은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준 미해결 사건으로 남았다. - 일본의 철도관료 - 이노우에 마사루
이노우에 마사루는 조슈번 출신으로 이토 히로부미 등과 함께 조슈 오걸로 불리며 영국 유학 후 일본 철도 건설을 주도하여 '일본 철도의 아버지'로 불린 철도 기술자이자 관료, 화족이다. - 일본의 국토청 장관 - 와타누키 다미스케
와타누키 다미스케는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 중의원 의장, 국민신당 대표를 역임했으며, 기업가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국토청 장관, 건설상 등을 거쳐 우정 민영화 반대로 자민당을 탈당하고 국민신당을 창당했다. - 일본의 국토청 장관 - 나카노 시로
나카노 시로는 아이치현 출신의 일본 정치인으로, 농민 운동과 재일조선인 권익 보호 활동을 펼치며 국토청 장관을 역임했지만, 선거법 위반 논란 등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자유민주당 부총재 - 시나 에쓰사부로
시나 에쓰사부로는 일본의 관료, 사업가, 정치인으로, 상공성 근무와 만주국 산업 개발 기여, 전시 경제 정책 수립, 자유민주당 부총재 역임, 한일 기본조약 체결, 중의원 의원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자유민주당 부총재 - 아소 다로
아소 다로는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아소 시멘트 사장을 역임하고 1979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여러 요직을 거쳐 제92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며 현재 자유민주당 부총재 및 최고 고문이다.
니시무라 에이이치 (189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西村 英一 (니시무라 에이이치) |
출생일 | 1897년 8월 28일 |
출생지 | 오이타현 히가시쿠니사키군 히메시마촌 |
사망일 | 1987년 9월 15일 (향년 90세) |
학력 | 도호쿠제국대학 공학부 전기공학과 졸업 (현재 도호쿠대학 공학부) |
경력 | |
전직 | 철도성 관료, 운수성 철도총국 전기국장 |
소속 정당 | (민주자유당 → 자유당 → 자유민주당 (사토파 → 다나카파)) |
칭호 및 훈장 | 정3위 훈1등욱일동화대수장 훈1등욱일대수장 중의원 영년재직의원 공학사 (도호쿠제국대학, 1924년) |
친족 (정치인) | 니시무라 아츠코 (손녀) |
주요 직책 | |
행정관리청 장관 | 제41대 후쿠다 다케오 내각 임기: 1976년 12월 24일 ~ 1977년 11월 28일 |
국토청 장관 | 초대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제1차 개조 내각 임기: 1974년 6월 26일 ~ 1974년 11월 11일 |
건설대신 | 제27-28・32대 제1차 사토 제3차 개조 내각, 제2차 사토 내각, 제3차 사토 개조 내각 임기: 1966년 12월 3일 ~ 1967년 11월 25일, 1971년 7월 5일 ~ 1972년 7월 7일 |
후생대신 | 제37대 제2차 이케다 제2차 개조 내각 임기: 1962년 7월 18일 ~ 1963년 7월 18일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당선 횟수: 11회 임기: 1949년 1월 24일 ~ 1955년 1월 24일, 1958년 5월 23일 ~ 1980년 5월 19일 |
자유민주당 | |
자유민주당 부총재 | 자유민주당 총재 대행 (총재: 오히라 마사요시, 스즈키 젠코) 임기: 1979년 1월 ~ 1980년 11월 |
자유민주당 총재 대행 | 비서장: 사쿠라우치 요시오 임기: 1980년 6월 12일 ~ 1980년 7월 15일 전임: 오히라 마사요시 후임: 스즈키 젠코 |
기타 정보 | |
명예 촌민 | 히메시마촌 |
웹사이트 | 히메시마 IT 아일랜드 홈페이지 |
2. 생애
니시무라 에이이치는 1897년 오이타현에서 태어나 도호쿠 제국 대학 공학부를 졸업하고 철도성 관료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훗날 총리가 되는 사토 에이사쿠와 이때 알게 되었다. 1949년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요시다 시게루가 이끄는 민주자유당 소속으로, 이른바 '요시다 학교' 출신 중 한 명이었다. 이후 자유당을 거쳐 자유민주당 창당에 참여했고, 사토파에 속했다.
1972년 사토 총리가 퇴진하자 다나카 가쿠에이를 지지했고, 다나카는 자신의 파벌인 칠일회를 결성하며 니시무라를 회장으로 추대했다. 1974년에는 국토청이 신설되자 초대 장관으로 기용되었다. 록히드 사건으로 다나카파가 흔들릴 때 파벌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1978년 총재 선거에서 오히라 마사요시가 승리한 후 자유민주당 부총재를 역임했다. 1979년 총선에서 자민당이 대패하고, 이후 40일 항쟁이라 불리는 당내 분란이 발생했을 때 중재자 역할을 수행했다.
1980년 오히라 마사요시 총리가 급사하자 총재 대행을 맡았고, 스즈키 젠코를 후임 총재로 추천했다(니시무라 재정). 1983년 정계에서 은퇴했으며, 1987년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료 경력
1897년 오이타현 히가시쿠니사키군 히메시마촌에서 태어났다.[2] 오이타 중학교, 제7고등학교를 거쳐 1924년 도호쿠 제국대학 공학부 전기공학과를 졸업하고 철도성에 입직해 관료가 되었다.[2][10] 이때 훗날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이 되는 사토 에이사쿠와 알게 되었다. 이후 운수통신성을 거쳐 운수성 철도총국 전기국장을 지내고 퇴직했다.[10]2. 2. 정치 입문
1897년 오이타현 히가시쿠니사키군 히메시마촌에서 태어났다. 오이타 중학교, 제7고등학교를 거쳐 1924년 도호쿠 제국대학 공학부 전기공학과를 졸업하고 철도성에 입직해 관료가 되었다. 이때 훗날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이 되는 사토 에이사쿠와 알게 되었다. 이후 운수통신성을 거쳐 운수성철도총국 전기국장을 지내고 퇴직했다.[10]1949년 요시다 시게루가 이끄는 민주자유당의 공천을 받아 총선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해당 선거에서 요시다는 관료 출신을 대거 발탁하여 당선시켰는데, 세간에서는 이를 요시다 학교라고 불렀다. 니시무라도 그 중 한 명이었다. 자유당을 거쳐 1955년 보수합동으로 탄생한 자유민주당에 몸담았으며 사토파에 속했다.
2. 3. 각료 경력
1962년 제2차 이케다 내각 (제2차 개조)에서 후생대신으로 처음 입각하였다.[1][3][10] 제3차 사토 내각 (개조)에서는 건설대신을 맡았다.[1][4][5][6][10]1974년에는 일본 열도 개조론에 따른 지가 폭등에 대응하기 위해 신설된 국토청의 초대 국토청 장관으로 취임하여 토지 대책을 담당했다.[1][7][10]
1976년 후쿠다 다케오 내각에서는 행정관리청 장관으로 취임하여 행정 개혁을 추진했다.[8][10] 이때 행정 개혁 반대파는 후쿠다 다케오, 소노다 나오 내각관방장관, 야마나카 사다노리 자민당 행정재정 조사회장과 니시무라를 묶어 "4인조"라고 비판했다.[10]
2. 4. 자유민주당 부총재 및 40일 항쟁
1978년 총재 선거에서 후쿠다 다케오와 오히라 마사요시가 맞붙었다. 다나카 가쿠에이의 지지를 받은 오히라는 압도적인 표 차이로 승리했고, 제1차 오히라 내각에서 니시무라는 자유민주당 부총재가 되었다.[10]재정 재건을 위해 오히라는 일반소비세 도입을 주장하며 제3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임했지만, 결과는 247석으로 대패했다. 비주류파인 후쿠다와 미키 다케오는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오히라가 총리대신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고, 오히라는 다나카의 지원을 바탕으로 이를 거부했다. 이에 자민당에서 총리대신 후보를 오히라와 후쿠다, 두 명을 내세우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고, 오히라가 정식 지명을 받은 뒤에도 조각과 당직 인사가 늦어지는 40일 항쟁을 겪어야 했다. 이때 니시무라가 부총재로서 주류파와 비주류파 간의 조정을 담당해 사태가 더 이상 확대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10]
2. 5. 오히라 총리 급사 이후
1980년 6월, 총선 유세 중 오히라 마사요시 총재가 급사했다. 자민당 부총재였던 니시무라는 총재 대행을 맡았고, 이토 마사요시 내각관방장관이 총리대신 임시대리를 맡아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었다. 수장을 잃은 자민당은 동정표를 얻어 대승을 거두었다. 당시 일부 자민당 의원들은 오히라의 후임으로 니시무라를 고려하기도 했지만, 니시무라가 낙선하면서 무산되었다. 니시무라는 오히라파에 속하는 스즈키 젠코를 오히라의 후임으로 천거했는데, 이를 니시무라 재정이라 부른다. 이후 니시무라는 1980년 11월 부총재에서 퇴임했다.[10]2. 6. 정계 은퇴 및 사망
1983년 9월, 니시무라 에이이치는 총선을 앞두고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에서 은퇴했다.[2] 자신의 선거구였던 오이타 2구에는 1979년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후 자민당 다나카 파에 가입한 다하라 류가 있었는데, 니시무라는 자신의 지역구를 다하라에게 넘겨주고 은퇴를 표명했다.[10]1987년 9월 15일, 니시무라는 9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2][10]
3. 일화
검소한 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토 에이사쿠는 "정치가 중에서 이 정도로 청렴한 사람은 없다"라고 말했다.[10] 니시무라는 사토에게 정치적으로 고언을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정치인이었는데, 늦은 시각 사토의 침실에까지 들어와 의견을 나눈 적이 있다고 한다.
다나카 가쿠에이가 총리대신이 된 뒤에 니시무라는 "총리대신 정도의 남자가 너무 돈을 쓰고 다니는 꼴사나운 모습을 보여선 안 된다"라고 충고했다. 하지만 다나카는 제국대학을 졸업한 고위 관료 출신의 니시무라와 자신을 비교하며 "소학교 졸업자인 나에겐 돈밖에 없다"라며 눈물을 흘려 니시무라를 놀라게 했다.
토가와 이사무의 『소설 요시다 학교』에서는 자민당의 40일 항쟁 당시, 니시무라가 나카소네 야스히로에게 "당신은 총리 총재의 길을 걸어야 할 사람이니 판단을 그르치지 않도록 하시오"라고 충고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4. 평가
검소한 생활로 알려졌으며[10], 사토 에이사쿠 전 총리는 "정치인 중에 이렇게 청렴한 사람은 없다"라고 평가했다. 니시무라는 사토에게 당당하게 쓴소리를 했으며, 사토 정권 시절에도 새벽에 사토의 침실까지 들어가 의견을 말했다고 한다.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에게도 "총리가 된 사람이 너무 돈을 뿌리는 추한 짓을 하지 말라"고 충고했지만, 다나카는 니시무라 등 국립대 출신, 고급 관료 출신과 자신을 비교하며 "영감, 초등학교밖에 안 나온 나에겐 돈밖에 없다"라고 말하며 눈물을 흘려 니시무라를 말을 잃게 만들었다. 도가와 이사무의 『소설 요시다 학교』에서는 자민당의 40일 항쟁 당시, 니시무라가 나카소네 야스히로에게 "당신은 총리 총재의 길을 걸어야 할 사람이니 판단을 그르치지 않도록 하시오"라고 충고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선거일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총선거 | 1949년 | 24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민주자유당 | 33,976표 | 16.6%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52년 | 25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당 | 27,198표 | 12.2%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53년 | 26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당 | 39,751표 | 17.8%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55년 | 27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당 | 34,578표 | 15.1% | 5위 | 낙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58년 | 28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51,877표 | 22.1%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60년 | 29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49,619표 | 22%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63년 | 30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47,695표 | 20.8%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67년 | 31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51,815표 | 22.9%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69년 | 32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70,759표 | 32.6%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72년 | 33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70,826표 | 30.3%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76년 | 34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58,860표 | 24.9%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79년 | 35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63,676표 | 24.4%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80년 | 36회 | 중의원 의원 | 오이타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61,410표 | 23.3% | 4위 | 낙선 | 중선거구제 |
6. 서훈
西村英一|니시무라 에이이치일본어는 1968년에 서보대수장을, 1973년에는 욱일대수장을 받았다.[2]
참조
[1]
웹사이트
西村英一
https://kotobank.jp/[...]
2018-01-31
[2]
웹사이트
西村 英一
https://kotobank.jp/[...]
2018-01-31
[3]
웹사이트
第2次池田内閣 第2次改造内閣
https://www.kantei.g[...]
Cabinet Secretariat of Japan
2018-01-31
[4]
웹사이트
第1次佐藤内閣 第3次改造内閣
https://www.kantei.g[...]
Cabinet Secretariat of Japan
2018-01-31
[5]
웹사이트
第62代 第2次佐藤内閣
https://www.kantei.g[...]
Cabinet Secretariat of Japan
2018-01-31
[6]
웹사이트
第3次佐藤内閣 改造内閣
https://www.kantei.g[...]
Cabinet Secretariat of Japan
2018-01-31
[7]
웹사이트
第2次田中(角)内閣 第1次改造内閣
https://www.kantei.g[...]
Cabinet Secretariat of Japan
2018-01-31
[8]
웹사이트
第67代 福田内閣
https://www.kantei.g[...]
Cabinet Secretariat of Japan
2018-01-31
[9]
웹사이트
自由民主党歴代執行部
https://archive.toda[...]
2018-03-31
[10]
웹사이트
西村 英一(ニシムラ エイイチ)とは
https://kotobank.jp/[...]
2019-08-03
[11]
웹사이트
姫島村名誉村民 西村英一氏
https://www.himeshim[...]
姫島村
2024-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