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너모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너모 이론은 지구 자기장과 다른 천체의 자기장이 전기 전도성 유체, 회전 운동, 내부 에너지원의 상호 작용으로 생성된다는 이론이다. 1600년 윌리엄 길버트가 지구 내부의 영구 자석 가설을 제시한 이후, 20세기 초 조지프 라모어는 발전기(다이너모)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안했다. 1940년대 월터 엘사서가 현대적 다이너모 이론의 기초를 제시했으며, 1995년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 모델링을 통해 자기 일관성 다이너모 모델이 개발되었다. 현재 다이너모 이론은 운동학적, 비선형 모델로 구분되며, 지구 자기장 연구뿐만 아니라 블랙홀 연구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산물리학 - 몬테카를로 방법
몬테카를로 방법은 확률적 모델링에 기반하여 무작위 표본 추출을 통해 수치적 결과를 얻는 계산 알고리즘으로, 복잡한 시스템 시뮬레이션, 다차원 적분,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결정론적 문제 해결에 응용된다. - 계산물리학 - 분자동역학
분자동역학은 원자 및 분자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여 물질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는 계산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시뮬레이션 설계, 포텐셜 함수,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등 여러 요소에 의해 제약받는다. - 지자기 - 지자기 폭풍
지자기 폭풍은 태양 활동으로 방출된 플라스마와 자기장이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Dst 지수를 통해 강도를 측정하며 전력 시스템, 통신, 위성 등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 지자기 - 고지자기학
고지자기학은 암석에 기록된 과거 지구 자기장 정보를 연구하는 지구과학 분야로, 지구 자기장 역전 현상 발견과 고감도 자력계 발명을 통해 대륙 이동설과 판구조론 입증에 기여했으며 암석 연대 측정, 지각 변형 과정 재구성, 고대 환경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플라스마 물리학 - 이온 빔
이온 빔은 전하를 띤 입자들의 좁은 흐름으로, 전류 밀도와 에너지로 측정되며, 격자형 또는 격자 없는 이온 소스를 통해 생성되어 다양한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플라스마 물리학 - 형광등
형광등은 저압 기체 방전을 이용해 빛을 내는 조명 기구이며, 수은 증기 방전으로 자외선을 발생시켜 형광 물질을 통해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원리를 사용하고, 백열등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지만 수은 사용 등의 단점이 있으며, LED 조명으로의 전환으로 생산 및 사용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다이너모 이론 | |
---|---|
다이너모 이론 | |
![]() | |
분야 | 유체역학, 자기유체역학, 전자기학 |
관련 주제 | 자기장, 항성 자기장 |
개요 | |
다이너모 이론 | 움직이는 전도성 유체가 자기장을 유지하는 과정 |
적용 대상 | 지구 자기장 항성 자기장 기타 천체의 자기장 |
작동 원리 | 회전, 대류, 전기 전도성을 가진 유체가 자기장을 생성하고 유지 |
유체 | 지구: 액체 철 태양: 이온화 기체 |
역사 | |
최초 제안 | 조지프 라머 (1919년) |
최초 모델 | 월터 엘사서 |
중요 발전 | 유진 뉴먼 파커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특징 | |
자기장 유지 조건 | 회전하는 유체 전기 전도성 대류 운동 |
반전 현상 | 지구 자기장의 극성 반전 설명 가능 |
수학적 모델 | |
기본 방정식 |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맥스웰 방정식 |
주요 변수 | 속도장, 자기장 |
복잡성 |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 해석적 해를 구하기 어려움 |
연구 분야 | |
수치 모델링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자기장 진화 연구 |
실험적 연구 | 액체 금속 실험을 통한 다이너모 효과 검증 |
관련 용어 | |
알파 효과 | 유체 나선 운동이 자기장 생성에 미치는 영향 |
오메가 효과 | 차등 회전이 자기장 강화에 미치는 영향 |
응용 | |
지구과학 | 지구 자기장 연구, 고지자기학 |
천문학 | 항성 자기장 연구, 태양 활동 |
2. 역사
윌리엄 길버트가 1600년에 출간한 ''de Magnete''(자석론)에서 지구가 자성을 띤다는 주장을 펼치면서 지구 자기장의 기원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지구 내부에 영구 자석이 있다고 생각했으나, 1919년 조지프 라모어가 다이너모(발전기) 이론을 제안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35][36]
라모어의 제안 이후에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다른 설명을 제시하기도 했다. 패트릭 블래킷은 각운동량과 자기 모멘트 사이의 관계를 찾는 실험을 했지만 실패했다.[37][38]
1940년대 이후 월터 엘사서는 지구 외핵의 유체 흐름에 의해 유도된 전류가 지구 자기장을 생성한다고 제안하며 현대 다이너모 이론의 기초를 닦았다. 그는 암석의 자성 연구를 통해 지구 자기장의 역사를 밝히는 데에도 공헌하였다.
20세기 후반부터는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 모델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21세기 초 현재 지구 자기장의 수치적 모델링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 초기 모델은 행성 외핵의 대류에 의한 자기장 형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실제 값을 이용한 계산에서는 지구 자기장과 다른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핵 표면 온도의 미세한 변화가 대류를 증가시켜 실제와 더 비슷한 자기장을 형성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더 정교한 분석 모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39][40]
2. 1. 초기 가설
윌리엄 길버트는 1600년에 ''de Magnete''(자석론)라는 책을 출간하여, 지구가 자성을 가진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지구의 자성에 관해 일반 자석과 같이 지구 내부에 들어있는 영구 자석이 그 원인일 것이라는 최초의 가설을 제시했다.[35][36] 1919년에 조지프 라모어가 다이너모(발전기)가 자기장을 만들 것이라는 가설을 제안하였으나,[3][4] 그가 이후에도 계속 그의 가설을 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저명한 과학자들이 다른 설명을 내놓았다. 그 중 한 명이었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지구 자기장이 지구 전체에 의해 형성된다고 생각하여, 전자와 양성자의 전하 사이에 비대칭성이 존재할 것이라고 믿었고, 또 다른 사람이었던 노벨상 수상자 패트릭 블래킷은 각운동량과 자기 모멘트 사이의 관계를 찾는 실험을 실시하였으나 아무것도 찾지 못했다.[5][6]2. 2. 다이너모 이론의 발전
조지프 라모어는 1919년에 다이너모(발전기)가 자기장을 만들 것이라는 가설을 제안하였으나,[35][36]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몇몇 저명한 과학자들은 다른 설명을 내놓았다. 아인슈타인은 지구 자기장이 지구 전체에 의해 형성된다고 생각하여 전자와 양성자의 전하 사이에 비대칭성이 존재할 것이라고 믿었고, 패트릭 블래킷은 각운동량과 자기 모멘트 사이의 관계를 찾는 실험을 하였으나 아무것도 찾지 못했다.[37][38]1930년대까지 다이너모 이론의 발전은 정체되었는데, 1933년 토마스 카울링이 전자기 유도에서는 축대칭 정상 자기장을 만들 수 없다는 '반다이너모 정리'를 증명했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이것이 유체 다이너모의 불가능성 증명으로 받아들여졌다.[32]
현재 다이너모 이론의 기초는 1940년대 이후 만들어졌다. 월터 엘사서는 지구의 유체 외핵에서 유도된 전류에 의해 지자기가 만들어진다고 제안했다. 그는 암석 속 광물의 자화 방향 연구를 통해 지자기의 역사도 밝혔다. 1950년대에는 에드워드 불러드 등이 다이너모 이론 구축에 참여했다. 이 이론은 지자기 장년 변동, 고지자기학(지자기 역전 포함), 지진학 등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수정 및 보완되었다.[33]
2. 3. 현대적 연구
20세기 후반부터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 모델링이 발전하면서 다이너모 이론은 더욱 정교해졌다. 1995년, 일본[22]과 미국[23][24]의 두 연구팀이 각각 독립적으로 자기 일관성 다이너모 모델을 개발했다. 이 중 미국 연구팀의 모델은 지구 자기장의 특징을 성공적으로 재현하여 주목받았다.[19] 이들은 유체 운동과 자기장을 모두 결정하는 최초의 모델을 제시하여, 지구 자기장과 유사한 자기장 형성이 가능함을 보였다.

이러한 발전을 통해, 현재는 3차원 비선형 다이너모 모델을 통해 지구 자기장뿐만 아니라 다른 천체의 자기장도 연구하고 있다.
3. 핵심 원리
다이너모 이론은 회전하고 대류하며, 전기 전도성을 가진 유체가 어떻게 자기장을 유지하는지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천체에서 비정상적으로 오랫동안 지속되는 자기장의 존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지구 다이나모의 전도성 유체는 외핵의 액체 철이며, 태양 다이나모의 경우에는 태양 미분자층의 이온화된 기체이다.[41]
다이너모 이론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필수 요소가 필요하다.[42]
- 전기 전도성을 가진 유체 매개체
- 행성 자전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
- 유체 내부에서 대류를 유도하는 내부 에너지원
지구의 경우, 자기장은 외핵에서 일어나는 액체 상태의 철의 대류에 의해 유도되며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이 자기장 유도에 필요한 조건은 회전하는 유체인데, 이는 지구 자전으로 인한 코리올리 힘에 의해 일어나는 외핵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공된다. 코리올리 힘은 유체 운동과 전류를 회전축과 정렬된 기둥(테일러 기둥 참조) 형태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3. 1. 유도 방정식
다이너모 작용은 유도 방정식으로 설명된다. 유도 방정식은 맥스웰 방정식에 빛보다 충분히 느린 현상을 다루는 근사를 적용하고, 자기장 우세를 가정하여, 거기에 옴의 법칙의 회전(curl)을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11]:
여기서 는 속도, 는 자기장, 는 시간이고, 는 전기 전도도와 투자율을 갖는 자기 확산율이다. 오른쪽의 두 번째 항과 첫 번째 항의 비율은 자기 레이놀즈 수를 제공하며, 이는 자기장의 이류와 확산의 무차원 비율이다.[10]
3. 2. 조력 가열
천체가 서로 공전할 때 발생하는 조력은 마찰을 일으켜 내부를 가열한다. 이를 조석 가열이라고 하며, 내부를 액체 상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이너모를 생성하려면 전기를 전도할 수 있는 액체 내부가 필요하다. 토성의 엔셀라두스 및 목성의 이오는 내핵을 액화할 만큼 충분한 조석 가열이 있지만, 전기를 전도할 수 없기 때문에 다이너모를 생성하지 못할 수도 있다.[43][44] 수성은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철 성분과 고도로 타원형인 궤도로 인한 마찰로 생성된 전도성 액체 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기장을 가지고 있다.[45] 자화된 달 암석의 증거를 바탕으로, 달이 한때 지구와의 근접 거리가 짧았던 시기에 조석 가열로 인해 자기장을 가지고 있었다는 이론이 있다.[46] 행성의 공전과 자전은 액체 핵을 제공하고 다이너모 작용을 지원하는 운동 에너지를 보충하는 데 도움이 된다.4. 다이너모 이론의 종류
다이너모 이론은 크게 운동학적 다이너모 이론과 비선형 다이너모 이론으로 나눌 수 있다.
운동학적 다이너모 이론은 속도장을 미리 주어진 값으로 가정하고 자기장의 변화를 살핀다. 자기장이 유체의 운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가정하므로, 자기장에 대한 선형 방정식이 유도된다. 이 방정식을 통해 임계 자기 레이놀즈 수를 정의하는데, 이 값을 넘으면 유체의 흐름이 자기장을 증폭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자기장이 소멸된다.
반면, 비선형 다이너모 이론은 자기장이 유체의 운동에 영향을 줄 만큼 강한 경우를 다룬다. 로런츠 힘 때문에 속도장이 영향을 받고, 유도 방정식은 더 이상 자기장에 대해 선형이 아니다. 이러한 비선형성 때문에 대부분 다이너모의 진폭이 감소하며, 이를 자기유체역학적 다이너모라고도 한다.[47]
4. 1. 운동학적 다이너모 이론
운동학적 다이너모 이론에서는 속도장이 동역학적 변수가 아니라 미리 주어진 값으로 가정한다. 이 방법은 완전 비선형 무질서적 다이너모의 시간 변화 거동을 설명할 수는 없지만, 흐름의 구조와 속도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연구하는 데 유용하다.맥스웰 방정식과 옴의 법칙을 동시에 사용하면 자기장('''B''')에 대한 선형 고유치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자기장이 속도장으로부터 독립적이라고 가정할 때만 가능하다. 이 방정식을 통해 임계 자기 레이놀즈 수를 정의할 수 있는데, 이 값을 초과하면 유체의 흐름은 자기장을 증폭시키기에 충분하고, 그 아래에서는 자기장이 붕괴된다.
운동학적 다이너모 이론의 가장 기능적인 특징은 특정 속도장이 다이너모 작용을 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시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작은 자기장에 특정 속도장을 적용하여, 적용된 흐름에 따라 자기장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지 관찰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자기장이 증가하는 경우 그 계는 다이너모 작용이 가능하거나 다이너모인 계이지만, 자기장이 증가하지 않으면 그 계는 간단히 비 다이너모라고 한다.
멤브레인 패러다임은 표면 근처의 물질을 다이너모 이론을 통해 표현할 수 있게 함으로서 블랙홀을 설명하는 방법이다.
운동학적 다이너모는 배경 물질의 흐름과 관련된 확률 미분 방정식의 위상학적 초대칭성 자연 붕괴로서 볼 수 있다. 추측 통계학의 초대칭성 이론 내에서, 이 초대칭성은 모든 추측 통계학 미분 방정식의 본질적인 속성으로, 시간의 지속적 흐름에 의한 이론의 위상 공간 연속성의 보존을 의미한다. 또한 이 초대칭성의 자연 붕괴는 결정론적 무질서의 개념에 대한 확률적인 일반화이다. 다시 말해, 운동학적 다이너모는 배경 물질의 기초적인 흐름에 대한 무질서의 징후라고 할 수 있다.
4. 2. 비선형 다이너모 이론
자기장이 유체의 운동에 영향을 줄 만큼 강해지면, 운동학적 접근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이 경우 속도장은 로런츠 힘의 영향을 받아 유도 방정식은 자기장에 대해 선형이 아니게 된다. 이는 대부분 다이너모의 진폭을 감소시키며, 이러한 다이너모를 자기유체역학적 다이너모라고도 한다.[47] 실제로 천체 물리학 및 지구 물리학에서 대부분의 다이너모는 자기유체역학적 다이너모이다.완전 비선형 다이너모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수치 모델이 사용된다. 이 때 사용되는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유도 방정식
- 무시할 수 있는 전기장에 대한 맥스웰 방정식:
:
:
- 질량 보존을 위한 연속 방정식 (주로 부시네스크 근사 사용):
:
- 운동량 보존을 위한 나비어-스톡스 방정식 (같은 근사 사용, 자기력과 중력을 외부 힘으로 포함):
:
- 열 (또는 가벼운 원소 농도) 수송 방정식:
:
위 방정식들은 무차원화되어 레이놀즈 수, 에크만 수, 프란틀 수, 자기 프란틀 수 등의 무차원 매개변수를 도입한다. 자기장 크기는 종종 엘사서 수 단위로 표현된다.
이러한 비선형 다이너모 이론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로렌츠 힘에 의해 속도가 억제되어 자기장 증폭이 억제되는 방식으로 결정된다.[18]

5. 수치 모델
지구 다이너모 모델은 전자유체역학 방정식을 구현하여 관측된 자기장 데이터를 생성하려는 시도이다. 1995년 일본과 미국에서 최초의 자기 일관성 다이너모 모델이 개발되기 전까지, 수십 년 동안 이론가들은 유체의 운동을 미리 정하고 자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는 2차원 운동학적 다이너모 모델에만 국한되었다.[48] 이러한 모델은 지구뿐만 아니라 태양 및 다른 행성의 다이너모 연구에도 활용된다. 발전기 모델 연구는 지구 물리학 분야에서 지구와 같은 천체가 자기장을 형성하는 메커니즘과 극 역전과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이유를 밝히는 데 유용하다.
5. 1. 자기 일관성 모델
유체 운동과 자기장을 모두 결정하는 최초의 '자기 일관성' 다이너모 모델은 1995년 일본[22]과 미국[23][24]의 두 그룹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중 미국에서 개발된 모델은 지구 자기장의 특징을 성공적으로 재현하여 주목을 받았다.[19] 이 모델은 지자기 역전을 포함한 지구의 일부 특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이러한 돌파구 이후, 합리적인 3차원 다이너모 모델 개발이 크게 증가했다.[19] 현재 많은 자기 일관성 모델이 존재하지만, 모델 간에는 생성하는 결과와 개발 방식 모두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19] 지구 다이너모 모델을 개발하는 복잡성을 고려할 때, 다이너모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메커니즘을 가정하거나, 방정식에 사용되는 매개변수 값을 선택하거나, 방정식을 정규화할 때와 같이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모델은 명확한 축 쌍극자와 같은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모델의 상당수에서 세속 변화 및 지자기 극성 역전과 같은 현상도 성공적으로 재현되었다.[19]
5. 2. 모델링의 과제
다이나모 모델링은 매우 복잡하며, 특히 외핵의 엑만 수와 레이놀즈 수를 계산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방대한 계산량을 필요로 하여 현재의 슈퍼컴퓨터 성능으로는 한계가 있다.[25]지오다이너모 관련 방정식은 매우 풀기 어렵고, 그 해법은 현실적으로 주로 컴퓨터 성능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수십 년 동안 이론가들은 유체의 운동을 미리 정하고 자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는 2차원 운동학적 다이너모 이론에만 국한되었다. 운동학적 다이너모 이론은 주로 다양한 유동 기하 구조를 시도하여 다이너모를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문제였다.[48]
전자유체역학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은 운동학적 다이너모 모델에서 가정한 많은 부분을 제거하고 자기 일관성을 허용하기 때문에, 발전기의 선형에서 비선형, 3차원 모델로의 발전은 크게 방해받았다. 유체 운동과 자기장을 모두 결정하는 최초의 '자기 일관성' 다이너모 모델은 1995년 일본[22]과 미국[23][24]의 두 그룹에 의해 개발되었다.
6. 블랙홀과의 관계
막 패러다임은 다이너모 이론을 사용하여 블랙홀 표면 근처의 물질을 설명하는 방법이다.[1]
7. 주요 연구자
스타니슬라브 이. 브라긴스키는 지구물리학 연구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does the Earth's core generate a magnetic field?
http://www.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3-10-21
[2]
서적
Recueil d'observations électro-dynamiques : contenant divers mémoires, notices, extraits de lettres ou d'ouvrages périodiques sur les sciences relatifs à l'action mutuelle de deux courants électriques, à celle qui existe entre un courant électrique et un aimant ou le globe terrestre, et à celle de deux aimants l'un sur l'autre
http://catalogue.bnf[...]
Crochard
1822
[3]
저널
How could a rotating body such as the Sun become a magnet?
[4]
저널
Possible rotational origin of magnetic fields of sun and earth
[5]
저널
Temptations of theory, strategies of evidence: P. M. S. Blackett and the earth's magnetism, 1947–52
1999-03-01
[6]
문서
Albert Einstein and Earth's magnetic field
1996
[7]
뉴스
Radioactive potassium may be major heat source in Earth's core
http://www.berkeley.[...]
UC Berkeley News
2007-02-28
[8]
저널
Generation of a strong magnetic field using uniform heat flux at the surface of the core
2009-10-04
[9]
저널
Geodynamo: A matter of boundaries
[10]
저널
Hydromagnetic dynamo theory
[11]
서적
The Earth as a Distant Planet: A Rosetta Stone for the Search of Earth-Like Worlds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07-17
[12]
웹사이트
Saturn's Icy Moon May Keep Oceans Liquid with Wobble
http://www.nasa.gov/[...]
NASA
2010-10-06
[13]
웹사이트
Geologic map of Jupiter's moon Io details an otherworldly volcanic surface
https://clas.asu.edu[...]
Astrogeology Science Center
2017-09
[14]
웹사이트
Mercury's Surprising Core and Landscape Curiosities
http://carnegiescien[...]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2012-03-21
[15]
웹사이트
Ancient lunar dynamo may explain magnetized moon rocks
http://news.ucsc.edu[...]
University of California
2011-11-09
[16]
저널
Kinematic dynamo, supersymmetry breaking, and chaos
2016-04
[17]
저널
Introduction to Supersymmetric Theory of Stochastics
2016-03
[18]
저널
Hydromagnetic Dynamo Models
1955-09
[19]
저널
Recent geodynamo simulations and observations of the geomagnetic field
[20]
웹사이트
The viscosity of liquid iron at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Earth's core
https://web.archive.[...]
1998
[21]
웹사이트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iron at Earth’s core conditions
http://www.spring8.o[...]
2016
[22]
저널
Computer simulation of a magnetohydrodynamic dynamo. II
1995-01-01
[23]
저널
A three-dimensional self-consistent computer simulation of a geomagnetic field reversal
[24]
저널
A three-dimensional convective dynamo solution with rotating and finitely conducting inner core and mantle
[25]
저널
Spectral methods for analyzing energy balances in geodynamo simulations
http://eprints.white[...]
2019-01-01
[26]
문서
2003
[27]
저널
Earth's Magnetism (1269-1950)
[28]
저널
How could a rotating body such as the Sun become a magnet?
[29]
저널
Possible rotational origin of magnetic fields of sun and earth
[30]
저널
Temptations of theory, strategies of evidence: P. M. S. Blackett and the earth's magnetism, 1947–52
1999-03-01
[31]
문서
Albert Einstein and Earth's magnetic field
1996
[32]
문서
1940
[33]
뉴스
Radioactive potassium may be major heat source in Earth's core
http://www.berkeley.[...]
UC Berkeley News
2003-12-10
[34]
웹인용
How does the Earth's core generate a magnetic field?
http://www.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35]
저널
How could a rotating body such as the Sun become a magnet?
[36]
저널
Possible rotational origin of magnetic fields of sun and earth
[37]
저널
Temptations of theory, strategies of evidence: P. M. S. Blackett and the earth's magnetism, 1947–52
1999-03-01
[38]
문서
""
[39]
저널
Generation of a strong magnetic field using uniform heat flux at the surface of the core
2009-10-04
[40]
저널
Geodynamo: A matter of boundaries
[41]
웹인용
Hydromagnetic dynamo theory
http://www.scholarpe[...]
2016-10-07
[42]
서적
The Earth as a Distant Planet: A Rosetta Stone for the Search of Earth-Like Worlds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https://books.google[...]
2010-07-17
[43]
웹인용
Saturn's Icy Moon May Keep Oceans Liquid with Wobble
http://www.nasa.gov/[...]
2012-08-14
[44]
웹인용
Geologic map of Jupiter’s moon Io details an otherworldly volcanic surface
https://clas.asu.edu[...]
2012-08-14
[45]
웹인용
Mercury’s Surprising Core and Landscape Curiosities
http://carnegiescien[...]
2012-08-14
[46]
웹인용
Ancient lunar dynamo may explain magnetized moon rocks
http://news.ucsc.edu[...]
2012-08-14
[47]
저널
Hydromagnetic Dynamo Models.
1955-09-01
[48]
저널
Recent geodynamo simulations and observations of the geomagnetic field
[49]
저널
Computer simulation of a magnetohydrodynamic dynamo. II
1995-01-01
[50]
저널
A three-dimensional self-consistent computer simulation of a geomagnetic field reversal
[51]
저널
A three-dimensional convective dynamo solution with rotating and finitely conducting inner core and mant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