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케다 노부토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케다 노부토라는 1494년 또는 1498년에 태어나 1574년에 사망한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다. 그는 1507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다케다 가문의 가독을 상속받았으며, 가문 내 분쟁을 종식시키고 주변 호족들을 복속시키며 가이 국을 통일했다. 이마가와 가문과의 동맹, 스와 가문과의 혼인 동맹 등 적극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하지만 아들 다케다 신겐과의 갈등으로 인해 가이 국에서 추방당했다. 말년에는 여러 지역을 유랑하다가 손자의 초청으로 가이로 돌아와 생을 마감했다. 그는 가이 국을 통일하고 고후를 개발하는 등 긍정적인 업적을 남겼지만, 가혹한 통치와 가신 숙청으로 부정적인 평가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4년 사망 - 사토미 요시타카
사토미 요시타카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부친의 사망 후 가독을 상속받아 호조 가문과 대립하며 간토 지방에서 세력을 확장하다가 아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퇴 후 사망했다. - 1574년 사망 - 오다 노부히로
오다 노부히로는 오다 노부히데의 장남이었으나 가독을 잇지 못하고, 아즈키자카 전투에서 패배, 안쇼 성에서 포로로 잡혔다가 풀려난 후 오다 노부나가에게 충성을 맹세하여 가신이 되었으며, 나가시마 잇코잇키 진압에 참여하여 전사했다. - 1494년 출생 - 쉴레이만 1세
쉴레이만 1세는 오스만 제국의 10대 술탄으로, 활발한 군사 활동과 법률 개혁을 통해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행정 체계를 정비하여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예술의 황금기를 열었다. - 1494년 출생 -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독일의 의사이자 광물학자, 야금학자, 인문주의자로, 광산 및 야금술에 관한 저서 『데 레 메탈리카』를 통해 "광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광산학 발전에 기여하고 지질학과 광물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가이 다케다씨 - 다케다 신겐
다케다 신겐은 가이 겐지 출신으로 센고쿠 시대를 대표하는 무장으로, '가이의 호랑이'라 불리며 우에스기 겐신과의 가와나카지마 전투, 이마가와 요시모토, 호조 우지야스와의 동맹, 오다 노부나가와의 일시적 동맹,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미카타가하라 전투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 가이 다케다씨 - 다케다 가쓰요리
다케다 신겐의 아들인 다케다 가쓰요리는 스와 가문의 가독을 잇고 다케다 가문의 당주가 되었으나, 나가시노 전투 패배 후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에 밀려 덴모쿠 산에서 자결하며 다케다 가문을 멸망시킨 인물로, 그의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판단에 대한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다케다 노부토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다케다 노부토라 |
본명 | 武田 信虎 |
출생일 | 1494년 2월 11일 |
사망일 | 1574년 3월 27일 |
출생지 | 알 수 없음 |
사망지 | 알 수 없음 |
별칭 | 무인사이 도유 (법명) |
시호 | 알 수 없음 |
계명 | 다이센지덴 타이운 손코 다이안주 |
묘소 | 대천사 |
관위 | 종5위하 좌경대부, 무쓰노카미 |
막부 | 무로마치 막부쇼반슈, 가이 수호 |
가문 | 세이와 겐지요시미쓰류 가이 겐지 적통 다케다 씨 |
아버지 | 다케다 노부쓰나 |
어머니 | 이와시타 씨 |
형제 | 다케다 노부토라 가쓰누마 노부토모 사쿠라이 노부사다 규코 에이신(대천사 2세) 여 ( 오야마다 노부아리 부인) |
배우자 | 정실: 오이노카타 측실: 이마이 씨 딸 (세이쇼인), 구스노우라 씨, 구도 씨, 마쓰오 씨, 우에스기 노리후사 전 부인 |
자녀 | 다케다 다케마쓰 하루노부(신겐) 다케다 이누치요 다케다 노부시게 다케다 노부토모 다케다 노부카도 다케다 노부아키라 이치조 노부타쓰 다케다 소치 마쓰오 노부코레 가와쿠보 노부자네 다케다 노부토모 다케다 가쓰토라 조케인 난쇼인 ( 아나야마 노부토모 부인) 네네 화코인 (우라노 씨 부인) 가메고료닌 (오이 노부타메 부인) 시타조 노부우지 부인 네즈 쓰네야스 부인 가쓰라야마 씨 부인 기쿠고료닌 (기쿠테이 하루스에 부인) |
직위 | |
직책 | 다케다 씨 당주 |
재임 시작 | 1507년 |
재임 종료 | 1540년 |
전임자 | 다케다 노부쓰나 |
후임자 | 다케다 신겐 |
군사 정보 | |
소속 | [[File:Takeda mon.svg|20px]] 다케다 씨 |
복무 기간 | 알 수 없음 |
계급 | 영주 (다이묘) |
지휘 | 고후 |
부대 | 알 수 없음 |
전투 | 이다가와라 전투 (1521년) (1521년) 나시노키다이라 전투 (1526년) 시오카와노가와라 전투 (1531년) 운노쿠치 전투 (1536년) |
가족 관계 | |
손자 | 다케다 가쓰요리 |
이미지 | |
![]() |
2. 생애
다케다 노부토라는 다케다 하루노부와 노부시게, 노부카도의 아버지였다.
노부토라는 1521년 '''이다가와라 전투'''에서 이마가와 우지치카를, 1526년 '''나시노키다이라 전투'''에서 호조 우지츠나를, 1531년 '''시오카와노가와라 전투'''에서 스와 요리시게를, 1536년 아들 신겐의 도움을 받아 '''운노쿠치 전투'''에서 히라가 겐신을 물리쳤다.[1][2] 이 전투에서 노부토라는 후퇴했지만, 하루노부가 히라가를 물리치고 성을 함락시켰다.
1540년, 노부토라는 영지를 노부시게에게 물려주려 했으나 하루노부에 의해 스루가로 유배되었다. 1573년 신겐 사후, 손자 카츠요리의 초청으로 가이로 돌아왔다. 80대였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공포를 심어주었다고 전해진다.[3]
1574년 3월 27일, 고후 야마나시의 다이센지 절에 묻혔다.[4]
2. 1. 가독 상속과 가이 국 통일
메이오 3년 (1494년) 1월 6일 다케다 노부쓰나의 적자로 태어났다.[7] 에이쇼 4년 (1507년) 아버지가 병으로 죽자 14세의 나이로 가독을 상속받았다.에이쇼 5년 (1508년) 가문 내에서 대립하던 숙부 다케다 노부시게를 보네 전투(坊峰合戦, 현재 후에후키시)에서 토벌하여 멸문시켰다. 이로써 다케다 노부토라에 의한 다케다 종가의 통일이 달성되었다.
에이쇼 7년 (1510년) 가이 동부 군나이 지방에서 세력을 과시하던 오야마다 가문과 자신의 동생을 오야마다 노부아리에게 시집보내는 조건으로 동맹을 맺었다. 군나이에 인접한 가쓰누마 지역은 동생인 가쓰누마 노부토모에게 맡겼다.
에이쇼 12년 (1515년) 스루가 이마가와 가문을 지지한 군나이 서부 지역의 호족 오이 가문 (현재 미나미알프스시)을 공격하고, 에이쇼 14년 (1517년)에는 잠시 이마가와 가문과 화친했다. 에이쇼 17년 (1520년) 오이 가문을 압박해 오이 노부사토의 딸(오이노가타)과 혼인하여 동맹을 맺었다.
에이쇼 16년 (1519년) 이 때까지 다케다 가문의 연고였던 이사와로부터 서쪽에 있는 고후로 거처를 옮겼다. 그리고 쓰쓰지가사키야카타를 짓고, 성하 마을을 정비해 가신들을 이주시켰다.[22]

『고하쿠사이키』에 따르면, 쓰쓰지가사키야카타 북동쪽의 마루야마에 詰城(농성용 보조성)으로 요가이야마성(고후시 카미차쿠스이지정)을 축성했다.[23]
2. 2. 주변 세력과의 항쟁
1521년, 다카덴진 성주 구시마 마사시게(福島正成)가 이끄는 스루가 이마가와군이 후지강과 접한 군나이 서부 지역까지 쳐들어와 고후에 이르자, 노부토라는 쓰쓰지가사키야카타 북동쪽의 요카이 산성으로 퇴각해 일전을 준비했다. 이다가와라 전투(飯田河原合戦)와 가미조가와라 전투(上条河原合戦)에서 이마가와 군을 격퇴하고, 구시마 마사시게는 전사했다.[1] 하라 도라타네(原虎胤)가 수급을 베었다고 하나 이설도 많다. 이 와중에 요카이 산성에서 훗날 다케다 신겐으로 알려진 아들 다케다 하루노부가 태어났다.1524년, 간토에서 두 우에스기 가문과 신흥 세력인 고호조 가문의 다툼에 개입, 사가미 국경에서 호조군과 싸웠다. 이 해부터 스루가의 이마가와, 사가미의 호조, 시나노의 스와 가문 등 주변 다이묘들과 간헐적인 교전이 이어졌으나, 세력을 크게 확장하지는 못했다.
1528년, 스와 공격에 나섰으나 고베=사카이가와 전투(神戸・堺川合戦)에서 패배했다.[40] 스와 가문은 반(反) 노부토라 세력인 이마이 가문 등과 연합해 적대했지만, 1531년 가와라베 전투(河原部合戦, 현재 니라자키 시)에서 호족 연합을 격파했다.[43][44]
1535년, 이마가와 가문을 공격하러 국경 만자와에서 전투를 벌였지만, 이마가와 가문과 친척 관계인 호조 가문이 가고사카 고개를 넘어 야마나카로 공격해왔다. 오야마다 가문과 가쓰누마 가문이 대항했지만 패배했다.
무사시의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문을 제외한 주변 세력과 적대했지만, 1535년 이마가와 우지테루(今川氏輝) 사후 이마가와 가문의 내분(하나쿠라의 난)에서 이마가와 요시모토(今川義元)를 지지해 관계를 호전시켰다.[49][50] 1537년, 장녀를 이마가와 요시모토에게 시집보내고, 아들 하루노부는 이마가와 가문의 중매로 구게 산조 가문의 딸을 며느리로 맞이했다. 호조 가문과도 화친했다. 1540년 이마이 노부모토를 우라 성에서 굴복시켰고, 스와 가문과는 셋째 딸 네네를 스와 요리시게(諏訪頼重)에게 시집보내 화친했다.[55]
1541년, 스와 요리시게, 무라카미 요시키요 등 시나노 호족들과 연합해 사쿠 군(현재 사쿠시)에서 시게노 일족(운노, 모치즈키, 사나다 가문 등)과 격돌, 이들을 시나노에서 축출했다. (운노타이라 전투 (海野平合戦))[55] 이후 시나노 동부 사쿠 군과 지사가타 군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2. 3. 추방과 유랑
1541년 6월 14일, 노부토라는 시나노에서 개선하여 사위 이마가와 요시모토를 만나러 스루가로 향하던 중, 이타가키 노부카타, 아마리 도라야스 등 가신들의 지지를 받은 아들 하루노부(신겐) 일파에 의해 가이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 노부토라를 추방한 하루노부는 다케다 가문의 가독과 슈고직을 계승했다.[57]이 사건은 《가쓰야마키》, 《고하쿠사이키》 등에서 볼 수 있다. 사건의 배경에는 여러 설이 있는데, 노부토라가 아들 하루노부를 홀대하고 차남 노부시게를 편애하여 하루노부가 불화를 일으켰다는 설과, 《고요군칸》에서는 하루노부와 중신, 이마가와 요시모토가 공모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가쓰야마키》 등에 따르면, 노부토라의 치세는 잦은 정벌 사업으로 군자금 확보를 위해 농민과 호족들에게 과중한 세금을 부과하여 백성들의 원성이 높았다고 한다. 그래서 노부토라의 추방은 백성들도 환영했다고 한다.
이후 노부토라는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비호 아래 스루가에서 생활했다. 그러나 1560년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요시모토가 전사하자, 뒤를 이은 이마가와 우지자네와 관계가 틀어졌다. 일설에는 우지자네를 폐하고 자신이 이마가와 가문을 계승할 계획이었다고도 한다. 이 때문에 노부토라는 스루가를 떠났다.
스루가를 떠난 후, 노부토라는 이세로 갔지만, 당시 이세 고쿠시 기타바타케 도모노리의 후원을 받은 시마의 관료와 도바성주 구키 요시타카가 시마의 패권을 두고 다투고 있었다. 이때 노부토라는 기타바타케 도모노리의 부탁을 받고 시마 관료들 편에서 참모로 참전, 구키 요시타카를 격파하고 시마 관료측의 승리에 공헌했다. 이후 구키 요시타카는 오와리의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 된다.
그 후, 조정과 관계가 깊었던 기타바타케 도모노리의 후원으로 교토로 올라가 사돈인 산조 사네쓰나의 비호를 받으며 교토 고조(五条)에 살았다. 이때 유력 인사들과 친분을 쌓았으며, 신겐도 노부토라의 생활비 등을 송금했다고 전해진다.
2. 4. 말년
1573년 신겐이 병사하자, 손자 다케다 가쓰요리의 초청으로 다케다령으로 돌아갔다. 셋째 아들 다케다 노부카도의 거성 다카토 성에서 생활하였다. 1574년 3월 5일, 이나의 사위 네즈 신페이(禰津神平)의 비호를 받으며 시나노 다카토 성에서 생을 마감한다. 향년 81세.[3] 장례는 노부토라가 창건한 고후 다이센지에서 거행되었다.[4]일설에 따르면 가쓰요리와 대면할 때에 노부토라가 나란히 앉아 있는 군신들 앞에서 칼을 뽑고, 80세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능숙하게 휘둘렀다고 한다. 그리고 가쓰요리 앞에서 가이로의 귀환을 부탁했다고 한다. 그러나 노부토라를 잘 아는 노신들은 경악하며 완강히 반대했다고 한다. 가쓰요리도 쓸데없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숙부 노부카도에게 할아버지 노부토라를 보살필 것을 부탁했다고 전해진다.
3. 인물 및 평가
다케다 노부토라는 전술가로서 탁월했고, 싸움에도 능숙하여 오다 노부히데, 사이토 도산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었다. 특히 1522년(다이에 2년)에 이마가와 가문의 무장 구시마 마사시게가 1만 5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가이로 침공했을 때, 노부토라는 2천 명의 병력으로 본대를 기습하여 격파하고 적장 마사시게를 죽이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 전투는 규모와 경위가 오케하자마 전투와 유사하여, 오다 노부나가가 이 전투를 본보기로 작전을 세웠다고 전해진다.[70]
에도 시대에 편찬된 《고요군칸(甲陽軍鑑)》에 따르면, 노부토라는 성격이 난폭하고 교만하여 간언하는 가신을 숙청하거나, 임산부의 배를 산 채로 가르는 등의 악행을 저질렀다고 한다. 나이토 도라스케(内藤虎資), 바바 도라사다(馬場虎貞), 야마가타 도라키요(山県虎清), 에토 도라토요(工藤虎豊) 등이 숙청되었으나, 훗날 아들 신겐이 이들 가문을 부활시켰다.[70] 유력 가신이나 친척 척결은 센고쿠 다이묘가 권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널리 행해지던 일이었지만, 정책 실패로 인해 부정적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항복하는 자는 적이라도 용서하는 관대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노부토라 통치 초기에는 인재가 부족했기 때문에 죽일 수 없었다는 견해도 있지만, 폭군으로 알려진 노부토라의 다른 일면을 보여주는 일화로 볼 수 있다.
가이를 통일하고 다케다 가문을 슈고 다이묘에서 센고쿠 다이묘로 탈바꿈시켜 강력한 중앙집권화를 단행했다. 신겐의 쿠데타는 이러한 중앙집권화에 반발한 호족 무리의 주도로 행해진 것이다. 다케다 가문은 호족들의 연합 맹주로 존재했고, 신겐 시기에 행해진 합의제가 이를 뒷받침한다.
여러 지방에서 유능한 인재를 모아 아시가루 다이쇼(고슈 5명신)로 키웠으며, 고사카 마사노부, 바바 노부하루 등 훗날 다케다 가문을 지지하는 부장들도 노부토라가 발탁한 것으로 추정된다.
적극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적자 신겐에게 구게 산조 긴요리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는 등 혼인 정책을 통해 주변 세력과 동맹을 맺었다. 이 혼인을 통해 신겐은 혼간지 겐뇨를 통해 종교의 힘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 혼간지 겐뇨의 아내와 신겐의 아내는 자매 지간이다.
아들 다케다 노부카도가 그린 노부토라의 초상화가 현존한다. 이를 볼 때 신겐 이외의 아들과의 관계는 좋았던 것으로 보인다.
명도 소잔사몬지를 소유하여 이마가와 요시모토에게 주었다. 오케하자마 전투 후 오다 노부나가가 소유했으나, 혼노지의 변에서 소실되었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소실된 터에서 이 칼을 회수했고, 도요토미 히데요리로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받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1. 긍정적 평가
- 가이를 통일하고, 다케다 가문을 슈고 다이묘에서 센고쿠 다이묘로 성장시켜 강력한 중앙집권화를 추진했다.[70]
- 여러 지방에서 유능한 인재를 모아 아시가루 다이쇼(고슈 5명신)로 키웠으며, 훗날 다케다 가문을 지지하는 고사카 마사노부, 바바 노부하루 등의 무장도 노부토라가 발탁한 것으로 보인다.
- 적극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적자 신겐에게 구게 산조 긴요리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는 등 혼인 정책을 통해 주변 세력과 동맹을 맺었다. 이 혼인을 통해 신겐은 혼간지 겐뇨를 통해 종교의 힘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 혼간지 겐뇨의 아내와 신겐의 아내는 자매 지간이다.
- 전술가로서 탁월했고, 싸움에도 능숙하여 오다 노부히데, 사이토 도산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특히 다이에 2년(1522년)에 이마가와 가문의 무장 구시마 마사시게가 1만 5천의 병력을 이끌고 가이로 침공했을 때, 노부토라는 2천의 병력으로 본대를 기습하여 격파하고 적장 마사시게를 죽이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 전투는 규모와 경위가 오케하자마 전투와 유사하여, 오다 노부나가가 이 전투를 본보기로 작전을 세웠다고 전해진다.
- 1520년에는 오오이씨와 화목하고, 노부타다의 딸(오오이 부인)을 정실로 맞이하였다.
- 아들인 다케다 노부카도가 그린 노부토라의 초상화가 현존해 있다. 이를 볼 때 신겐 이외의 부자 관계는 좋았다고 여겨진다.
- 명도 소잔사몬지를 소유하여, 이 칼을 이마가와 요시모토에게 주었다. 오케하자마 전투 후에 오다 노부나가가 가지고 있었지만, 혼노지의 변에서 소실된 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소실된 터에서 이 칼을 회수했고 그 후, 도요토미 히데요리로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받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2. 부정적 평가
고요군칸(甲陽軍鑑)에 따르면, 다케다 노부토라는 성격이 난폭하고 교만하여, 간언하는 가신을 숙청하거나 임산부의 배를 산 채로 가르는 등의 악행을 저질렀다고 한다.[70] 나이토 도라스케(内藤虎資), 바바 도라사다(馬場虎貞), 야마가타 도라키요(山県虎清), 에토 도라토요(工藤虎豊) 등이 숙청되었으나, 훗날 아들 신겐이 이들 가문을 부활시켰다.[70] 유력 가신이나 친척 척결은 센고쿠 다이묘가 권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널리 행하던 일이었지만, 노부토라는 정책 실패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3. 3. 종합 평가 (중도진보적 관점)
다케다 노부토라는 전술가로서 탁월한 능력을 보였으며, 전투에서도 능숙하여 오다 노부히데, 사이토 도산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구시마 마사시게가 이끄는 1만 5천의 이마가와 군을 단 2천의 병력으로 기습하여 격파하고 마사시게를 죽이는 대승을 거둔 사례는 오케하자마 전투와 유사하며, 오다 노부나가가 이 전투를 본보기로 삼았다고 전해진다.[70]에도 시대에 편찬된 《고요군칸》에 따르면, 노부토라는 성격이 난폭하고 교만하여 간언하는 가신을 숙청하거나 임산부의 배를 가르는 등의 악행을 저질렀다고 한다. 나이토 도라스케, 바바 도라사다, 야마가타 도라키요, 에토 도라토요 등이 숙청되었으나, 후에 아들 신겐이 이들 가문을 부활시켰다.[70] 이러한 숙청은 센고쿠 다이묘가 권력 집중을 위해 흔히 행하던 일이었지만, 노부토라의 정책은 실패로 돌아가 부정적 평가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노부토라는 가이를 통일하고 다케다 가문을 슈고 다이묘에서 센고쿠 다이묘로 탈바꿈시켜 강력한 중앙집권화를 단행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받는다. 신겐의 쿠데타는 이러한 중앙집권화에 반발한 호족들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다케다 가문이 호족 연합 맹주로 존재했고 신겐 시기에 합의제가 시행되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노부토라는 여러 지방에서 유능한 인재를 모아 아시카루 다이쇼(고요 5명신)로 키웠고, 고사카 마사노부, 바바 노부하루 등 훗날 다케다 가문을 지지하는 부장들도 노부토라가 발탁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적극적인 외교 정책을 펼쳐 구게 산조 긴요리의 딸을 신겐의 아내로 맞이하는 등 혼인 정책을 통해 주변 세력과 동맹을 강화했다. 이 혼인을 통해 신겐은 혼간지 겐뇨의 종교적 힘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
아들 다케다 노부카도가 그린 노부토라의 초상화가 현존하는 것으로 보아, 신겐 이외의 자식들과는 관계가 좋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노부토라가 소유했던 명도 소잔사몬지는 이마가와 요시모토를 거쳐 오다 노부나가에게 넘어갔다가 혼노지의 변에서 소실된 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회수하였고,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거쳐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전해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4. 가족 관계
- 부: 다케다 노부츠나
- 모: 게이간묘에이 다이시(이와시타씨의 딸)
- 형제
- 카츠누마 노부토모
- 사쿠라이 노부사다
- 큐코 에이신
- 오야마다 에치젠노카미 정실
- 정실: 오이 부인(오이 노부타다의 딸)
- 측실
- * 이마이씨의 딸
- * 쿠스누라씨의 딸
- * 구도씨의 딸
- * 마츠오씨의 딸
- 자녀
아들 | 딸 |
---|---|
5. 관련 작품
; 영화
- 신호(2021년, 배우: 테라다 노부, 이시가키 유마)
; TV 드라마
- 다케다 신겐(1966년, 요미우리TV, 배우: 고다 고키치)
- 하늘과 땅과(1969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타사키 준)
- 다케다 신겐(1988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히라이 간지로)
- 전국 난세의 날뛰는 녀석 사이토 도산 격랑의 천하 쟁탈(1991년, 텔레비 아사히, 배우: 와자키 토시야)
- 다케다 신겐(1991년, TBS, 배우: 치바 신이치)
- 풍림화산(1992년, 닛테레, 배우: 단바 테츠로)
- 풍림화산(2007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나카다이 타츠야)
; 소설
- 야마다 후타로 『무로마치 오가사시』(1991년, 신초사)
- 오쿠보 토모히로 『다케다 수라전-돌아온 신호』(2001년, 쇼가쿠칸)
- 이토 준 『화룡점정』(『전국귀담 참』 수록 단편)
- 무카와 유 『호랑이의 어금니』(2017년, 고단샤)
- 무카와 유 『호센』(2018년, 소설 현대 1월호)
참조
[1]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2]
서적
Legends of the Samurai
Overlook Duckworth
[3]
웹사이트
Takeda_Nobutora
http://wiki.samurai-[...]
2013-06-18
[4]
웹사이트
武田信虎 ("Takeda Nobutora")
https://kotobank.jp/[...]
2022-06-02
[5]
웹사이트
宗三左文字 - 刀剣ワールド ("Soza Samonji - Katana World")
https://www.touken-w[...]
2022-06-02
[6]
문서
甲斐国志
[7]
문서
平山(2006・②)、p.55
[8]
논문
武田信虎の生年について
[9]
서적
武田信玄伝
紙硯社
[10]
문서
平山(2006)、p.2・①
[11]
문서
平山(2007・①)、p.55
[12]
문서
丸島(2007・①)、p.117
[13]
문서
平山(2006)、pp.2 - 3
[14]
문서
平山(2006)、p.3
[15]
문서
平山(2007・①)、p.56
[16]
문서
平山(2007・①)、p.57
[17]
문서
平山(2007・①)、p.58
[18]
문서
平山(2007・①)、pp.58 - 59
[19]
문서
平山(2007・①)、p.59
[20]
문서
丸島(2007・①)、p.118
[21]
문서
平山(2007・①)、pp.59 - 60
[22]
문서
平山(2007・①)、p.60
[23]
문서
平山(2007・①)、p.62
[24]
문서
平山(2007・①)、p.60 - 61
[25]
문서
丸島(2006・①)、p.119
[26]
문서
高白斎記』『王代記
[27]
문서
丸島(2007・①)、pp.119 - 120
[28]
문서
丸島(2007・①)、p.120
[29]
문서
平山(2006)p.7
[30]
문서
平山(2007・①)、p.62
[31]
문서
平山(2006)p.8
[32]
문서
堀内亨「武田氏と富士山」『山梨県史』通史編 2中世
[33]
문서
平山(2007・①)、pp.62 - 63
[34]
서적
戦国期政治史論集 東国編
岩田書院
[35]
문서
丸島(2007・①)、p.123
[36]
서적
(2007・①)
[37]
서적
(2007・①)
[38]
서적
(2007・①)
[39]
서적
(2007・①)
[40]
서적
(2007・①)
[41]
서적
(2007・①)
[42]
서적
(2007・①)
[43]
서적
(2006)
[44]
서적
(2007・①)
[45]
서적
(2007・①)
[46]
간행물
享禄元年の徳政令
[47]
서적
(2007・①)
[48]
서적
(2007・①)
[49]
서적
(2006)
[50]
서적
(2007・①)
[51]
문서
勝山記,山資
[52]
서적
(2007・①)
[53]
서적
(2006)
[54]
서적
(2007・①)
[55]
서적
(2007・①)
[56]
문서
甲斐国志
[57]
문서
[58]
잡지
戦武
[59]
서적
武田信玄
講談社
[60]
학술지
武田信虎悪行伝説の形成について
2013-11-15
[61]
문서
証如上人日記
[62]
문서
多聞院日記
[63]
문서
[64]
문서
言継卿記
[65]
서적
中世・志摩国編年実記
鳥羽市文化財調査委員編纂
[66]
문서
軍鑑
[67]
웹사이트
武田信虎公銅像が完成しました
http://e-kofu.com/in[...]
甲府市観光協会
2019-01-05
[68]
웹사이트
甲府開府500年記念事業について
https://kofucci.or.j[...]
甲府商工会議所
[69]
웹사이트
信玄の父、武田信虎を映画化 暴君否定し再評価へ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1-09-25
[7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