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테 다다무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테 다다무네는 다테 마사무네의 차남으로, 센다이 번의 2대 번주이다. 그는 형의 영주 자격 부재로 후계자가 되었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녀와 결혼했다. 1636년 아버지의 사망 후 센다이 번을 상속받아 번정 개혁을 추진하여 토지 재측량, 쌀 매입 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센다이성 완공과 즈이호덴, 센다이 도쇼구 등 문화 사업을 지원했다. 그의 개혁은 센다이 번의 재정 안정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농민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었다는 비판도 있다. 다테 다다무네는 1658년에 사망했으며, 장남이 요절하여 여섯째 아들 다테 쓰나무네가 센다이 번주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센다이번주 - 다테 마사무네
다테 마사무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다이묘이며 센다이 번의 초대 번주로, '독안룡'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오슈 지역을 장악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복속, 임진왜란과 오사카 전투에 참전, 센다이 번 건설과 스페인과의 통상 추진, 문화 예술에도 힘썼다. - 센다이번주 - 다테 나리쿠니
에도 시대 센다이 번의 12대 번주인 다테 나리쿠니는 이달 가문 양자로서 번주가 되어 기근 대비 정책과 번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잦은 재해와 사치스러운 생활로 비판받았으며, 학문과 문학 장려로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658년 사망 - 사나다 노부유키
사나다 노부유키는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아버지와 함께 우에다 성을 지키고 도쿠가와 가문의 중신이 되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후 가족을 구하고 영지를 계승하여 마쓰시로 번주로 번영을 이끌었다. - 1658년 사망 - 올리버 크롬웰
올리버 크롬웰은 잉글랜드 내전에서 의회파를 이끌고 잉글랜드 연방 수립에 기여했으며, 호국경으로 통치했으나 사후 부관참시를 당한 잉글랜드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 1600년 출생 - 오타 스케무네
오타 스케무네는 에도 시대 초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다이묘가 된 인물로, 쇼군 측근인 육인중으로 활동하고 막부의 중요 사업에 참여하였다. - 1600년 출생 -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는 스페인 황금시대의 극작가이자 시인으로, 철학적 희곡과 성찬신비극으로 유명하며, 명예, 운명, 자유 의지를 다룬 작품들로 스페인 극장의 제2기를 개척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다테 다다무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일본어: 伊達 忠宗 |
출생 | 1600년 1월 23일 |
출생지 | 일본, 에도 |
사망 | 1658년 8월 10일 |
사망지 | 일본, 에도 |
안장 장소 |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즈이호덴 |
국적 | 일본 |
다른 이름 | 총지로 (仮名 (通称):総次郎) |
관직 | |
다이묘, 센다이 번 번주 | 임기 시작: 1636년 임기 종료: 1658년 |
전임 | 다테 마사무네 |
후임 | 다테 쓰나무네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이케다 데루마사의 딸 |
아버지 | 다테 마사무네 |
어머니 | 메고히메 |
형제자매 | 다테 히데무네 고로하치히메 다테 무네키요 쓰타 와타리 무네모토 다테 무네야스 다테 무네쓰나 다테 무네노부 다테 무네타카 무우히메 다케마쓰마루 다테 무네자네 미네히메 다테 무네카쓰 센기쿠히메 |
자녀 | 나베히메 도라치요마루 다테 미쓰무네 다무라 무네요시 다테 고로키치 다테 무네토모 다테 쓰나무네 다테 무네노리 다테 무네후사 이이자카 무네아키 |
경력 | |
어린 시절 이름 | 도라기쿠마루 (虎菊丸), 도라치요마루 (虎千代丸) |
관위 | 정5위 하・미마사카노카미 종4위 하・지종 에치젠노카미 좌근위권소장 무쓰노카미 |
기타 정보 |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히데타다 → 이에미쓰 → 이에쓰나 |
씨족 | 다테 씨 |
계명 | 다이지인덴 기잔 소진 다이고지 (大慈院殿義山崇仁大居士) |
2. 생애
다테 마사무네의 차남으로, 1611년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로부터 마쓰다이라 성을 사용하도록 허락받았다.[1] 1614년 오사카 전투에 아버지와 함께 참전하였고, 이후 센다이 다테 본가의 상속자로 확정되었다.
1616년 종4위하로 승격되었고 참의(chamberlain)의 명예직을 받았다. 1624년 관위명이 에치젠노카미로 변경되었고, 1626년에는 사코노에곤쇼쇼(General of the Left Guards)로 다시 변경되었다.
겐나 7년(1621년) 모리 타카마사에게 포술을 배워 명포수가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간에이 7년(1630년) 8월, 에도에서 적남 호치요가 사망하여 성대하게 장례를 치렀다. 이때 호치요의 보행사였던 스기우라 모가 순사하였는데, 아버지 다다무네는 그 정성에 감격하여 자손에게 200석을 하사했다고 한다.
1639년 그의 관위명은 무쓰노카미로 변경되었다.
2. 1. 출생과 성장
다테 마사무네의 차남으로 오사카성 아래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다무라 기요아키의 딸인 아이히메이다. 이요 국 우와지마 번 초대 번주인 다테 히데무네는 이복형이다.[1]게이초 12년(1607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다섯째 딸 이치히메와 혼약이 성립되었으나, 이치히메는 3년 후 요절하였다. 대신 이케다 테루마사의 딸 후리히메(이에야스의 손녀)가 2대 장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양녀로 시집왔다. 게이초 16년(1611년) 히데타다로부터 마쓰다이라의 미요지를 받았다.[1] 서장자였던 형 히데무네는 게이초 19년(1614년) 오사카 겨울의 진에 아버지 마사무네와 함께 참진하였고, 이후 이에야스로부터 이요 우와지마 10만 석을 받아 별가를 일으켰기 때문에 다다무네가 다테 종가의 후계자로 정해졌다.
2. 2. 가독 상속과 번정 개혁
1636년 아버지 마사무네가 사망하자 가독을 상속받아 센다이 번주가 되었다. 같은 해 8월, 번주로서 처음 센다이성에 입성했다.[1] 다다무네는 즉시 번 통치 체제를 재정비했는데, 다른 번의 가로에 해당하는 봉행직 6명 중 이시모토 무네요리, 나카지마 요시나리, 시게니와 요시쓰나, 오쿠야마 쓰네요시 4명은 유임시키고, 쓰다 케이야스·엔도 겐신을 대신하여 쓰다 요리야스(케이야스의 아들)·후루우치 시게히로를 새로 임명했다. 또한, 감독 기능을 강화하고 부패와 독단적인 통치를 막기 위해 다수의 관리와 감찰관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재건하고, 그때까지 단임제로 봉행을 지도·감독하는 입장에 있던 평정역을 다수인 제로 바꾸어 봉행의 보조 기관으로 직책 내용을 변경했다.[1] 이듬해에는 가중에서 사적인 응징을 금지하는 등의 조항을 포함한 법도를 제정하여 번내 통제를 강화했다.재정 측면에서는 1640년부터 1643년까지 영지 전체를 다시 측량하도록 명령하여(관에이 총검지), 측정 단위를 도쿠가와 막부가 사용하는 전국 표준(1반 = 300보)과 일치시켰다. 이는 대규모 토지개혁을 수반했다. 다다무네는 또한 영지에서 생산된 모든 쌀을 번이 매입하고 에도에서 재판매하며 농민들에게 선금을 지불하는 매미제를 실시했다. 다다무네 시대의 매미제는 비강제적이고 대금 선불이었기 때문에 농민에게도 유익했고, 매미 대금은 「온혜금」이라고 불리며, 더욱 신전 개발을 촉진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2. 3. 재정 정책
寛永|かんえい|간에이일본어 17년(1640년)부터 寛永|かんえい|간에이일본어 20년(1643년)까지 검지를 실시했다. 센다이 번에서는 1반(段) = 360보(步)로 계산하던 것을 전국 표준인 1반 = 300보로 통일하고(2할 출목), 관고제 환산 기준을 1관 = 10석으로 고정하여 사실상 석고제와 같게 만들었다. 또한 검지 결과를 바탕으로 가신단의 지행지를 대규모로 재편했다.[1]다다무네는 농민에게 매미제(買米制)를 실시했는데, 이는 강제성이 없었고 대금을 선불로 지급했기 때문에 농민에게도 이익이 있었다. 매미 대금은 "온혜금"(恩恵金)이라고 불렸으며, 신전 개발을 촉진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러한 정책은 농민들의 소득 증대와 안정적인 생산 환경 구축에 기여했으며, 현대의 더불어민주당 농업 정책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2. 4. 문화 사업
다테 마사무네 사후 센다이 번의 재정과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센다이성 완공, 즈이호덴 건립(1637년), 센다이 도쇼구 건립(1654년) 등 건축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1]1655년 센다이 도쇼구 제례에서 센다이 마쓰리를 개최했는데, 이는 현재 센다이·아오바 마쓰리의 기원이 되었다.
2. 5. 사망과 후계
1636년 아버지 다테 마사무네가 사망하자 다이묘가 되었고, 1658년 7월 12일에 사망했다. 그의 여섯째 아들인 다테 쓰나무네가 센다이 번의 다이묘직을 계승했다.[1] 다테 쓰나무네는 아버지의 진보적인 정책을 계승하여 센다이 번의 발전을 이끌었다. 다다무네의 고참 가신 중 한 명인 후루우치 시게히로는 순사(殉死)하였다.[1]3. 관직 및 위계
忠宗일본어는 1611년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주관한 원복식에서 미마사카노카미(비젠노카미)라는 관위명과 종5위하의 궁중 계급을 받았다.[1] 또한 쇼군으로부터 마쓰다이라 성을 사용할 허락을 받았다.[1]
1616년 종4위하로 승격되었고, 참의(시종)의 명예직을 받았다.[1] 1624년 그의 관위명은 에치젠노카미로 변경되었고,[1] 1626년에는 사코노에곤쇼쇼(좌근위권소장)로 다시 변경되었다.[1]
1639년 그의 관위명은 무쓰노카미로 변경되었다.[1]
다테 다다무네가 생전에 받은 관직과 위계는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611년 12월 13일 | 원복하고,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로부터 편휘를 받아 다다무네(忠宗)라 이름을 짓다. 종5위하 미사키슈(미마사카노카미)에 서임되다. |
1616년 10월 2일 | 종4위하로 승서되고, 시종을 겸임하다. |
1624년 6월 23일 | 에치젠슈(에치젠노카미)로 전임되다. 시종은 그대로 유임하다. |
1626년 8월 19일 | 사코노에곤쇼쇼(좌근위권소장)로 전임되다. 에치젠슈(에치젠노카미)는 그대로 유임하다. |
1636년 7월 | 무쓰 센다이번 번주가 되다. |
1639년 4월 14일 | 무쓰슈(무쓰노카미)를 겸임하다. 에치젠슈(에치젠노카미)는 이임하다. |
4. 가족 관계
- 아버지: 다테 마사무네
- 어머니: 메고히메 (다무라 기요아키의 딸)
- 정실: 후리히메(振姫, 1607~1659) - 이케다 데루마사의 딸,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양녀, 고쇼인(孝勝院)
- * 장녀: 나베히메(鍋姫, 1623~1680) - 야나가와 번주 다치바나 다다시게와 결혼
- * 장남: 도라치요(虎千代, 1624~1630) - 요절
- * 차남: 다테 미쓰무네(1627~1645)
- 측실: 후스(フス) - 미타무라 마타우에몬의 딸, 쇼운인(正雲院)
- * 3남: 다무라 무네요시(1637~1678) - 이와누마 번주
- * 7남: 다테 무네노리(1643~1685) - 다테 구니타카에게 입양됨
- 측실: 즈이쇼인(瑞昌院) - 나가타 다다시게의 딸
- * 4남: 다테 고로키치(伊達五郎吉, 1638~1644) - 시로이시 무네사다에게 입양됨
- * 5남: 다테 무네토모(1640~1670) - 다테 고로키치의 양자로 시로이시 무네사다에게 입양됨
- 측실: 가이히메(1624~1642) - 구시게 다카치카의 양녀, 도쿠쇼인(得性院)
- * 6남: 다테 쓰나무네(1640~1711) - 센다이 번주
- 측실: 다케(タケ) - 야마토 도사(大和藤左)의 딸, 게이운인(慶雲院)
- * 8남: 다테 무네후사(1646~1686) - 다테 요시무라의 아버지
- * 9남: 이사카 무네아키라(飯坂宗章, 1648~1663) - 이사카 가문(飯坂家)에 입양됨
- 약혼자: 이치히메(1607~1610)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5녀
5. 평가
다테 다다무네는 센다이 번의 재정을 안정시키고 문화를 발전시킨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영지에서 생산된 쌀을 번이 매입하여 에도에서 재판매하고 농민들에게 선금을 지급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새로운 쌀 경작지 개척을 장려했다.[1] 1640년부터 1643년까지 영지 전체를 재측량하고 측정 단위를 도쿠가와 막부가 사용하는 전국 표준과 일치시키는 대규모 토지 개혁을 단행했다.[1] 이러한 노력은 센다이 번의 재정 안정에 크게 기여했다.
다다무네는 즈이호덴(1637년)과 센다이 도쇼구(1654년)를 포함한 수많은 사찰과 신사 건설을 후원하여 문화 발전에도 기여했다.[1] 센다이성 역시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완공되었다.[1]
그러나 토지 재측량 과정에서 일부 농민들에게 부담을 준 점은 비판적인 시각으로 조명할 필요가 있다.
6. 등장 작품
1987년 NHK 대하드라마 독안룡 마사무네에서 노무라 히로노부가 다테 다다무네 역을 연기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