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다이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일반
- 마쓰다이라씨 -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 마쓰다이라 슌가쿠 - 마쓰다이라 슌가쿠는 에도 막부 말기의 다이묘이자 정치가로서, 다야스 도쿠가와 가문 출신으로 후쿠이 번주를 역임하며 개혁적인 정책과 공무합체 운동을 추진했고, 쇼군 계승 문제와 미일수호통상조약 체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신정부에서 활약하며 메이지 시대의 기틀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노부야스 (1559년) - 마쓰다이라 노부야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활약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적남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딸과 혼인했으나 1579년 할복으로 생을 마감하며 그의 죽음은 복잡한 정치적 배경 속에서 벌어진 비극으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마쓰다이라 가타모리 - 마쓰다이라 가타모리는 에도 막부 말기 아이즈 번의 9대 번주로서 교토 수호직을 맡아 활약했지만, 보신 전쟁에서 막부군에 가담하여 패배한 후 칩거하다 닛코 도쇼구의 궁사가 되었다.
- 마쓰다이라 기요야스 - 마쓰다이라 기요야스는 센고쿠 시대 마쓰다이라 가문의 7대 당주로서, 미카와 북부를 장악하고 오카자키 성을 건설하여 가문의 세력을 확장했으나 가신에게 암살당했고, 그의 손자인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일본 통일의 기반을 다졌다.
-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
- 마쓰다이라 다다테루 - 마쓰다이라 다다테루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6남으로 나가사와 마쓰다이라가를 계승하여 다이묘가 되었지만, 도쿠가와 히데타다와의 불화로 영지를 몰수당하고 유배된 비운의 인물이며, 마쓰시로번과 다카다번의 번주를 지냈고 다테 마사무네의 사위였으나 사후 300년 만에 사면되었다.
- 마쓰다이라 요시코 - 마쓰다이라 요시코는 일본 귀족 출신으로 대한제국 황족 이건과 결혼하여 이방자라는 한국 이름을 얻었으나, 왕공족 신분을 잃고 일본으로 귀화하여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 예술가와 동거하며 생을 마감한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가문은 센고쿠 시대 마쓰다이라 씨 종가에서 분가한 가문으로, 여러 어려움 속에서 생존을 모색하다 에도 시대에 하타모토로서 막부 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 마쓰다이라 히로타다 - 마쓰다이라 히로타다는 센고쿠 시대 미카와 마쓰다이라 씨의 8대 당주이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버지로, 기요야스 암살 후 가독을 잇고 오다 씨와의 전투, 배신, 권력 다툼 속에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다 암살당했으나, 사후 아들 이에야스가 막부를 창건하며 대납언으로 추증되었다.
- 마쓰다이라 사다쓰나 - 마쓰다이라 사다쓰나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 여러 번을 거쳐 구와나 번주를 역임하며 쇼인반의 으뜸으로 오사카 전투에 참전했고, 당대 문화인들과 교류하며 시를 남기기도 했다.
- 마쓰다이라 노부미쓰 - 마쓰다이라 노부미쓰는 무로마치 시대 마쓰다이라 씨의 당주로서 사료에서 실존이 확인되는 최초의 인물이며, 가문 기반을 다지고 세력을 확장하여 센고쿠 다이묘로 성장하는 데 기여했고, 많은 자녀를 통해 도쿠가와 막부의 기반을 닦았다.
- 마쓰다이라 야스나가 - 마쓰다이라 야스나가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이복 여동생과 혼인하여 마쓰다이라 성을 받았으며,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3대에 걸쳐 중용되어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공을 세우고 마쓰모토번주로 재임하며 번의 발전을 위해 힘썼다.
- 마쓰다이라 노부쓰나 - 마쓰다이라 노부쓰나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 오코치 히사쓰나의 아들로, 숙부의 양자가 되어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섬기며 막부의 중신으로 성장, 시마바라의 난 진압, 가와고에 번 번주, 4대 쇼군 이에쓰나 보좌 등의 역할을 수행했으나 인망 부족이라는 비판도 받았다.
- 마쓰다이라 다다아키라 (1583년) - 마쓰다이라 다다아키라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양자이자 오쿠다이라 노부마사의 아들로, 세키가하라 전투와 오사카 전투 등에서 공을 세우고 오사카 번주 시절 도시 계획을 주도했으며 만년에는 막부의 숙로로서 활약한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이다.
- 마쓰다이라 나오마사 (1601년) - 마쓰다이라 나오마사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유키 히데야스의 셋째 아들이며,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워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신임을 얻어 마쓰모토번과 마쓰에번의 번주를 역임하고 치수, 농업 진흥, 사찰 부흥 등의 정책을 펼치며 막부의 신임을 받았다.
- 마쓰다이라 사다카쓰 (1560년) - 마쓰다이라 사다카쓰는 1560년 출생하여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이자 다이묘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이복 동생이며, 가케가와 번과 구와나 번의 번주를 지냈고, 이에야스의 측근으로서 마쓰야마번 마쓰다이라가의 시조로 추앙받았다.
-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1598년) - 무용이 뛰어났던 마쓰다이라 다다마사는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운 후 시나노 마쓰시로 번, 에치고 다카다 번을 거쳐 에치젠 후쿠이 번의 초대 번주가 되어 도시 개칭, 법령 정비, 신전 개발, 교통망 정비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마쓰다이라 요리시게 - 미토 번주 도쿠가와 요리후사의 장남 마쓰다이라 요리시게는 다카마쓰 번의 초대 번주로서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쇼군에게 참근교대 간소화를 건의했다.
- 마쓰다이라 데루사다 -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총애를 받은 마쓰다이라 데루사다는 고즈케 다카사키 번주를 지냈으며, 도쿠가와 요시무네 시대에 로주격으로 중용되어 활약한 에도 시대의 무장이다.
- 마쓰다이라 나오노리 (1642년) - 마쓰다이라 나오노리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잦은 영지 이동으로 '이사 다이묘'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와카와 그림에 능하고 가노 탄유와 교류하는 등 예술에도 조예가 깊었다.
- 마쓰다이라 나오모토 - 마쓰다이라 나오모토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 여러 번을 거치며 번주를 지냈고, 재정 안정화와 농촌 통치 강화에 힘썼으며, 특히 오노 번에서는 선정으로 칭송받았다.
- 마쓰다이라 다케치카 - 마쓰다이라 다케치카는 히타치국 후츄번주의 아들로 태어나 다테바야시번을 계승한 후 다나구라번으로 이봉되었으며, 로쥬 수좌로서 도쿠가와 요시무네, 이에시게, 이에하루 3대 쇼군을 섬기며 타누마 오키쓰구와 협력 관계를 맺고 유력한 귀족 가문들과 혼인 관계를 맺은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다.
- 마쓰다이라 나가치카 - 마쓰다이라 나가치카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안쇼 마쓰다이라 가의 당주로서 이마가와 가문의 침공을 막아 마쓰다이라 가문의 세력을 확장하고 손자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에게 가독을 물려주었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스 탄생에 영향을 주었으나 후계 문제로 가신단과 불화를 겪었다.
- 마쓰다이라 다다치카 (1661년) - 마쓰다이라 다다치카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여러 번의 번주를 거치며 교토 쇼시다이와 로주를 역임했고, 도쿠가와 츠나요시와 도쿠가와 요시무네를 섬기며 막부 정치, 특히 교호 개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마쓰다이라 노리사토 - 마쓰다이라 노리사토는 에도 시대 다이묘이자 막부 로주로서, 가라쓰 번주 마쓰다이라 노리하루의 장남으로 태어나 가독 상속 후 여러 번의 전봉을 거쳐 로주에 임명되어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교호 개혁을 추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나, 도쿠가와 요시무네 사후 쇼군 후계 문제로 인해 로주에서 해임된 후 야마가타 번으로 전봉되었다.
- 마쓰다이라 노부쓰네 (1666년) - 마쓰다이라 노부쓰네는 에도 시대 사사야마 번의 4대 번주로, 교토 쇼시다이와 로주 등 막부 요직을 역임하며 번학의 기초를 확립하고 《사사야마령 지지》를 편찬하게 하는 등 통치에 힘썼으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교호 개혁에도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사다아키 - 막말의 신판 다이묘
- 마쓰다이라 다다요시 (도조 마쓰다이라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인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넷째 아들이자 도조 마쓰다이라 가의 당주로서,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오와리국과 미노국에 52만 석을 받았으나 후사 없이 요절하여 도조 마쓰다이라가는 단절되었다.
- 마쓰다이라 노부야스 - 일본의 사람의 이름
- 마쓰다이라 노부요시 (1580년) - 마쓰다이라 노부요시는 불우한 환경 속에서 마쓰다이라 노부카즈의 양자가 되어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조카가 되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와 오사카 전투에 참전하고 여러 성주를 거치며 영내 정비에 힘썼으나 잦은 전봉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사망, 그의 두 아들을 통해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는 두 갈래로 나뉘었다.
- 마쓰다이라 노부토키 - 마쓰다이라 노부토키는 에도 시대의 무사이자 다이묘로, 도쿠가와 요시무네 시대에 로주를 역임하며 교호 개혁에 참여했고,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여러 작품에서 묘사되기도 했다.
- 마쓰다이라 사다유키 - 마쓰다이라 사다유키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가케가와 번과 구와나 번을 거쳐 이요 마쓰야마 번을 다스렸고, 나가사키 탐제를 역임하여 쇄국 정책에 기여했으며 은거 후 서예와 다도를 즐기다 사망했다.
- 마쓰다이라 기요타케 - 마쓰다이라 기요타케는 에도 시대 다이묘로, 쇼군의 조카이자 이복동생으로 하타모토에서 다테바야시 번주로 승격하여 다이묘가 되었으며, 쇼군 후보에 거론되기도 했으나 그의 사망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남계 혈통이 단절되었다.
-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 (오코치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는 에도 시대 후기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의 3대 당주로, 간세이 개혁 시기 로주로서 활약하며 '간세이의 유로'라 불렸고, 에조치 개발과 막부 재정 정책을 주도했으나 쇼군의 견제와 다이묘들의 불만으로 부침을 겪었다.
- 18 마쓰다이라 - 18 마쓰다이라란 미카와 마쓰다이라 씨의 분가인 18 가문을 지칭하는 말로 여러 설이 있으며, 역사 연구 분야에서는 미카와 마쓰다이라 씨의 서가 18 가문을 가리킨다고도 한다.
- 마쓰다이라 다다나오
- 마쓰다이라 아키노리 - 마쓰다이라 아키노리는 에도 시대 다이묘로 시라카와 신덴 번주 아들로 태어나 시라카와 번주와 히메지 번주를 지냈으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측근과의 친분으로 발탁되어 히메지 번 재정 안정화와 치수 사업에 힘썼으나 조선 통신사 접대 과정에서 잇키를 유발하기도 했다.
- 마쓰다이라 노리나가 (오규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노리나가는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오규 마쓰다이라 가문의 6대 당주 마쓰다이라 이에노리의 장남이며,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운 후 막부의 중용을 받아 로주로 발탁되어 막부 정치에 참여, 미노국 이와무라 번, 도토미국 하마마쓰 번, 고즈케국 다테바야시 번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다테바야시 번 6만 석을 다스렸다.
- 마쓰다이라 다다하루 (1598년) - 마쓰다이라 다다하루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편휘를 받아 이름을 받았으며, 에도 막부의 안정화에 기여했고, 여러 지역의 다이묘를 지내며 후계 문제로 가신단 내부 갈등을 겪기도 했다.
- 마쓰다이라 이에키요 - 마쓰다이라 이에키요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무장으로, 이에야스로부터 '이에'를 받아 이름을 칭하고 간토 이봉 후 무사시국 기지가오카 성주가 되었다가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미카와 요시다 번의 초대 번주가 되어 도쿠가와 가문의 안정에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노리스케 - 마쓰다이라 노리스케는 에도 시대 오기유 마쓰다이라 가문의 다이묘로, 가독 상속 후 징벌적 국교체를 겪었으나 지샤 봉행, 오사카 성대 등을 역임하고 니시오 번으로 전봉되었으며 종4위 하 이즈미노카미에 이르렀다.
- 마쓰다이라 다다나오 (1595년) - 마쓰다이라 다다나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자이자 에치젠 후쿠이번의 2대 번주였으나, 기행과 난행으로 영지를 몰수당하고 유배 후 승려 생활을 하며 이와사 마타베와 교류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노부요시 (1824년) - 마쓰다이라 노부요시는 에도 시대 후기 단바 가메야마 번의 번주이자 로주로, 안세이 대옥 협력, 생맥주 사건 및 사쓰에이 전쟁 사후 처리, 조선인 내빙 담당 명령 등의 활동을 했으며 쇼군가 아쓰히메의 이름자를 피휘하여 개명한 일화가 있다.
- 마쓰다이라 야스요시 (1719년) - 마쓰다이라 야스요시는 에도 막부 시대 관료로서 소자반, 지샤 봉행, 오사카 성대, 로주 등 요직을 거치며 막정(幕政)에 참여했으나, 다누마 오키쓰구 실각 후 간세이 개혁에 반대하고 사치와 향락을 옹호하다 면직되었다.
- 마쓰다이라 다다히로 (1631년) - 마쓰다이라 다다히로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마쓰다이라 다다아키의 장남이며 히메지번, 야마가타번, 우쓰노미야번을 거쳐 시라카와번 번주를 지냈으나, 시라카와 소동으로 인해 감봉 후 야마가타번으로 이봉된 뒤 은거했다.
- 마쓰다이라 다다카타 (1812년) - 마쓰다이라 다다카타는 에도 시대 후기 우에다 번의 번주이자 막부 로주로, 덴포 대기근 당시 번정 개혁을 추진하고 미일수호통상조약 체결에 적극 관여했으나 칙허 문제로 실각 후 급사했다는 설이 있다.
- 마쓰다이라 야스모토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이복 형인 마쓰다이라 야스모토는 이에야스를 섬겨 마쓰다이라 성을 하사받고 성주와 번주를 역임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에야스를 대신해 에도성의 루스이를 맡았고, 딸들의 정략결혼을 통해 도쿠가와 가문의 권력 기반 강화에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이에노부 - 마쓰다이라 이에노부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겨 공을 세워 다이묘가 된 무장이다.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 (1631년)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아카시 번주, 고리야마 번주, 고가 번주를 역임하며 소자반, 지샤부교, 노중 등의 막부 요직을 지냈고, 문화 사업에 힘쓰며 유배된 구마자와 반잔을 비호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마쓰다이라 야스노부 - 마쓰다이라 야스노부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가즈사 고이 번에서 태어나 여러 번의 번주를 지내며 번정을 확립하고 은퇴 후 손자들의 후견인으로서 번정을 맡았다.
- 마쓰다이라 요리모토 (1629년) - 마쓰다이라 요리모토는 도쿠가와 요리후사의 넷째 아들로, 형 도쿠가와 미쓰쿠니로부터 영지를 받아 다이묘가 되었으며, 와카를 좋아하여 가집을 저술하고 다도를 배운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시게카쓰 -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히데타다를 섬긴 마쓰다이라 시게카쓰는 오반가시라, 후시미성 수비, 다다테루의 가로를 거쳐 세키야도 번주, 요코스카 번주, 슨푸성 성대를 역임한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이다.
- 마쓰다이라 다다쓰네 (1720년) - 마쓰다이라 다다쓰네는 에도 시대의 무사로, 고오리 번주를 거쳐 오바타 번의 초대 번주를 지냈으며, 주자반, 지샤 봉행, 와카도시요리 등을 역임했다.
- 마쓰다이라 미쓰나가 (1616년) - 마쓰다이라 미쓰나가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 아버지의 유배 후 에치고 다카다 번의 번주가 되었으나 소동으로 영지를 몰수당하고 유배 후 사면되어 복귀, 만년에는 합력미를 받으며 형식적인 제후 생활을 하였다.
- 마쓰다이라 스케토시 - 마쓰다이라 스케토시는 에도 시대 다이묘로, 혼조 씨 출신이었으나 도쿠가와 쓰나요시에게 마쓰다이라 성을 받았고, 가사마 번주와 하마마쓰 번주를 지냈으며, 아버지와 게이쇼인의 관계로 뚜렷한 공적 없이 이례적인 출세를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마쓰다이라 노부요시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가문의 무장 마쓰다이라 노부요시는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와 마쓰다이라 히로타다를 섬기며 야하기 성 전투, 안쇼 성 전투, 아즈키자카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나 1542년 아즈키자카 전투에서 전사했다.
- 마쓰다이라 요시타쓰 - 마쓰다이라 요시타쓰는 에도 시대 후기 다카스 번의 번주로, 솔직하고 격의 없는 성격으로 영민들과 교류했으며, 그의 아들들은 "고스 사형제"로 불리며 막말 시대에 활약했다.
- 마쓰다이라 시게나오 - 마쓰다이라 시게나오는 에도 시대 초기에 오가사와라 히데마사의 아들로 태어나 마쓰다이라 시게타다의 양자가 되었으며, 여러 번주를 거쳐 분고 다카다 번의 초대 번주를 지냈고 시마바라의 난에 종군, 우사 신궁에 재물을 기진하는 등 독실한 신앙심을 보였다.
- 마쓰다이라 다다시게 (1601년) - 마쓰다이라 다다시게는 1610년 하타모토로 복귀 후 다이묘로 복귀하여 사누키 번, 스루가 국 다나카 번을 거쳐 도토미 국 가케가와 번의 번주가 되었으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신임을 받아 슨푸 성 보수 담당 및 주자반으로 임명되는 등 에도 막부에서 활약한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노부히로 (3대) - 마쓰다이라 야스치카의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히로는 동생 노부미쓰와 함께 야스치카로부터 향 9개 촌을 양도받아 영지로 삼았으며, 각기병으로 은거 후 분메이 13년에 80세로 사망했다.
- 마쓰다이라 요시유키 - 마쓰다이라 요시유키는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미쓰토모의 아들이자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외손으로 시나노 영지를 받고 미노 다카스 번의 초대 번주가 되어 오와리 도쿠가와 가문의 후견인 역할을 했다.
- 마쓰다이라 요리사다 (1664년) - 마쓰다이라 요리사다는 에도 시대 모리야마 마쓰다이라 가문의 당주로서, 가독 상속 후 이봉되었으며, 그의 자손들이 여러 다이묘 가문을 잇는 데 기여하여 특히 다카마쓰 마쓰다이라 가문과 이시오카 마쓰다이라 가문이 그의 혈통으로 이어졌다.
- 마쓰다이라 다다키요 - 마쓰다이라 다다키요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이복 여동생을 어머니로 둔 미카와 요시다 번의 2대 번주이자 다케야 마쓰다이라 가문의 4대 당주였으나, 후사 없이 젊은 나이에 급사하여 번은 제거되었고 가문은 이복 동생에 의해 존속되었다.
- 마쓰다이라 노부요리 - 마쓰다이라 노부요리는 에도 시대 미카와 요시다 번의 번주이자 막부 관료로서, 요시다 번주 계승 후 주자번, 지샤부교, 오사카 성대, 교토 쇼시다이 등의 요직을 역임하며 덴포 대기근 시 백성 구휼에 힘썼고, 잠시 노중을 지냈으며 유학, 국학, 와카에도 능통했다.
-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1683년) - 마쓰다이라 다다마사(1683년)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쿠와나 번의 번주가 되어 113년간 통치하며 번정 개혁을 통해 재정을 안정시키고 농업 기술 장려, 신산업 육성, 번교인 신슈칸 설립 등 쿠와나 번의 경제적 번영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지카우지 - 마쓰다이라 지카우지는 무로마치 시대에 마쓰다이라 씨의 기반을 다진 인물로, 간토 지방에서 패배 후 마쓰다이라 노부시게의 사위가 되어 환속, 마쓰다이라 야스치카와 함께 세력을 확장했으며, 사찰 건립과 백성 구휼 등 자비로운 통치를 펼친 것으로 전해진다.
- 마쓰다이라 미쓰시게 (도다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미쓰시게는 에도 시대 초기에 도다 마쓰다이라 가문의 가독을 상속받아 영지를 계승하고 가노 성으로 옮겨가 영지를 늘렸으며, 오사카 성대를 두 차례 역임한 무장이다.
- 마쓰다이라 모치아키 - 마쓰다이라 모치아키는 에도 시대 후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인물로, 이토이가와 번주 마쓰다이라 나오하루의 아들이자 후쿠이 번의 번주를 역임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화족으로서 작위를 받았다.
- 마쓰다이라 다다토시 (1582년) - 마쓰다이라 다다토시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심구 마쓰다이라 가문의 4대 당주였으며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섬기며 세키가하라 전투와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렌가에도 능통했던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다다후사 - 마쓰다이라 다다후사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후코즈 마쓰다이라 가문의 당주로서, 요시다 번주에서 가독을 이어 가리야 번, 후쿠치야마 번을 거쳐 시마바라 번주를 지내며 번정 개혁과 문학 장려에 힘썼고, 그가 필사한 『마쓰다이라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전 마쓰다이라 가문의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마쓰다이라 마사쓰나 - 마쓰다이라 마사쓰나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무장, 다이묘로, 재정 관리에 능력을 발휘하여 막부의 재정을 담당하고 닛코 도쇼구 조영에 헌신하며 닛코 삼나무 가로수길 조성에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다다나오 (1651년) - 마쓰다이라 다다나오는 에도 시대 무장으로, 마쓰다이라 노리히사의 아들이자 마쓰다이라 타다히로의 양자로, 시라카와 신덴번을 받은 후 무쓰 코오리번 번주를 지냈다.
- 마쓰다이라 센치요 - 마쓰다이라 센치요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여덟 번째 아들이자 도쿠가와 요시나오의 동복 형으로, 히라이와 치카요시의 양자로 입양되었으나 6세에 요절하여 양아버지와 동생에게 영향을 미쳤다.
- 마쓰다이라 지카타다 - 마쓰다이라 지카타다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으로서 안쇼 마쓰다이라 가의 시조이며, 이다노 전투에서의 공훈과 다이쥬지 창건을 통해 마쓰다이라 씨의 세력 확장에 기여하여 마쓰다이라 가문의 중흥조로 평가받는다.
- 마쓰다이라 노부오키 (1630년) - 마쓰다이라 노부오키는 에도 시대 무장으로 도쿠가와 이에쓰나의 측근으로 등용되어 와카도시요리, 쓰치우라 번주, 오사카 성대를 거쳐 교토 쇼시다이까지 역임했으며, 『잡병이야기』 편찬에 관여했다는 설이 있지만 작가는 불명확하고, 친아들이 없어 양자가 가독을 이었다.
- 마쓰다이라 다다요시
- 마쓰다이라 유타카 - 마쓰다이라 유타카는 다카마쓰 번주의 아들로 태어나 해군 군인으로 러일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그의 딸 마쓰다이라 요시코는 이왕가의 이건과 혼인하여 한국 황실 독립성 훼손의 비극적인 사건과 관련된다.
- 마쓰다이라 이에히로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 가) - 마쓰다이라 이에히로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미즈노 씨와의 관계를 통해 정치적 입지를 다지려 했으나 오다 씨와 미즈노 씨 사이에서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며, 이마가와 가문에 항복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귀순과 이탈을 반복하는 불안정한 행보를 보였다.
- 마쓰다이라 다다타카 (1682년) - 마쓰다이라 다다타카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반산 번 세자의 차남으로 태어나 번주가 된 후 가케가와 번과 아마가사키 번으로 이봉되었으며, 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문에서 유일하게 종4위하까지 승진한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시게타다 - 마쓰다이라 시게타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오반가시라, 슨푸성 다이로를 거쳐 요코스카 번주가 되었으나 이듬해 데와 우에야마 번으로 이봉된 후 사망하였다.
- 마쓰다이라 노부히데 - 마쓰다이라 노부히데는 에도 시대 단바 가메야마 번의 6대 번주로, 번정 개혁과 교육 진흥에 힘썼으며 이이 나오스케의 장인이기도 하다.
- 마쓰다이라 요리즈미 - 마쓰다이라 요리즈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자이자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삼촌으로, 이요 사이조 3만 석을 받아 상근 교대를 하지 않는 정부 다이묘가 되었으며, 그의 사후 가독은 아들 도쿠가와 요리치가 계승하였다.
- 마쓰다이라 요리토시 (1834년) - 마쓰다이라 요리토시는 에도 시대 후기 다카마쓰 번주의 아들로 태어나 막말 사막파로 활동하다 메이지 유신 후 백작이 되었다.
- 마쓰다이라 야스시게 - 마쓰다이라 야스시게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편휘를 받아 이름에 '야스'를 사용했으며, 도카이 지방에서 활약 후 간토 이봉, 단바 사사야마, 이즈미 기시와다 번주를 역임하며 딸들을 유력 가문과 혼인시켜 가문의 영향력 확대에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나리시게 - 마쓰다이라 나리시게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마쓰다이라 잇쇼의 장남이며, 가독을 이어 영지를 다스리고 오사카 전투에 참전 후 가증 이봉되어 단바 가메야마 번주로서 번의 통치에 힘썼다.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 (1785년)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는 하타모토 마쓰다이라 쓰네타카의 장남으로 태어나 단바 가메야마 번 분가 출신으로, 제4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계승하고 종5위하 기이노카미에 서임된 에도 시대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지카나가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가) - 센고쿠 시대에 활약한 무장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 (1817년)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는 에도 시대 후기의 다이묘이자 야마가타 번의 9대 번주로, 덴포 대기근 당시 영민 구제에 힘쓰고 번교 메이신칸 설립, 사창 설치 등을 통해 번의 안정과 인재 양성에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스케노부 - 마쓰다이라 스케노부는 에도 시대 사사야마 번의 2대 번주로, 선대 번주 마쓰다이라 야스노부의 장남이며, 백성들을 위해 타마미즈 샘을 복원하는 등 치세에 힘썼다.
- 마쓰다이라 사다나가 (1791년) - 마쓰다이라 사다나가(1791년)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시라카와 번주와 구와나 번주를 지냈으며, 번 재정 재건을 위해 노력했으나 재해와 공사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 (1790년)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는 에도 시대 가미야마 번의 7대 번주로, 선대 번주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이었으며, 번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번교를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다.
- 마쓰다이라 노부미네 - 마쓰다이라 노부미네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사사야마 번주를 거쳐 단바 가메야마 번의 초대 번주가 되었으나, 교호 대기근 당시 중과세로 백성들의 원망을 사 이봉되었다.
- 마쓰다이라 노리히사 - 마쓰다이라 노리히사는 에도 시대 다테바야시 번주 마쓰다이라 노리토시의 아들로 가독을 상속받아 이즈미노카미, 구나이쇼후를 거쳐 사쿠라 번과 가라쓰 번으로 이봉되었으며 소자반, 지샤부교 등 여러 관직을 지냈다.
- 마쓰다이라 모토치카 - 마쓰다이라 모토치카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마쓰다이라 나오노리의 차남이며, 겐로쿠 8년에 가독을 상속받아 번주가 되었으나, 재임 기간 동안 에도성 복구 공사, 탐관오리의 횡포, 백성 일규 등으로 혼란을 겪었다.
- 마쓰다이라 지카타다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 가) - 마쓰다이라 지카타다는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 가문의 무장으로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와 그의 아들 히로타다를 섬기며 오다 가문과의 관계 강화 및 도조 성 공격을 통해 가문의 세력 확장에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가게타다 - 마쓰다이라 가게타다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특히 나가시노 전투에서 나가시노 성 방어에 크게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기요무네 - 마쓰다이라 기요무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주요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간토 이봉 후 무사시국에서 영주로서 영민 증가 정책을 펼쳐 그의 자손들이 이에야스 부자로부터 편휘를 받았다.
- 마쓰다이라 요시마사 (1651년) - 마쓰다이라 요시마사는 에도 시대 무장으로 오와리번주의 아들로 태어나 료센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번정 확립에 힘썼으나 재정 문제로 농민에게 부담을 주었다.
- 마쓰다이라 다다아키라 (1691년) - 마쓰다이라 다다아키라는 에도 시대 주자 번의 번주이자 지샤 봉행을 지낸 인물로, 마쓰다이라 노리하루의 아들이자 마쓰다이라 다다나오의 양자로서 주자 번을 다스렸으며, 교호 개혁 시기에는 막정에도 참여했다.
- 마쓰다이라 다다요시 (히사마쓰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미카와 국 출신의 무장으로, 세키가하라 전투와 오사카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오다 노부나가의 외손자이자 사카이 이에쓰구의 사위이다.
- 마쓰다이라 사다시게 (1644년) - 마쓰다이라 사다시게는 에도 시대 다이묘로, 마쓰다이라 사다요리의 아들이자 사다요시의 양자로서 구와나 번주를 계승하고 에치고 다카다 번으로 이봉되어 노무라 소동을 일으켰으나 성곽 건설과 치수 공사 등 번의 발전에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요리타카 (1630년) - 마쓰다이라 요리타카는 에도 시대 인물로, 미토번 영지를 분여받아 호나이 번을 건립하고 히타치 후추 번으로 옮겨가 번주가 되었으며, 학문과 예술을 장려하여 번의 문화적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요리유키 (1858년) - 에도 시대 말기에서 메이지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마쓰다이라 요리유키는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들로 태어나 마쓰다이라 요리마사의 양자가 되었고, 폐번치현 후 마쓰카와 현의 현 지사를 역임했으나 16세에 요절했다.
- 마쓰다이라 야스타카 (1810년) -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 마쓰다이라 모토무네 - 마쓰다이라 모토무네는 고이 마쓰다이라 가문 초대 당주 마쓰다이라 타다카게의 아들이며, 마쓰다이라 나가치카의 명으로 오바 카게노리를 멸망시켰으나 동생에게 후카미조 성을 양보하고 82세로 사망했다.
- 마쓰다이라 야스히데 - 다나구라 번의 4대 번주이자, 가와고에 번의 초대 번주
- 마쓰다이라 요리오 - 마쓰다이라 요리오는 에도 시대 초기 도쿠가와 요리후사의 일곱째 아들이자 도쿠가와 미쓰쿠니의 동생으로, 1만 석을 분봉받아 시시도 번주가 되었으며 사망 후 양자가 가독을 이었다.
- 마쓰다이라 사다후사 - 마쓰다이라 사다후사는 에도 시대의 무장으로 도토미 가케가와 번주 마쓰다이라 사다카쓰의 아들이며, 이요 이마바리 번주를 지내고 에도 성 대역을 맡아 영지를 추가로 받은 후 은퇴하여 안심헌이라 칭했다.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 (1762년)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는 에도 시대 가메야마 번의 3대 번주로, 막부에서 금리 및 교토 경호를 맡고 간세이 개혁에 참여했으며, 번의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영중 형률 89조"를 제정했다.
- 마쓰다이라 노리마사 - 마쓰다이라 노리마사는 에도 시대 초기에 고바리 번주와 고모로 번주를 지낸 미노 이와무라 번 마쓰다이라가 출신의 다이묘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와 쓰나요시를 섬기며 막부의 요직을 맡았고, 시나노 고모로 번 통치에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미쓰치카 - 마쓰다이라 미쓰치카는 에도 시대 요도 번 초대 번주 마쓰다이라 미쓰히로의 아들로, 도바 번과 마쓰모토 번의 번주를 지냈으며, 쇼군 닛코 도쇼구 참배 시 경호를 맡았지만 마쓰야마 성의 화재로 재정난을 겪다 21세에 사망했다.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 (1676년)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빗추 니와세 번주와 데와 가미야마 번주를 지냈으며, 마쓰다이라 노부유키의 차남으로 태어나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의 가독을 상속받아 3만 석 영지를 다스렸다.
- 마쓰다이라 노부타카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가) -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가의 당주 마쓰다이라 노부타카는 마쓰다이라 노부미치의 뒤를 이어 가문을 상속받고 종5위하 기이노카미에 서임되었으나 21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마쓰다이라 노부유키를 양자로 들였다.
- 마쓰다이라 노리야스 (1795년) - 마쓰다이라 노리야스는 에도 시대 후기 니시오 번주를 지낸 막부 관료이자 다이묘로, 소자반, 측중, 지샤부교, 교토쇼시다이를 거쳐 노중까지 역임하며 가에이의 개혁에 참여하여 해방 정책 추진 및 나가사키 해군전습소 설립을 주도하는 등 막부의 주요 정책 결정에 참여하고 해군력 강화에 힘썼다.
- 마쓰다이라 나오아키라 - 마쓰다이라 나오아키라는 에도 시대 무장으로, 에치젠 오노번 초대 번주 마쓰다이라 나오요시의 셋째 아들이며, 오노번 번주를 상속받은 후 아카시번으로 전봉되었고, 쓰야마성 인수를 위해 파견된 후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하였으며, 사후 신사의 제신으로 모셔졌다.
- 마쓰다이라 나오노리 - 하리마 아카시 번(에치젠 마쓰다이라 가문) 출신의 자작
- 마쓰다이라 요리나가
- 마쓰다이라 모리치카 - 마쓰다이라 모리치카는 마쓰다이라 노부시게의 아들이자 다케야 성의 성주로서 영토 확장, 지역 방어, 상업 진흥 정책을 통해 다케야 성을 지역 중심으로 발전시킨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다다히로 (후코즈 마쓰다이라 가) - 마쓰다이라 다다히로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서 우츠노미야 번과 시마바라 번의 번주를 지냈으며, 통치 기간 동안 재정난, 민란, 재해, 시마바라 대변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재해 복구에 힘쓰다 사망했다.
- 마쓰다이라 마사카타
- 마쓰다이라 요리나가 (1874년) - 마쓰다이라 요리나가는 마쓰야마 번 마지막 번주의 아들이자 백작, 정치인으로서 귀족원 의원, 혼고 학원 설립, 일본경마회 초대 이사장, 소형 분재 수집가로 활동했다.
- 마쓰다이라 가타하루 - 아이즈 번주 마쓰다이라 가타모리의 장남인 마쓰다이라 가타하루는 메이지 시대 화족이자 군인, 정치인으로, 몰락한 가문의 재흥을 이끌고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청일 전쟁 참전 후 귀족원 의원으로 활동했다.
- 마쓰다이라 노부사다 - 마쓰다이라 마사야스(松平昌安)의 다른 이름
- 마쓰다이라 요시노리 -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
- 마쓰다이라 이에타다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이에타다는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 가문의 무장으로, 이마가와 가문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함께 독립을 모색하며 이에야스를 섬겨 여러 전투에서 활약한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 마쓰다이라 야스나오 (도다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야스나오는 도다 마쓰다이라 가문의 일원으로 마쓰다이라 야스나가의 아들이었으나, 가독을 상속받은 후 요절하여 후사가 없어 조카이자 양자인 마쓰다이라 미쓰시게가 뒤를 이었다.
- 마쓰다이라 다다쿠니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마쓰다이라 다다쿠니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단바 사사야마 번과 하리마 아카시 번의 번주를 지내며 성곽 도시 건설과 신전 개발에 힘썼고, 문화적 활동을 즐기며, 딸들을 유력 다이묘 가문과 혼인시켜 가문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 마쓰다이라 도모노리 - 마쓰다이라 도모노리는 에도 시대 다이묘로, 어린 나이에 번주가 되어 잦은 번 이동과 재정난, 농민 봉기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가문의 안정을 위해 노력했으며, 도네강 홍수로 마에바시 성이 붕괴될 위기에 처하자 가와고에로 번청을 이전하는 결단을 내렸다.
- 마쓰다이라 노부히라 - 마쓰다이라 노부히라는 공가 출신으로 누나의 도움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에게 발탁되어 무가가 되었고, 기슈 번주 딸과 혼인 후 마쓰다이라 성을 칭하며 하타모토 신분으로 높은 관직에 오르는 등 파격적인 대우를 받은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미쓰히로 - 마쓰다이라 미쓰히로는 에도시대 가노 번의 3대 번주이자 요도 번의 초대 번주로,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에게 인정받아 가노 번주가 된 후 야마시로 요도로 이봉되어 요도 번주로 통치하다 사망했다.
- 마쓰다이라 나오요시 (1571년) - 마쓰다이라 나오요시는 1571년 미카와국에서 태어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따랐으며, 오사카 전투 참전 후 마쓰다이라 도쇼구를 창건하고 1603년부터 1648년까지 마쓰다이라 씨의 9대 당주를 지냈다.
- 마쓰다이라 노부타다 - 마쓰다이라 노부타다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마쓰다이라 씨의 6대 당주였으나, 주변국의 침공과 가신들의 불신으로 장남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에게 가독을 양도하고 은퇴하여 《미카와 이야기》에서는 암군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현대에는 리더십에 대한 재평가도 이루어지고 있다.
- 마쓰다이라 가쓰시게 - 마쓰다이라 가쓰시게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마쓰다이라 지카타다, 마쓰다이라 나가치카, 마쓰다이라 기요야스를 섬겼으며 1553년 안쇼 성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나 1533년 히로세 성 전투에서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시게와 함께 전사했다.
- 마쓰다이라 노부노리 (1855년) - 미토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들로 태어나 아이즈 번주 마쓰다이라 가타모리의 양자가 된 마쓰다이라 노부노리는 보신 전쟁 이후 가택 연금과 프랑스 유학을 거쳐 자작의 작위를 받았다.
- 마쓰다이라 요시자네 - 마쓰다이라 요시자네는 료가와 번 2대 번주 마쓰다이라 요시카타의 장남이자 어린 나이에 요절한 에도 시대 다이묘로, 번주가 되었으나 어린 나이로 가로가 번정을 운영했고, 요절 후 후계자가 없어 료가와 번은 개역되었다.
- 마쓰다이라 노부토시 - 마쓰다이라 노부토시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이자 사사야마 번의 3대 번주로, 아버지의 사망 후 어린 나이에 번주가 되었으나 산킨코타이 수행 중 18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 마쓰다이라 노리타다 (1674년) - 마쓰다이라 노리타다는 에도 시대 코모로 번과 이와무라 번의 번주로서, 영내 통치와 농업 생산성 향상에 힘쓰고 번교 지신칸을 설립하여 교육 진흥에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기요요시 (4대) - 미카와 오쿠다이라 번의 4대 번주인 마쓰다이라 기요요시는 오쿠다이라 마사히로의 아들로 태어나 1780년에 가문을 계승하고 1787년에 종5위하 산키에 서임되었다.
- 마쓰다이라 다다사다 (초대) - 마쓰다이라 다다사다(초대)는 오바 가게노리를 멸망시키고 후카미조 성을 차지하여 후카미조 마쓰다이라 가문을 창시한 인물로, 마쓰다이라 지카나가의 딸과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66세에 사망하여 즈이운잔 혼코지에 묻혔다.
- 마쓰다이라 나오요시 (1605년) - 마쓰다이라 나오요시는 에도 시대 초기의 인물로 유우키 히데야스의 아들이자 아이즈 마쓰다이라 가문의 일원이며, 가쓰야마번, 오노번, 키모토번의 번주를 역임하면서 농업, 상업,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막부와의 관계를 돈독히 했으며, 마쓰다이라 나오카타를 비호하는 등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마쓰다이라 노부타카 (다키와키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노부타카는 에도 시대 단바 국 사사야마 번의 5대 번주로, 번 재정 재건에 힘썼으나 흉작과 재해로 어려움을 겪다 22세에 사망, 그의 뒤를 장남 마쓰다이라 마사노부가 이었다.
- 마쓰다이라 야스테루 - 마쓰다이라 야스테루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기시와다 번주, 하리마 야마자키 번주를 거쳐 이와미 하마다 번주를 지내며 번정의 기초를 다지고 가로 이시카와 마사니시에게 몬켄슈 편찬을 명했다.
- 마쓰다이라 사다쿠니 (1728년) - 마쓰다이라 사다쿠니는 에도 시대 시라카와 번의 다이묘로, 1770년 번주가 되어 종4위하에 서임되었고, 1782년 마쓰다이라 사다노부를 양자로 들인 후 1783년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하다 1790년 사망했다.
- 마쓰다이라 다다토모 (1634년) - 마쓰다이라 다다토모는 에도 시대 이이야마 번을 다스린 다이묘로, 치수 사업, 관개 시설 정비, 신전 개발 등을 통해 번의 기반을 다지고 노다 기자에몬을 등용하여 번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오사카 가반 등 요직을 역임한 명군으로 평가받는다.
- 마쓰다이라 노리쓰구 - 미카와 오규 번 초대 번주를 지냈다
- 마쓰다이라 미쓰미치 - 마쓰다이라 미쓰미치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이자 에치젠 후쿠이번의 4대 번주로서 번의 경제를 개선하고 학문과 문화를 장려했으나, 자연재해, 재정난, 후계자 문제, 그리고 정실 부인의 자살 후 우울증으로 자살했다.
- 마쓰다이라 노부마사 (1717년) - 마쓰다이라 노부마사는 에도 시대에 마쓰다이라 타다아키의 아들로 태어나 마쓰다이라 나가히사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계승하고 외벚꽃 문지기와 오사카 가반을 역임하며 번의 재정 악화와 백성들의 소요 사태를 수습하는 등 통치력을 발휘한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다다쓰구 (고이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다다쓰구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마쓰다이라 노부나가의 아들이자 안조성 방어에 기여했으나 도카와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그의 가문은 아들과 양자를 통해 이어졌다.
- 마쓰다이라 가타오키 - 마쓰다이라 가타오키는 에도 시대 아이즈번의 6대 번주로, 개혁을 추진하려 했으나 재임 5개월 만에 사망하여 그의 뒤를 차남 마쓰다이라 가타치카가 이었다.
- 마쓰다이라 쓰나타카 - 마쓰다이라 쓰나타카는 마쓰에번의 2대 번주로, 신전 개발을 장려했으나 재정 악화와 가혹한 처벌로 비판받았고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원령에 살해당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 마쓰다이라 사다스케 - 마쓰다이라 사다스케는 16세기 마쓰다이라 요스케의 아들로 태어나 1531년에 사망한 인물이며, 그의 묘소는 교토부와 아이치현에 위치해 있다.
- 마쓰다이라 노부나가 - 마쓰다이라 노부나가는 센고쿠 시대 인물로 마쓰다이라 모토코어의 아들이며, 마쓰다이라 히로타다가 오카자키 성에서 축출되었을 때 그를 따라 이세국으로 피신하여 보좌하다 1551년 사망 후 아이치현 가마고리시 쵸젠지에 묻혔다.
- 마쓰다이라 나가카쓰 - 마쓰다이라 나가카쓰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마쓰다이라 지카타다를 섬기다 1493년 이와쓰 성 전투에서 전사했다.
- 마쓰다이라 요리노리 -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 마쓰다이라 노부쓰라 - 마쓰다이라 노부쓰라는 에도시대 가미야마 번의 4대 번주로, 가독 상속 후 오사카 가반 등의 직책을 맡았으나 문화 예술에 몰두하여 번정을 소홀히 하고, 가혹한 검지로 농민 반발을 사 막부의 명령으로 강제 은거하게 되었다.
- 마쓰다이라 모리이에 - 마쓰다이라 모리이에는 마쓰다이라 노부미쓰의 장남이자 타케야 마쓰다이라 가문의 당주로서, 마쓰다이라 일족의 결속에 기여했으나 정확한 사망 시기는 불분명하다.
- 마쓰다이라 노부타카 (미키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노부타카는 미키 마쓰다이라가의 무장으로, 히로타다의 오카자키 복귀를 도왔으나 방자한 행동으로 실각하고, 이후 노부히데와 내통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가 토벌되었다.
- 마쓰다이라 사다요시 (1709년) - 마쓰다이라 사다요시는 에도 시대 무사로, 마쓰다이라 요리사다의 아들이자 마쓰다이라 사다노리의 양자로 가독을 이은 뒤 시라카와 번으로 이봉되었으며, 종5위하 엣추노카미에서 종4위하까지 관위를 받은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노부토미 (1680년) - 마쓰다이라 노부토미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마쓰다이라 미쓰나가의 양자가 되어 쓰야마 번을 세웠으며, 농민 봉기 후 촌장 제도 및 재정 개혁을 통해 번정을 안정시키고 쇼군의 이름 한 자를 받아 개명하였다.
- 마쓰다이라 야스히로 - 마쓰다이라 야스히로는 에도 시대 후기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의 3대 당주였으나 병약하여 번정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16세에 사망, 깃본 번에서 양자를 들여 후사를 이었다.
- 마쓰다이라 가타히로 - 마쓰다이라 가타히로는 에도 시대 오규 마쓰다이라 가의 11대 당주로,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딸과 혼인했으나 후사 없이 요절하여 그의 사망으로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남자 직계 혈통이 끊겼다.
- 마쓰다이라 요시시게 - 센고쿠 시대에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활약한 무장
-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후코즈 마쓰다이라 가) - 마쓰다이라 다다마사(후코즈 마쓰다이라 가)는 에도 시대 다이묘로,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독을 이어받아 우쓰노미야 번주가 되어 번 재정 개혁과 농민 생활 안정에 힘썼으나 볏짚 타작 소동을 겪고 동생에게 가독을 양보한 후 은거했다.
- 마쓰다이라 다다자네 (1585년) - 마쓰다이라 다다자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주요 전투에 참전하고 오오반가시라를 역임했으며 1652년 사망, 그의 가독은 장남이 이었다.
- 마쓰다이라 사다카쓰
- 마쓰다이라 노부마사 (1852년) - 막말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활동한 마쓰다이라 노부마사는 단바 가메야마 번의 번주를 계승하고 판적봉환 후 지번사를 지냈으며, 메이지 정부에서 관료를 역임하고 자작의 작위를 받아 귀족원 의원을 지냈다.
- 마쓰다이라 노부나오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노부나오는 에도 시대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 가문의 무장으로, 가메야마 번주를 지내며 번의 경제와 사회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요리아키라 - 마쓰다이라 요리아키라는 모리야마 번의 3대 번주로, 재정 재건에 힘썼으며, 형의 요절로 가독을 잇고 사망 후에는 차남이 뒤를 이었다.
- 마쓰다이라 지카키요 - 마쓰다이라 지카키요는 에도 시대 시라카와 신덴 번의 초대 번주로, 마쓰다이라 나오노리의 아들이며 형으로부터 영지를 나누어 받아 번을 세웠고, 마쓰다이라 아키노리 등의 자녀를 두었다.
- 마쓰다이라 다다아키라 - 일본의 사람의 이름
- 마쓰다이라 다다타카 (1801년) - 마쓰다이라 다다타카는 1801년생으로 구와나 번주 마쓰다이라 다다스케의 장남이자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며, 1821년에 가독을 잇고 번주가 되었으나 1823년 삼방영지바꿈으로 무사시 시노부 번으로 전봉, 1832년 시지주에 임관되었고 1838년 동생에게 가독을 물려준 후 1864년 사망했다.
- 마쓰다이라 다다아키 (오규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다다아키는 오규 마쓰다이라 가문 출신으로, 에도 시대 초기에 가메야마 번주를 시작으로 여러 번을 거쳐 후나이 번주를 지냈으며, 시마바라의 난에 참전하고 번의 재정 기반 확충을 위해 노력했다.
- 마쓰다이라 야스타카
- 마쓰다이라 노부쓰네 (1844년) - 에도 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의 다이묘인 마쓰다이라 노부쓰네는 가미노야마 번의 번주로서 농업 생산력 증대와 번정 안정에 힘썼으나, 보신 전쟁에서 오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 후 항복하여 은거하였다.
- 마쓰다이라 가타타카 - 마쓰다이라 가타타카는 에도 시대 다이묘로, 다카스 번주이자 미토 번주 손자이며, 아이즈 번의 양자가 되어 번주가 되었고, 번정 개혁으로 재정 안정화와 산업 장려에 힘썼으며, 마쓰다이라 가타모리를 양자로 맞이하여 막부 말 아이즈 번을 이끌었다.
- 마쓰다이라 고레마사 - 마쓰다이라 고레마사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무장으로, 나가시노 전투와 나가쿠테 전투 등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시모사국에 영지를 받았다.
- 마쓰다이라 다케마사 - 마쓰다이라 다케마사는 에도 시대 다카스 번주의 아들로 태어나 오치 마쓰다이라 가문의 양자가 되어 다테바야시 번주를 지냈으나 후사 없이 양자를 들여 가문을 잇게 한 다이묘이다.
- 마쓰다이라 이에노리 - 마쓰다이라 이에노리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오오쿠보 마쓰다이라 가문의 5대 당주로, 어린 나이에 가문을 계승하여 여러 전투에 참여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인정받아 영지를 받아 나바 번을 성립시킨 후 미노 국 이와무라 번의 초대 번주가 되어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쳤다.
- 마쓰다이라 다다카게 - 마쓰다이라 다다카게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고이 마쓰다이라가의 조상으로 여겨지며, 마쓰다이라 노부미쓰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지만 가계에 대한 이설과 생존 시기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 마쓰다이라 노부시게 (마쓰다이라 향) - 마쓰다이라 노부시게는 14세기 중반에 활동하며 마쓰다이라 씨의 유래와 관련된 인물로, 궁술과 말타기, 와카에 능통했으며 마쓰다이라 지카우지를 양자 겸 데릴사위로 삼아 마쓰다이라 고향을 계승하게 했다.
- 마쓰다이라 마사카타 (아이즈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마사카타는 에도 시대 아이즈 마쓰다이라 가문의 당주로, 호시나 마사유키의 아들이자 호시나 마사쓰네의 양자였으며, 마쓰다이라 성을 하사받고 번주로 아이즈 번 통치에 힘쓰며 학문에도 정진했다.
- 마쓰다이라 나오마사 - 에치젠 마쓰다이라 가문 나오모토 파(直基系越前松平家) 제16대 당주이다
- 마쓰다이라 하루사토 - 마쓰다이라 하루사토는 에도 시대 마쓰에 번의 7대 번주로서 번정 개혁을 통해 재정난을 극복하고 은거 후에는 '불매'라는 호로 다도에 몰두하여 독자적인 다도 세계를 구축, 마쓰에 지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마쓰다이라 나가쓰네 - 마쓰다이라 나가쓰네는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의 당주 마쓰다이라 노부미치의 차남으로 병약하여 가독을 이을 수 없어 마쓰다이라 노부마사를 양자로 들여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한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스케마사 - 마쓰다이라 스케마사는 에도 시대 다이묘로, 마쓰다이라 스케노리의 아들이며 하마마쓰 번과 미야즈 번의 번주를 지냈으나 병약함으로 일찍 은거하고 쇼군을 알현하지 못했으나,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과의 연고로 가문 존속을 인정받았다.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
- 마쓰다이라 기요마사 - 마쓰다이라 기요마사는 도쿠가와 씨의 가신 마쓰다이라 이에키요의 서자로, 미카와 요시다 번 영지 몰수 후 하타모토가 되어 오사카 전투 참전, 도쿠가와 히데타다 수행 등 막부에서 활약하며 아사노 가문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 마쓰다이라 지카사다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지카사다는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가문 출신으로, 마쓰다이라 노부카즈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상속받아 마쓰다이라 종가의 수장이 되었으며, 1713년 사망 후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토시가 뒤를 이었다.
- 마쓰다이라 야스나오
- 마쓰다이라 요시카타 - 마쓰다이라 요시카타는 에도 시대 쓰야마번의 2대 번주로, 재정 궁핍 타개를 위해 농민에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했으며 그의 뒤는 장남 마쓰다이라 요시자네가 이었다.
- 마쓰다이라 야스나오 (히사마쓰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야스나오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 출신이며 나스 번과 나가시마 번의 번주를 지냈고, 나가시마 번 재임 시 번정 재건에 힘썼다.
- 마쓰다이라 가타노부 - 마쓰다이라 가타노부는 에도 시대 아이즈 번의 번주로서 덴메이 대기근으로 악화된 번의 재정 재건을 위해 다나카 겐사이를 등용하여 번정 개혁을 추진하고 검약령 시행, 농촌 부흥, 식산 흥업 정책 등을 통해 번의 경제를 안정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번교 닛신칸 창설과 신편 아이즈 풍토기 편찬을 추진하는 등 문무를 장려했다.
- 마쓰다이라 사다시게
- 마쓰다이라 노부자네 - 마쓰다이라 노부자네는 에도 시대 야마가타 번의 5대 번주로, 번정 개혁을 둘러싼 가신들의 다툼 속에서 오사카 가반 재임 중 27세로 사망하며 정치적 불안정을 겪었다.
- 마쓰다이라 노부후루 - 마쓰다이라 노부후루는 에도 시대 후쿠이 번의 제5대 번주로, 재임 기간 동안 아버지와 함께 방만한 생활을 하여 번의 재정난을 심화시켰고 후사 없이 사망하여 동생이 뒤를 이었다.
- 마쓰다이라 야스카도 - 마쓰다이라 야스카도는 에도 시대 후기의 다나구라 번주로, 마쓰다이라 야스토의 아들이자 마쓰다이라 야스타카의 양자로서 가독을 이었으며 번정에서 문화 사업에 힘썼다.
- 마쓰다이라 마사카쓰 - 마쓰다이라 마사카쓰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마쓰오카 번을 세우고 초대 번주가 되어 영내 치수와 주민 소통에 힘쓰며 주물 산업을 발전시키는 등 통치에 노력했다.
- 마쓰다이라 야스치카
- 마쓰다이라 미쓰나가
- 마쓰다이라 요리아쓰 - 도쿠가와 하루사다의 사이조 번주 시절의 이름
- 마쓰다이라 요리모토 - 도쿠가와 요리모토의 이전 이름
- 마쓰다이라 노부나오 (오코치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노부나오는 에도 시대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의 수장이자 미카와 요시다 번주로서 지슈칸을 설립하여 학문 진흥에 힘썼으며, 도쿠가와 이에시게의 중용과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다.
- 마쓰다이라 나오타카 (1665년) - 마쓰다이라 나오타카는 에도 시대 마쓰에 번의 2대 번주로, 형의 사망으로 번주가 되었으며 막부의 여러 관직을 거쳤으나, 친아들의 사망과 양자의 가문 문제로 가독은 다른 가문에서 이어졌고, 이후 다른 마쓰다이라 나오타카를 양자로 들여 그의 동생이 가문을 계승했다.
- 마쓰다이라 요리노부 - 마쓰다이라 요리노부는 모리야마 번의 번주로서 심각한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가혹한 세금 부과와 농민 수탈을 자행하여 영민들의 소동을 야기했고, 강경하게 대응하다 1862년에 사망했다.
- 마쓰다이라 다다히로
- 마쓰다이라 가즈나리 - 마쓰다이라 가즈나리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활약한 무장이자 다이묘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겨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다이묘가 되었고 미토 지역의 안정을 유지했으며 오기 마쓰다이라가의 3대 당주이자 이타바시 번의 초대 번주였다.
- 마쓰다이라 노부나리 - 마쓰다이라 노부나리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여러 요직을 거쳐 오지마 번의 초대 번주가 되었으나 3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 마쓰다이라 요리유키
- 마쓰다이라 요리히로 (1703년) - 마쓰다이라 요리히로는 에도 시대 인물로 번정 개혁을 통해 번의 재정을 회생시키고 산업을 진흥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학문 장려와 예술 활동에도 힘썼다.
- 마쓰다이라 가타사다 (1724년) -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 마쓰다이라 도모스케 - 마쓰다이라 도모스케는 일본 센고쿠 시대 인물로, 마쓰다이라 가문이 미카와 국 가타하라 향으로 이주하여 지역 영주로서 기반을 다지게 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아들은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코추지를 건립했다.
- 마쓰다이라 다카마사 - 마쓰다이라 다카마사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마쓰에번주 마쓰다이라 나오마사의 아들이며, 형에게 분지받아 모리번을 세웠으나 후사 없이 사망하여 영지가 종가에 반환되었다.
- 마쓰다이라 요리요시 (1770년) - 마쓰다이라 요리요시는 에도 시대 모리야마 번의 제5대 번주로, 재임 기간 동안 산업 진흥에 힘썼으며, 『부신략전』과 『모리야마 일기 후편』 등의 저서를 남기고 마쓰다이라 요리사네에게 번주 자리를 물려주었다.
- 마쓰다이라 노부테루 - 마쓰다이라 노부테루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가와고에번의 번주였으나 통치 능력 부족과 재정 악화로 고가번으로 이봉되었으며 무예를 숭상하고 가신들의 무예 단련을 장려했다.
- 마쓰다이라 나오카쓰 - 마쓰다이라 나오카쓰는 에도 시대 후기의 다이묘이자 메이지 시대의 화족으로, 막부 말기 정사총재를 역임하며 막정 개혁에 참여했고 메이지 유신 이후 신정부에서 활약했다.
- 마쓰다이라 야스치카 (무로마치 시대) - 마쓰다이라 야스치카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으로, 마쓰다이라 지카우지를 도와 고시키 성을 쌓고 주변 영주들을 평정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사후 가독을 이어 마쓰다이라 씨를 미카와 지방의 유력한 고쿠진 영주로 성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지만, 실존 여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 마쓰다이라 마사야스
- 마쓰다이라 지카요시 (다케노야 마쓰다이라가) - 마쓰다이라 지카요시는 센고쿠 시대 마쓰다이라 모리치카의 장남으로, 마쓰다이라 종가를 섬기며 군공을 세워 마쓰다이라 가문의 세력 확장에 기여하고 정5위하 미노노카미의 관위를 받은 무장이다.
- 마쓰다이라 히데치카 - 마쓰다이라 히데치카는 에도 시대 다이묘이자 다카다 번의 초대 번주로, 가문을 상속받아 번주가 된 후 기쓰키 번으로 이봉되었으며, 번정 개혁에 힘쓴 인물이다.
- 마쓰다이라 나리아쓰 - 마쓰다이라 나리아쓰는 에도 시대 다이묘로, 다테바야시 번 번주를 지내다 하마다 번으로 옮겨졌으며,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아들을 양자로 들여 막부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지샤부교를 역임하며 가문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이에모토 - 마쓰다이라 이에모토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인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이복형제로 알려져 있으나 병약하여 은거했으며, 그 존재 자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 마쓰다이라 노부마스 - 마쓰다이라 노부마스는 에도 시대 후기 고지마 번의 번주로서, 1861년 양아버지의 은거로 번주 자리를 계승하여 막부 말기의 혼란기에 번을 이끌었으며, 덴포 대기근 시기에 백성 구제에 힘썼다.
- 마쓰다이라 노부타카
- 마쓰다이라 다다토시 - 단바
- 마쓰다이라 사다요시
- 마쓰다이라 노부노리 - 다카쓰카사 마쓰다이라가 제12대 당주이자 고즈케 요시이 번 제10대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 - 데와(우젠)
- 마쓰다이라 노부야스 (1864년) - 우에야마 번의 마지막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야스는 형의 강제 은거 후 번주가 되었으나 폐번치현으로 면직되었고, 자작 작위를 받았지만 방탕한 생활로 작위를 반납하여 가문이 몰락했다.
- 마쓰다이라 다다유키
- 마쓰다이라 가쓰요시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가) - 센고쿠 시대에 활약한 무장
- 마쓰다이라 마사히사 - 마쓰다이라 마사쓰나의 개명 전 이름
- 마쓰다이라 노부카즈 - 마쓰다이라 노부카즈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오다 노부나가와의 협력으로 신임을 얻어 세키가하라 전투 후 히타치 쓰치우라 번의 초대 번주가 된 무장이다.
- 마쓰다이라 사다나오 - 마쓰다이라 사다나오는 에도 시대 마쓰야마 번주로서 번청 이전, 재정 안정 정책 등 번정 개혁을 추진하고 겐로쿠 아코 사건 당시 아코 낭사 감시 역할을 수행했으며 하이카이 흥륭과 오야마 이키 초빙을 통한 학문 발전에도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마사히사 (1659년) - 마쓰다이라 마사히사는 에도 시대 다마나와 번주 마쓰다이라 마사노부의 차남으로, 형의 요절 후 가독을 이어 번주가 되었고 와카도시요리를 지냈으나 이후 가즈사 오타키 번으로 전봉되어 통치 기간 동안 번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했다.
- 마쓰다이라 무네마사 - 마쓰다이라 무네마사는 에치젠 마쓰오카 번주를 거쳐 후쿠이 번주를 지낸 에도 시대 다이묘로, 후계자가 없어 양자를 맞이하면서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이래의 남계 혈통이 단절되었다.
- 마쓰다이라 다다치카
- 마쓰다이라 야스마사
- 마쓰다이라 사다나가 (1640년) - 마쓰다이라 사다나가는 에도 시대 마쓰야마 번의 번주로, 형의 폐적 후 번주가 되어 민생 안정, 사찰 재건, 어시장 개설 등의 통치 활동을 펼쳤으나 짧은 재임 기간과 에도 거주로 기반이 약했다.
- 마쓰다이라 나오쓰네
- 마쓰다이라 가쓰타카 - 마쓰다이라 가쓰타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중신 마쓰다이라 시게카쓰의 아들로,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섬겨 오반가시라, 소자반 등의 관직을 역임하고 1638년 가즈사국 사누키 번의 번주가 된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이다.
- 마쓰다이라 시게노리 - 마쓰다이라 시게노리는 에도 시대 초기에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섬긴 무사로, 세키가하라 전투와 오사카 전투에 참전하여 오카치구시라, 오반가시라를 거쳐 다이묘로 승진, 번주를 지냈으며 막부의 주요 직책을 맡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