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양녹새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서양녹새치(Makaira nigricans)는 마카이라 속에 속하는 어종으로, 대서양의 열대 해역에 주로 서식하며, 인도태평양녹새치와 유전적 유사성으로 인해 동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최대 몸길이 5m, 몸무게 820kg에 달한다. 청흑색 몸에 은백색 배를 가지고 있으며, 상업적 가치와 스포츠 낚시 대상으로서 인기가 높다. 하지만 남획으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지정되었으며, 롱라인 어업으로 인해 개체 수 감소를 겪고 있다. 또한, 먹이 사슬 상위 포식자로서 중금속 축적의 위험이 있으며,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에 등장하는 등 문화적으로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녹새치속 - 기름녹새치
기름녹새치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오징어, 물고기 등을 포식하는 대서양 청새치와 유사한 어종으로, 빠른 속도로 헤엄칠 수 있지만 남획으로 인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1802년 기재된 물고기 - 큰입우럭
큰입우럭은 농어목 검정우럭과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어류로, 낚시와 식용을 위해 전 세계에 이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생태계교란외래종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 1802년 기재된 물고기 - 작은입우럭
작은입우럭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검정우럭과 어종으로, 큰입우럭보다 입이 작고 맑은 물에 사는 특징을 가지며, 스포츠 피싱 대상이지만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는 외래종으로 관리된다. - 거대동물 - 고래
고래는 유선형 몸과 지느러미를 가진 물에 사는 포유류로, 수염고래와 이빨고래로 나뉘며 뛰어난 청력과 음파탐지 능력으로 소통하지만, 과거 포경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인간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 - 거대동물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대서양녹새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마카이라 니그리칸스 (Makaira nigricans) |
명명자 | 라세페드, 1802년 |
멸종위기등급 | 취약종 |
IUCN 3.1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70314/6743776 |
분포 | 대서양 |
영어 이름 | Atlantic blue marlin (대서양 청새치)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강 | 조기어강 |
목 | 스즈키목 |
아목 | 카지키아목 |
과 | 마카지키과 |
속 | 마카이라속 |
형태 | |
최대 무게 | 818 kg |
최대 길이 | 5 m |
동의어 |
2. 분류 및 명칭
대서양녹새치는 마카이라 속에 속하며, 속명은 "짧은 칼" 또는 "굽은 단검"을 뜻하는 그리스어 "machaira"와 "칼"을 뜻하는 라틴어 "machaera"에서 유래했다.[6][7] 종명 ''nigricans''는 라틴어로 "검게 변하는"을 의미한다.[8]
대서양녹새치는 농어목 카지키아목에 속하며, 돛새치나 백새치와 같은 마카지키과로 분류된다.[38][39] 또한, 신기어강, 조기강, 경골상강에도 속한다.[9][10]
인도태평양녹새치(''M. mazara'')와의 분류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었다. 이전에는 두 종을 별개의 종으로 보았으나, 유전적 데이터에 따르면 두 종은 유전자 교환이 거의 일어나지 않지만 같은 종으로 볼 수 있다.[11] 이에 따라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에서는 두 종을 Blue marlin (''Makaira nigricans'')로 명칭을 통일했다.[42] 그러나 이 연구들에 대해서는 정보량 부족이나 표본 관찰의 불충분함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42]
2. 1. 동의어
- ''Maikaira nigricans (sic)'' Lacepède, 1802
- ''Makaira nigricans nigricans'' Lacepède, 1802
- ''Xiphias ensis'' Lacepède, 1800 (모호함)
- ''Makaira ensis'' (Lacepède, 1800) (모호함)
- ''Tetrapturus herschelii'' J. E. Gray, 1838
- ''Histiophorus herschelii'' (J. E. Gray, 1838)
- ''Makaira herschelii'' (J. E. Gray, 1838)
- ''Tetrapturus amplus'' Poey, 1860
- ''Makaira ampla'' (Poey, 1860)
- ''Makaira ampla ampla'' (Poey, 1860)
- ''Makaira nigricans ampla'' (Poey, 1860)
- ''Makaira bermudae'' Mowbray, 1931
- ''Orthocraeros bermudae'' (Mowbray, 1931
- ''Eumakaira nigra'' Hirasaka & H. Nakamura, 1947
- ''Makaira nigra'' (Hirasaka & H. Nakamura, 1947
- ''Makaira perezi'' F. de Buen, 1950
- ''Istiompax howardi'' Whitley, 1954[3]
3. 형태
암컷 대서양녹새치는 수컷보다 4배 이상 무거운데, 수컷은 몸무게가 160kg을 넘는 경우가 드물다.[13] 가장 긴 암컷은 부리를 포함하여 길이가 5m에 달할 수 있으며, 눈에서 부리 끝까지의 길이는 전체 몸길이의 약 20%를 차지한다.
자료에 따르면 가장 큰 암컷 개체의 체중은 540kg에서 820kg으로 보고되었다.[14] 국제 해양 낚시 협회(IGFA) 낚시 규정에 따라 잡힌 가장 큰 대서양녹새치는 브라질 비토리아에서 잡혔으며, 몸무게는 약 635.94kg이었다.[15] 어부들은 약 453.59kg 이상 나가는 개체들을 "그랜더"라고 부른다.
암컷과 수컷 모두 24개의 척추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11개는 전미부이고 13개는 미부이다.[16]
대서양녹새치는 2개의 등지느러미와 2개의 뒷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지느러미는 지느러미 줄기로 알려진 뼈 가시로 지지된다. 첫 번째 등지느러미에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39~43개의 지느러미 줄기가 있다.[16] 두 번째 등지느러미에는 6개 또는 7개의 지느러미 줄기가 있다.[16] 두 번째 등지느러미와 모양과 크기가 비슷한 첫 번째 뒷지느러미에는 13~16개의 지느러미 줄기가 있으며,[16] 두 번째 뒷지느러미에는 6개 또는 7개의 지느러미 줄기가 있다.[16] 19~22개의 지느러미 줄기가 있는 가슴지느러미[16]는 길고 좁으며 몸의 측면으로 접을 수 있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보다 짧고, 막이 잘 발달되지 않았으며, 배쪽 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첫 번째 뒷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및 꼬리지느러미와 함께 홈으로 접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물고기가 유선형이 되어 항력을 줄일 수 있다.
대서양녹새치는 다른 부리 물고기처럼 색깔을 빠르게 바꿀 수 있는데, 이는 색소를 함유한 홍색소포와 빛을 반사하는 피부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효과이다.[17]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몸통은 위쪽은 청흑색이고 아래쪽은 은백색이다. 물고기 양쪽에 15줄 정도의 옅은 코발트색 줄무늬가 있으며, 각 줄무늬에는 둥근 점과/또는 가는 막대가 있다.[16] 첫 번째 등지느러미 막은 짙은 파란색 또는 거의 검은색이며 점이나 표식이 없다. 다른 지느러미는 일반적으로 갈색-검은색이며, 때로는 짙은 파란색을 띤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뒷지느러미의 기저에는 은백색이 약간 있다.
몸은 두껍고 뼈가 많으며 길쭉한 비늘로 덮여 있으며, 비늘은 1개, 2개 또는 3개의 후방 점이 있으며, 1개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16]
부리는 길고 튼튼하다. 턱과 입천장(입 천장)은 작은 파일 모양의 이빨로 덮여 있다. 측선계는 약한 물의 움직임과 큰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측선관에 뿌리를 둔 신경 세포 그룹이다.[18] 그물처럼 보이며,[19] 어린 개체에서는 뚜렷하지만 성체에서는 불분명하며, 피부에 점차적으로 박혀 있다.[16] 항문은 첫 번째 뒷지느러미의 기점 바로 앞에 있다.
4. 분포 및 이동
대서양녹새치는 대서양의 열대 해역에서 연중 발견된다. 따뜻한 계절에는 북반구와 남반구의 온대 해역으로 서식 범위가 확장되고, 추운 계절에는 적도 쪽으로 축소된다.[20] 걸프 해류와 같은 서대서양의 따뜻한 해류는 이들의 계절적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
모든 돛새치류 중 가장 열대성 어종인 대서양녹새치는 수주(water column) 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표층에서 100m 깊이까지 이동한다. 대부분 밤에는 표면에 가까이 머물고 낮에는 더 깊은 곳으로 잠수한다. 수온과 산소 농도에 의해 더 이상 내려갈 수 없게 된다.[21]
대서양녹새치의 위도 범위는 대략 북위 45°에서 남위 35°까지이다. 동대서양에서는 덜 흔하며, 주로 아프리카 연안의 북위 25°와 남위 25° 사이에서 발견된다. 가장 많은 개체 수는 일반적으로 24°C 이상의 따뜻한 해역에서 발견되지만, 표면 수온이 30.5°C까지 높거나 21.7°C까지 낮은 곳에서도 발견되었다.[22]
전통적인 "스파게티" 태그와 최근의 팝업 위성 기록 태그를 사용한 태깅 연구는 연구자들에게 대서양녹새치의 이동 패턴과 습성에 대한 단서를 제공했다. 태그가 부착된 물고기를 회수한 결과, 카리브해 섬과 베네수엘라 및 바하마 사이, 그리고 카리브해의 세인트토마스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와 서아프리카 사이, 그리고 대양 간의 이동이 여러 번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델라웨어 해안에서 태그가 부착된 대서양녹새치는 인도양의 아프리카 남동부 해안에 있는 모리셔스 섬 근처에서 회수되었는데, 이는 약 14892.83km에 달하는 항해였다.[23] 여러 물고기가 태그가 부착된 일반적인 지역에서 회수되었는데, 이는 수년에 걸쳐 역 이동을 함을 시사하지만, 계절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에는 데이터가 불충분하다.[24]
5. 생태
대서양녹새치는 2~4세에 성적 성숙에 이른다. 수컷은 35kg에서 44kg 사이, 암컷은 47kg에서 61kg 사이의 무게에서 성적으로 성숙한다.[26] 늦여름과 가을에 번식하며, 암컷은 한 번의 번식기에 최대 4번까지 산란할 수 있다. 한 번에 700만 개가 넘는 난자를 방출하며, 각각의 난자는 지름이 약 1mm이다. 성적 성숙에 도달하는 개체는 드물다.[13]
플랑크톤 상태의 어린 개체는 바다의 원양에서 자유롭게 떠다닌다. 유충은 미국 남부, 자메이카, 바하마,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 리코 연안의 서부 중앙 대서양과 브라질 연안의 남서 대서양에 서식한다.[13] 유충은 하루에 16mm까지 성장할 수 있다.[13] 몸 측면과 등쪽은 청흑색을 띠는 반면, 복부는 흰색이다. 꼬리 지느러미와 미병(물고기 몸의 좁은 부분으로, 꼬리 지느러미가 부착되는 부분)은 투명하다. 머리에는 두 개의 무지개빛 파란색 반점이 나타나고, 일부 개체는 등에 더 어두운 반점을 가지고 있다. 청소년기에는 첫 번째 등지느러미가 크고 오목하며,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몸 크기에 비례하여 점차 감소한다.[5] 수명은 암컷이 최소 27년, 수컷이 18년으로 추정된다.
성어가 되면 범고래, 단기간 꼬치 상어, 백상아리와 같은 대형 원양 상어를 제외하고는 포식자가 거의 없다.[25] 흡충류, Didymozoidea(조직 흡충류), 단생류(아가미벌레), 촌충, 선충류, 극두충류, 요각류, 사다리, 쿠키커터상어를 포함하여 많은 기생충을 가지고 있으며, 빨판상어가 붙어있는 경우도 있다.[25] [55]
5. 1. 먹이
유생은 부유하는 물고기 알과 다른 유생과 함께 다양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다. 고등어, 참치와 같은 고등어과 어류, 오징어를 비롯해, 특히 대양의 섬과 산호초 근처 연안의 어린 물고기 등 광범위한 어종을 먹이로 삼는다. 위 내용물 연구에 따르면 꼬치고등어, 날개다랑어, 가다랑어와 같은 작은 무리의 고등어류가 식단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오징어, 병어, 뱀고등어와 같은 심해어 또한 특정 지역에서는 중요한 먹이가 된다. 청새치는 100파운드 범위의 백새치, 황다랑어, 눈다랑어만큼 큰 먹이를 먹는 것으로 기록되었으며, 반대로 말쥐치, 학치와 같이 작지만 많은 먹이를 먹기도 한다.과학자와 어부들은 청새치를 비롯한 부리치가 먹이를 먹을 때 길쭉한 윗턱을 얼마나 사용하는지에 대해 오랫동안 논쟁해 왔다. 2007년 상업용 트롤 어업에서 잡힌 물고기의 위 내용물에 대한 일본 연구에서는, 청새치 227마리에서 얻은 소화되지 않은 먹이 130개에서 부리에 의해 생긴 것으로 보이는 찌르기, 베기 등의 상처가 발견되었다.[27] 본 종은 외양의 표층 부근에서 오징어, 문어 등 두족류와 어류를 포식하며, 그중에서도 어류, 특히 고등어 종류를 선호한다.[32][43] 무척추동물이나 어류 무리에 고속으로 돌진하여 주둥이에 부딪혀 상처를 입거나 기절한 먹이를 포식하는 행동이 관찰된다.[44]
5. 2. 포식자 및 기생충
대서양녹새치는 성어가 되면 포식자가 거의 없으며, 주요 포식자로는 범고래, 단기간 꼬치 상어, 백상아리와 같은 대형 원양 상어가 있다.[25]대서양녹새치는 흡충류, Didymozoidea(조직 흡충류), 단생류(아가미벌레), 촌충, 선충류, 극두충류, 요각류, 사다리, 쿠키커터상어를 포함하여 많은 기생충을 가지고 있다.[25] 빨판상어가 붙어있는 경우도 있다.[55]
6. 경제적 중요성
대서양녹새치는 상업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일본에서 사시미용으로 특히 인기가 높다. 참치 연승 어업에서 혼획으로 자주 잡히기도 한다.[13]
스포츠 낚시 어종으로도 인기가 높아, 1920년대와 1930년대 초 바하마에서 처음 알려진 이후 세계 최고의 게임 피쉬 중 하나로 명성을 얻었다.[44] 희소성, 크기, 강한 챔질 등으로 인해 전 세계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높으며, 관련 산업은 수백만 달러 규모에 달한다.[44]
6. 1. 상업적 어업
대서양녹새치는 전 세계적으로 상업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2000년에는 총 3064ton이 어획되었다.[13] 특히 일본에서 사시미용으로 가치가 높다.[13] 참치 연승 어업에서 혼획으로 자주 잡힌다.2008년 일본의 원양어업 어획량은 1000ton을 넘었으며, 전 세계 어획량은 4665ton이었다. 이후 어획량은 감소하여 2011년 전 세계 어획량은 2252ton, 일본의 어획량은 402ton이었다.[43] 대서양녹새치는 주로 서아프리카 국가들과 브라질 연안 어업에서 주 대상 어종으로 어획되며, 참치나 황새치 대상 선상 낚시에서도 혼획된다.[43]
6. 2. 스포츠 낚시
대서양녹새치는 1920년대와 1930년대 초 바하마에서 스포츠 낚시꾼들에게 처음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반 캠펜 하일너(Van Campen Heilner)와 S. 킵 패링턴과 같은 선구적인 낚시꾼들이 비미니와 캣 케이 앞바다를 탐험하면서 대서양녹새치는 세계 최고의 게임 피쉬 중 하나로 명성을 얻었다. 대서양녹새치를 비롯한 돛새치류의 스포츠 낚시는 수백 개의 회사와 보트 운영자, 보트 제작자, 마리나, 대리점, 낚시 장비 제조업체 및 판매업체를 포함하는 수백만 달러 규모의 산업으로 발전했다.대서양녹새치 스포츠 낚시가 가장 잘 확립된 곳은 미국의 동부 해안과 걸프 연안, 버뮤다, 바하마, 그리고 세인트 토마스와 푸에르토리코를 포함한 여러 카리브해 섬들이다. 하와이, 브라질, 베네수엘라, 멕시코의 대서양 연안, 특히 유카탄 반도에서도 레크리에이션 낚시가 이루어진다. 동부 대서양에서는 포르투갈 알가르베 해안에서 남쪽의 앙골라에 이르기까지 스포츠 낚시가 존재하며, 아조레스, 카나리아 제도, 카보베르데, 마데이라, 어센션 섬을 포함한다.
국제 게임 피쉬 협회의 대서양녹새치 월드 레코드는 현재 636kg이다.[5] 이 물고기는 브라질 비토리아에서 잡혔다.
희소성과 크기, 강한 챔질 등으로 인해 대서양녹새치는 전 세계 낚시꾼들에게 스포츠 낚시의 대상으로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수백만 달러 규모의 산업을 창출하고 있다. 대서양녹새치의 스포츠 낚시는 미국, 베네수엘라, 바하마, 브라질, 카리브해 국가 등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44]
7. 보존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대서양녹새치를 남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인 취약종(VU)으로 지정하였다.[1][31] 2010년 그린피스는 대서양녹새치를 해산물 적색 목록에 추가했다.[29][56] 이 목록은 전 세계 슈퍼마켓에서 흔히 판매되며 지속 불가능한 어업에서 조달될 위험이 매우 높은 물고기들을 포함한다.
롱라인 어업은 대서양녹새치에게 큰 위협이 된다. 카리브해에서만 일본과 쿠바 어부들이 매년 1000ton을 잡는다.[33] 미국 해안선 약 321.87km 이내의 모든 선박은 잡은 돛새치를 방류해야 하지만, 방류된 물고기의 생존율은 낮은 편이다.[5]
스포츠 낚시꾼들은 대서양녹새치 개체군 보존 노력에 앞장서 왔다. 하와이에서는 하와이 국제 돛새치 토너먼트의 낚시꾼들과 협력하여 고도로 회유하는 물고기를 추적하기 위한 전자 태그 개발이 이루어졌다.[23]
한국의 원양어업에서도 대서양녹새치가 혼획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혼획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7. 1. 중금속 축적
생물 농축 과정을 통해 중금속이 대서양녹새치에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7년 텍사스 공원 및 야생동물 관리국은 수은 함량을 근거로 텍사스 해안에서 잡힌 모든 녹새치에 대해 섭취 주의보를 발령했다.[28]8. 문화
자니 그레이와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플로리다 키스, 바하마, 쿠바에서 대서양녹새치를 낚았으며, 이들의 낚시에 대해 광범위하게 기록했다.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에서 산티아고라는 어부는 쿠바 해안에서 3일 동안 대서양녹새치와 싸운다.
대서양녹새치는 5 버뮤다 달러 지폐 앞면에 묘사되어 있다.[57][58]
참조
[1]
간행물
"''Makaira nigricans''"
2011
[2]
웹사이트
Blue Marlin
http://animals.natio[...]
National Geographic
2008-11-11
[3]
FishBase
[4]
뉴스
Colonel Finlay Maclean, Military Knight of Windsor who once caught a 456 lb, 21-foot long blue marlin – obituary
https://www.telegrap[...]
2019-07-22
[5]
웹사이트
Atlantic Blue Marlin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9-01-29
[6]
서적
CRC World Dictionary of Plant Names
https://books.google[...]
CRC
2009-01-29
[7]
웹사이트
Old High German Etymological Database (Koebler)
http://www.indo-euro[...]
Koebler
2009-02-15
[8]
논문
New Species of Clavulina from Guyana
http://www.mycologia[...]
2009-02-07
[9]
웹사이트
Makaira nigricans Atlantic blue marlin
http://www.fishbase.[...]
FishBase
2008-11-15
[10]
웹사이트
Scientific Name: ''Makaira nigricans'' Lacepède, 1802
http://www.cbif.gc.c[...]
ITIS
2009-01-25
[11]
논문
Molecular Insights into the Population Structures of Cosmopolitan Marine Fishes
http://jhered.oxford[...]
[12]
논문
Reconciling patterns of inter-ocean molecular variance from four classes of molecular markers in blue marlin (Makaira nigricans)
[13]
웹사이트
Makaira nigricans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2008-10-13
[14]
웹사이트
Blue Marlins, Makaira nigricans at
http://marinebio.org[...]
Marinebio.org
2012-06-28
[15]
웹사이트
FLMNH Ichthyology Department: Blue Marlin
http://www.flmnh.ufl[...]
Flmnh.ufl.edu
2012-06-28
[16]
간행물
Vol. 5. Billfishes of the World
ftp://ftp.fao.org/do[...]
FAO Species Identification and Data Programme
2008-11-11
[17]
논문
Colour vision in billfish
The Royal Society
[18]
웹사이트
The lateral line system of fish: structure, function and behavioral relevance
http://www.jacobs-un[...]
Jacobs University
2009-02-11
[19]
웹사이트
Makaira nigricans Blue Marlin
http://marinebio.org[...]
MarineBio
2009-01-25
[20]
간행물
Evidence of Blue Marlin (''Makaira nigricans'') spawning in Bermuda waters and elevated mercury levels in large specimens
http://www.sefsc.noa[...]
Rosenstiel School of Marine and Atmospheric Science of the University of Miami
2011-02-11
[21]
논문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oxygen on the distribution of blue marlin (Makaira nigricans) in the Central Pacific
https://onlinelibrar[...]
2017
[22]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Billfish Symposium
https://archive.org/[...]
NOAA Department of Commerce
1975
[23]
웹사이트
Billfish Tagging
http://www.tunaresea[...]
[24]
간행물
Blue Marlin, Makaira nigricans, Movements in the Western North Atlantic Ocean: Results of a Cooperative Game Fish Tagging Program, 1954–88
http://spo.nmfs.noaa[...]
NMFS CooperativeGameFish Tagging Program
2008-11-17
[25]
웹사이트
Makaira nigricans (Atlantic Blue Marlin)
http://zipcodezoo.co[...]
Zipcode Zoo
2008-11-18
[26]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n Reproductive Biology of Blue Marlin, ''Makaira Nigricans'' (LACÉPÈDE, 1803) in the Tropical Western Atlantic Ocean
http://www.flmnh.ufl[...]
ICCAT
2009-01-20
[27]
논문
Evidence for use of the bill by blue marlin, ''Makaira nigricans'', during feeding
[28]
웹사이트
Fish Consumption Bans and Advisories
https://tpwd.texas.g[...]
2017-11-15
[29]
웹사이트
Greenpeace International Seafood Red list
https://www.greenpea[...]
[30]
서적
Understanding The Old Man and the Sea
https://books.google[...]
The Greenwood Press
2008-11-17
[31]
간행물
Makaira nigricans
[32]
FishBase
[33]
웹사이트
Atlantic Blue Marlin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34]
서적
CRC World Dictionary of Plant Names
https://books.google[...]
CRC
[35]
웹사이트
Old High German Etymological Database (Koebler)
http://www.indo-euro[...]
Koebler
[36]
논문
New Species of Clavulina from Guyana
http://www.mycologia[...]
Mycologia
2004-05-01
[37]
간행물
「カジキ類の分類学的研究」
http://www.big-game.[...]
1968
[38]
웹사이트
Makaira nigricans Atlantic blue marlin
http://www.fishbase.[...]
FishBase
2008-11-15
[39]
웹사이트
Scientific Name: ''Makaira nigricans'' Lacepède, 1802
http://www.cbif.gc.c[...]
ITIS
2009-01-25
[40]
논문
Molecular Insights Into the Population Structures of Cosmopolitan Marine Fishes
http://jhered.oxford[...]
[41]
논문
Molecular Insights Into the Population Structures of Cosmopolitan Marine Fishes
http://link.springer[...]
[42]
웹사이트
平成25年度国際漁業資源の現況 クロカジキ 太平洋
http://kokushi.job.a[...]
水産庁・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2014-03-00
[43]
웹사이트
平成25年度国際漁業資源の現況 クロカジキ 大西洋
http://kokushi.job.a[...]
水産庁・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2014-03-00
[44]
웹사이트
Makaira nigricans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2008-10-13
[45]
웹사이트
Blue Marlins, Makaira nigricans at
http://marinebio.org[...]
Marinebio.org
null
[46]
웹사이트
FLMNH Ichthyology Department: Blue Marlin
http://www.flmnh.ufl[...]
Flmnh.ufl.edu
null
[47]
웹사이트
Vol. 5. Billfishes of the World
ftp://ftp.fao.org/do[...]
FAO Species Identification and Data Programme
2008-11-11
[48]
논문
Colour vision in billfish
http://rstb.royalsoc[...]
The Royal Society
2000-00-00
[49]
웹사이트
The lateral line system of fish: structure, function and behavioral relevance
http://www.jacobs-un[...]
Jacobs University
[50]
웹사이트
Makaira nigricans Blue Marlin
http://marinebio.org[...]
MarineBio
2009-01-25
[51]
논문
Evidence Of Blue Marlin (''Makaira nigricans'') spawning in Bermuda waters and elevated mercury levels in large specimens
http://www.sefsc.noa[...]
Rosenstiel School of Marine and Atmospheric Science of the University of Miami
[52]
웹사이트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Billfish Symposium
http://ia341033.us.a[...]
NOAA Department of Commerce
2008-11-15
[53]
URL
http://www.tunaresea[...]
[54]
웹사이트
Prelimary Results on Reproductive Biology of Blue Marlin, ''Makaira Nigricans'' (LACÉPÈDE, 1803) in the Tropical Western Atlantic Ocean
http://www.flmnh.ufl[...]
ICCAT
[55]
웹사이트
Makaira nigricans (Atlantic Blue Marlin)
http://zipcodezoo.co[...]
Zipcode Zoo
2008-11-18
[56]
URL
Greenpeace International Seafood Red list
http://www.greenpeac[...]
[57]
웹사이트
Blue Marlin
http://animals.natio[...]
National Geographic
2008-11-11
[58]
서적
Understanding The Old Man and the Sea
https://books.google[...]
The Greenwood Press
2002-00-00
[59]
웹인용
www.fishbase.org
http://www.fishbase.[...]
2010-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