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병무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병무청은 징집 및 소집, 병무 행정을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행정 기관이다. 징병제에 따라 병역 자원을 확보하고 관리하며, 병역 의무자에게 징집 및 전시 병력 동원 등의 의무를 부과한다. 1948년 국방부 제1국에서 시작하여, 여러 부처를 거쳐 1970년 국방부 외청으로 병무청이 설치되었고, 1998년 정부대전청사로 이전했다. 주요 업무로는 향토예비군 편성 및 관리, 산업 기능 인력 지원, 병역 의무자의 해외 여행 허가 등이 있으며, 병역 비리 문제와 마스코트 논란 등이 존재한다. 현재는 '힘찬이'를 마스코트로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병무청 - 대한민국 예비군
대한민국 예비군은 국가 비상사태 시 동원 대비, 적 침투 시 소멸, 국가 중요 시설 경비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예비 전력으로, 1968년 창설되었으며 전역 후 병역법에 따라 복무하는 제도로, 복무 형태와 훈련 내용은 출신에 따라 다르나, 여러 논란 속에서도 병력 감축에 따라 예비군 전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대한민국 병무청 - 상근예비역
상근예비역은 방위병 제도 폐지 후 도입되어 현역병 입영 대상자 중 선발, 집에서 출퇴근하며 군 복무하는 병역의 한 종류로, 주로 육군 소속으로 복무하며 복무 기간은 육군 현역병과 동일하다. - 대전 서구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특허법원
대한민국 특허법원은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종자 관련 사건을 전담하는 고등법원급 법원으로서 특허청과 농림수산식품부 소관 사건을 전속 관할하며, 특허심판원 또는 품종보호심판위원회의 심결에 대한 불복 소송을 통해 특허 관련 소송을 2심제로 운영한다. - 대전 서구 소재의 관공서 - 대전지방법원
대전지방법원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를 관할하는 지방법원으로, 1895년 공주재판소로 설치되어 1938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본원은 대전 서구 둔산동에 위치하고 5개의 지원과 여러 시·군법원 및 등기소를 두며 2031년 세종지방법원이 분리 신설될 예정이다. - 1970년 설립 - FM 오사카
FM 오사카는 1970년 간사이 지역 최초의 민영 FM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오사카부를 중심으로 85.1MHz 주파수로 방송되며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JFN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FM OH!'라는 애칭을 사용하다 2020년 'FM오사카'로 변경, 음주운전 방지 캠페인 등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는 일본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 1970년 설립 - 대한민국 관세청
대한민국 관세청은 수출입 물품 통관, 밀수 단속, 관세 심사 및 조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국가 재정 확보와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기획재정부 산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한민국 병무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병무청 |
로마자 표기 | Byeongmu cheong |
한자 표기 | 兵務廳 |
영어 명칭 |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
마스코트 캐릭터 | 힘찬이 |
![]() | |
![]() | |
설립일 | 1970년 8월 20일 |
소재지 |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정부대전청사 |
직원 수 | 285명 |
예산 (2023년) | 3517억 원 |
웹사이트 (한국어) | 병무청 공식 웹사이트 |
웹사이트 (영어) | 병무청 공식 웹사이트 |
조직 정보 | |
상급 기관 | 국방부 |
주요 기능 | 병역 자원 관리 및 병역 이행 관련 업무 수행 |
주요 인물 | |
청장 | 김종철 |
차장 | 최규석 |
연혁 | |
설립 | 1970년 8월 20일 국방부 병무국에서 분리되어 독립 기관으로 설립 |
2. 소관 사무
대한민국 병무청은 징집 및 소집, 그 밖의 병무행정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징병제(국민개병제) 원칙에 따라 국토 방위의 근간이 되는 병역 자원을 확보 및 관리하며, 병역 의무자에게 징집 및 전시 병력 동원 등의 의무를 부과한다. 향토예비군의 편성 및 관리, 산업 기능 인력 지원, 병역 의무자의 해외 여행 허가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1948년 7월 17일 정부 수립 이후 병무행정은 대한민국 국방부 제1국이 담당했다.[10] 1949년 「병역법」이 제정된 뒤에는 육군본부 소속으로 서울·대전·청주·전주·광주·대구·부산·추천에 병사구사령부를 설치해 징집 업무를 담당하도록 했다.[10] 1953년 징집과 소집 및 기타 병역 동원에 관한 사무는 국방부 제4국으로 이관되었고, 병사구사령부를 지휘·감독하는 업무도 제4국이 이어받았다.[10] 이후 병사 사무는 내무부에 이관되었다가 징·소집 등 이관 사무에 대한 경계가 불확실해 혼란을 빚자 1953년 11월 징·소집을 포함한 모든 병사 사무를 내무부가 집행하기로 합의가 이루어졌다.[10]
3. 역사
1955년 2월에는 국방부에 병무국을 설치해 인적 자원 관리 업무·징소집·기타 병무에 관한 사항을 분장하도록 했다.[11] 하지만 이후에도 병사 사무가 일원화되지 않아 국방부와 내무부 사이에 갈등이 있었고 그해 6월 다시 두 부처 사이에서 합의가 이루어져 8월까지 병사구사령부를 폐지하고 병사 사무는 내무부에서 관장하기로 했다.[11] 1956년 9월 육본 소속이던 병사구사령부를 국방부 직속으로 편입했다.[12] 하지만 병사구사령부 폐지는 순조롭게 이행되지 못했다. 1958년에도 병사구사령부를 폐지하여 병사 행정을 일체 내무부에 이관하고 중앙과 각 도·시·군에 병사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했다.[13] 국방부는 전시도 아닌 평시에까지 국방부가 병사 업무를 담당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내무부는 병사 업무 일체를 담당할 수는 없다며 국방부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14]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붕괴하고 장면 내각이 들어선 뒤인 1960년 12월 결국 병사구사령부를 국방부 관할로 유지하기로 결론이 났다.[15]
이후 5·16 군사 정변으로 장면 내각이 붕괴하고 군사 정권이 들어서면서 다시 상황이 반전됐다. 1962년 10월 「병역법」을 개정하여 징·소집을 포함한 병무 행정을 국방부가 담당하도록 하며 병사구사령부를 폐지한 뒤 각 시·도에 국방부 직할 병무청을 두어 병무행정을 분장하도록 한 것이다.[16] 하지만 병무 행정이 각 지방에 산재해 있어 정책을 통일적으로 수립·집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고 각종 부정부패도 잇따르는 등 문제점이 많았다. 이에 1970년 각 시·도 소속 병무청을 폐지하여 중앙에 국방부 소속 외청으로 병무청을 두고 산하에 6개 지방병무청·37개 징병서를 두는 것으로 조직 변혁을 꾀했다.[17] 중앙 병무청은 국방부에 있던 병무국·예비군국·인사국 총무과 등에서 관장하던 모든 병무 행정도 이관받아 병무 행정의 일원화를 기하도록 했다.[17]
1998년 청사를 기존 서울특별시 용산구 후암동에서 정부대전청사로 이전했다.[18]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으로 공직 사회의 군살 빼기가 시작되면서, 1999년 7월 읍·면·동의 병역관리 업무를 지방병무청으로 이관했고, 2002년 7월에는 시·군·구의 병역 업무를 지방병무청에 이관했다.[19]
3. 1. 개요
3. 2. 연혁
1948년 7월 17일 국방부 제1국에서 병무에 관한 사항을 분장하였다.[20] 1949년 9월 1일 육군본부 예하 병사구사령부로 이관되었다. 1953년 9월 1일 국방부(징집), 내무부(소집)로 징·소집이 양원화 되었다가, 1954년 9월 1일 국방부 예하 병사구사령부(징·소집)로 환원되었다. 1955년 2월 17일 국방부에 병무국이 설치되었고,[21] 1962년 10월 1일 국방부 소속으로 각 시·도에 병무청이 설치되었다.[22] 1970년 8월 3일 병무청으로 승격되었으며,[23] 1998년 9월 1일 정부대전청사로 이전하였다. 1999년 7월 1일 읍·면·동 병무조직이 폐지되고 소관 업무를 시·군·구에 이관하였으며, 2002년 7월 1일 시·군·구 병무조직이 폐지되고 소관 업무를 병무청에 이관하였다.
4. 조직
국 | 담당관실·과 |
---|---|
청장 산하 하부조직 | |
대변인실 | |
차장 산하 하부조직 | |
기획조정관실 | 기획재정담당관실ㆍ혁신행정담당관실ㆍ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 |
감사담당관실[24]ㆍ운영지원과 | |
병역자원국 | 병역판정검사과ㆍ병역조사과ㆍ정보기획과ㆍ데이터관리과ㆍ정보보호팀[25] |
입영동원국 | 현역입영과ㆍ현역모집과ㆍ동원관리과ㆍ자원관리과 |
사회복무국 | 사회복무정책과ㆍ사회복무관리과ㆍ산업지원과ㆍ병역공개과 |
4. 1. 간부
대한민국 병무청의 청장은 대변인, 차장, 감사담당관, 기획조정관을 두고 있다.4. 2. 하부 조직
- 운영지원과
- 병역자원국
- 입영동원국
- 사회복무국
4. 3. 소속 기관
사회복무연수센터, 중앙병역판정검사소, 병무민원상담소는 청장의 관장 사무를 지원하는 기관이다. 지방병무청은 청장의 소관 사무를 분장하는 기관이다. 대체역 심사위원회도 병무청의 소속 기관이다.지방병무청에는 서울지방병무청, 부산지방병무청, 대구경북지방병무청, 인천경기지방병무청, 광주전남지방병무청, 대전충남지방병무청, 강원지방병무청, 충북지방병무청, 전북지방병무청, 경남지방병무청, 제주지방병무청이 있다.
경기북부병무지청은 인천경기지방병무청 소속이고, 강원영동병무지청은 강원지방병무청 소속이다.
5. 정원
대한민국 병무청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7]
총계 | 285명 | |
---|---|---|
정무직 계 | 1명 | |
style="border-top:hidden; background:#EAECF0;" | | 청장 | 1명 |
colspan=3 style="background:#FFF;" | | ||
별정직 계 | 3명 | |
style="border-top:hidden; background:#EAECF0;" | | 6급 상당 이하 | 3명 |
colspan=3 style="background:#FFF;" | | ||
일반직 계 | 281명 | |
style="border-top:hidden; background:#EAECF0;" | | 고위공무원단 | 5명 |
style="border-top:hidden; background:#EAECF0;" | | 3급 이하 5급 이상 | 81명 |
style="border-top:hidden; background:#EAECF0;" | | 6급 이하 | 193명 |
style="border-top:hidden; background:#EAECF0;" | | 전문경력관 | 2명 |
6. 재정
총수입·총지출 기준 2023년 대한민국 병무청의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8][9]
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일반회계 | 3억 원 | -0.66% |
colspan=2 | | ||
합계 | 3억 원 | -0.66% |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일반회계 | 병무행정 | 3,331억 900만 원 | +22.04% |
colspan=4 | | |||
합계 | 3,331억 900만 원 | +22.04% |
7. 역할
징병제 원칙에 따른 국토 방위의 근간이 되는 병역 자원 확보 및 관리를 한다. 병역 의무자에 대한 징집 및 전시 병력 동원 등의 의무를 부과한다. 향토예비군의 편성 및 관리를 한다. 산업 기능 인력의 지원한다. 병역 의무자에 대한 해외 여행 허가한다.
8. 논란
운동선수들과 연예인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병역비리 사건이 일어났다.[26][27][28] 병역비리의 주요한 형태는 현역 판정을 받아야 할 사람들에게 신체검사 등급을 낮춰 면제시키거나, 현역보다 편한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하게 해주는 것이다. 개인이 자해를 하거나 편법을 사용하여 신체검사 등급을 낮추려는 행위도 있지만, 병무청 관계자들이 직접적으로 연루되었다는 의혹과 혐의들이 제기되기도 한다. 병역비리 문제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오면서 2000년대 이후에는 연예인들도 상당수 자진 입대 하는 등 자발적, 제도적 해결책이 제시되기도 하지만, 아직도 정치인과 가족, 연예인, 운동 선수 등을 중심으로 병역 비리 의혹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일반인들의 병역 면제율은 2%에 불과하지만, 4급 이상 중앙 및 지방 고위공직자 자녀의 병역 면제율은 5.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명박 정부의 고위 공직자들의 면제율은 10.9%, 18대 국회의원들의 자녀들의 병역면제율은 무려 20%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나 병역비리가 여전하다는 인식이 많다.
2010년 9월에 병무청 홈페이지를 일부 개정하였다. 그중에는 정치인 등 유명인들의 병역조회란에서 '면제자' 명칭을 삭제하고, 면제 사유만 명시하도록 변경한 것도 있었다. 이에 대해 이명박을 비롯하여 청와대 핵심 인사들과 장관 등 고위직 관계자들 중 병역기피자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정권의 눈치를 보는것 아니냐는 조롱을 받았다.[29]
8. 1. 병역 비리 문제
운동선수들과 연예인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병역비리 사건이 일어났다.[26][27][28] 병역비리의 주요한 형태는 현역 판정을 받아야 할 사람들에게 신체검사 등급을 낮춰 면제시키거나, 현역보다 편한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하게 해주는 것이다. 개인이 자해를 하거나 편법을 사용하여 신체검사 등급을 낮추려는 행위도 있지만, 병무청 관계자들이 직접적으로 연루되었다는 의혹과 혐의들이 제기되기도 한다. 병역비리 문제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오면서 2000년대 이후에는 연예인들도 상당수 자진 입대 하는 등 자발적, 제도적 해결책이 제시되기도 하지만, 아직도 정치인과 가족, 연예인, 운동 선수 등을 중심으로 병역 비리 의혹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일반인들의 병역 면제율은 2%에 불과하지만, 4급 이상 중앙 및 지방 고위공직자 자녀의 병역 면제율은 5.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명박 정부의 고위 공직자들의 면제율은 10.9%, 18대 국회의원들의 자녀들의 병역면제율은 무려 20%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나 병역비리가 여전하다는 인식이 많다.2010년 9월에 병무청 홈페이지를 일부 개정하였다. 그중에는 정치인 등 유명인들의 병역조회란에서 '면제자' 명칭을 삭제하고, 면제 사유만 명시하도록 변경한 것도 있었다. 이에 대해 이명박을 비롯하여 청와대 핵심 인사들과 장관 등 고위직 관계자들 중 병역기피자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정권의 눈치를 보는것 아니냐는 조롱을 받았다.[29]
8. 2. 마스코트 논란
2012년 4월, 병무청은 '굳건이'라는 마스코트 캐릭터를 발표하고 공식 페이스북 계정 등에 게시했다.[3] 그러나 당시 국회의원 등으로부터 '성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결국 해당 마스코트는 철회되었다.[3]대한민국 징병제도 및 풍자의 일환으로, 병무청 마스코트 캐릭터를 활용한 풍자 그림이 존재한다. 특히 굳건이는 대한민국 징병제도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캐릭터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까지 더해져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3]
9. 마스코트
병무청의 마스코트는 2009~2010년경부터 제정되었고 2012년부터 '굳건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30] 그러다 2020년 병무청에서 곰·호랑이 등을 토대로 만들어진 마스코트 캐릭터 시안을 만들었으며[30] 이들 캐릭터 가운데 호랑이를 토대로 만들어진 마스코트 캐릭터가 결정되었다. 결정된 마스코트 캐릭터의 이름은 '힘찬이'로, 이 마스코트는 2021년부터 사용되고 있다.
병무청의 마스코트는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비판, 징병제에 대한 반대와 관련하여 풍자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2020년까지 사용된 마스코트인 굳건이는 군인 정신과 거리가 있으며 군입대를 앞두고 예민한 상태에서 지나치게 해맑은 미소 등에서 위화감을 받게 되는 반응으로 호응을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31]
병무청의 마스코트 캐릭터는 ‘굳건이(グッコニ, 또는 クッドコニ)’와 ‘힘찬이(ヒムチャニ)’이다.
9. 1. 굳건이 (2012~2020)
병무청의 마스코트는 2012년부터 '굳건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30][3] 굳건이는 군인 정신과 거리가 멀고 군입대를 앞둔 이들에게 위화감을 준다는 비판을 받았다.[31] 2012년 4월에 발표된 굳건이는 병무청 공식 페이스북 계정 등에 게시되었으나,[3] 성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3]9. 2. 힘찬이 (2021~)
병무청의 마스코트는 2009~2010년경부터 제정되었고 2012년부터 '굳건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30] 그러다 2020년 병무청에서 곰·호랑이 등을 토대로 만들어진 마스코트 캐릭터 시안을 만들었으며, 이들 캐릭터 가운데 호랑이를 토대로 만들어진 마스코트 캐릭터가 결정되었다.[30][4] 결정된 마스코트 캐릭터의 이름은 '힘찬이'로, 2021년부터 사용되고 있다.병무청의 마스코트는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비판, 징병제에 대한 반대와 관련하여 풍자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2020년까지 사용된 마스코트인 굳건이는 군인 정신과 거리가 있으며 군입대를 앞두고 예민한 상태에서 지나치게 해맑은 미소 등에서 위화감을 받게 되는 반응으로 호응을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31]
2020년, 병무청에서 곰, 호랑이 등을 모티브로 한 마스코트 캐릭터 시안이 제작되었고, 그중 호랑이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4] 선정된 캐릭터의 이름은 '힘찬이'(힘찬이한국어)로 결정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3일 정부 대전청사 병무역사기록전시관에서 공개식을 통해 힘찬이를 공개했다.[5] 힘찬이는 대한민국의 국방을 힘차고 굳건하게 지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6] 공식적인 사용은 2021년부터 시작되었다.
10.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2023년도 병무청 예산안 현황
https://open.mma.go.[...]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2023-01-11
[2]
웹사이트
Duties and Function – ABOUT MMA – HOME
https://www.mma.go.k[...]
2023-09-21
[3]
뉴스
[단독] 성범죄 희화화·성차별 병무청 마스코트, 3년만에 수정
http://www.womennews[...]
2017-10-16
[4]
뉴스
“외형이 변하니 낫네”…병무청, 굳건이 퇴출 후 새 마스코트 지정 예고
http://www.topstarne[...]
2020-09-25
[5]
웹사이트
병무청 캐릭터 힘찬이 출범식
https://www.mma.go.k[...]
[6]
뉴스
병무청 새 얼굴 '힘찬이' 공개…온라인 투표로 선정
https://www.yna.co.k[...]
2020-12-03
[7]
간행물
「병무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3
[8]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2-12-31
[9]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2-12-31
[10]
뉴스
完全히移讓 兵事々務內務部에
https://newslibrary.[...]
2022-08-06
[11]
뉴스
兵事行政은內務部로
https://newslibrary.[...]
2022-08-06
[12]
뉴스
兵務事務의圓滑化 各地兵事 區司 國防部에 隷屬
https://newslibrary.[...]
2022-08-06
[13]
뉴스
地區 兵事區司令部 全廢 市道에委員會設置
https://newslibrary.[...]
2022-08-06
[14]
뉴스
國防內務 深刻한對立뿐
https://newslibrary.[...]
2022-08-06
[15]
뉴스
國防部서 다시管掌
https://newslibrary.[...]
2022-08-06
[16]
뉴스
새兵役法 解說(下)
https://newslibrary.[...]
2022-08-06
[17]
뉴스
中央 兵務庁 신설
https://newslibrary.[...]
2022-08-06
[18]
뉴스
병무청'후암동 시대'마감
https://newslibrary.[...]
2022-08-06
[19]
뉴스
邑·面·洞 병역업무 병무청으로 이관
https://newslibrary.[...]
2022-08-06
[20]
법률
대통령령 제37호
[21]
법률
대통령령 제999호
[22]
법률
각령 제1027호
[23]
법률
법률 제2210호
[24]
기타
개방형 직위
[25]
기타
2024년 6월 30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6]
뉴스
신의 아들 중에 '4급이상' 軍면제율 일반의 2배
https://news.naver.c[...]
2010-05-04
[27]
뉴스
[단독]고위공직자 軍면제율 일반인 4~5배, '면제대물림'도 심각
https://news.naver.c[...]
2011-03-24
[28]
뉴스
병무청, 18대 국회의원 병역 공개…'47명 면제'
https://news.naver.c[...]
2010-05-04
[29]
뉴스
MB 병역조회란 '면제자' 항목 빠져
http://www.mediatoda[...]
2010-09-27
[30]
뉴스
“외형이 변하니 낫네”…병무청, 굳건이 퇴출 후 새 마스코트 지정 예고
https://www.topstarn[...]
2022-03-24
[31]
뉴스
병무청, 호응도 낮던 마스코트 굳건이 대신 힘찬이로 교체
https://www.metroseo[...]
2022-03-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국방부 신임 인사복지실장에 김성준 임명
[자막뉴스] "인구 줄어들면 군대는 어쩌나"…답은 여성도 현역병?
“월급 반씩” 군대 대리 입영한 20대 2심서 형량 늘어
이 대통령, 차관급 인선 발표…법제처장 조원철·병무청장 홍소영
“괴롭다” 주변에 알리지도 못하고 매년 사회복무요원 13명 숨진다
‘월급 나눠 갖자’ 제안에 대리입영 허용한 20대 집행유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