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지역 결과는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가 39.97%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32.92%를 얻어 2위를 차지했으며,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는 16.14%, 신정치개혁당 박찬종 후보는 8.8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김영삼 후보는 제주시와 북제주군에서, 김대중 후보는 서귀포시에서, 김영삼 후보는 남제주군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1987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노태우 후보가 제주도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후보가 뒤를 이었고, 특히 북제주군과 남제주군에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우위를 점했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지역에서 김대중 후보가 40.57%의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이회창 후보가 36.59%로 2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대전직할시
1992년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후보가 39.8%의 득표율로 대전직할시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모든 지역에서 승리하여 3당 합당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강원도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강원도에서는 김영삼 후보가 51.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승리했고, 김대중, 정주영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대전직할시
1992년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후보가 39.8%의 득표율로 대전직할시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모든 지역에서 승리하여 3당 합당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민중대통령후보선거대책본부 후보 선출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중 대통령 후보로 백기완을 추대하기 위해 결성된 선거대책본부는 민중회의준비위원회, 진보정당추진위원회 등의 참여로 구성되어 백기완을 공식 후보로 발표하고, 기존 정당 정치의 한계를 넘어 민중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민주주의 가치 실현과 민중의 삶 개선을 목표로 선거에 참여했다.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 |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 |
선거 개요 | |
국가 | 대한민국 |
선거 종류 | 대통령 선거 |
정당 표시 | 아니오 |
정당색 사용 | 예 |
이전 선거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
이전 선거 연도 | 1987년 |
선거일 | 1992년 12월 18일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
차기 선거 연도 | 1997년 |
후보별 득표 결과 | |
![]() | |
후보 | 김영삼 |
정당 | 민주자유당 |
득표수 | 104,292 |
득표율 | 39.97% |
![]() | |
후보 | 김대중 |
정당 | 민주당 |
득표수 | 85,889 |
득표율 | 32.92% |
![]() | |
후보 | 정주영 |
정당 | 통일국민당 |
득표수 | 42,130 |
득표율 | 16.14% |
후보 | 박찬종 |
정당 | 신정치개혁당 |
득표수 | 23,077 |
득표율 | 8.84% |
관련 정보 | |
직책 | 대통령 |
선거 전 대통령 | 노태우 |
선거 전 대통령 소속 정당 | 무소속 |
선거 후 대통령 | 김영삼 |
선거 후 대통령 소속 정당 | 민주자유당 |
2. 전체 결과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민주자유당 | 104,292 | 39.97% |
김대중 | 민주당 | 85,889 | 32.92% |
정주영 | 통일국민당 | 42,130 | 16.14% |
박찬종 | 신정치개혁당 | 23,077 | 8.84% |
백기완 | 무소속 | 3,647 | 1.39% |
김옥선 | 무소속 | 1,286 | 0.49% |
이병호 | 대한정의당 | 563 | 0.21% |
총계 | 260,884 |
제주도의 총 유권자 수는 330,470명이었다.
2. 1. 주요 후보 결과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가 39.97%의 득표율로 제주도에서 승리했다. 이로써 보수정당은 지난 13대 대선에 이어 다시 한번 제주도에서 승리했다.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32.92%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다. 김대중 후보는 지난 대선에서 10%대의 득표율에 그쳤으나 이번 선거에서는 32%까지 득표율을 크게 끌어올렸다.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는 16.1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정주영 후보는 전국 득표율과 비슷한 수준의 득표율을 제주도에서 기록했다.
신정치개혁당 박찬종 후보는 8.8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지역 | 김영삼 | 김대중 | 정주영 | 박찬종 |
---|---|---|---|---|
제주시 | 38.33% | 32.87% | 16.55% | 10.41% |
북제주군 | 44.74% | 29.37% | 14.57% | 8.68% |
서귀포시 | 36.33% | 38.40% | 16.37% | 6.91% |
남제주군 | 42.26% | 31.87% | 16.75% | 6.75% |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역사상 처음으로 제주도에서 승리한 후보가 제주도 내 모든 지역에서 승리한다는 징크스가 깨졌다. 제주도에서 승리한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는 서귀포시에서 김대중 후보에게 밀려 2위를 기록했다. 김영삼 후보는 시 지역에서는 30%대, 군 지역에서는 40%대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서귀포시에서 1위를 차지했다. 김대중 후보는 김영삼 후보와는 반대로 상대적으로 시 지역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1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신정치개혁당 박찬종 후보는 상대적으로 제주도 북부 지역에서 더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제주시에서는 1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3. 지역별 결과
지역 김영삼 (민주자유당) 김대중 (민주당) 정주영 (통일국민당) 박찬종 (신정치개혁당) 백기완 (무소속) 김옥선 (무소속) 이병호 (대한정의당) 제주시 45,617 (38.33%) 39,122 (32.87%) 19,696 (16.55%) 12,392 (10.41%) 1,621 (1.36%) 396 (0.33%) 162 (0.13%) 북제주군 23,957 (44.74%) 15,726 (29.37%) 7,803 (14.57%) 4,650 (8.68%) 847 (1.58%) 382 (0.71%) 173 (0.32%) 서귀포시 16,042 (36.33%) 16,955 (38.40%) 7,228 (16.37%) 3,051 (6.91%) 535 (1.21%) 233 (0.52%) 105 (0.23%) 남제주군 18,676 (42.26%) 14,086 (31.87%) 7,403 (16.75%) 2,984 (6.75%) 644 (1.45%) 275 (0.62%) 123 (0.27%)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제주도의 각 지역별 투표 결과를 살펴보면,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는 제주시, 북제주군, 남제주군에서 높은 지지를 얻었다. 반면, 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서귀포시에서 김영삼 후보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1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전국적인 지지세를 보여주었다.
3. 1. 제주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민주자유당 | 45,617 | 38.33% |
김대중 | 민주당 | 39,122 | 32.87% |
정주영 | 통일국민당 | 19,696 | 16.55% |
박찬종 | 신정치개혁당 | 12,392 | 10.41% |
백기완 | 무소속 | 1,621 | 1.36% |
김옥선 | 무소속 | 396 | 0.33% |
이병호 | 대한정의당 | 162 | 0.13% |
합계 | 119,006 | 100% |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는 제주시에서 38.33%의 득표율을 기록했는데, 이는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그가 기록한 전국 득표율 42.0%보다 낮은 수치이다.
3. 2. 북제주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민주자유당 | 23,957 | 44.74 |
김대중 | 민주당 | 15,726 | 29.37 |
정주영 | 통일국민당 | 7,803 | 14.57 |
박찬종 | 신정치개혁당 | 4,650 | 8.68 |
백기완 | 무소속 | 847 | 1.58 |
김옥선 | 무소속 | 382 | 0.71 |
이병호 | 대한정의당 | 173 | 0.32 |
합계 | 53,538 | 100 |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가 44.74%의 득표율로 북제주군에서 1위를 차지했다. 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29.37%를 득표하여 2위를 차지하였으며,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는 14.57%를 득표했다.
3. 3. 서귀포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민주당 | 16,955 | 38.40 |
김영삼 | 민자당 | 16,042 | 36.33 |
정주영 | 국민당 | 7,228 | 16.37 |
박찬종 | 신정당 | 3,051 | 6.91 |
백기완 | 무소속 | 535 | 1.21 |
김옥선 | 무소속 | 233 | 0.52 |
이병호 | 정의당 | 105 | 0.23 |
합계 | 44,149 | 100 |
14대 대선에서 서귀포시의 총 유권자 수는 55,326명이었고, 이 중 44,149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16,955표(38.40%)를 득표하여 16,042표(36.33%)를 득표한 민자당 김영삼 후보를 제치고 서귀포시에서 1위를 차지했다. 국민당 정주영 후보는 7,228표(16.37%)를 얻었다.
3. 4. 남제주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민주자유당 | 18,676 | 42.26% |
김대중 | 민주당 | 14,086 | 31.87% |
정주영 | 통일국민당 | 7,403 | 16.75% |
박찬종 | 신정치개혁당 | 2,984 | 6.75% |
백기완 | 무소속 | 644 | 1.45% |
김옥선 | 무소속 | 275 | 0.62% |
이병호 | 정의당 | 123 | 0.27% |
합계 | 44,191 | 100% |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가 남제주군에서 42.2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31.87%로 2위를,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는 16.75%로 3위를 기록했다.
4. 분석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가 39.97%의 득표율로 제주도에서 승리하면서, 보수정당은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 이어 다시 한번 제주도에서 승리했다.
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32.92%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는데, 지난 대선에서 10%대의 득표율에 그쳤던 것에 비해 32%까지 득표율을 끌어올리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는 16.14%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전국 득표율과 비슷한 수준의 득표율을 제주도에서 얻었다.
신정치개혁당 박찬종 후보는 8.8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