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개표 결과는 노태우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노태우는 제주도 전체에서 40.6%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김영삼 후보가 2위, 김대중 후보가 3위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제주시, 북제주군, 서귀포시, 남제주군에서 각 후보의 득표율 차이를 보였다. 노태우는 북제주군과 남제주군에서 과반수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김영삼은 제주도 전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다. 김대중은 제주시에서 비교적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김종필은 제주시와 서귀포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득표율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에서는 김영삼 후보가 43.1%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고 김대중 후보가 38.7%로 2위를 기록했으며, 김대중 후보의 선전은 제주도 정치 지형에 민주당계 정당의 세력 확장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지역에서 김대중 후보가 40.57%의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이회창 후보가 36.59%로 2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광주직할시
1987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직할시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94.4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호남, 특히 광주에서의 높은 지지율을 입증했고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개표 결과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70% 이상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김영삼 후보가 2위를 차지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 6월 민주 항쟁
1987년 대한민국에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13 호헌 조치, 이한열 사망 사건 등을 계기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여 전두환 정권의 6·29 선언을 이끌어내고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 4·13 호헌 조치
4·13 호헌 조치는 1987년 전두환 대통령이 대통령 직선제 개헌 논의를 금지하고 대통령 간선제 유지를 발표한 조치로, 국민적 분노를 일으켜 6월 민주 항쟁의 기폭제가 되어 6.29 선언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이어져 제5공화국 종식에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 |
---|---|
선거 정보 | |
선거명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대통령 |
정당명 | no |
정당색 | yes |
이전 선거 | 해당 없음 |
이전 선거 연도 | 해당 없음 |
선거일 | 1987년 12월 16일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제주도 |
차기 선거 연도 | 1992년 |
투표율 | 해당 없음 |
후보 1 | |
![]() | |
후보 | 노태우 |
정당 | 민주정의당 |
득표수 | 120,502 |
득표율 | 49.77% |
후보 2 | |
![]() | |
후보 | 김영삼 |
정당 | 통일민주당 |
득표수 | 64,844 |
득표율 | 26.78% |
후보 3 | |
![]() | |
후보 | 김대중 |
정당 | 평화민주당 |
득표수 | 45,139 |
득표율 | 18.64% |
기타 정보 | |
직책 | 대통령 |
선거 전 대통령 | 전두환 |
선거 전 대통령 소속 정당 | 민주정의당 |
선거 후 대통령 | 노태우 |
선거 후 대통령 소속 정당 | 민주정의당 |
2. 개표 결과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제주도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제주도 전 지역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
지역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김종필 | 신정일 |
---|---|---|---|---|---|
득표수 (득표율) | 120,502 (49.93%) | 64,844 (26.85%) | 45,139 (18.70%) | 10,830 (4.48%) | 683 (0.28%) |
제주시 | 45,396 (44.50%) | 29,864 (29.27%) | 20,896 (20.48%) | 5,649 (5.53%) | 202 (0.19%) |
북제주군 | 31,017 (57.36%) | 13,559 (25.07%) | 7,253 (13.41%) | 2,039 (3.77%) | 198 (0.36%) |
서귀포시 | 18,578 (44.44%) | 10,677 (25.54%) | 10,320 (24.69%) | 2,102 (5.02%) | 119 (0.28%) |
남제주군 | 25,511 (57.67%) | 10,744 (24.29%) | 6,670 (15.08%) | 1,140 (2.57%) | 164 (0.37%) |
2. 1. 제주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45,396 | 44.50%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29,864 | 29.27%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20,896 | 20.48%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5,649 | 5.53%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202 | 0.19% |
합계 | 102,007 | 100% |
2. 2. 북제주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31,017 | 57.36%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3,559 | 25.07%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7,253 | 13.41%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2,039 | 3.77%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198 | 0.36% |
합계 | 54,066 | 100% |
2. 3. 서귀포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18,578 | 44.44%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0,677 | 25.54%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10,320 | 24.69%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2,102 | 5.02%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119 | 0.28% |
합계 | 41,796 | 100% |
2. 4. 남제주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25,511 | 57.67%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0,744 | 24.29%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6,670 | 15.08%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140 | 2.57%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164 | 0.37% |
합계 | 44,229 | 100%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49.77%의 득표율로 제주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제주도는 제3공화국 시절 대통령 선거에서도 보수 정당인 민주공화당을 지지했으며, 제6공화국에서도 이러한 기조가 이어졌다.
3. 전체 결과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노태우 민주정의당 120,502 49.77 김영삼 통일민주당 64,844 26.78 김대중 평화민주당 45,139 18.64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10,930 4.51 신정일 한주의통일한국당 683 0.28 합계 242,098 100.00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49.77%의 득표율로 제주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제주도는 3공화국 시절 치러진 대선에서도 보수정당인 민주공화당에 투표했는데, 6공화국 이후에도 이러한 기조가 이어졌다.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26.78%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으며,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그 뒤를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4.5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4. 주요 후보 결과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26.78%로 2위,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18.64%로 3위를 차지했다.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4.5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부진했다.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노태우 민주정의당 120,502 49.77% 김영삼 통일민주당 64,844 26.78% 김대중 평화민주당 45,139 18.64%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10,930 4.51% 신정일 한주의통일한국당 683 0.28%
4. 1. 지역별 득표율 비교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제주도 모든 지역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북제주군과 남제주군에서는 과반이 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승했다.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지만, 제주시와 서귀포시 같은 시 지역에서는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와 접전을 벌였다. 반면 군 지역에서는 김대중 후보보다 10%p 이상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김대중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3위를 기록했지만, 시 지역에서는 김영삼 후보와의 격차를 한 자릿수로 줄이며 선전했다.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5%대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지역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김종필 |
---|---|---|---|---|
제주시 | 44.50% | 29.27% | 20.48% | 5.53% |
북제주군 | 57.36% | 25.07% | 13.41% | 3.77% |
서귀포시 | 44.44% | 25.54% | 24.69% | 5.02% |
남제주군 | 57.67% | 24.29% | 15.08% | 2.57%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