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안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안대군은 조선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여섯째 아들이다. 출생 및 사망 시기는 기록이 없어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건국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우왕 11년(1385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 종사랑 성균관박사를 역임했다. 태종 9년(1409년) 문안군으로 추증되었고, 고종 9년(1872년) 덕안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영종정경에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태조의 자녀 - 경선공주
경선공주는 조선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딸로, 1393년 심종에게 하가하여 딸 하나를 두었으며, 남편의 사망 후 1446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고종 때 공주로 봉해졌다. - 조선 태조의 자녀 - 회안대군
태조 이성계의 넷째 아들인 회안대군 이방간은 조선 건국 공신으로 회안군에 봉해졌으나,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유배 생활을 하다 병사했고, 사후 고종 때 신원 회복되어 시호를 받았다. - 고려의 불교 신자 - 방신우
방신우는 고려 말 원나라에서 몽골식 이름 망쿠다이로 활동하며 평장정사까지 오른 관리로서, 충선왕 옹호와 고려의 국익을 위한 활동을 펼치다 원나라에서 사망 후 고려에 안장되었다. - 고려의 불교 신자 - 염제신
염제신은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원나라 관료 생활 후 고려로 돌아와 기철 일파 숙청과 홍건적 격퇴에 공을 세워 문하시중에 올랐으며, 공민왕의 후궁 신비 염씨의 아버지로서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 개성시 출신 - 마해송
마해송은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이자 언론인으로, 방정환 등과 색동회를 조직하여 아동문학 운동을 전개했으며, 광복 후에는 작품을 통해 사회상을 비판하는 등 대한민국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개성시 출신 - 오자복
오자복은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대장으로 예편하기까지 36년간 복무했으며, 국방부 장관, 대한방직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덕안대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방연 |
원래 이름 | 이방연(李芳衍) |
출생일 | 미상 (1370년 전후) |
사망일 | 미상 (1387년 전후) |
작위 | 고려국 성균관 종사랑 |
임기 | 1385년 8월 1일 ~ 1387년 8월 31일 |
군주 | 우왕 |
출생지 | 고려 개경 송헌 장군 사저 |
사망지 | 고려 개경 |
학력 | 1385년 문과 급제 |
작위2 | 문안군(文安君) 덕안대군(德安大君) |
종교 | 불교 |
본관 | 전주 이씨 |
가족 관계 | |
자녀 | 금산군 이중군(양자) |
아버지 | 조선 태조 이성계 |
어머니 | 신의왕후 한씨(모) 신덕왕후 강씨(계모) |
친인척 | 이방우(동복 형) 이경(방과, 동복 형) 이방원(동복 형) 경선공주(동복 누이동생) 이방번(이복 남동생) 청릉군 이희철(양손자)금산군 이중군의 양자이고 덕안대군 이방연의 양손자인 청릉군 이희철은 본래 덕안대군의 작은아버지인 의안대군 이화의 친증손자. 이정효(봉사손) |
2. 생애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 사이에서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언제 태어나고 죽었는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으나, 태조실록의 태조 2년(1393년) 기사에 이미 일찍 죽었다고 기록된 것으로 보아[2] 적어도 조선 건국 이전에 사망한 것은 확실하다.
아버지가 1392년(태조 1) 이성계가 즉위하면서 여러 왕자를 군(君)으로 봉작할 때 이미 세상을 떠났으므로 봉호를 내리지 않았다. 이후 원윤(元尹)에 증직되었다.
2. 1. 고려 관직 활동
1385년(고려 우왕 11년) 과거에 합격하여 관직에 진출했고[3], 이색이 쓴 이자춘 묘비명에 따르면 종사랑 성균관박사를 역임했다 한다.3. 사후
조선 건국 후, 이미 사망한 상태였기 때문에 봉작을 받지 못했다. 태종 때 문안군으로 추증되었고, 고종 때 덕안대군으로 다시 추봉되었다.
3. 1. 추증
태종 9년(1409년) 음력 윤4월 10일에 '''문안군'''(文安君)에 추증되었으며, 동복 친형인 태종 때에 대군이 아닌 군에 추봉되었는가 하는 점은 불확실하다. 고종 9년(1872년) 음력 12월 4일 '''덕안대군'''(德安大君)에 추봉되었고[4], 같은 해 영종정경(領宗正卿)에 추증되었다.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부왕 | 태조 |
모후 | 신의왕후 |
형 | 진안대군 이방우 |
형 | 정종 이방과 |
형 | 익안대군 이방의 |
형 | 회안대군 이방간 |
형 | 태종 이방원 |
동생 | 경신공주 |
동생 | 경선공주 |
계모 | 신덕왕후 |
양자 | 금산군 (회안대군의 넷째 아들) |
봉사손 | 이정효 (회안대군의 16대손) |
참조
[1]
문서
금산군 이중군의 양자이고 덕안대군 이방연의 양손자인 청릉군 이희철은 본래 덕안대군의 작은아버지인 의안대군 이화의 친증손자
[2]
서적
조선왕조실록
1393-09-18
[3]
서적
조선왕조실록
1409-04-10
[4]
간행물
승정원일기
1872-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