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진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진구는 1989년 5월 1일 전주시에 설치된 구로, '큰 나루'라는 뜻의 지명 유래를 가지고 있다. 16개의 행정동과 37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주시 면적의 55%를 차지한다. 교통 시설로는 전주시외버스터미널, 전주고속버스터미널, 전주역 등이 있으며, 교육 기관으로는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주요 문화 시설로는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주한지박물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구 - 완산구
완산구는 1989년 완산출장소에서 승격되어 설치된 전라북도 전주시의 구이며, 전주시 면적의 약 45%를 차지하고 풍남문, 전주 객사, 전주 경기전, 전주한옥마을, 전동성당 등의 관광지가 있다. - 덕진구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는 1947년 설립되어 전북특별자치도에 여러 캠퍼스를 둔 거점국립대학교로, 다양한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순위를 기록했다. - 덕진구 - 전주시 갑
전주시 갑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와 완산구 일부를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 총선에서 신설되었으며 20대에는 김광수 의원, 21대와 22대에는 김윤덕 의원이 당선되었다. - 전주시의 행정 구역 - 완산구
완산구는 1989년 완산출장소에서 승격되어 설치된 전라북도 전주시의 구이며, 전주시 면적의 약 45%를 차지하고 풍남문, 전주 객사, 전주 경기전, 전주한옥마을, 전동성당 등의 관광지가 있다. - 전주시의 행정 구역 - 금암동 (전주시)
금암동은 전주시 덕진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전주군 부북면 지역에서 유래하여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금암동이 되었으며, 금융, 교통 시설과 교육 시설, 조경단 등이 위치해 있다.
덕진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일반 정보 | |
행정 구역 명칭 | 덕진구 |
한글 | 덕진구 |
한자 | 德津區 |
로마자 표기 | Deokjin-gu |
면적 | 110.6km² |
통계 연도 | 2023년 |
총 인구 | 315,549명 |
남자 인구 | 156,730명 |
여자 인구 | 158,819명 |
상위 자치 단체 | 전주시 |
하위 행정 구역 | 25개 법정동, 15개 행정동 |
구청 웹사이트 | 덕진구청 |
행정 | |
구청장 | 김봉정 |
국회의원 (전주시 갑) | 김윤덕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전주시 병) | 정동영 (더불어민주당) |
구청 소재지 | 덕진구 벚꽃로 55 (진북동) |
2. 역사
1988년 7월 1일 전주시에 덕진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89년 5월 1일 덕진구로 승격되었다.[9] 1989년 1월 1일에는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금상리가 우아동에 편입되었다.[8]
2. 1. 유래
'''덕진'''(德津)은 '큰 나루'라는 뜻으로, 동국여지승람에서는 현재의 덕진공원 호수를 '덕진지'(德津池)라고 쓰고 있다. 이 지역은 예부터 만경강으로 통하는 조운(漕運)의 구실을 한 중요 물길의 시발점이었다.1988년 2개의 출장소를 개소할 당시 구성된 지명위원회에서 산수(山水)가 조화를 이뤄 덕(德)을 향유하고 완산칠봉(完山七峰)의 정기가 덕진의 나루를 타고 전주가 배출한 사람들을 통해 세계 만방에 뻗어 나가라는 뜻을 상징하여 '완산'과 '덕진'이라고 명칭을 정하였다.[6]
2. 2. 연혁
- 1988년 7월 1일 : 전주시 덕진출장소를 개소하였다.[7]
- 1989년 1월 1일 :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금상리가 우아동에 편입되었다.[8]
- 1989년 5월 1일 : 덕진출장소가 '''덕진구'''로 승격하였다.[9] (16행정동)
- 1994년 12월 26일 : 김제군 백구면 도덕리, 강흥리, 도도리와 용지면 남정리가 조촌동에 편입되었다.[10]
- 1996년 9월 1일 : 우아동을 우아1동, 우아2동으로, 송천동을 송천1동, 송천2동으로 분동하였다.[11] (18행정동)
- 1998년 8월 1일 : 전미동을 송천2동에 합동하였다.[12] (17행정동)
- 2005년 8월 1일 : 서노송동을 완산구로 이관하고,[13] 진북1동과 진북2동을 진북동으로 합동하였다.[14] (15행정동)
- 2018년 7월 1일 : 전북혁신도시 지역(장동 일부, 만성동 일부, 완산구에서 편입된 중동)을 관할로 혁신동을 설치하였다. (16행정동)
- 2019년 10월 1일 : 동산동의 행정동명을 여의동으로 변경하였다.
- 2020년 5월 15일 : 법정동 동산동의 이름을 여의동2가로 변경하였다.
- 2023년 6월 30일 : 여의동 관할이던 만성동(온고을로 북쪽 제외)을 혁신동에 편입하였다.
3. 행정 구역
덕진구는 16개의 행정동과 37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덕진구의 면적은 전주시 전체 면적(205.5km2)의 55%에 해당하는 112.95km2이다.[15]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31만 5555 명, 13만 22 가구이다.[16] 덕진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행정동은 신시가지인 송천1동이고, 인구가 가장 적은 행정동은 원도심(原都心) 인근에 위치한 금암1동이다.
- 지도에 혁신동의 관할 구역이 법정동 중동으로 한정해 실제보다 작게 표시되어 있다.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진북동 | 鎭北洞 | 1.71km2 | 14,852 | 6,821 |
인후1동 | 麟後洞 | 1.29km2 | 18,950 | 7,318 |
인후2동 | 1.32km2 | 11,797 | 5,777 | |
인후3동 | 1.68km2 | 32,160 | 13,710 | |
덕진동 | 德津洞 | 4.78km2 | 20,355 | 9,427 |
금암1동 | 金岩洞 | 1.25km2 | 7,532 | 4,679 |
금암2동 | 1.25km2 | 10,341 | 4,989 | |
팔복동 | 八福洞 | 7.38km2 | 8,029 | 4,211 |
우아1동 | 牛牙洞 | 1.44km2 | 9,965 | 4,704 |
우아2동 | 22.91km2 | 14,956 | 7,360 | |
호성동 | 湖城洞 | 7.64km2 | 21,042 | 7,835 |
송천1동 | 松川洞 | 4.79km2 | 59,125 | 20,428 |
송천2동 | 12.14km2 | 26,586 | 9,832 | |
조촌동 | 助村洞 | 24.28km2 | 11,968 | 5,743 |
여의동 | 如意洞 | 15.71km2 | 29,997 | 11,726 |
혁신동 | 革新洞 | 3.33km2 | 17,900 | 5,462 |
덕진구 | 德津區 | 112.95km2 | 315,555 | 130,022 |
3. 1.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
행정동 | 법정동 |
---|---|
진북동 | 진북동 |
인후1동 | 인후동1가 |
인후2동 | 인후동1가, 인후동2가 |
인후3동 | 인후동1가 |
덕진동 | 덕진동1가, 덕진동2가 |
금암1동, 금암2동 | 금암동 |
팔복동 | 팔복동1가, 팔복동2가, 팔복동3가, 팔복동4가 |
우아1동 | 우아동3가 |
우아2동 | 우아동1가, 우아동2가, 우아동3가, 산정동, 금상동 |
호성동 | 호성동1가, 호성동2가, 호성동3가 |
송천1동, 송천2동 | 송천동1가, 송천동2가, 전미동1가, 전미동2가 |
조촌동 | 화전동, 반월동, 원동, 성덕동, 용정동, 남정동, 도덕동, 강흥동, 도도동 |
여의동 | 여의동2가, 여의동, 고랑동, 만성동, 장동 |
혁신동 | 장동, 만성동, 중동 |
4. 교통
- '''전주시외버스터미널'''은 1974년 전북고속이 인수한 이래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으며, 2003년 전주고속버스터미널과 함께 전주시에서 이전을 검토했었다. 2005년에는 전주월드컵경기장 주변 이전을 검토했으나 장기 유보되었다. 전주 주변권,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영남권 등을 모두 운행한다.
- '''전주고속버스터미널'''은 덕진구 금암동에 있다.
- '''전주역'''은 한국철도 전라선의 철도역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에 있다. 전라선을 운행하는 모든 새마을호,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011년 10월 5일 전라선 복선 전철화 개통으로 KTX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전주역에는 모든 KTX가 정차하며, 한옥으로 지어진 것이 특징이다.
4. 1. 철도
전주역은 한국철도 전라선의 철도역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에 있다. 전라선을 운행하는 모든 새마을호,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전주시의 교통 요충지이며, 2011년 10월 5일 전라선 복선 전철화가 개통되어, KTX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전주역에는 모든 KTX가 정차한다. 한옥으로 지어진 것이 특징이다.[1]4. 2. 버스
- '''전주시외버스터미널'''
1974년 전북고속이 인수한 이래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으며, 2003년 전주고속버스터미널과 함께 전주시에서 이전을 검토했었다. 2005년에는 전주월드컵경기장 주변에 전주고속버스터미널과 함께 이전을 검토하였으나, 장기 유보되었다. 전주의 주변권,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영남권 등을 모두 운행한다.
- '''전주고속버스터미널'''
덕진구 금암동에 위치한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5. 교육 기관
고등학교 이상의 학교는 전주시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