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통해 국가 균형 발전을 목표로 건설되는 도시로, 2003년 노무현 정부에서 추진이 발표되었다. 2007년 혁신도시특별법 제정을 통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전국 10개 지역에 혁신도시 입지를 선정했다. 이후 2020년 대전·충남 혁신도시가 추가 지정되었다. 혁신도시는 산·학·연·관 연계를 통한 혁신 거점 도시, 지역 특성을 살린 특성화 도시, 친환경 녹색 도시, 교육·문화 도시를 지향하며, 인구 2만~5만 명 규모로 개발된다. 혁신도시 건설 과정에서 행정수도 이전 무산, LH 본사 이전 문제, 지역 간 갈등, 다운계약서 작성 및 투기 논란, 부실 시공 등의 사건·사고가 발생했으며, 산업 특성 무시, 수도권 건설업체 수주 편중, 수도권 역차별론 등의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도시 - 명지국제신도시
- 노무현 정부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노무현 정부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혁신도시 | |
---|---|
혁신도시 개요 | |
유형 | 대한민국의 도시 형태 중 하나 |
정의 | 공공기관 지방 이전 및 지역 성장 거점 육성을 목표로 조성되는 도시 |
혁신도시의 목표 및 기능 | |
주요 목표 |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지역 성장 거점 육성 지역 균형 발전 촉진 |
주요 기능 | 이전 공공기관의 업무 공간 제공 주거, 교육, 문화, 의료 등 정주 여건 조성 산학연 협력 및 지역 산업 육성 |
혁신도시 건설 배경 | |
배경 | 수도권 집중 해소 및 지역 균형 발전 필요성 증대 낙후된 지방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요구 공공기관의 효율적인 지방 이전 및 정착 지원 |
혁신도시 건설 현황 | |
조성 지역 | 전국 10개 지역 (각 시·도별 1개 혁신도시 건설 원칙) |
주요 시설 | 이전 공공기관 청사 주거 시설 (아파트, 단독주택 등) 교육 시설 (학교, 어린이집 등) 상업 시설 (마트, 상가 등) 문화 시설 (공연장, 박물관 등) 의료 시설 (병원, 보건소 등) 공원 및 녹지 공간 |
혁신도시의 효과 및 과제 | |
기대 효과 |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지역 간 균형 발전 촉진 공공기관의 효율성 향상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 |
주요 과제 | 이전 공공기관의 조기 정착 및 지역 사회와의 융화 혁신도시의 자족 기능 확보 및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 마련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및 만족도 제고 |
관련 법규 | |
관련 법률 |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
2. 근거 법률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3. 연혁
4. 혁신도시 개발 유형
한국 각지의 혁신도시는 다음 4가지 컨셉에 따라 개발된다.
- 산·학·연·관 연계를 통한 혁신 거점 도시
- * 이전해 온 정부 기관과 지역의 전략 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 발전을 견인한다.
- * 산·학·연·관 연합체를 통한 새로운 지역 발전의 성장 동력을 창출한다.
- 지역의 테마를 활용한 개성적인 특성화 도시
- * 각 혁신도시마다 해당 지역의 특색, 산업별 특성을 브랜드화한다.
- *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살리는 랜드마크와 개성적인 이미지를 창출한다.
- 누구에게나 살기 좋은, 환경 친화적인 녹색 에코 시티
- * 자연 환경을 가능한 한 보호하고, 생태계의 다양성, 순환성을 확보한다.
- * 에너지 절약과 자원 절약을 실천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 공간의 구조와 교통 시스템을 구축한다.
- 학습과 창의적 교류가 가능한 교육·문화 도시
- * 특수목적고등학교 설립 등을 통해 우수하고 선진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 * 지역 특성과 아름다운 경관을 활용한, 품격 있는 도시 문화를 연출한다.
- * 지역 정보 시대의 첨단 도시 운영 시스템이 통합된 U-City(유비쿼터스 시티)를 조성한다.
5. 혁신도시 개발 규모
혁신도시의 계획 인구는 약 2만~5만 명으로 예상되며, 자연경관 보전 및 쾌적한 주거 환경 등을 고려하여 250~350인/ha 수준의 중·저밀도로 개발되었다.[1] 국내 신도시 수준인 1인당 부지면적 25평~50평을 적용할 경우, 인구 2만 명 수용을 위한 면적은 약 500000평~1000000평, 인구 5만 명 수용을 위한 면적은 약 1500000평~2500000평 규모이다.
5. 1. 인구
혁신도시의 계획 인구는 약 2만~5만 명으로 예상되며, 단계적으로 개발되었다. 자연경관 보전 및 쾌적한 주거 환경 등을 고려하여 250~350인/ha 수준의 중·저밀도로 개발되었다. 국내 신도시 수준인 1인당 부지면적 25평~50평을 적용할 경우, 인구 2만 명 수용을 위한 면적은 약 50~100만 평, 인구 5만 명 수용을 위한 면적은 약 150~250만 평 규모이다.혁신도시 개발은 다음과 같이 3단계로 진행되었다.
단계 | 시기 | 내용 | 비고 |
---|---|---|---|
1단계 | 2007년 ~ 2012년 | 이전 공공기관 정착 단계 | 이전 공공기관 및 연관기업 종사자 수 약 2,500 ~ 4,000명, 유발인구 약 15,000 ~ 25,000명 |
2단계 | 2013년 ~ 2020년 | 산·학·연 정착 단계 | 혁신도시에 유치된 민간기업, 대학, 연구소 종사자 수 약 4,000 ~ 8,000명, 유발인구 25,000 ~ 50,000명 |
3단계 | 2021년 ~ 2030년 | 혁신확산 단계 | 혁신클러스터 확산에 따른 일자리 수와 유발인구는 지역과 규모에 따라 상이 |
5. 2. 도시 개발 규모
혁신도시의 계획 인구는 약 2만~5만 명으로 예상되며, 단계별로 개발이 진행된다.[1]단계 | 기간 | 내용 | 비고 |
---|---|---|---|
1단계 | 2007년 ~ 2012년 | 이전해 온 정부 기관의 정착 단계 | 이전해 온 정부 기관 및 관련 기업 종사자 수: 2,500~4,000명 간접적인 인구 유입 효과: 약 1만 5천~2만 5천 명 |
2단계 | 2013년 ~ 2020년 | 산·학·연의 정착 단계 | 혁신 도시에 유치된 민간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종사자 수: 약 4,000~8,000명 간접적인 인구 유입 효과: 2만 5천~5만 명 |
3단계 | 2021년 ~ 2030년 | "혁신 확산" 단계 | 산·학·연·관 연합체의 확산에 따른 채용 인원 증가 및 잠재적인 인구 유입 효과는 지역 및 규모에 따라 다름 |
6. 혁신도시 주요 정책 추진 일정
- 2003년 6월: '국가의 균형 발전을 위한 공공기관 지방 이전 추진 방침' 발표
- 2004년 4월: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에 대한 법적 근거 추가
- 2005년 12월 23일: 10개 혁신도시 입지 선정 완료
- 2007년 1월 11일: 혁신도시 특별법 제정 (같은 해 2월 12일 시행)
- 2007년~2012년: 총 180개 정부 관련 기관의 지방 이전 승인
7. 선정 기준 및 절차
혁신도시 선정 기준은 간선교통망과의 접근성(배점 20점), 혁신 거점으로서의 적합성(배점 20점), 기존 도시 인프라 및 생활 편익 시설 활용 가능성(배점 10점), 도시 개발의 용이성 및 경제성(배점 15점), 환경 친화적 입지 가능성(배점 10점), 지역 내 균형 발전(배점 10점), 혁신도시 성과 공유 방안(배점 10점),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배점 5점)이었다.
7. 1. 입지 선정 기준 (총 배점: 100)
평가 항목 | 배점 |
---|---|
혁신 거점으로의 발전 가능성 (50점) | |
간선 교통망과의 접근성 | 20 |
혁신 거점으로서의 적합성 | 20 |
기존 도시 인프라 및 생활 편익 시설 활용 가능성 | 10 |
도시 개발의 적정성 (25점) | |
도시 개발의 용이성 및 경제성 | 15 |
환경 친화적 입지 가능성 | 10 |
지역 내 동반 성장 가능성 (25점) | |
지역 내 균형 발전 | 10 |
혁신도시 성과 공유 방안 | 10 |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 | 5 |
2005년 9월 28일, 시도별로 '혁신도시입지선정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하여 20명(공동 혁신 도시는 30명) 내외로, 국토·도시 계획 또는 지역 경제·산업 관련 전문가, 이전 기관 협의회 추천자 등으로 구성되었다.[1]
2005년 12월 23일, 전문 연구 기관의 용역을 바탕으로 제정된 입지 선정 지침 및 각 시도별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세부 기준에 따라 입지선정위원회가 후보지를 평가하였다.[1]
2006년 2월, 각 시도별 후보지 평가 및 선정에 관해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최종 입지 10곳을 확정하였다.[1]
7. 2. 입지 선정 절차
평가 항목 | 배점 |
---|---|
간선교통망과의 접근성 | 20 |
혁신거점으로서의 적합성 | 20 |
기존 도시 인프라 및 생활 편익 시설 활용 가능성 | 10 |
도시 개발의 용이성 및 경제성 | 15 |
환경친화적 입지 가능성 | 10 |
지역 내 균형 발전 | 10 |
혁신도시 성과 공유 방안 | 10 |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 | 5 |
8. 이전 대상 공공기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라 이전 대상 공공기관은 전국적으로 409개였으며, 이 중 약 85%인 345개가 수도권에 있었다. 이 가운데 180개 기관이 지방 이전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혁신도시특별법 적용을 받는 기관은 157개(혁신도시 124개, 개별 이전 16개, 세종시 17개)이며, 23개 기관은 행복도시특별법에 따라 세종특별자치시로 이전했다.[1]
8. 1. 이전 대상 공공기관 선정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라, 중앙행정기관을 포함한 정부 기관은 전국적으로 409개소에 달하며, 그 중 약 85%인 345개소가 서울 등 수도권에 몰려 있다.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제18조 및 동법 시행령 제15조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관은 이전을 '''제외'''한다.[1]
- 중앙행정기관(부처 수준,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건설 계획에 따라 이전 여부를 결정)
- 수도권을 관할하는 기관
- 수도권 내의 "낙후 지역"(타 지역보다 개발이 늦어지는 지역)과 폐기물 매립지 소재 기관
- 공연·전시·도서·지역문화복지·의료시설 등 수도권 주민의 문화·복리 증진에 기여하는 시설을 관리하는 기관
- 수도권 지역 내 문화유적, 묘지, 매립지, 북한 출입 관련 장소, 철도역, 공항 등을 관리하는 기관
- 구성원 간의 상호 부조, 권익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
- 그 외 수도권 소재가 불가피하다고 인정된 기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수도권 소재 345개 공공기관 중 175개 기관을 이전대상기관으로 선정하였다. 2005년 6월 24일 계획 발표 이후 농촌진흥청 및 관세국경관리연수원 등 5개 기관이 추가로 이전대상에 포함되어 전체 지방이전대상 공공기관은 180개이다.[1]
전체 180개 기관 중 혁신도시특별법 적용을 받는 기관은 157개 기관이며(혁신도시 124개 + 개별이전 16개 + 세종시 17개), 23개 기관은 행복도시특별법 적용을 받는 세종특별자치시로 이전하였다.[1]
9. 시·도별 배치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포함하는 수도권과 대전광역시(한국 정부 대전청사, 대덕 연구 단지 등 위치)를 제외한 12개 광역시·도에 "공평성의 원칙"을 고려하여 혁신도시가 배치되었다. 정부 기관의 지방 이전에 따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한 곳의 혁신도시에는 가능한 유사한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을 묶어서 배치하였다.
9. 1. 영남권 (75)
영남권에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에 혁신도시가 조성되었다.지역 | 위치 및 기능군 |
---|---|
부산광역시 | 영도구 동삼동 일원(해양수산), 남구 문현금융단지(금융), 해운대구 우동 일원(시네포트 단지, 영화진흥), 남구 대연혁신지구 |
울산광역시 | 중구 우정동 일원 (에너지, 근로복지, 산업안전 등) |
경상남도 | 진주시 충무공동 일원 (주택 건설, 중소기업 진흥 등) |
대구광역시 | 동구 안심동 일원 (산업 진흥, 교육·학술, 가스 산업 등) |
경상북도 | 김천시 율곡동 일원 (도로 교통, 농업 기술, 조달, 전력 기술 등) |
9. 1. 1. 부산광역시 (21)
부산광역시에는 영도구 동삼동 일원(616천m²), 남구 문현동 일원의 문현금융단지(102천m²), 해운대구 우동 일원의 시네포트 단지(61천m²), 남구 대연동 군수사령부 이전부지 대연혁신지구(156천m²)에 혁신도시가 조성되었다.[11][12][13][14][15][16] 혁신도시의 기능군은 해양수산, 금융, 영화진흥 등이다.이전 기관은 다음과 같다.
기관명 | 기능군 |
---|---|
한국자산관리공사(간사기관) | 금융 |
주택도시보증공사 | 금융 |
한국주택금융공사 | 금융 |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 해양수산 |
국립해양조사원 | 해양수산 |
부산국제금융연수원 | 금융 |
한국예탁결제원 | 금융 |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해양수산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기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해양수산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해양수산 |
해양환경개발교육원 | 해양수산 |
국립해양박물관 | 해양수산 |
해양종합금융센터 | 금융 |
게임물관리위원회 | 영화진흥 |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 | 영화진흥 |
영상물등급위원회 | 영화진흥 |
영화진흥위원회 | 영화진흥 |
캠코선박운용 | 금융 |
한국해양보증 | 금융 |
한국남부발전㈜ | 기타 |
9. 1. 2. 울산광역시 (11)
울산광역시 중구 우정동 일대에 위치하며, 에너지, 근로복지, 산업안전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들이 이전해 있다. 이전 기관은 다음과 같다.- 근로복지공단 (간사 기관)
- 한국석유공사
- 안전보건공단
- 한국산업인력공단
- 한국에너지공단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에너지경제연구원
- 한국기술자격검정원
- 고용노동부 종합상담센터
- 한국동서발전(주)
- 도로교통공단 운전면허본부
9. 1. 3. 경상남도 (11)
경상남도 진주시 충무공동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주택 건설, 중소기업 진흥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전 기관은 다음과 같다.- 주택관리공단(주)(간사 기관)
- 한국토지주택공사(LH)
- 중소기업진흥공단
- 한국시설안전공단
- 국방기술품질원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한국세라믹기술원
-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 중앙관세분석소
- 한국저작권위원회
- 한국남동발전(주)
9. 1. 4. 대구광역시 (15)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동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업 진흥, 교육·학술, 가스 산업 등의 기능군을 가진다. 이전 기관은 다음과 같다.기관명 | 비고 |
---|---|
한국가스공사 | 간사 기관 |
한국산업단지공단 |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
한국사학진흥재단 | |
한국장학재단 | 구 한국학술진흥재단 |
의료기술시험훈련원 | |
중앙교육연수원 | 구 교육과학기술연수원 |
한국감정원 |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한국뇌연구원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설 기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구 한국산업기술평가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 한국정보사회진흥원+한국정보문화진흥원 통합 기관, 교육·연수 기능은 제주특별자치도로 이전 |
중앙신체검사소 | |
한의기술응용센터 | 한국한의학연구원 부설 기관 |
신용보증기금 |
9. 1. 5. 경상북도 (13)
경상북도 김천시 율곡동 일대에 위치하며, 도로 교통, 농업 기술, 조달, 전력 기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전 기관은 다음과 같다.이전 기관 |
---|
한국도로공사(간사 기관) |
한국건설관리공사 |
교통안전공단 |
대한법률구조공단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
조달교육원 |
조달품질원 |
농림축산검역본부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국립종자원 |
기상통신소 |
우정사업조달센터 |
한국전력기술 |
9. 2. 충청권 (47)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하는 중앙행정기관, 중앙행정기관 산하 소속기관[39][40]을 제외한 기관들이 이전하였으며, 사실상 충청남도[41]로 이전[42]되었다.- 위치: 옛 연기군 일대 22120000m2 (행정중심복합도시)
9. 2. 1. 세종특별자치시 (23)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하는 중앙행정기관, 중앙행정기관 산하 소속기관[39][40]을 제외한 기관들이며 사실상 충청남도[41] 이전[42]이다.- 위치: 옛 연기군 일대 및 공주시 일부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특별자치시)로 충청남도에서 분리)
- 이전 기관: 선박안전기술공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4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4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45], 한국협동조합연구소
9. 2. 2. 대전광역시 (+3)
위치 | 기관 |
---|---|
유성구 봉산동 | 한국가스기술공사 |
유성구 도룡동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특허정보원 |
9. 2. 3. 충청남도 (+8)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하는 중앙행정기관, 중앙행정기관 산하 소속기관[39][40]을 제외한 기관들이며 사실상 충청남도[41] 이전[42]이다.위치 | 기능군 | 이전 기관 |
---|---|---|
연기시내 일원 22120000m2 (행정중심복합도시) | 선박안전기술공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4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4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45], 한국협동조합연구소 |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두촌리·음성군 맹동면 두성리, 동성리 일원(6.924km2) | 정보통신, 인력개발, 과학기술 등 | 한국가스안전공사(간사기관), 국가기술표준원[49], 법무연수원[50], 정보통신산업진흥원[5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52],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소비자원[53], 소방장비검사검수센터[54], 한국인정지원센터 |
아산시 | * 배방읍: 국립특수교육원 | |
논산시 양촌면 | 국방대학교 | |
보령시 대천동 | 한국중부발전(주) | |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 관세국경관리연수원 | |
태안군 태안읍 | 한국서부발전(주) |
모두 개별 이전
9. 2. 4. 충청북도 (13)
- 위치: 연기군 일원 22120000m2 (행정중심복합도시)
- 이전 기관: 선박안전기술공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4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4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45], 한국협동조합연구소
9. 3. 호남권 (32)
호남권에서는 당초 광주혁신도시와 전남혁신도시를 별개로 추진했었다. 그러나 한국전력공사, 한전KPS㈜[58], 한국전력거래소, 한전KDN㈜ 등 전력 산업 관련 기관들을 유치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가 합의하여, 광주혁신도시를 전남 지역에 건설하고 광주 인근 지역에 공동 혁신도시를 추진하기로 하였다.9. 3. 1.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공동 16)
당초 광주혁신도시와 전남혁신도시는 별개의 혁신도시로 추진되었으나, 한국전력공사, 한전KPS㈜[58], 한국전력거래소, 한전KDN㈜ 등 전력 산업 관련 4개 기관을 유치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합의를 바탕으로 광주혁신도시를 전남 지역에 건설하되, 광주 인근 지역에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공동 혁신도시를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 일원(7300000m2)
- 기능군 : 전력산업, 농수산업, 방송통신, 문화예술 등
- 이전 기관 : 한국전력공사(간사기관), 한국농어촌공사[59],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60],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국립전파연구원[61],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식품공무원교육원[6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63],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전력거래소, 우정사업정보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전KDN㈜, 한전KPS㈜
9. 4. 강원권 (13)
강원혁신도시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반곡동 일원에 조성되었으며, 광업, 건강, 생명, 관광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기관들이 이전해왔다. 이전 기관으로는 한국광물자원공사(간사기관)[71], 대한석탄공사, 한국관광공사, 국립공원공단[72], 국민건강보험공단, 도로교통공단, 한국광해관리공단,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대한적십자사 등이 있다.9. 4. 1. 강원특별자치도 (12)
강원혁신도시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반곡동 일원에 3600000m2 규모로 조성되었다.[71][72] 광업, 건강생명, 관광 등의 기능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공공기관들이 이전해왔다.이전 기관 |
---|
한국광물자원공사 (간사기관)[71] |
대한석탄공사 |
한국관광공사 |
국립공원공단[72] |
국민건강보험공단 |
도로교통공단 |
한국광해관리공단 |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대한적십자사 |
9. 5. 제주권 (8)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호동 일원에 규모로 조성되었으며, 국제교류, 교육연수, 국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전 기관으로는 국토교통인재개발원(간사기관)[73], 공무원연금공단, 재외동포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국립기상과학원[74], 국세공무원교육원, 국세청 고객만족센터, 국세청 주류면허지원센터 등이 있다.9. 5. 1. 제주특별자치도 (8)
서귀포시 서호동 일원에 34.5만 규모로 조성되었으며, 국제교류, 교육연수, 국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73][74] 이전 기관은 다음과 같다.
10. 사건·사고 및 논란
2004년 10월 21일 헌법재판소가 행정수도건설특별법 위헌 결정을 내리면서,[75][76][77] 혁신도시 건설 사업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2004년 11월 7일 당·정·청 경제워크숍에서 강동석 건설교통부 장관은 충청권 경제 혼란을 우려하며, 혁신도시를 충청권에 집중 건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78][79] 2005년 5월 2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성경륭 위원장은 노영민 의원의 질의에 오송 외 충북 지역에 혁신도시 건설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80] 2005년 6월 24일 정부는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충북 북부권에 12개 공공기관을 배정했다.[81][82]
이후 혁신도시 사업은 여러 논란과 사건을 겪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10. 1. 행정수도 무산 및 오송 외 충청권 혁신도시 추가
2004년 10월 21일 헌법재판소는 행정수도건설특별법에 대해 재판관 8대 1의 의견으로 위헌 결정을 내렸다.[75][76][77]2004년 11월 7일 당·정·청 경제워크숍에서 강동석 건설교통부 장관은 "신행정수도 건설 사업 중단으로 충청권의 경제적 혼란이 우려된다"며 "충청권에 대한 국가균형발전 시책 보완 검토 등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열린우리당에서는 "지방에 골고루 건설하려던 기업도시와 혁신도시를 충청권에 집중 건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기존 정부 방침은 신행정수도가 들어설 충청권은 국가공공기관 이전 대상지에서 제외하고 기업도시와 혁신도시 후보지로서 후순위로 잡아 놓고 있었다.[78][79]
2005년 5월 2일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상임위원회에서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성경륭 위원장은 열린우리당 노영민 의원(청주 흥덕 을)의 정부 오송 혁신도시 간주 방침에 대한 이의 제기에 '긍정적으로 재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노영민 의원은 오송이 이미 국가지정산업단지로 지정되어 개발 중이므로 혁신도시로 간주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고, 성경륭 위원장은 오송을 혁신도시 모델로 보는 것이지 특정하여 혁신도시로 간주하는 것은 아니라고 답변했다. 노영민 의원의 오송 이외 지역 혁신도시 건설 요청에 성경륭 위원장은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80]
2005년 6월 24일 정부는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낙후된 충북 북부권 활성화 등을 감안해 12개 공공기관을 배정했다.[81][82]
2008년 4월 15일 대통령실 관계자는 혁신도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며, 노무현 정부 때부터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었고, 검토 단계에 있으며, 대안을 논의 중이지만 토지보상금 문제로 전면 백지화는 어렵다고 밝혔다. 국토해양부가 대통령실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부지 조성원가가 인근 산업단지 분양가보다 2~6배 높아 기업 유치가 어렵다는 내용이 있었다.[83][84][85]
2008년 4월 16일 국토해양부는 혁신도시 계획에 문제점이 많아 사업 추진이 힘들다며 재검토 방침을 밝혔고, 한국토지공사와 함께 혁신도시 택지공급을 유보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공기업 민영화 또는 통폐합과 관련 있는 것으로, 공공기관 지방 이전 규모 축소나 사업계획 수정이 불가피했다.[86][87][88]
최임식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정책국장은 대통령실의 일방적인 지시로 혁신도시 재검토가 이루어졌다며, 이는 혁신도시관리위원회나 혁신도시추진단 등의 논의를 거치지 않은 것이고, 혁신도시 찬반 여부와 관계없이 심각한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89]
박찬희 한전KPS 노동조합 위원장은 혁신도시와 민영화를 함께 추진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으며, 민영화될 경우 지방이전을 백지화하겠다고 말했다.[89]
감사원은 2006년과 2007년에는 혁신도시 정책을 독려하기 위해 공공기관 감사를 진행하고, 제일 먼저 착공한 도시에 300억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8년 3월 30일 ‘혁신도시 추진실태’ 예비조사에서 경제효과가 없는 애물단지 사업이라는 결과를 내놓았다. 연간 1.3조원 정도인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부가가치 증가효과가 4조원대로 부풀려졌다는 것이다.[90][91][92] 최임식 한국노동단체총연합회 정책국장은 감사원이 2007년 감사결과와 상반된 입장을 보이는 것은 헌법기관으로서 신뢰를 훼손시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93]
신정훈 나주시장은 지방을 살리기 위한 ‘공기업 이전을 통한 혁신도시 건설정책’ 재검토 소식에 지방민들이 분노하고 있다며, 이명박 정부가 수도권을 ‘글로벌 스타’로 만들기 위해 규제를 풀겠다고 주장한 것을 비판했다. 또한, 혁신도시 정책은 민주적 과정을 통해 확정되었는데 대통령이 바뀌었다고 하루아침에 무효화하는 것은 정부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94][95]
2008년 4월 17일, 전국 14개 시·군·구 단체장들의 협의체인 전국혁신도시(지구)협의회는 정부의 차질없는 사업추진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전국혁신도시협의회는 혁신도시 건설사업은 특별법으로 추진하는 국책사업이며, 대부분 지역이 보상이 마무리되고 공사가 착공되어 주민들이 협조했다며, 혁신도시 조성 원칙 천명과 이전기관들의 지방이전 방안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조속히 밝힐 것을 요구했다.[96][97][98][99]
같은 날 진주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혁신도시 무효화 시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혁신도시와 균형발전정책 사수를 위한 범시민 기구' 구성을 제안했다.[100][101] 정영석 진주시장도 혁신도시 건설은 국민과의 약속이므로 계획대로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102] 나주시의회도 성명서를 통해 국가균형발전정책을 반대하는 어떤 세력이나 기도에 대해서 강력히 저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03]
탐라자치연대는 제주특별자치도청에 이명박 정부의 혁신도시 재검토에 강력히 대응하라고 촉구했다.[104] 충북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충청권 시민사회단체와 지방분권국민운동 충청권협의회도 이명박 정부의 수도권 규제 완화 획책을 규탄하며, 반지역균형발전정책은 지방 국민들에 대한 배신이라고 비난했다.[105]
통합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혁신도시와 관련하여 "처음부터 재검토하겠다고 말한것에 대해 국민들은 불안하며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고 불만을 토로했다.[106]
한편,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혁신도시 재검토는 없으며, 수도권 문제는 지방과 연계해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107]
2008년 4월 18일 부산광역시청은 허남식 부산광역시장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혁신도시 건설 재검토와 수도권 규제완화 움직임에 강력히 대응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지역균형발전협의체, 수도권과밀반대 전국연대 등과 협조하여 공동대응하기로 하였다.[108]
2008년 4월 21일 부산·울산·경남 시민사회단체협의회 등은 이명박 정부에 대한 정책 불복종 운동을 시작한다고 선언하며, 혁신도시 건설 재검토는 국민을 우롱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09][110]
2008년 4월 24일 울산광역시 중구의회는 정부의 혁신도시 재검토 입장을 반대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대통령실 등에 송고했다.[111]
2008년 4월 28일 국회 건설교통위원회에서 이낙연 의원은 한국토지공사가 혁신도시 수를 줄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혁신도시 발전방안 워크숍 발표자료'를 공개했다. 정종환 장관은 실무자들의 의견 개진 차원이라고 해명했지만, 공기업 민영화가 우선이라는 답변을 통해 혁신도시 계획 수정 가능성을 시사했다.[112][113][114][115]
2008년 5월 2일 이명박 대통령은 혁신도시 재검토 방침을 밝히며, 시·도지사가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 방안을 제안하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종환 장관은 혁신도시 추진을 기본으로 하되, 교육 기능 등 실질적 보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116]
2008년 5월 8일 전국혁신도시협의회는 혁신도시는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방 성장동력을 위한 것이라며, 공공기관 이전을 전제로 한 혁신도시 건설 중단 없는 추진과 혁신도시 활성화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117]
2013년 12월 10일 한국조세재정연구원 공공기관연구센터 박진 소장은 ‘공공기관 부채의 원인과 대책’ 보고서를 통해 사업추진방식 변경, 사업규모 축소, 사업 중단 등 근본적인 사업조정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한국토지주택공사의 혁신도시 등을 검토 대상으로 꼽았다.[118]
10. 2. 기관 통합으로 인한 지역 갈등
2005년 6월 24일, 정부는 한국토지공사는 전북특별자치도로, 대한주택공사는 경상남도로 이전하는 등 176개 공공기관 시·도별 배치안을 최종 확정했다.[119] 그러나 2009년 10월 1일,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가 통합되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출범하면서[121][122] 본사 이전 문제를 둘러싼 지역 갈등이 발생했다.당초 이전 예정 지역과 이전 예정 인원, 지방세 규모는 다음과 같았다.
통합 이후 LH 본사 위치를 두고 분산 배치와 일괄 이전 주장이 대립했다. 2009년 11월,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분산 배치 가능성을 언급했다.[123] 2009년 12월, 경남 지역에서는 분할 배치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왔다.[124] 2011년 3월에는 LH 본사 이전 문제가 동남권 신공항 건설 철회에 대한 보상 카드로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125][126]
2011년 5월, 여권 고위 관계자는 LH 본사의 진주 일괄 이전 가능성을 언급했고,[128]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LH 분산 배치를 당론으로 확정했다.[129]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퇴임 전까지 LH 본사 이전 문제를 결론짓겠다고 밝혔다.[130]
2011년 5월 13일, 국토해양부는 LH 본사를 경상남도 진주시로 일괄 이전하기로 최종 결정했다.[132][133] 이에 김완주 전라북도지사는 혁신도시 건설이 무산될 위기라며 반발했다.[135] 정부는 LH 경남 진주 이전 보상책으로, 진주로 이전 예정이던 국민연금공단을 전북 전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지만,[136] 김완주 전라북도지사와 김두관 경상남도지사 모두 불만을 표했다.
2011년 5월 기준 이전 예정 인원과 2010년 기준 지방세 규모는 다음과 같았다.
2011년 5월 16일, 지역발전위원회는 정부안을 수용하고, LH 이전 후 발생하는 세수의 일정 부분을 일정 기간 정부에서 전북에 보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137] 같은 날, 김황식 국무총리는 담화문을 통해 LH 본사 이전 결정 배경을 설명하고, 지역 간 갈등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138]
2011년 5월 19일, 정운천 한나라당 전 최고위원은 LH 전주 유치 공약을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해 석고대죄 행보를 보였다.[139] 2011년 5월 30일, 전라북도의회와 변호인단은 정부의 LH 경남 이전 결정에 대해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다.[141]
2011년 6월 2일, 김황식 국무총리는 진주 일괄 이전은 불변하지만, 다른 방식으로 균형을 보완하는 대책을 찾겠다고 약속했다.[142] 2011년 6월 22일, 전라북도는 LH 후속 대책으로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영본부 동반 이전, 유휴부지에 국제 규모의 컨벤션센터나 호텔 건립, 야구장 전용경기장 건립, 새만금개발청 설립 및 새만금특별회계 등을 요구했고, 김황식 국무총리는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144][145][146]
10. 2. 1. 한국토지주택공사(LH)
2009년 10월 1일,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가 효율성을 이유로 통합되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출범하였다.[121][122] 그러나 본사 이전 문제를 두고 경상남도와 전라북도 간의 갈등이 발생했다.2011년 5월 13일, 국토해양부는 LH 본사를 경상남도 진주시로 일괄 이전하기로 최종 결정했다.[132][133] 이는 LH의 통합 취지와 경영 효율성을 고려한 판단이었다. 정부는 LH 경남 진주 이전 보상책으로, 진주로 이전 예정이던 국민연금공단을 전북 전주로 이전하기로 결정하였다.[136]
2011년 5월 16일, 지역발전위원회는 LH를 진주로 일괄 이전하고, 국민연금공단을 전주로 대체 이전하는 국토해양부의 방안을 기본적으로 수용했다.[137] 같은 날, 김황식 국무총리는 LH 본사 이전 결정에 대한 담화문을 발표하면서, 혁신도시 조성 사업을 당초 계획대로 원활히 추진하면서 통합 LH공사의 경영 효율성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선택했다고 밝혔다.[138]
LH는 진주 이전이 확정됨에 따라 2014년까지 이전을 마칠 계획이었다.[143]
10. 2. 2.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년 5월 26일 대구광역시로 이전할 예정이었던 한국정보사회진흥원과 제주특별자치도로 이전할 예정이었던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을 통합해 1실 8단 27부 276명 규모의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만들어졌다.[147][148] 제주특별자치도청은 한국정보화진흥원을 제주로 이전하거나, 대구로 이전할 경우 대구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으로 분류된 교육과학기술연수원과 맞바꾸는 방안을 요구했으나, 대구광역시청과 협의가 잘 되지 않아 1년 넘게 공공기관 이전 계획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다.[149]2011년 5월 25일 홍철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은 ‘대구로 가는 것 아니냐는 소문이 파다하다’는 질문에 “아직 확정된 것은 하나도 없다. 두 지역 모두 100% 만족할 만한 대안을 찾기 쉽지 않겠지만, 충분히 협의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150]
2011년 9월 23일 지역발전위원회는 38차 심의에서 한국정보화진흥원을 대구혁신도시로 일괄 이전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세부 지방 이전 계획을 세울 때 일괄 이전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교육·연수 기능은 제주혁신도시에 배치하는 방안을 찾도록 했다.[151][152][153][154][155]
2011년 9월 26일 제주 지역 국회의원인 강창일, 김우남, 김재윤 의원은 공동 성명을 내 "한국정보화진흥원 이전 지역을 대구로 결정한 것은 어떠한 타당성도 찾을 수 없는 제주 홀대 정책"이라며 "2011년 7월 국토해양부가 한국장학재단과 교육과학기술원의 이전 지역을 대구로 정했는데, 또다시 한국정보화진흥원 이전 지역을 대구로 결정한 것에 대해 제주특별자치도민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156]
10. 2. 3. 도로교통공단
2011년 1월 3일, 강원도로 이전 예정이었던 도로교통공단과 울산광역시로 이전 예정이었던 운전면허시험관리단이 통합되면서 갈등이 발생했다.[157] 운전면허시험단을 도로교통공단 운전면허본부로 개편하여 울산광역시에 배치하는 방안이 채택되면서, 도로교통 기능을 담당할 도로교통공단 본사는 강원도에, 운전면허시험 기능을 담당할 운전면허본부는 울산광역시에 각각 분산 배치되었다.[158][159]10. 3. 충북혁신도시 진천군청과 음성군청 간 이견 및 행정구역 조정
2011년 11월 22일 충청북도청에서 진천군청과 음성군청이 혁신도시 경계에 대한 회의를 가졌다. 유영훈 진천군수는 혁신도시 입주민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도로를 중심으로 군 경계를 정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60] 진천군청은 음성지역 상업용지를 더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진천지역에도 상업용지를 늘려달라는 입장이었다.[160] 반면 음성군청은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160]지방세 확보 문제와 행정구역 경계 조정이 맞물리면서 두 지자체 간 갈등이 심화되었다. 충청북도청은 혁신도시 선정 당시 지자체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계 지역을 선택한 바 있다.[161]
2011년 12월 21일, 진천군혁신도시건설지원추진협의회는 혁신도시 내 균형 개발을 촉구하며 갈등이 표면화되었다.[162] 2011년 12월 26일, 음성혁신도시주민대책위원회는 행정구역 통합을 주장하며, 임윤빈 위원장은 인구 15만 명 이상의 시 승격 가능성을 언급했다.[163]
2013년 9월 9일, 진천군청과 음성군청은 행정구역 경계 조정에 합의했다.[164] 혁신도시 면적은 진천군 49%, 음성군 51%로, 경계가 불규칙하여 건물 신축 등에서 분쟁 소지가 있었다.[165] 상업용지의 88%가 음성군에, 12%가 진천군에 있어 형평성 논란도 있었다.[166]
양군은 면적 증감 없이 블록 단위로 경계를 조정하고, 공동주택 용지와 공원 등 41356m2 면적을 주고받기로 했다. 단, 양군에 걸친 법무연수원과 상업용지는 변동이 없다.[167] 법무연수원은 진천군 71.2%(489093m2), 음성군 28.8%(198007m2)에 걸쳐있다.
이후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측량을 거쳐, 양 군의회 및 주민 의견 수렴, 충청북도청 및 도의회 의견 청취, 안전행정부 제출, 국무조정회의 심의를 거쳐 공포 및 시행될 예정이었다.[168][169]
10. 4. 부산혁신도시 등 다운계약서 작성 및 투기 논란
2014년 1월 23일 전남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광주·전남혁신도시 부실 시공을 눈감아 주고 뇌물을 받은 전라남도개발공사 전 빛가람사업단장 장모(56) 씨, 팀장 김모(47) 씨, 공사감독관 윤모(44) 씨와 시공사 대표 배모(47) 씨 등 4명을 업무상 배임 및 뇌물수수,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현직 전남발전연구원 선임연구원인 장 씨는 준공 처리를 해주기 1개월 전 자녀 결혼식 때 관련 건설업자 10여 명으로부터 50만원~100만원의 축의금을 받아 총 900만원을 수수하기도 했다. 문제가 된 부지는 금강건설이 2009년 5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전라남도개발공사로부터 77억원에 발주해 시공했으며, 담당 감독관들이 금품을 받고 완공 처리한 것이다.[174]10. 5.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부실 시공
2014년 10월 6일 대구지방검찰청 특수부는 대구혁신도시 조경시설 공사 비리의혹과 관련해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본부와 조경업체 ㄱ사를 압수수색했다. 대구지방검찰청은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본부와 ㄱ사에서 조경시설물 공사 계약 자료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해 공사비리 여부를 조사하고 있는데, 이번 수사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간부 출신이 운영하는 조경업체가 독점적으로 혁신도시의 조경공사를 따냈다는 의혹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조만간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본부와 조경업체 ㄱ사 관계자들을 소환해 공사 발주·수주 과정에서 금품수수 등 비리가 있었는지를 확인할 계획이다.[175]한편, ㄱ사 대표 ㄴ씨는 한국토지주택공사로 통합된 대한주택공사에서 20여년간 조경관련 업무를 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176][177]
2014년 12월 17일 대구 신서혁신도시 조경공사 비리를 수사하는 대구지방검찰청 특수부(부장검사 김지용)는 하도급 업체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 간부급인 권모 과장을 뇌물수수 등 혐의로 구속했다. 권 과장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발주한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 혁신도시 내 조경공사를 맡은 하도급업체 A사로부터 공사 편의를 제공하는 대가 등으로 1800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대구지방검찰청은 한국토지주택공사 관계자가 납품 관련 비리에도 연루된 단서를 잡고 수사를 펴고 있으며, 신서혁신도시 조경공사 비리와 관련해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이 구속된 것은 권 과장이 두 번째다. 검찰은 앞서 시공업체 등에 공사 편의를 제공하고 3000만원을 받은 한국토지주택공사 조모 차장을 구속 기소한 바 있다.[178][179][180][181][182][183]
10. 6. 대구혁신도시 조경공사 발주 비리 의혹
2016년 10월 17일, 울산중구주민회는 울산광역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태풍 차바로 인해 중구 태화시장, 우정시장, 성남시장 일대에 발생한 침수 피해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혁신도시 개발 때문이라고 주장했다.[187] 울산중구주민회는 2007년 시작된 울산혁신도시 개발 당시 토지가 대부분 산림과 농경지로 이루어져 있었고, 급경사 등으로 인해 유수량 증가에 대한 검토가 제대로 이루어졌다면 이번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187] 또한, 울산혁신도시 착공 시점에는 이미 집중호우 가능성이 일반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LH가 시간당 76.3mm로 설계해 놓고 '예상치 못한 역대급 시간당 강수량'이라고 변명하는 것은 직무유기 및 업무상 배임, 업무상 과실치사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187]이에 대해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울산지역본부는 태풍 차바로 인한 시간당 강우(124mm/hr)가 울산광역시 기준 500년 빈도(98.3mm/hr)를 넘어서는 것이었고, 이는 불가항력적인 자연재해였다고 해명했다.[188]
11. 혁신도시 사업에 대한 비판
2005년 6월 24일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과 성경륭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12개 광역시도에 176개 공공기관을 분산 배치하는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일부 공기업은 산업 특성을 무시한 결정이라며 반발했고, 경기도청, 인천광역시청 등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은 역차별론을 제기하며 불만을 표출했다.[189]
11. 1. 산업 특성 무시 및 수도권 역차별론
2005년 6월 24일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과 성경륭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에 대해 일부 공기업은 “정부의 이전 방안은 산업 특성을 무시한 결정”이라며 반발했고, 경기도청, 인천광역시청 등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도 역차별론을 내세우며 불만을 감추지 않았다.[189]2014년 10월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윤덕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국토교통부 국정감사 자료를 바탕으로, 혁신도시 건설에 투입된 총 사업비 25.218조원 중 해당 연고지 업체는 25.6%(6.464조원)를 수주한 반면, 서울 등 수도권 업체는 54.3%(13.685조원)를 차지하여 수도권 건설업체가 지역 연고지 업체보다 2배 이상 많은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190]
원도급 물량 기준 수도권 업체 수주 비율은 부산이 98.28%로 가장 높았고, 울산 71.43%, 충북 69.88%, 제주 66.63% 순이었다. 반면, 이들 지방자치단체의 연고지 업체 수주 비율은 부산 1.71%, 울산 8.26%, 충북 18.97%, 제주 27.83%에 그쳤다. 하도급 공사의 경우도 연고지 업체가 절반을 가져가지 못했다. 하도급 사업비 11.463조원 중 연고지 업체 수주 금액은 5.205조원으로 45.41%에 불과했다. 지역별 연고지 업체 수주 비율이 낮은 곳은 강원 18.99%, 울산 19.28%, 경북 21.07% 순이었다.
김윤덕 의원은 "지역업체와 공동도급을 의무화했음에도 결과적으로 수도권 업체 중심의 국책사업으로 수행됐다"며 "혁신도시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진행되는 관급공사에 대해 지역업체 참여를 의무화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191]
11. 2. 수도권 건설업체 수주 편중
2014년 10월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윤덕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국토교통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하여 혁신도시 건설 사업비 수주 현황을 발표했다. 총 사업비 2조 5218억원 중 해당 지역 업체는 25.6%(6464억원)를 수주한 반면, 서울 등 수도권 업체는 54.3%(1.3685조원)를 차지하여 수도권 건설업체가 지역 업체보다 2배 이상 많은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190]원도급 기준으로 수도권 업체 수주 비율은 부산이 98.28%로 가장 높았고, 울산 71.43%, 충북 69.88%, 제주 66.63% 순이었다. 반면, 해당 지역 업체 수주 비율은 부산 1.71%, 울산 8.26%, 충북 18.97%, 제주 27.83%에 불과했다. 하도급 공사에서도 지역 업체 수주 비율은 45.41%(5205억원)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강원 18.99%, 울산 19.28%, 경북 21.07% 순으로 지역 업체 수주 비율이 낮았다.
이에 대해 김윤덕 의원은 "지역 업체와 공동 도급을 의무화했음에도 수도권 업체 중심의 국책사업으로 수행되었다"며, "지역 관급 공사에 지역 업체 참여를 의무화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191]
참조
[1]
뉴스
公的機関の地方移転で国土均衡発展を実現する
http://www.korea.kr/[...]
《ウィークリー共感(朝鮮語)》国土研究院のキム・テファン研究委員
[2]
뉴스
公的機関の地方移転
http://weekly.pusan.[...]
《釜山大学新聞(朝鮮語)》
2011-06-14
[3]
뉴스
“2020년 미래 국토구상안 잡혔다”
http://www.dtnews24.[...]
《디트뉴스24》주우영 기자
2004-01-29
[4]
뉴스
공공기관 지방이전 균형발전 앞당긴다
http://www.korea.kr/[...]
《위클리 공감》국토연구원 김태환 연구위원
[5]
뉴스
공공기관 지방 이전
http://weekly.pusan.[...]
《부대신문》임동우 기자
2011-06-14
[6]
뉴스
유성엽씨, "전북 혁신도시 1곳 추가돼야"
http://www.domin.co.[...]
《전북도민일보》
2006-03-02
[7]
뉴스
공공기관 유치 지방2라운드 본격화
http://legacy.www.ha[...]
《연합뉴스》
2005-06-27
[8]
뉴스
정부 공공기관 이전, 최대 90만명 이동
http://www.amnews.co[...]
《농축유통신문》배민수 기자
2012-01-16
[9]
뉴스
농관련 공공기관 이전 어떻게
http://www.agrinet.c[...]
《한국농어민신문》이영주 기자
2012-02-20
[10]
뉴스
수도권 176개 공공기관 지방 배치 완료...
http://r114.segye.co[...]
《세계일보》
2005-06-24
[11]
문서
舊 대한주택보증
[12]
문서
舊 증권예탁결재원
[13]
문서
舊 한국청소년상담원
[14]
문서
舊 한국해양연구원
[15]
문서
해양환경관리공단 부설기관
[16]
문서
舊 게임물등급위원회
[17]
문서
舊 한국증권선물거래소
[18]
문서
근로복지공단+한국산재의료원 통합기관
[19]
문서
舊 에너지관리공단
[20]
문서
舊 국립방재연구원
[21]
문서
舊 노동부 고객상담센터
[22]
문서
舊 운전면허시험관리단
[23]
문서
대한주택공사+한국토지공사 통합기관
[24]
문서
舊 요업기술원
[25]
문서
한국저작권위원회+컴퓨터프로그램보호위원회 통합기관
[26]
문서
舊 한국학술진흥재단
[27]
문서
舊 교육과학기술연수원
[28]
문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설기관
[29]
문서
舊 한국산업기술평가원
[30]
문서
한국정보사회진흥원+한국정보문화진흥원 통합기관
[31]
문서
단, 교육·연수 기능은 [[제주특별자치도]] 이전
[32]
문서
한국한의학연구원 부설기관
[33]
문서
舊 중앙119구조단
[34]
문서
소방감급 국민안전처 소속기관
[35]
문서
舊 한국갱생보호공단
[36]
문서
국립수산검역검사본부에서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분리 후 잔여기관
[37]
문서
舊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38]
문서
한국원자력연구원 소속기관
[39]
문서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 대한민국 국민권익위원회, 대한민국 국민안전처,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대한민국 법제처, 대한민국 인사혁신처,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교육부,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환경부,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중소벤처기업부, 대한민국 국세청, 대한민국 소방청, 대한민국 새만금개발청, 대한민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우정사업본부, 중앙소방본부, 해양경비안전본부, 고용보험심사위원회, 교원소청심사위원회, 녹색성장위원회,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보훈심사위원회, 복권위원회,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소청심사위원회,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중앙노동위원회,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경쟁제한규제개혁작업단, 경제자유구역기획단, 공공건축추진단, 공공주택건설추진단, 녹색성장지원단, 농가소득안정추진단, 도서관정책기획단, 동계올림픽특구기획단, 동서남해안및내륙권발전기획단, 보험사업단, 세종특별자치시지원단, 세종2청사관리단,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영유아교육·보육통합추진단, 에너지수요관리정책단, 예금사업단, 우편사업단, 자동차정책기획단, 주한미군이전기지지원단, 지적재조사기획단, 지하경제양성화추진기획단, 허베이스피리트피해지원단, 조세심판원, 중앙해양안전심판원, 한국정책방송원, 광업등록사무소, 정부청사관리소, 국가공간정보센터, 국가교통정보센터, 보건복지콜센터, 보훈상담센터, 산업단지개발지원센터, 종합민원상담센터, New Stay지원센터, 정부세종청사경비대 등 70여개 기관
[40]
뉴스
국민안전처·인사혁신처 내년 3월까지 세종시 이전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5-10-16
[41]
문서
舊 충청남도 연기군 일원
[42]
뉴스
수도 이전 대안 짜내기, 끙끙 앓는 여권
http://shindonga.don[...]
동아일보
2004-11-23
[43]
문서
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 농업인재개발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정보문화센터 통합기관
[44]
문서
舊 한국조세연구원
[45]
문서
기초기술연구회+산업기술연구회
[46]
문서
치안정감급 경찰청 소속기관
[47]
문서
치안감급 경찰청 소속기관
[48]
문서
중장급 국방부 소속기관
[49]
문서
舊 기술표준원
[50]
문서
고등검찰청 검사장급 법무부 소속기관
[51]
문서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한국전자상거래진흥원 통합기관
[52]
문서
차관급 인사혁신처 소속기관
[53]
문서
舊 한국소비자보호원
[54]
문서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부설기관
[55]
문서
차관급 중앙행정기관
[56]
문서
舊 식품의약품안전청
[57]
문서
舊 국립독성과학원
[58]
문서
舊 한전기공
[59]
문서
舊 한국농촌공사
[60]
문서
舊 농수산물유통공사
[61]
문서
舊 전파연구소
[62]
문서
舊 농수산식품연수원
[63]
문서
한국정보보호진흥원+한국인터넷진흥원 통합기관
[64]
문서
舊 해양경찰교육원
[65]
문서
치안감급 국민안전처 소속기관
[66]
문서
舊 대한지적공사
[67]
문서
舊 국민연금관리공단
[68]
문서
舊 한국농업대학
[69]
문서
농업과학기술원+농업생명공학연구원+농업공학연구소 통합기관
[70]
문서
舊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71]
문서
舊 대한광업진흥공사
[72]
문서
舊 국립공원관리공단
[73]
문서
舊 국토해양인재개발원
[74]
문서
舊 국립기상연구소
[75]
뉴스
헌재, `수도이전특별법' 위헌결정
http://legacy.www.ha[...]
한겨레
2004-10-21
[76]
뉴스
수도이전법 위헌결정에 충청언론 '경악'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4-10-22
[77]
뉴스
“행정타운·기업도시… 충청권 개발 계속해야”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4-10-21
[78]
뉴스
與 ,충청권만 챙기나?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4-11-08
[79]
뉴스
충청民心 달랠 '보따리' 뭐가 있나
http://www.neonet.co[...]
한국경제
2004-10-23
[80]
뉴스
성경륭위원장, '충북 혁신도시 긍정적 검토' 답변
http://m.cbinews.co.[...]
충북인뉴스
2005-05-02
[81]
뉴스
정부 몸사리기 … 지방은 몸살
http://m.okcb.net/a.[...]
충청투데이
2006-12-08
[82]
뉴스
충북 혁신도시 건설 당연하다
http://www.jbnews.co[...]
중부매일
2005-04-04
[83]
뉴스
정부 혁신도시 재검토 배경은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2008-04-19
[84]
뉴스
흔들리는 혁신도시 만성동 1공구 현장을 가다
http://www.sjbnews.c[...]
새전북신문
2008-06-12
[85]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 국면… u-시티 사업도 빨간불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08-04-21
[86]
뉴스
건설업체 날벼락‥"공기업 보고 분양 5만가구 어떻게…"
http://www.hankyung.[...]
한국경제신문
2008-04-15
[87]
뉴스
전면 재검토 불가피한 혁신도시 미망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8-04-16
[88]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공기업 민영화 발표 혼란”
http://www.ujnews.co[...]
울산종합일보
2008-05-22
[89]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논란, 나라 쪼개진다
http://www.enewstoda[...]
이뉴스투데이
2008-04-22
[90]
뉴스
감사원 "혁신도시 효과 과장"
http://world.joinsla[...]
중앙일보
2008-04-15
[91]
뉴스
지방 균형발전은 과연 골치덩어리 대못인가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8-04-16
[92]
뉴스
2008년 '혁신도시 재검토' 논란
http://www.najutoday[...]
나주투데이
2013-11-22
[93]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 지방이전 안해”
http://www.labortoda[...]
매일노동뉴스
2008-04-30
[94]
뉴스
나주시, 혁신도시 재검토에 강력 ‘반발’
http://www.namdonews[...]
남도일보
2008-04-17
[95]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 정부-지자체 갈등 확산
http://www.cnbnews.c[...]
CNB뉴스
2008-04-17
[96]
뉴스
정부, 혁신도시 재검토에 지역민들 “중단되면 민란”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4-15
[97]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 반발 전국적으로 ''확산"
http://www.nocutnews[...]
CBS
2008-04-17
[98]
뉴스
완주군의회 "혁신도시 재검토 중단을"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08-05-26
[99]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 해당 지자체 주민 당혹,반발
http://news.bbsi.co.[...]
BBS뉴스
2008-04-16
[100]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하면 정부정책 불복종운동"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4-17
[101]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 철회 촉구
http://www.gnmaeil.c[...]
경남매일
2008-04-25
[102]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 반발 확산
http://m.idomin.com/[...]
경남도민일보
2008-04-18
[103]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 시민들 강력반발
http://www.najunews.[...]
나주신문
2008-04-21
[104]
뉴스
탐라연대, "제주도는 혁신도시 재검토에 강력히 대응하라"
http://www.jejusori.[...]
제주의소리
2008-04-17
[105]
뉴스
충청권 시민사회단체, 혁신도시 재검토 규탄 성명
http://www.cbinews.c[...]
충북인뉴스
2008-04-17
[106]
뉴스
민주당, `李정부-혁신도시 재검토'...`국민들 불안
http://www.newsway.c[...]
《뉴스웨이》
2008-04-17
[107]
뉴스
정 국토장관 "혁신도시 재검토 없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04-17
[108]
뉴스
부산시, “정부의 혁신도시 건설 재검토 및 수도권 규제완화” 움직임에 적극 대응키로
http://www.newswire.[...]
《뉴스와이어》
2008-04-18
[109]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는 국민 우롱”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8-04-22
[110]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하면 '불복종'하겠다
http://www.ytn.co.kr[...]
《YTN》
2008-04-17
[111]
뉴스
혁신도시 재검토 반대 결의문 채택
http://www.ujeil.com[...]
《울산제일일보》
2008-04-24
[112]
뉴스
정부, '혁신도시 기능별 통폐합' 추진 파문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8-04-28
[113]
뉴스
혁신도시 논란 '또 불지폈다'
http://m.idomin.com/[...]
《경남도민일보》
2008-04-29
[114]
뉴스
턱없는 예산 … 혁신도시 재검토하나
http://weekly.donga.[...]
《주간동아》
2008-12-16
[115]
뉴스
국토해양부 장관 "혁신도시 재검토는 없다"
http://news.sbs.co.k[...]
《SBS》
2008-04-17
[116]
뉴스
李대통령 “일률적 적용은 옳지않다”…혁신도시 재검토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08-05-02
[117]
뉴스
공기업 민영화의 걸림돌, ‘혁신도시’
http://www.vop.co.kr[...]
《민중의소리》
2008-05-30
[118]
뉴스
“보금자리·혁신도시 등 공기업 10개 사업 전면 재검토”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3-12-11
[119]
뉴스
한전→광주 등 176개 공공기관 지방이전 확정
http://www.hani.co.k[...]
《연합뉴스》
2005-06-24
[120]
뉴스
“토공-주공 통합때부터 속인 것 아니냐”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5-13
[121]
뉴스
통합 ‘한국토지주택공사’ 1일 출범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9-30
[122]
뉴스
한국토지주택공사 출범
http://www.hkbs.co.k[...]
《환경일보》
2009-10-07
[123]
뉴스
'분산 배치' 경남 반발
http://jinju.kbs.co.[...]
《KBS뉴스》
2009-11-30
[124]
뉴스
"토지주택공사 분산 안 된다"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09-12-02
[125]
뉴스
전북, 'LH 이전 정치공세 차단해라'... 보상수단 악용 안될 말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1-03-31
[126]
뉴스
LH 본사, 진주로 일괄이전하는 5가지 이유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2011-05-13
[127]
뉴스
LH이전 강제조정 검토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1-04-19
[128]
뉴스
LH 진주 통합 이전설... 전북도 패닉상태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1-05-02
[129]
뉴스
민주 ”LH 분산배치” 당론 확정
http://ilifetv.kr/de[...]
《LIFE TV》
2011-05-05
[130]
뉴스
정종환 국토장관 "임기 내 LH이전 결론"
http://news.chosun.c[...]
《연합뉴스》
2011-05-09
[131]
뉴스
황우여-박지원 회동…LH이전 결론 없어
http://news.sbs.co.k[...]
《SBS뉴스》
2011-05-11
[132]
뉴스
"LH 이전 결정, 지역갈등만 키웠다"
http://media.daum.ne[...]
《뉴시스》
2011-05-13
[133]
뉴스
국토위, 정부 LH 이전방안 보고 청취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5-13
[134]
뉴스
'LH 진주 이전' 야당 반발…국토위 회의 무산
http://news.sbs.co.k[...]
《SBS뉴스》
2011-05-13
[135]
뉴스
LH이전, 전북 "정부에 불복종, 추가 지원 거부"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1-05-14
[136]
뉴스
LH이전, 경남과 전북 서로 불만 ‘가득’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1-05-15
[137]
웹인용
지역발전위원회 위원회 활동 - LH 이전 지역 심의 결과
http://www.region.go[...]
2011-10-03
[138]
뉴스
김총리, 과학벨트 입지ㆍLH 이전 관련 담화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5-16
[139]
뉴스
한 정운천 前 최고위원 “LH 전주유치 불발 석고대죄”..함거 행보
http://fnnews.com/vi[...]
《파이낸셜뉴스》
2011-05-19
[140]
뉴스
전북도지사에 민주당 김완주 후보 당선
http://news.mk.co.kr[...]
《연합뉴스》
2010-06-03
[141]
뉴스
LH 이전 문제, 결국 헌재 심판대로
http://jeonju.kbs.co[...]
KBS뉴스
2011-05-30
[142]
뉴스
정부 LH 이전 ‘전북 균형 대책’ 말잔치 되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8-29
[143]
뉴스
LH 이전 2014년 돼야 가능
http://www.hankyung.[...]
한국경제신문
2011-05-13
[144]
뉴스
LH 후속대책, "정부는 막힌 입 열어라"
http://www.koreajn.c[...]
시사코리아저널
2011-07-19
[145]
뉴스
도 LH 후속대책 짜깁기 수준
http://www.mjbnews.c[...]
전북매일신문
2011-06-22
[146]
뉴스
전북도 LH후속대책 일괄요구에 총리 적극 지원 약속
http://media.daum.ne[...]
뉴시스
2011-06-22
[147]
뉴스
통합 한국정보화진흥원 오늘 출범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09-05-26
[148]
뉴스
힘겨루기 여전한 3곳 어디로 가야 좋을까요?
http://weekly.donga.[...]
주간동아
2010-03-02
[149]
뉴스
제주혁신도시 정보화진흥원 이전 '난항'
http://localen.donga[...]
제주뉴스
2010-01-22
[150]
뉴스
정보화문화원 제주이전…경북 출신 홍철 위원장
http://m.jejusori.ne[...]
제주의소리
2011-05-25
[151]
뉴스
한국정보화진흥원 대구혁신도시로 일괄 이전
http://news.mk.co.kr[...]
연합뉴스
2011-09-23
[152]
뉴스
한국정보화진흥원 대구 혁신도시 이전
http://daegu.kbs.co.[...]
KBS뉴스
2011-09-24
[153]
뉴스
8개 기관 754명… 제주 혁신도시 ‘무색’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9-26
[154]
뉴스
한국정보화진흥원 결국 대구로! 제주혁신도시 ‘타격’
http://www.mediajeju[...]
미디어제주
2011-09-23
[155]
뉴스
통합 한국정보화진흥원 대구로 일괄이전 결정
http://efnews.co.kr/[...]
파이낸셜신문
2011-09-24
[156]
뉴스
제주 국회의원 "정보화진흥원 대구이전은 제주홀대" 강력 반발
http://www.jejusori.[...]
제주의소리
2011-09-26
[157]
뉴스
도로교통공단, 운전면허시험관리단 통합출범
http://ngo-news.co.k[...]
NGO 뉴스
2011-01-07
[158]
뉴스
김완주 "LH 이전 모범답안은 도로교통공단"
http://www.sjbnews.c[...]
새전북신문
2011-03-24
[159]
뉴스
힘겨루기 여전한 3곳 어디로 가야 좋을까요?
http://weekly.donga.[...]
주간동아
2010-03-02
[160]
뉴스
충북혁신도시 진천·음성 행정구역 경계 조정?
http://www.newsjeju.[...]
뉴시스
2011-11-21
[161]
뉴스
진천·음성 땅 싸움에 충북 혁신도시 등 터지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3-02-20
[162]
뉴스
진천혁신도시協 “진천‧음성 균형개발 하라”
http://www.ccstv.co.[...]
CCS충북방송
2011-12-22
[163]
뉴스
충북혁신도시 음성·진천 '동상이몽'
http://www.euritv.co[...]
KUB우리방송
2011-12-26
[164]
뉴스
충북혁신도시 진천·음성 행정구역경계 조정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2013-09-10
[165]
뉴스
충북 혁신도시 진천·음성 경계조정 막바지
http://joongdo.co.kr[...]
연합뉴스
2013-09-09
[166]
뉴스
음성·진천 혁신도시 경계조정, 주민 찬성입장
http://www.anewsa.co[...]
아시아뉴스통신
2013-09-09
[167]
뉴스
진천-음성, 혁신도시 군 경계조정 합의
http://www.estoday.k[...]
음성투데이
2013-09-10
[168]
뉴스
충북혁신도시 진천, 음성군 행정구역 경계 조정 합의
http://www.jinnews.k[...]
진천뉴스
2013-09-09
[169]
뉴스
충북혁신도시 진천·음성 행정구역 경계 조정 합의
http://www.jbknews.c[...]
중부광역신문
2013-09-09
[170]
뉴스
혁신도시 이전기관 직원, 전매차익 수천만원<김태원 의원>
http://news.einfomax[...]
연합인포맥스
2013-10-07
[171]
뉴스
'혁신도시 투기' 공무원들 얼마나 벌었을까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2013-10-11
[172]
뉴스
대연혁신도시 다운계약서 자진신고 64건 접수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3-11-11
[173]
뉴스
대연혁신도시 다운계약 직원 내부징계 차일피일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4-02-04
[174]
뉴스
나주혁신도시 ‘부실 시공’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3-01-24
[175]
뉴스
검찰, 대구혁신도시 조경공사 비리 수사
http://www.ytn.co.kr[...]
YTN
2014-10-06
[176]
뉴스
대구혁신도시 조경 비리…LH 대구경북본부 등 압수수색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10-06
[177]
뉴스
검찰, 대구혁신도시 조경공사 발주비리 수사
http://m.yna.co.kr/k[...]
연합뉴스
2014-10-06
[178]
뉴스
대구혁신도시 조경공사 비리 LH 간부 구속
http://search.ksinmu[...]
K신문
2014-12-18
[179]
뉴스
대구혁신도시 조경공사 비리 LH 간부 구속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12-17
[180]
뉴스
대구지검, 신서혁신도시 조경공사비리 LH직원 추가 구속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4-12-17
[181]
뉴스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혁신도시 조경공사 뇌물 추가 구속
http://www.newspost.[...]
뉴스포스트
2014-12-18
[182]
뉴스
대구지검, '조경공사 비리' LH 직원 1명 추가 구속
http://dg.local.cbs.[...]
CBS
2014-12-17
[183]
뉴스
대구 신서혁신도시 조경 비리, LH 직원 또 구속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14-12-18
[184]
뉴스
"태화시장 침수 부른 혁신도시 부실 저류지…LH 자료로 확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10-22
[185]
뉴스
울산혁신도시 허술한 배수시설, LH 부실 설계 의혹
http://imnews.imbc.c[...]
MBC
2016-10-07
[186]
뉴스
울산 시민연대・환경연합 "울산 태풍 피해는 人災"
http://m.focus.kr/vi[...]
포커스뉴스
2016-10-12
[187]
뉴스
“태화·우정·성남시장 수해는 혁신도시 개발 탓” 중구주민회 “LH, 설계용역 내용 공개하라”
http://www.iusm.co.k[...]
울산매일
2016-10-17
[188]
뉴스
"울산 태화시장 태풍 피해, 혁신도시 개발따른 인재"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6-10-17
[189]
뉴스
공공기관 이전지역 발표…“산업특성 무시” 공기업들 반발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5-06-25
[190]
뉴스
충북혁신도시, 수도권업체만 배불렸다
http://m.sjdailynews[...]
세종데일리
2014-10-12
[191]
뉴스
말뿐인 국가균형발전? 혁신도시 수혜는 수도권 건설업체
http://the300.mt.co.[...]
the300
2014-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