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키주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키주쿠는 1838년 오가타 고안이 오사카에 설립한 란학 학원이다. 네덜란드어 학습을 중심으로, 塾生(주쿠세이)들은 번역과 사전 해독을 통해 학문을 연구했으며, 후쿠자와 유키치 등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 학교 제도와는 다른 독자적인 교육 방식을 운영했으며, 1869년 폐쇄 후 데키주쿠 건물은 오사카 대학이 관리하며, 사적 및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데키주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사숙
설립 연도1838년
폐교 연도불명
창립자오가타 고안
위치오사카시 주오구 센바 (현재의 오사카 대학 의학부 부지)
역사
개설1838년, 오가타 고안오사카시 센바에 개설
전성기문하생 3000명 이상 배출
영향후쿠자와 유키치, 오무라 마스지로 등 근대 일본을 이끈 인재 배출
현대적 계승현재의 오사카 대학 의학부의 기원
교육
교육 내용난학(서양 의학), 본초학, 역학, 어학 등
특징실증주의적, 합리주의적 교육 강조
교육 목표실력 있는 의사 및 과학자 양성
명칭
일본어 명칭適塾 (데키주쿠)
로마자 표기Tekijuku
별칭適々斎塾 (Tekitekisaijuku), 適々斎 (Tekitekisai)
관련 인물
주요 인물오가타 고안 (창립자)
주요 졸업생후쿠자와 유키치
오무라 마스지로
하시모토 사나이
나가요 센사이
사노 쓰네타미
다카마쓰 료운
구스모토 이네
기타
참고 자료적숙(데키주쿠)이란? 의미와 사용법
오사카 대학 연혁

2. 역사

데키주쿠는 개원 후 25년간 약 3천 명의 문하생을 배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스승과 제자가 함께 학문을 탐구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운영되었는데, 이는 메이지 시대 이후의 근대 학교 제도와는 구별되는 특징이었다.

스승과 제자 간의 깊은 신뢰 관계는 데키주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였다. 게이오기주쿠 설립자 후쿠자와 유키치가 재학 중 병에 걸렸을 때 오가타 고안이 보인 깊은 염려는 스승과 제자 사이의 끈끈한 유대를 보여주는 일화로 전해진다. 숙생(塾生)들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오로지 학문에 매진했으며, 정기적인 학습 평가를 통해 실력을 겨루었다. 이러한 학풍은 훗날 게이오기주쿠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숙생들은 당장의 성공보다는 순수한 학문 탐구를 통해 이해력과 판단력을 기르는 데 힘썼으며, 훗날 졸업생들은 이를 "목적 없는 공부"라고 표현하기도 했다[4]. 오가타 고안이 세상을 떠난 후에도 후쿠자와 유키치, 오토리 게이스케 등이 중심이 되어 정기적인 동문회를 열며 데키주쿠의 정신을 이어나갔다. 이 모임에는 나가요 센사이, 사노 쓰네타미 등 많은 동문이 참여하여 유대를 다졌다.

2. 1. 설립과 발전 (1838년 ~ 1862년)

1838년 (덴포 9년), 오가타 고안오사카시 주오구 쓰무라 히가시노마치(현 가와라마치 3초메)에 란학(蘭學, 네덜란드학) 학원을 열었다. 이것이 데키주쿠의 시작이다. 1845년 (고카 2년)에는 가쇼마치(현 기타하마 3초메)의 상가를 구입하여 학원을 이전했다. 1846년 (고카 3년)에는 오무라 마스지로가, 1855년 (안세이 2년)에는 훗날 게이오기주쿠를 설립하는 후쿠자와 유키치가 입문하는 등 많은 인재들이 이곳을 거쳐 갔다.

데키주쿠는 단순한 지식 전달 기관이 아니라, 스승과 제자가 함께 학문을 탐구하는 공동체적 성격을 띠었다. 이는 메이지 시대 이후의 근대 학교 제도와는 다른 방식이었다. 숙생(塾生)들의 주된 공부는 네덜란드어 서적 해독이었다. 학원에는 단 한 권뿐인 네덜란드어-일본어 사전 사본, 통칭 "데우프"(데우프 할마 사전, 헨드릭 도프 편)가 있었는데, 이 사전이 놓인 '데우프 방'에는 밤낮없이 숙생들이 모여들어 불이 꺼질 날이 없었다고 전해진다. 한 달에 여섯 번 열리는 '회독(会読)' 시간에는 번역 실력을 평가받았는데, 성적에 따라 "○", "●", "△" 표시를 받았고, 3개월 이상 가장 좋은 성적을 유지하면 상급으로 올라갈 수 있었다. 이러한 독특한 성적 제도는 후쿠자와 유키치가 세운 게이오기주쿠의 운영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숙생 대부분은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않은 고학생들이었으며, 오로지 학문에만 몰두했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자서전 『후쿠오 자전』에서 "오가타의 서생은 학문에 관해서는 조금도 게을리한 적이 없다"고 회고했다. 이들은 당장의 출세나 성공을 바라기보다는 순수하게 학문을 탐구하며 이해력과 판단력을 기르는 데 힘썼는데, 훗날 졸업생들은 이를 "목적 없는 공부"라고 표현했다. 가끔 술을 마시거나 도톤보리 강 주변을 산책하는 것이 유일한 낙이었다고 한다[4].

1860년 (만엔 원년)에는 종두소(除痘館)가 데키주쿠 남쪽으로 이전해왔다. 1862년 (분큐 2년), 에도 막부는 이토 겐보쿠 등의 추천을 받아 오가타 고안에게 강력히 요청하여 그를 오쿠이시(奥医師, 쇼군 시의) 및 서양학문소의 책임자로 임명했다. 이에 오가타 고안은 에도로 거처를 옮겼고, 서양학문소에서도 데키주쿠 방식의 수업을 진행했다. 오가타 고안이 떠난 오사카의 데키주쿠는 그의 양자인 오가타 셋사이가 맡아 운영했다.

2. 2. 폐쇄와 그 이후 (1868년 ~ 현재)

1869년 (메이지 2년), 고토 쇼지로 오사카부 지사와 참여관 고마쓰 기요카도의 노력으로 오사카시 덴노지구 우에혼마치 4초메(당시 8초메 절마치)의 다이후쿠사(大福寺)에 나니와 가(假) 병원 및 가(假) 의학교가 설립되었다[5]. 초대 원장은 데키주쿠 창립자 오가타 고안의 차남인 오가타 고이준이 맡았으며, 수석 교수로는 네덜란드 군 의관 보드윈을 초빙했다. 이곳에서는 일반 환자 치료와 함께 의사들에게 새로운 서양 의술을 전수했다. 개원 반년 만에 병원과 학교는 스즈키마치(현재 오사카시 주오구 호엔자카 2초메)의 가와치현청 부지(과거 오사카 다이칸쇼, 이후 남사농국 자리, 현재 오사카의료센터 부근)로 이전했다. 이 과정에는 오가타 고이준 외에도 오가타 이쿠조(오가타 고안의 의제), 오가타 셋사이 등 데키주쿠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나니와 가(假) 병원 및 가(假) 의학교는 이후 여러 차례의 개편과 개칭을 거쳐 오사카 제국대학 의학부로 발전하였고, 이는 현재 국립대학법인 오사카 대학의 직접적인 전신이 되었다.

데키주쿠 건물은 현재 그 역사를 계승한 오사카 대학이 관리하고 있다. 건물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01년 (메이지 34년)문하생들이 "홍안문고(洪庵文庫)"를 설립했다.
1915년 (다이쇼 4년) - 1920년 (다이쇼 9년)도로 확장 공사로 인해 건물 북쪽 부분이 약 2m 잘려나갔다.
1940년 (쇼와 15년)건물이 오사카부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1941년 (쇼와 16년)건물이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1942년 (쇼와 17년)오가타 가문이 건물을 오사카 제국대학 (현 오사카 대학)에 기증했다.
1952년 (쇼와 27년)적(適)塾 기념회가 창립되었다.
1964년 (쇼와 39년)건물이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72년 (쇼와 47년)오사카 대학·적(適)塾 관리 운영 위원회가 발족했다.
1976년 (쇼와 51년) - 1980년 (쇼와 55년)문화청 주도로 건물의 해체 및 수리 작업이 진행되었다.
1980년 (쇼와 55년)수리 완료 후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기 시작했다.
1981년 (쇼와 56년)데키주쿠 주변 사적 공원화 사업의 일환으로 동쪽 인접지에 공원이 완성되었다.
1986년 (쇼와 61년)서쪽 인접지에 공원(공개 공지)이 완성되었다.
2013년 (헤이세이 25년) - 2014년 (헤이세이 26년)건물의 내진 공사가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일반 공개는 일시 중단되었으나, 공사 완료 후 재개되었다.


3. 역대 숙두

대수성명
초대오가타 코안
2대오쿠야마 세이쟈쿠
3대쿠사카 겐키 (쿠사카 겐즈이의 형)
4대오무라 마스지로
5대이이다 쥬헤이
6대이토 신조
7대와타나베 우자부로
8대쿠리하라 유이치
9대마츠시타 겐호
10대후쿠자와 유키치
11대나가요 센사이
12대야마구치 료야
13대카시와바라 가쿠지(타카오키)


4. 주요 졸업생

데키주쿠는 메이지 유신 전후 일본의 근대화를 이끈 수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주요 졸업생과 활동은 다음과 같다.


  • 후쿠자와 유키치: 게이오기주쿠의 창립자. 일본 근대 계몽사상가이자 교육자로서 큰 영향을 미쳤다.
  • 하시모토 사나이: 에치젠번의 번사였으나, 안세이 대옥에 연루되어 젊은 나이에 처형되었다.
  • 하나부사 요시타다: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활동한 외교관이다. 주러시아 공사, 궁내 차관, 추밀 고문관, 일본 적십자사 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남작 작위를 받았다.
  • 이케다 켄사이: 도쿄 제국대학 초대 의학부 총리를 지냈으며, 일본 최초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이시자카 이칸: 육군 군 의 총감을 지냈다.
  • 이시다 에이키치: 사카모토 료마가 이끌었던 해원대의 대사였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귀족원 남작 의원을 지냈다.
  • 쿠사카 겐키: 데키주쿠에서 숙두(塾頭, 학생 대표)를 역임했으며, 조슈번 출신의 의사 구사카 겐스이의 형이다.
  • 미츠쿠리 슈헤이: 에도 시대 말기의 난학자이자 교육자로, 산차 학사(三叉学舎)를 창립했다.
  • 나가요 센사이: 내무성 초대 위생국장을 맡아 일본의 공중 보건 및 위생 행정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 오무라 마스지로: 입문 당시 이름은 무라타 료안(村田良庵). 일본 근대 육군 창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야스쿠니 신사 창건을 제안했다.
  • 오토리 게이스케: 에도 막부 말기 막신으로 에조 공화국의 육군 봉행을 지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학습원 원장, 주청 공사 등을 역임하고 남작 작위를 받았다.
  • 사노 쓰네타미: 일본 적십자사를 창설하고 초대 총재를 역임했으며, 백작 작위를 받았다.
  • 스기 코지: 일본의 통계학자, 관료, 계몽 사상가이다. 일본 근대 통계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
  • 타카마츠 료운: 하코다테 전쟁 당시 에조 공화국 군 병원장으로 활동했다.
  • 타케다 아야사부로: 고료카쿠의 설계 및 건설을 담당했다.
  • 테즈카 료센: 대일본 제국 육군의 군의관이었으며, 유명 만화가 테즈카 오사무의 증조부이다.
  • 토코로 이쿠타로: 에도 막부 말기의 지사이자 외과 의사이다. 1860년에 입문했으며, 암살 시도로 빈사 상태에 빠진 이노우에 가오루를 수술하여 구한 일화로 유명하다.[6]
  • 다카미네 조키치: 과학자, 발명가, 사업가로 활동했다. 세계 최초로 아드레날린을 발견했으며, 소화제 타카디아스타제를 개발하여 큰 부를 얻었다.
  • 모토노 모리히코: 일본의 관료이자 사업가로, 고야스 슌 등과 함께 요미우리 신문을 창간했다.
  • 가시와바라 가쿠지: 데키주쿠의 마지막 숙두를 지냈으며, 오가타 고안 사후에는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시의(侍医)가 되었다.

5. 교통

오사카시 주오구 키타하마 3초메 3-8에 위치한다.

주요 대중교통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適塾(てきじゅく)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6-16
[2] 웹사이트 History of Osaka University https://www.osaka-u.[...] 2023-06-16
[3] 서적 Osaka: The merchants’ capital of early modern japa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9
[4] 웹사이트 学問だけでなく人格・思想をも形成した適塾時代 https://www.keio.ac.[...]
[5] 간행물 (大阪市)東区史 4 文化篇
[6] 웹사이트 高杉晋作の参謀となり、井上馨の命を救った「美濃浪人」所郁太郎 : 産経ニュース https://www.sankei.c[...] 2018-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