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리도는 동서 방향으로 긴 모양의 섬으로, 안산시 풍도 주민들이 100여 년 동안 어업 활동을 해왔으나, 간척 사업으로 인한 어업권 분쟁이 발생하여 2006년 대법원 판결로 어업 행위를 인정받지 못했다. 섬의 동쪽 해안에는 해빈과 사취가 발달해 있고, 서쪽 해안은 해식애로 이루어져 있으며, 엽리 구조의 호상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8년 조사에서 66종의 식물이 확인되었으며, 소나무와 곰솔이 우세하다.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에서는 이 섬에서 북동쪽으로 3.1km 떨어진 섬을 '와석포'라고 부르지만, 일부 포털 사이트 지도에서는 '도리도'로 표기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무인도 - 덜거머리
덜거머리는 독도 동도 북쪽에 위치한 규암 재질의 작은 바위섬으로, 사철쑥이 자생하며 고랑따개비와 굴이 주를 이루는 무척추동물 군집이 서식한다. - 경기도의 무인도 - 와석포
와석포는 갯개미취 자생지이자 부채까막살이 서식지이며 다양한 무척추동물이 서식하고 시멘트 구조물로 덮인 독특한 지형을 지닌 곳으로, 굴은 주민 식량 자원이며 다시마와 감태 같은 해조류도 발견된다. - 경기도의 섬 - 대부도
대부도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여러 국가를 거쳐 현재는 5개 행정동으로 나뉘며 관광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육지 및 주변 섬과 연결되어 있으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갯벌과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 경기도의 섬 - 오이도
오이도는 시화지구 개발로 육지와 연결되었지만 섬 명칭을 유지하며, 신석기 시대 유적과 해양단지를 중심으로 한 음식점, 빨간등대, 박물관 등 관광 명소가 있는 수도권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 화성시의 지리 - 동탄신도시
동탄신도시는 수도권 균형 발전을 위해 2001년부터 개발이 추진된 신도시로, 화성시 동탄면 일원에 동탄1, 2신도시로 조성되어 2007년부터 입주가 시작되었으며, 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교육 및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 화성시의 지리 - 시화호
시화호는 대부도와 오이도를 잇는 방조제로 조성된 인공 호수이며, 담수호에서 해수호로 변경되어 조력 발전소 건설 등을 통해 수질 개선을 도모하고 생태계 보고이자 친수공원으로 변화하고 있다.
도리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도리도 |
위치 | 황해 |
나라 | 대한민국 |
행정 구역 이름 | 시 |
행정 구역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백미리 산144 |
행정 구역1 이름 | 도 |
행정 구역1 | 경기도 |
지리 정보 | |
면적 | 30,002 m² |
인구 정보 |
2. 역사
도리도는 과거 안산시 풍도 주민들이 20세기 초부터 이용하던 어장이었으나, 인근 지역의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인해 화성시 어민들과의 어업권 분쟁이 발생하였다.[2] 2006년 대법원 판결로 이 분쟁은 일단락되었다.
2. 1. 어업권 분쟁
본래 이 섬은 섬 서쪽으로 19km 떨어진 안산시 풍도 주민들이 20세기 초부터 100여 년 동안 매년 11월에 집단으로 옮겨와 겨울이 끝날 때까지 인근 갯벌에서 굴과 바지락을 캐던 곳이다. 그러나 시화지구와 화옹지구의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조류가 바뀌면서 화성시 서신면 송교리 동죽 갯벌 수백만 평이 졸지에 '조개 무덤'으로 변해 버리자, 1999년 화성 어민들이 어업 연고권을 주장하면서 법적 분쟁이 일어났다.[2]2006년 대법원 판결로 안산시 풍도 주민들은 도리도에서의 어업행위를 인정받지 못하게 되었다. (도리도항#연혁 참고)
3. 지리
도리도는 동서 방향으로 긴 모양을 하고 있다. 동쪽 해안에는 해빈과 사취가 발달해 있으며, 서쪽 해안은 해식애 지형을 보인다. 섬은 주로 호상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3] 섬의 식생은 소나무와 곰솔 같은 침엽수가 우세하며, 칡 군락도 관찰된다. 해안의 무척추동물로는 고랑따개비가 우점종이다.[4] 한편, 북동쪽에 위치한 인근 섬(와석포)이 일부 대한민국 포털 사이트 지도 서비스에서 '도리도'로 잘못 표기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3. 1. 지형
섬은 동서 방향으로 긴 모양이다. 동쪽 해안에는 해빈이 발달해 있는데, 사취가 5m의 폭으로 1.5km가량 형성되어 있다. 서쪽 해안은 20m 높이의 해식애로 되어 있다. 섬은 엽리 구조의 호상편마암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3]3. 2. 지질
섬은 동서 방향으로 길게 놓여 있으며, 동쪽 해안에는 해빈이 발달해 사취가 폭 5m, 길이 1.5km 규모로 형성되어 있다. 서쪽 해안은 높이 20m의 해식애 지형을 이룬다. 섬의 주요 암석은 엽리 구조가 나타나는 호상편마암이다.[3]3. 3. 생태
섬은 동서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동쪽 해안에는 해빈이 발달해 있다. 이곳에는 폭 5m의, 길이 1.5km 가량의 사취가 형성되어 있다. 반면 서쪽 해안은 높이 20m의 해식애로 이루어져 있다. 섬의 기반암은 엽리 구조를 보이는 호상편마암이다.[3]2008년에 이루어진 조사에서는 총 66종의 식물이 확인되었다. 소나무와 곰솔 같은 침엽수가 섬 전체 식생에서 우세하며, 칡 군락도 발견된다. 무척추동물 중에서는 고랑따개비가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우점종이며, 해조류는 조사 당시 발견되지 않았다.[4]
3. 4. 인근 섬 정보 오류
도리도에서 북동쪽으로 3.1km 떨어진 섬(서신면 송교리 산107 번지)에 대해 다음, 네이버 등 대한민국의 주요 포털 사이트 지도에서는 '도리도'라고 표기하고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에서는 해당 섬을 '와석포'라고 공식적으로 지칭하고 있어 정보 표기에 차이가 있다.참조
[1]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해양수산부고시 제2018-128호 ‘무인도서 관리유형 지형도면 고시 (경기도)’
http://www.luris.kr/[...]
2018-11-08
[2]
뉴스
경기만 어민들 '마지막 갯벌' 싸고 생존권 싸움
http://legacy.www.ha[...]
한겨레
2001-07-13
[3]
서적
화성시 무인도서 실태조사 및 관리유형 지정방안 마련연구
국토해양부
2008
[4]
서적
화성시 무인도서 실태조사 및 관리유형 지정방안 마련연구
국토해양부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