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양수산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 정책, 어촌 개발, 해운·항만 등을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1948년 상공부와 교통부에 수산국과 해운국이 설치된 것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부처 개편과 통합을 거쳐 2013년 현재의 형태로 출범했다. 주요 업무는 해양, 수산, 해운, 항만, 해양 환경, 해양 조사, 해양 자원 개발, 해양 과학 기술 연구 개발 및 해양 안전 심판 등이다. 조직은 장관, 차관을 중심으로 실·국, 정책관·심의관실, 담당관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국립해양조사원 등 소속기관과 자문위원회를 두고 있다. 2023년 기준 총 수입 예산은 9174억 4900만 원, 총 지출 예산은 6조 4332억 8200만 원 규모이다. 과거 장관 임명, 세월호 참사, 해양 안전 관리 체계와 관련한 비판과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수산업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984년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하여 1997년 여러 기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출범한 해양수산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 대한민국의 수산업 -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수산과학원은 해양수산부 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서 수산자원 관리, 수산공학기술 개발, 수산 증·양식 및 생명공학 기술 개발, 수산물 위생안전 및 이용 연구, 해양환경 조사 및 보전기술 연구 등 다양한 연구 개발 업무를 수행하며 지속 가능한 수산업 발전에 기여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로마자 표기 | Haeyang Susan-bu |
한글 표기 | 해양수산부 |
한자 표기 | 海洋水産部 |
설립일 | 2013년 3월 23일 |
전신 | 문화체육관광부 (일부 기능) 농림수산식품부 (일부 기능) 국토해양부 (일부 기능) |
관할 | 대한민국 정부 |
본부 | 세종특별자치시 |
웹사이트 | 해양수산부 |
조직 | |
장관 | 강도형 |
차관 | 송명달 |
소속 기관 | 해양경찰청 |
예산 | |
세입 | 9511억 4800만 원 |
세출 | 5조 1795억 6700만 원 |
직원 | |
정원 | 548명 |
2. 소관 사무
대한민국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 정책, 어촌 개발, 수산물 유통, 해운·항만, 해양 환경, 해양 조사, 해양 자원 개발, 해양 과학 기술의 연구·개발 및 해양 안전 심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8] 구체적인 소관 사무는 다음과 같다.
- 해양·수산 정책에 관한 사무
- 어촌 개발에 관한 사무
- 수산물 유통에 관한 사무
- 해운·항만에 관한 사무
- 해양 환경에 관한 사무
- 해양 조사에 관한 사무
- 해양 자원 개발에 관한 사무
- 해양 과학 기술 연구·개발에 관한 사무
- 해양 안전 심판에 관한 사무
3. 연혁
- 1948년 7월 17일: 상공부에 수산국을, 교통부에 해운국을 설치.[12]
- 1955년 2월 7일: 상공부 수산국을 개편하여 해무청을 설치.[13]
- 1961년 10월 2일: 해무청을 폐지하고 소관사무를 농림부에 이관.[14]
- 1966년 2월 28일: 농림부로부터 수산에 관한 사무를 수산청에 이관하여 분리.[15]
- 1973년 3월 3일: 수산청을 농수산부 소속으로 변경.[16]
- 1976년 1월 31일: 건설부의 항만건설업무와 교통부의 항만운영 및 해운업무에 관한 사무를 항만청에 이관하여 분리.[17]
- 1977년 12월 16일: 항만청을 해운항만청으로 개편.[18]
- 1987년 1월 1일: 수산청을 농림수산부 소속으로 변경.[19]
- 1994년 12월 23일: 해운항만청을 건설교통부 소속으로 변경.[20]
- 1996년 8월 8일: 수산청과 해운항만청을 통합하여 해양수산부를 설치.[21]
- 2008년 2월 29일: 해양수산부와 농림부를 통합하여 농림수산식품부를 설치.[22]
- 2013년 3월 23일: 농림수산식품부를 해양수산부와 농림축산식품부로 분리.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해양 레저스포츠에 관한 사무를, 국토해양부로부터 해안·하천·항만 및 간척, 해운, 해양환경, 해양조사, 해양자원개발, 해양과학기술연구·개발 및 해양안전심판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음.[23]
- 2014년 11월 19일: 해상교통관제센터에 관한 사무를 국민안전처로 이관.[24]
3. 1. 역대 로고
4. 조직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의 조직은 장관 산하 하부조직과 차관 산하 하부조직으로 나뉜다.
4. 1. 간부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미니스트리 오브 오션스 앤드 피셔리즈|해양수산부영어의 간부는 다음과 같다.직위 | 상세 |
---|---|
장관 | 장관 |
대변인 | 대변인 |
홍보 담당관 | |
감사관 | 감사관 |
감사 담당관 | |
장관 정책 보좌관 | 장관 정책 보좌관 |
차관 | 차관 |
기획조정실장 | 기획조정실장 |
정책기획관 | |
기획재정담당관 | |
창조행정담당관 | |
규제개혁법무담당관 | |
정보화담당관 | |
비상안전담당관 |
4. 2. 하부 조직
4. 3. 소속기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국립해양조사원, 어업관리단, 국립해사고등학교는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장관의 관장 사무를 지원한다. 지방해양수산청은 장관의 소관 사무를 분장하는 기관이다. 해양안전심판원도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의 소속기관이다.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인재개발원, 국립해양측위정보원은 장관의 관장 사무를 지원하는 책임운영기관이다.기관명 | 하부조직 |
---|---|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 서울, 인천, 평택, 장항, 여수, 목포, 완도, 제주, 부산, 통영, 포항, 강릉, 인천공항 지원 |
국립해양조사원 | 남해, 동해, 서해 해양조사사무소 |
동해어업관리단 | 제주어업관리사무소, 조업감시센터 |
서해어업관리단 | |
국립해사고등학교 | 부산, 인천 |
해양수산인재개발원 | |
국립해양측위정보원 |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 부산항건설사무소 |
인천지방해양수산청 | 경인해양수산사무소 |
여수지방해양수산청 | 여천해양수산사무소, 광양해양수산사무소 |
마산지방해양수산청 | 통영해양수산사무소, 사천해양수산출장소 |
동해지방해양수산청 | 속초해양수산사무소, 묵호해양수산사무소, 삼척해양수산출장소 |
군산지방해양수산청 | 장항해양수산사무소 |
목포지방해양수산청 | 진도항로표지사무소, 완도해양수산사무소 |
포항지방해양수산청 | 포항신항해양수산사무소 |
평택지방해양수산청 | 당진해양수산출장소 |
해양안전심판원 | |
국립수산과학원 | 동해수산연구소(독도수산연구센터), 서해수산연구소, 남서해수산연구소(아열대수산연구센터), 남동해수산연구소, 전략양식연구소(미래양식연구센터, 해조류바이오연구센터, 육종연구센터), 중앙내수면연구소(내수면양식연구센터), 고래연구소, 갯벌연구소,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 |
울산지방해양수산청 | |
대산지방해양수산청 |
4. 4. 소속 자문위원회
위원회명 | 설치 근거 |
---|---|
국립해양생물자원관건립위원회 | 국립해양생물자원관건립위원회 규정 제2조 |
독도지속가능이용위원회 |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제7조 |
선박관리산업정책위원회 | 선박관리산업발전법 제5조 |
소금산업진흥심의회 | 소금산업진흥법 제6조 |
수산생명자원심의위원회 | 농수산생명자원위 보존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5조 |
수산생물질병방역협의회 | 수산동물질병관리법 제4조 |
수산식품과학기술위원회 |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육성법 제5조의2 |
수산종자위원회 | 식물신품종보호법 제118조 |
신항만건설심의위원회 | 신항만건설촉진법 제10조 |
어업인등지원위원회 |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농어업인 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19조 |
어업재해대책심의위원회 | 농어업재해대책법 제5조 |
어업재해보상보험심사위원회 | 어선원 및 어선 재해보상보험법 제60조 |
어업재해보험심의회 | 농어업재해보험법 제3조 |
연안여객선고객만족도평가위원회 | 해운법 제9조 및 해운법 시행령 제6조 |
여성어업인육성정책자문회의 | 여성농어업인육성법 제7조 |
원양산업발전심의회 | 원양산업발전법 제5조 |
중앙어업어촌정책심의회 |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기본법 제15조 |
중앙수산자원관리위원회 | 수산자원관리법 제54조 |
중앙수산조정위원회 | 수산업법 제86조 |
중앙연안관리심의회 | 연안관리법 제30조 |
중앙항만정책심의회 | 항만법 제4조 |
해양수산발전위원회 | 해양수산발전기본법 제7조 |
5. 정원
6. 재정
총수입·총지출 기준 2023년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10][11]
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일반회계 | 57897억원 | +17.94% |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 12775억원 | -11.93% |
농어촌구조개선 특별회계 | 31998억원 | +11.3% |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 3848억원 | +0.16% |
교통시설특별회계 | 223296억원 | +89.61% |
수산발전기금 | 587635억원 | +2.43% |
합계 | 917449억원 | +16.48% |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일반회계 | 2184794억원 | +1.13% |
해양환경 | 200188억원 | -2.8% |
수산·어촌 | 481412억원 | -0.56% |
해운·항만 | 320049억원 | -4.99% |
물류등기타 | 960288억원 | +4.55% |
과학기술연구지원 | 222857억원 | +3.66% |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 468115억원 | +244.78% |
해양환경 | 56772억원 | +2.13% |
수산·어촌 | 370434억원 | +960.17% |
해운·항만 | 35792억원 | -15.97% |
물류등기타 | 5117억원 | +93.02% |
농어촌구조개선 특별회계 (수산·어촌) | 1455274억원 | -19.72% |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 66328억원 | -38.29% |
수산·어촌 | 22229억원 | -10.21% |
해운·항만 | 44099억원 | -46.69% |
교통시설특별회계 | 1588846억원 | -3.41% |
해운·항만 | 1485212억원 | -5.21% |
물류등기타 | 103634억원 | +32.62% |
수산발전기금 | 669925억원 | +27.95% |
해양환경 | 51894억원 | +9.41% |
수산·어촌 | 618031억원 | +29.8% |
합계 | 6433282억원 | +0.76% |
7. 비판 및 논란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원본 소스가 제공될 때까지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Home
http://www.mof.go.kr[...]
2022-11-01
[2]
웹사이트
Home (Archive.org)
http://www.momaf.go.[...]
2014-01-04
[3]
뉴스
朴大統領、尹珍淑氏任命を強行…就任52日で組閣完成
http://japanese.dong[...]
2013-04-18
[4]
뉴스
【中央時評】無秩序な身内、青瓦台(2)
https://japanese.joi[...]
2013-05-16
[5]
뉴스
海洋水産部長官を更迭 朴大統領の責任論も
http://japanese.yonh[...]
2014-02-06
[6]
뉴스
朴大統領、ユン・ジンスク長官電撃更迭 油流出事故不適切発言で
http://japan.hani.co[...]
2014-02-06
[7]
뉴스
韓国、問題の女性閣僚を解任 以前に下劣な日本批判 朴大統領の任命責任も
https://www.zakzak.c[...]
2014-02-07
[8]
법률
法律第25752号『海洋水産部とその所属機関職制』第3条
[9]
문서
「해양수산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2 및 별표 4의2 및 별표 5제1호~제2호·제5호~제7호
[10]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2-26
[11]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2-26
[12]
법령
대통령령 제24호 및 대통령령 제26호
[13]
법률
법률 제354호
[14]
법률
법률 제734호
[15]
법률
법률 제1752호
[16]
법률
법률 제2557호
[17]
법률
법률 제2886호
[18]
법률
법률 제3011호
[19]
법률
법률 제3854호
[20]
법률
법률 제4831호
[21]
법률
법률 제5153호
[22]
법률
법률 제8852호
[23]
법률
법률 제11690호
[24]
법률
법률 제12844호
[25]
문서
2025년 9월 30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6]
문서
2명을 두며 1명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별정직공무원으로, 나머지 1명은 3급 또는 4급 상당 별정직공무원으로 보한다.
[27]
문서
2024년 8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8]
문서
2024년 9월 30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9]
문서
2023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30]
문서
2023년 12월 28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31]
문서
어촌양식정책관이 겸임한다.
[32]
문서
한시정원 11명 포함.
[33]
문서
한시정원 8명 포함.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서해서 무허가 조업 중국어선, 이젠 중국서도 처벌…한·중, 협력 강화
“고용허가제 사업자 변경 제한 철폐해야…총리실 산하 조정기구 필요”
"올해 2분기 전국 무역항 물량 2% 감소…수출입 물동량 줄어"
'전문성 공방' 전재수 청문회…"자질 충분"·"부산시장 출마?"
해수부, ‘부산 동구’로 연말까지 내려간다
해수부, ‘건물 2곳 임대’ 부산진역 근처로 이전 확정···이 대통령 지시에 ‘속도전’
해양수산부, 부산 동구에 새 둥지 튼다…“올해 안 이전 마무리”
세종 시민들이 직접 나선다···‘해수부 이전 반대’ 시민문화제 개최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기획단’ 가동…“올해 안 이전 총력”
빛축제 예산 삭감에 화난 세종시장, 민주당 소속 시의원 작심 비판
국방 안규백·통일 정동영·외교 조현…11개 부처 장관후보 지명
5월31일 인사
5월27일 인사
인명 사고 느는데 ‘외국인 채워 넣기’만…죽음 내몰리는 이주민 선원들
K-김 수출 1분기 21%↑…연 10억 달러 수출 '청신호'
3월21일 인사
‘폭행·음주운전’ 논란 강도형 해수부장관 후보 이번엔 ‘위장전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