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돌잔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잔치는 아기가 태어난 지 첫 번째 생일을 기념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한국의 전통 행사이다. 과거에는 영아 사망률이 높아 첫 생일을 무사히 넘긴 것을 기념하는 의미가 컸으며, 조선 시대부터 양반 계층에서 시작되어 왕실에서도 행해졌다. 현대에는 영아 사망률 감소와 함께 산업화되어 호텔이나 연회장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돌잡이, 삼신상 차리기, 돌복 입기 등 다양한 풍습이 이루어진다. 한국계 디아스포라와 혼혈 가족에게서도 이러한 문화가 나타나며, 돌잡이 물건의 다양화와 함께 부나 지위를 과시하는 경향에 대한 반발로 소규모의 검소한 돌잔치를 치르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일 - 쇼와의 날
    쇼와의 날은 쇼와 천황의 생일인 4월 29일을 기념하는 일본 공휴일로, 쇼와 시대에 대한 국민적 성찰을 위해 2007년부터 재지정되었으며, 과거 메이지절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지만 쇼와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과정을 반영하여 다양한 해석과 논란을 낳고 있다.
  • 생일 - 탄생석
    탄생석은 출생 월, 요일 또는 별자리에 따라 특정 보석을 할당하는 관습으로, 서양에서는 12개의 보석과 12달, 황도 12궁을 연관 짓는 데서 기원했으며, 현대의 탄생석 목록은 1912년 미국 보석상 협회에서 표준화되었다.
  • 통과의례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통과의례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 한국의 문화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한국의 문화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돌잔치
돌잔치
아이를 위해 열린 돌잔치 (2007년)
아이를 위해 열린 돌잔치 (2007년)
한국어돌 또는 돌잔치
한자없음
로마자 표기dol 또는 doljanchi
매큔-라이샤워 표기tol 또는 tolchanchi
개요
돌잔치전통적인 한국의 첫 번째 생일 파티

2. 역사

'돌'은 아이의 나이를 나타내는 한국 고유의 단위이다.[1] 아이의 첫 번째 생일은 한국에서 굳건히 소중히 여겨져 왔다. 특히 영아 사망률이 높았던 과거에는 더욱 그랬다. 사회 계층과 세대를 아울러 '돌잔치'는 가족에게 중요한 이정표였으며, 아이의 건강과 미래에 대한 소망을 표현하는 축하 행사와 의례를 포함한다.[2]

2. 1. 조선 시대

과거에는 영아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돌을 못 넘기고 사망하는 아기가 많았다. 첫 생일을 무사히 넘긴 것을 기념하고 아기의 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잔치를 여는 것이 돌잔치의 기원이다. 돌잔치의 '돌'은 열두 달을 한 바퀴 돌았다는 뜻이다. 또한 돌잔치에서 돌잡이를 함으로써 아기의 장래와 관련하여 미래를 점쳐보기도 한다.

20세기 초의 돌잔치


돌잔치는 아마도 조선 시대 즈음에 시작되었으며, 16세기 중반 경 양반 계층에서 그 관습이 처음으로 나타났다. ''돌잡이''는 중국의 의례인 ''주아저우''(zhuazhou)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시기부터 행해졌다.[8] 조선 왕족에서도 돌잔치를 행했는데, 1791년, 훗날 순조가 돌잡이에서 활과 악기를 집었다. 왕실에서는 떡을 정부 대신, 왕실 호위병, 하인, 그리고 거리의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다.[8] 이 의례는 ''국조보감|國朝寶鑑한국어''과 ''지봉유설''과 같은 조선 시대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2]

2. 2. 현대

현대에는 영아 사망률이 낮아져서 돌잔치는 산업화되었고, 다양한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3][7] 호텔이나 연회장 같은 곳을 빌려 잔치를 열기도 한다.[10] 요즘 돌잔치에는 사람들을 연회장에 초대하고, 음식을 대접하며, 사진사, 스타일리스트, 사회자 같은 전문가를 부르기도 한다.[9] 손님들에게 답례품을 주기도 하고,[3] 잔치를 위해 한복을 빌릴 수도 있다.[10] 어떤 사람들은 돌잔치를 부나 지위를 자랑하는 기회로 여기기도 한다. 그래서 일부러 작고 검소하게 잔치를 치르는 사람들도 있다.[9][11][3]

돌잔치 선물도 시대에 따라 바뀌었다. 1950년대 중반까지는 쌀이나 옷이 일반적인 선물이었다.[8] 20세기 초에는 금을 주는 관습이 중국에서 온 것으로 알려졌다.[8] 최근에는 금 대신 현금을 주는 사람들도 있다.[9]

아마존이나 Etsy 같은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돌잔치 준비 세트를 팔기도 한다.[12]

돌잔치 사진 촬영에 참여한 혼혈 가족 (2024)


이러한 풍습은 한국계 디아스포라나 혼혈 가족에게서도 볼 수 있다.[14][13] 예를 들어, 한국계 미국인들은 한국 음식과 미국 음식을 섞어 야외에서 돌잔치를 하기도 한다.[14]

돌잡이에 쓰이는 물건도 다양해졌다. 예를 들면 봉제 인형(수의사),[15] 청진기(의사),[15] 망치(판사),[16] 마이크(연예인),[3] 컴퓨터 마우스(IT 업계),[3] 여권(외교관) 등이 있다.[3]

3. 돌과 돐

대한민국에서는 한동안 생일(生日)의 뜻으로는 '돌'을 쓰고 주기(週期)의 뜻으로는 '돐'을 썼으나, 이러한 구분이 인위적이고 불필요한 세분화라는 지적이 잇따르자 현행 표준어 맞춤법에서는 모두 "돌"을 쓰는 것으로 통일하였다.[20][21]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규범은 현재도 주기의 뜻으로 '돐'을 사용하고, 돌잔치에서의 '돌'은 생일의 뜻이기에 2017년판 《조선말대사전》에도 '돌잔치'라는 단어가 실려 있다.

4. 돌잔치 준비

돌잔치에 손님들을 초대하며, 손님들은 아이와 가족을 위해 돈, 쌀, 실, 은제품, 가구, 이불, 보석, 옷 등을 선물한다.[1] 전통적인 선물 중 하나는 순금 반지인 돌반지인데, 이는 20세기 초 한국으로 이주한 중국인들로부터 유래된 관습이다.[6]

4. 1. 삼신상

전통적으로 돌잔치 당일 아침, 가족들은 삼신상(三神床)이라는 의례적인 음식 공양을 준비한다.[1] 이 공양은 아이들의 건강을 돌본다고 알려진 삼신에게 바쳐진다.[3][4][5] 공양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미역국, 밥, 정화수(깨끗한 물)로 구성되며, 아이의 어머니가 일반적으로 안방에 놓는다.[4] 그 후 가족들은 미역국과 밥을 먹는다.[1]

4. 2. 돌복

아이는 화려한 전통 한복을 입는다. 남자 아이는 저고리, 바지,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와 파란색 쾌자를 입고, 머리에는 복건, 발에는 버선을 신는다. 여자 아이는 빨간 치마와 함께 화려한 저고리(때로는 당의)를 입는다. 머리에는 족두리 또는 굴레를 쓰고, 발에는 타래 버선을 신는다. 모든 아이는 가슴에 돌띠를 두르고 허리에 돌주머니를 착용한다.[1]

4. 3. 돌상

돌상은 돌잔치 때 차려지는 상으로, 전통적으로 안방이나 대청(가정의 공용 공간)에 놓인다.[2] 상 자체는 아이가 부딪힐 수 있는 모서리를 피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둥근 모양(둥근상)이다.[8][2] 상 뒤에는 병풍(한국의 접는 병풍)을 놓는 경우가 많다.[1]

돌상에는 크게 제사용 물건과 음식이 놓인다. 제사용 물건은 돌잡이 의식과 관련이 있다.[2] 음식은 상 위에 장식적인 방식으로 높이 쌓는다.[1][2] 과일, 채소, 구운 음식, 밥, 국수, 미역국,[2] , 약과, 강정 등이 올라간다.[1] 특히 송편, 백설기, 개피떡, 팥 경단, 인절미 등의 떡이 인기가 많으며, 최근 몇 년 동안 더욱 인기를 얻고 있다.[2]

이러한 음식들은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설기는 깨끗하고 순수한 영혼을 기원하는 의미를, 통통하게 생긴 송편은 아이가 항상 잘 먹고 건강하게 자라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팥 경단은 불운을 막아주는 것을 상징한다.[8][2][1]

5. 돌잡이

돌잡이


돌잡이는 여러 어른 앞에서 아이 앞에 물건을 늘어놓고 아이가 집게 하는 풍속이다. 돌잔치 때 행해지는 의례로, 아이의 미래를 점치는 풍습이다.

아이가 어떤 물건을 고를지 추측하도록 유도하는 표지판 (2021)

5. 1. 전통적인 돌잡이 물건



돌잡이는 여러 어른 앞에서 아이 앞에 물건을 늘어놓고 아이가 집게 하는 풍속이다. 돌잔치 때 행해지는 의례로, 아이를 돌상 앞에 앉히고 상 위에 놓인 다양한 물건 중 하나를 집도록 한다. 이 물건들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며, 아이가 처음 잡는 물건이 아이의 미래에 운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는다.

전통적인 돌잡이 물건 외에도 현대에는 직업의 다양화에 따라 여러 새로운 종류의 물건을 놓기도 한다.

돌잡이 물건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7][1][2]

물건의미
책, 잉크, 붓, 종이과거 시험의 지능과 성공
재산
충분한 식량 또는 재산
활, 칼무술 재능 또는 용감함
바느질 도구가사 능력
실, 국수장수



부모와 친척들은 종종 아이가 특정 물건을 선택하도록 유도하지만, 아이들이 항상 이러한 바람을 따르는 것은 아니다.[1]

5. 2. 현대의 돌잡이 물건



현대에는 전통적인 돌잡이 물건 외에도 직업의 다양화에 따라 새로운 종류의 물건을 놓기도 한다. 돌잡이 물건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 책, 잉크, 붓, 종이: 과거 시험의 지능과 성공
  • 돈: 재산
  • 쌀: 충분한 식량[7] 또는 재산[1]
  • 활 또는 칼: 무술 재능[1] 또는 용감함[2]
  • 바느질 도구: 가사 능력
  • 실 또는 국수: 장수[1]


부모와 친척들은 종종 아이가 특정 물건을 선택하도록 유도하지만, 아이들이 항상 이러한 바람을 따르는 것은 아니다.[1]

6. 현대의 돌잔치 문화

과거에는 영아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아기가 첫 생일을 무사히 넘긴 것을 기념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잔치인 돌잔치는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그러나 현대에는 영아 사망률이 낮아지면서 돌잔치의 의미가 변화하고 있다.[9][3]

현대 돌잔치는 산업화되어 호텔이나 연회장 같은 장소를 예약하고, 사진사, 스타일리스트, 사회자 등 전문가를 고용하는 경우가 많다.[9][10] 손님에게 답례품을 주거나, 한복을 대여하기도 한다.[3][10] 돌잔치 용품은 아마존이나 Etsy와 같은 전자 상거래 웹사이트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12]

돌잔치 선물도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1950년대 중반까지는 쌀과 옷이 일반적이었지만,[8] 20세기 초부터는 중국의 영향으로 금을 주는 관행이 생겼다.[8] 최근에는 금 대신 현금을 주는 경우도 있다.[9]

돌잡이에 사용되는 물건도 다양해졌다. 과거에는 쌀, 실, 붓, 책 등이 사용되었지만, 현대에는 봉제 인형,[15] 청진기,[15] 망치,[16] 마이크,[3] 컴퓨터 마우스,[3] 여권[3] 등 다양한 직업을 상징하는 물건들이 사용된다.

일부에서는 돌잔치를 부나 지위를 과시하는 기회로 여기기도 하지만, 이에 대한 반발로 소규모의 검소한 돌잔치를 하는 경우도 있다.[9][11][3]

6. 1. 한국계 디아스포라와 혼혈 가족

이 관습은 한국계 디아스포라와 혼혈 가족에서 관찰되어 왔다.[14][13] 예를 들어, 한국계 미국인의 돌잔치는 한국 음식과 미국 음식을 섞어 야외 피크닉으로 진행되기도 한다.[14]

참조

[1] 백과사전 돌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27
[2] 백과사전 돌상 (돌床)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27
[3] 웹사이트 First Birthday Party Extravaganza Becomes Common https://www.koreatim[...] 2024-06-27
[4] 백과사전 삼신상 (三神床)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27
[5] 백과사전 삼신 (三神)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27
[6] 웹사이트 Golden chance to liquidate babies’ gold rings? https://news.koreahe[...] 2024-08-31
[7] 웹사이트 Grab the mouse! A tradition evolves https://koreajoongan[...] 2024-06-27
[8] 서적 한국문화사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9] 웹사이트 Young parents redefine 'doljanchi' https://www.koreaher[...] 2024-06-27
[10] 웹사이트 Baby product spending booms in the age of the 'VIB' https://koreajoongan[...] 2024-06-27
[11] 웹사이트 Baek-il, 100th Day Celebration in Korea https://asiasociety.[...] 2024-06-27
[12] 서적 The K-Wave On-Screen: In Words and Object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9-12
[13] 웹사이트 Punk show supports marriage for all https://www.koreatim[...] 2024-06-27
[14] 서적 Caring Across Generations: The Linked Lives of Korean American Families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14-06-20
[15] 웹사이트 Mickey Mouse celebrates Korean culture in new episode https://www.nbcnews.[...] 2024-06-27
[16] 웹사이트 Choi Jung-in gets back in the studio: The R&B star is working on new album after performing in Pyongyang https://koreajoongan[...] 2024-06-27
[17] 웹인용 조선료리 http://cooks.org.kp/[...] 2023-01-02
[18] 서적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 뉴스 Carrying on the Family Line http://knutimes.com/[...] The KNU Times 2007-06-01
[20] 웹인용 우리말 자료실 http://www.kbsas.com[...] 한국어진흥원 2009-07-22
[21] 웹인용 표준어 규정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1988년 1월 19이리 문교부 고시 제 88-2호 http://www.tufs.ac.j[...] 2012-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