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남호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남호보(東南互保)는 1900년 청나라 말기, 열강의 침략과 의화단 운동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장강 유역과 동남 지역의 지방 관리들이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자신들의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맺은 협정을 의미한다. 청나라가 열강에 선전포고를 하기 전부터 류쿤이, 장즈둥, 리훙장, 성쉬안화이 등은 동남 각 성을 안정시키고 열강의 침략 명분을 주지 않기 위해 협의했다. 청나라가 선전포고를 하자, 류쿤이, 장즈둥, 리훙장, 쉬잉구이, 촨쥔, 위안스카이 등은 참전국과 협의하여 열강의 이권을 보호했다. 이로 인해 허베이성과 산둥성을 제외한 지역은 의화단과 8개국 연합군의 전쟁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동남호보는 지방의 정치·군사 권력을 강화시키고 중앙의 권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는 신해혁명 이후 군벌 시대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화단 운동 - 북경의 55일
    1963년 제작된 미국의 서사 영화 북경의 55일은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베이징 외국 공사관들이 포위되었던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찰턴 헤스턴, 에바 가드너, 데이비드 니븐 등이 출연했고 니콜라스 레이와 앤드류 마턴이 감독을 맡았으며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카데미상 2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 의화단 운동 - 신축조약
    신축조약은 1901년 의화단 운동 이후 청나라가 11개국과 체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막대한 배상금 지불, 외국 군대 주둔, 치외법권 설정 등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며 반식민지 상태로 전락시키고 열강의 지배를 강화시켜 중국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 청나라의 대외 관계 - 러일 전쟁
    러일 전쟁은 1904년부터 1905년까지 일본 제국과 러시아 제국 간에 만주와 대한제국 지배권을 두고 벌어진 전쟁으로, 일본이 승리하여 대한제국 지배권을 확립하고 아시아 민족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청나라의 대외 관계 - 쿨리 (노동자)
    쿨리는 19세기 노예제 폐지 이후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인도 대륙과 중국에서 유럽 식민지와 미국으로 이주한 일용직 노동자를 의미하며, 강제성과 착취로 얼룩진 쿨리 무역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종결되었고 현재는 모욕적인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동남호보
개요
명칭동남호보 (東南互保)
영어 명칭Mutual Defense Pact of the Southeastern Provinces
별칭동남 각성 연합 (東南各省聯合)
시기1900년
지역중국 동남부
배경
주요 사건의화단 운동
원인청나라 정부의 무능
외세의 침략 심화
의화단의 외국인 배척 운동 확산
직접적 계기청나라의 외국 열강에 대한 선전포고
주체 세력
주요 인물리훙장 (李鴻章, 직례총독 겸 북양대신)
류쿤이 (劉坤一, 양강총독)
장지동 (張之洞, 호광총독)
위안스카이 (袁世凱, 산동순무)
쉬수징 (許景澄)
성쉬안화이 (盛宣懷)
참여 지역장쑤성
안후이성
저장성
광둥성
후베이성
푸젠성
산둥성
장시성
내용
주요 내용청나라 중앙 정부의 명령 거부
각 성의 독립적인 치안 유지
외국 열강과의 협력 및 자국민 보호
의화단 운동 진압
합의 사항상호 방위 및 불가침 조약 체결
외국 열강의 이익 보호
청나라 조정의 간섭 배제
경과
전개 과정리훙장 등의 주도로 협상 시작
각 성 총독들의 합의를 통해 조약 체결
청나라 정부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실행
결과동남 지역의 상대적인 안정 유지
청나라 중앙 정부의 권위 약화
외국 열강의 영향력 확대
평가
긍정적 평가동남 지역의 사회 질서 유지
외국 열강의 추가적인 침략 방지
부정적 평가청나라 중앙 정부의 권위 실추
지방 세력의 강화
중국 분열의 가능성 증대
관련 사건 및 인물
관련 사건의화단 운동
경자사변
신축조약
관련 인물서태후
광서제
리훙장
류쿤이
장지동
위안스카이
성쉬안화이

2. 배경

동남호보의 모습 (1900년)


1895년, 중국은 청일 전쟁에서 일본에게 패했다. 1900년까지 중국은 회복하지 못했다.[10]

청나라가 각국에 선전포고를 하기 전부터 양강총독류쿤이, 호광총독장즈둥, 양광총독리훙장, 철로대신성쉬안화이 등은 동남 각 성을 평온하게 유지하고 열강에게 침략의 구실을 주지 않도록 협의했다. 청나라가 11개국에 선전포고를 한 후, 류쿤이, 장즈둥, 리훙장, 민절총독쉬잉구이, 쓰촨총독쿠이쥔, 산둥 순무위안스카이는 참전국과 협의하여 열강의 이권을 보호했다. 이를 동남호보라고 한다. 창장 강 연안과 연해의 두푸들은 일치하여 반란 진압과 치안 유지, 외국인 상인 및 교회의 보호를 통해 열강의 개입을 막으려 했다[10]。 그들은 조정에서 의화단을 지지하라는 조칙을, 의화단에 협박당해 나온 "난명"이라고 칭했다.

3. 전개 과정

1900년 청나라 조정이 대외 전쟁을 선포하기 전부터, 화남과 화동 지역의 지방 총독들은 외세의 침략에 맞서 영토의 평화를 유지할 방법을 논의했다. 량장 총독 류쿤이, 호광 총독 장즈둥, 량광 총독 리훙장 등이 그 중심 인물이었다. 이들은 베이징이 함락되고 황제서태후의 생사가 불분명해질 경우, 대통령 공화국을 선포하고 리훙장을 임시 대총통으로 추대할 계획까지 세웠다.

장즈둥은 한커우 주재 영국 영사에게 팔국 연합군이 동남 제성 보호 협약에 따라 자신의 관할 지역을 침략하지 않도록 만주족을 혐오한다고 말했다.[2]

1900년 6월 21일, 서태후러시아 제국,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독일 제국, 이탈리아, 스페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벨기에, 네덜란드 등 11개국에 대한 열강 선전포고 조칙을 발표했다. 그러나 전신부 장관 성쉬안화이는 황제의 조칙과 의화단을 소집하라는 또 다른 조칙이 공표되는 것을 막았다. 대신 이 조칙들은 총독들에게만 전달되었고, 황제의 명령에 따르지 말라는 전보와 함께 전달되었다.

리훙장을 비롯한 여러 총독들은 서태후의 군사 행동 요구를 공개적으로 거부했다. 장즈둥은 황실 조정이 베이징과 함께 몰락할 경우 리훙장을 초대 대통령으로 하는 중화민국을 수립하자는 제안을 다시 내놓았다.[4]

총독들은 외세에 북쪽(즉, 베이징, 허베이성, 산시성)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든 자신들의 성을 침략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그리고 이 명령을 부하들에게 전달했다.

청나라가 각국에 선전포고를 한 후, 류쿤이, 장즈둥, 리훙장, 민절총독쉬잉구이, 쓰촨총독쿠이쥔, 산둥 순무위안스카이는 참전국과 협의하여 열강의 이권을 보호했다. 이를 '''동남호보'''라고 한다. 창장 강 연안과 연해의 두푸들은 일치하여 반란 진압과 치안 유지, 외국인 상인 및 교회의 보호를 통해 열강의 개입을 막으려 했다[10]。 그들은 조정에서 의화단을 지지하라는 조칙을, 의화단에 협박당해 나온 "난명"이라고 칭했다.

동남호보 운동은, 허베이성, 산둥성 이외의 지역을 의화단과 8개국 연합군의 전쟁으로부터 지켰지만, 동시에 지방의 정치·군사 권력이 확장되고 중앙의 권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 1911년신해혁명 당시 각 성이 우창 봉기에 호응하여 잇따라 독립을 선언하고, 중화민국 성립 후 베이양 군벌이 각 지방에 장기간 할거하게 된 것도 동남호보가 초래한 세력 변화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3. 1. 리훙장의 역할

량광 총독 리훙장은 1900년 6월 21일 서태후가 열강 선전포고 조칙을 발표했을 때, "이는 거짓 조칙이다. 광동과 광시성은 복종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전보를 보내며 서태후의 명령에 따르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3] 그는 외국 공사관 포위전을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이용하기도 했다. 중국 전신 통신을 장악하고 있던 리훙장은 서방 세계에 중국군이 외국인에게 잔혹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는 과장된 정보를 흘려 서방의 분노를 유발했다.[5][6] 그러나 의화단 운동 기간 동안 자신의 군대를 파견하지 않은 점 때문에 서방으로부터 칭찬을 받았다.[7]

류쿤이(량장 총독), 장즈둥(호광 총독) 등과 함께 동남호보 협약을 주도한 리훙장은, 청 조정이 베이징 함락 이후 붕괴될 경우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으로 추대될 예정이었다.[4]

3. 2. 위안스카이의 역할

위안스카이서태후의 대외 전쟁 선포를 무시하고 의화단을 계속 탄압했다. 그는 자신의 군대(우부군)를 이끌고 산둥성에서 의화단을 탄압했을 뿐만 아니라, 1900년 8월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한 후 팔국 연합군의 의화단 탄압을 도왔다. 위안스카이의 군대는 즈리성에서 반 의화단 운동으로 수만 명을 학살했다.[8] 위안스카이는 1902년에 끝난 이 작전 기간 동안 바오딩에서 활동했다.[9] 그는 산둥 순무로서[10] 참전국과 협의하여 열강의 이권을 보호하는 동남호보에 참여하였다.

4. 의의 및 영향

동남호보는 한족 출신 지방 관리들이 만주족 중심의 청나라 조정의 명령을 공개적으로 거부한 최초의 사건이었다. 리훙장, 류쿤이, 장즈둥 등은 모두 한족이었다.[10] 이들은 중앙 정부의 명령을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판단으로 열강과의 충돌을 피했다. 그 결과, 허베이성, 산둥성 이외의 지역은 의화단 운동과 8개국 연합군의 전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었다.

4. 1. 청조에 미친 영향

8개국 연합군의 침략 이후, 지방 당국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지방 군사력을 강화할 필요성을 느꼈다. 신해혁명으로 청나라 조정이 붕괴되고 제국 관리들이 축출되자, 군사력이 강력한 지역 당국은 군벌 시대를 이끌었다.[10]

청나라 조정의 입장에서 볼 때, 8개국 연합군의 침략은 일련의 외세와의 군사적 대립과 함께 국가적 자존심을 훼손했다. 특히 이 사건은 지방 당국이 황제의 명령을 거부하면서 지방주의가 얼마나 두드러지게 되었는지를 보여주었다. 이는 국가 분열에 대한 두려움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정부는 권력을 재집중하고 지지를 다시 얻으려는 시도를 했다. 예를 들어, 헌법 준비, 황실 내각, 그리고 일련의 개혁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은 주로 만주족 통치를 연장하고 중국을 강화하며 다른 민족과 권력을 공유하려는 의도보다는 진정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개혁은 청나라를 구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고, 중국 혁명 이후 1911년에 제국 통치는 붕괴되었다.[10]

왕조의 마지막 날에, 청나라는 동남호보 협정에 참여한 혐의로 1908년-1911년 정치적으로 유배되었던 위안스카이를 재임명하려는 최후의 시도를 했다. 위안스카이는 결국 새롭게 근대화된 제국 베이양 군대를 장악하는 데 동의했고, 남부 혁명가들을 상대로 몇 차례 성공적인 원정을 벌였다. 그러나 그는 즉시 혁명가들과 협상에 들어갔고, 결국 청나라의 퇴위를 강요했다.[10]

동남호보 운동은 허베이성, 산둥성 이외의 지역을 의화단과 8개국 연합군의 전쟁으로부터 지켰지만, 동시에 지방의 정치·군사 권력이 확장되고 중앙의 권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 1911년신해혁명 당시 각 성이 우창 봉기에 호응하여 잇따라 독립을 선언하고, 중화민국 성립 후 베이양 군벌이 각 지방에 장기간 할거하게 된 것도 동남호보가 초래한 세력 변화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10]

4. 2. 신해혁명과 군벌 시대

한족 관리들이 만주족 조정의 명령을 공개적으로 거부한 최초의 사건으로 기록되는 동남호보는, 전쟁과 혼란이 자신들의 영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성공적으로 막았다. 8개국 연합군의 침략 이후, 지방 당국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지방 군사력을 강화할 필요성을 느꼈다.[10] 신해혁명으로 청나라 조정이 붕괴되고 제국 관리들이 축출되자, 군사력이 강력한 지역 당국은 군벌 시대를 이끌었다.

동남호보 운동은 허베이성, 산둥성 이외의 지역을 의화단과 8개국 연합군의 전쟁으로부터 지켰지만, 동시에 지방의 정치·군사 권력이 확장되고 중앙의 권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낳았다.[10] 이후 1911년 신해혁명 당시 각 성이 우창 봉기에 호응하여 잇따라 독립을 선언하고, 중화민국 성립 후 베이양 군벌이 각 지방에 장기간 할거하게 된 것도 동남호보가 초래한 세력 변화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Inheritance within Rupture: Culture and Scholarship in Early Twentieth 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2015-01-30
[2]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7
[3] 서적 庚子國變記 2018-09
[4] 서적 絕版李鴻章 文匯出版社 2018-09
[5] 서적 Warriors of the Rising Sun: A History of the Japanese Military https://books.google[...] Norton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otik.uk.zcu.[...] 2016-03-10
[7] 서적 An Outlin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Sherman, French
[8] 서적 Warriors of the Rising Sun: A History of the Japanese Military https://books.google[...] Norton
[9] 서적 Yuan Shih-kÊ»ai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詳説世界史研究 [[山川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