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북아역사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북아역사재단은 동북아시아 역사 왜곡에 대응하고 한국사를 연구·전파하기 위해 2006년 설립된 대한민국 정부 출연 기관이다.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연구, 정책 개발, 홍보·교육, 교류·지원 사업 등을 수행하며, 동북공정, 일본의 역사 왜곡 등 역사 갈등 극복을 위한 활동을 펼친다. 재단은 연구정책실, 독도실 등을 운영하며, 이사장과 사무총장을 두고 있다. 식민사관 논란, 동북공정 대응 미흡, 간도 협약 및 영토 문제 관련 논란 등이 있으며, 동북아시아 역사 연구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역사 갈등 극복과 평화 공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대문구 - 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병원은 1885년 광혜원으로 시작하여 루이스 헨리 세브란스의 기부로 세브란스 기념병원으로 개칭되었고, 현재 신촌을 중심으로 여러 병원을 운영하며 송도세브란스병원을 건설하고 있다.
  • 서울 서대문구 - 신촌
    신촌은 서울의 대학 밀집 지역으로, 한때 서울의 주요 상권이었으나 침체기를 겪고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과 축제 개최를 통해 다시 활기를 되찾았으며, 현대백화점 등 쇼핑 시설과 대중교통 접근성을 갖춘 곳이다.
  • 공공기관 (교육부 소관)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은 1885년 제중원으로 시작하여 대한의원, 조선총독부의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편 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본원 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등을 운영하며 국내외 의료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병원이다.
  • 공공기관 (교육부 소관) - 한국장학재단
    한국장학재단은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고등교육 기회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학자금 대출, 국가장학금, 국가 교육근로장학금, 국가우수장학금 등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한다.
  • 대한민국 교육부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는 1947년 설립되어 전북특별자치도에 여러 캠퍼스를 둔 거점국립대학교로, 다양한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순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 교육부 - 대한민국학술원
    대한민국학술원은 대한민국학술원법에 따라 설립된 학술 기관으로, 정부 학술 정책 자문, 학술 연구 지원, 국내외 학술 교류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 분야 최고 권위자인 회원들로 구성된다.
동북아역사재단
기본 정보
한글 명칭동북아역사재단
한자 명칭東北亞歷史財團
영어 명칭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약칭NAHF
상세 정보
설립 목적동북아 지역의 역사 문제에 대한 학술 연구 및 정책 개발
설립 배경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대응 필요성 증대
주요 사업역사 관련 연구 및 조사
역사 교육 자료 개발 및 보급
국제 학술 교류 및 협력
역사 관련 정책 자문
연혁
2006년재단 설립
2016년재단 창립 10주년 기념식 개최
간행물
근대 한국 외교 문서전5권 (2012년)
관련 기사
중앙일보【コラム】東北アジア歴史財団はなぜ設立したのか=韓国 (2015-10-05)
코리아넷東北アジア歴史財団創立10周年記念式典 (2016-09-21)

2. 설립 배경 및 목적

동북아역사재단은 중국과 일본의 동북아시아 역사 왜곡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한국사를 연구 및 전파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6년에 정부 출연 기관으로 만들어졌다.[9] 동북아시아 역사 문제 및 독도 관련 사항에 대한 장기적·지속적·종합적 연구 및 분석을 실시하고, 체계적·전략적 정책을 개발하며, 홍보·교육활동과 교류·지원사업을 시행함으로써 바른 역사인식을 공유하고 동북아시아 지역의 평화 및 번영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9]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등 동북공정(東北工程), 일본의 독도 영주권 주장과 왜곡된 역사교과서 채택 등 역사 왜곡에 대한 정책 대안을 개발하는 일과 국내외의 역사 연구자, 역사 교육자, 역사 관련 NGO 등의 교류와 협력을 촉진하며 역사 갈등을 극복하는 동아시아 공동체 기반 조성도 그 범위에 두고 있다.[9]

2005년 국회에서 동북아 역사 재단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이 발의되었고, 2006년 '동북아의 평화를 위한 바른 역사 정립 기획단'과 '고구려 연구 재단'을 흡수 통합하여 출범하였다.[9]

2. 1. 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곡

2. 2. 대한민국 정부의 대응

2005년 국회에서 동북아 역사 재단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이 발의되었다.[9] 2006년 '동북아의 평화를 위한 바른 역사 정립 기획단'과 '고구려 연구 재단'을 흡수 통합하여 동북아역사재단이 출범하였다.[9]

3. 주요 활동 및 연구


  • 동북아시아의 바른 역사정립을 위한 조사·연구를 진행한다.[9]
  • 독도 관련 사항에 대한 조사·연구,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전략과 정책의 개발 및 대한민국 정부 건의를 한다.[9]
  •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시민사회단체와의 교류·협력을 진행한다.[9]
  •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홍보·교육·출판 및 보급, 동해·독도의 표기 관련 체계적 오류 시정 활동을 한다.[9]
  • 대한민국 정부가 재단에 위탁하는 사업 등의 활동 등을 수행한다.[9]

3. 1. 동북아시아 역사 연구

동북아시아의 올바른 역사 정립을 위한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한다.[9] 독도 관련 사항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진행하며,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전략과 정책을 개발하고 대한민국 정부에 건의한다.[9]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시민사회단체와 교류하고 협력하며,[9] 관련 홍보, 교육, 출판 및 보급 활동을 진행한다.[9] 동해·독도의 표기 관련 체계적 오류를 시정하는 활동 또한 전개한다.[9] 대한민국 정부가 재단에 위탁하는 사업 등을 수행한다.[9]

3. 2. 독도 연구

동북아시아의 바른 역사 정립을 위한 조사·연구를 진행하며, 특히 독도 관련 사항에 대한 조사·연구를 수행한다.[9]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전략과 정책을 개발하고 대한민국 정부에 건의하며, 관련 시민사회단체와 교류·협력한다.[9] 또한,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홍보·교육·출판 및 보급, 동해·독도의 표기 관련 체계적 오류 시정 활동과 정부 위탁 사업 등을 수행한다.[9]

3. 3. 정책 개발 및 제안

동북아시아의 바른 역사 정립을 위한 조사·연구를 수행한다.[9] 독도 관련 사항에 대한 조사·연구를 진행하며,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전략과 정책을 개발하고 대한민국 정부에 건의한다.[9]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시민사회단체와 교류·협력하며,[9] 관련 홍보·교육·출판 및 보급 활동을 진행한다.[9] 동해·독도의 표기 관련 체계적 오류 시정 활동도 전개한다.[9] 대한민국 정부가 재단에 위탁하는 사업 등의 활동을 수행한다.[9]

3. 4. 시민사회와의 교류·협력

동북아역사재단은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시민사회단체와의 교류 및 협력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9] 또한,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홍보, 교육, 출판 및 보급 활동을 하며, 동해·독도의 표기 관련 체계적 오류를 시정하는 활동을 한다.[9]

3. 5. 홍보·교육·출판

동북아시아의 바른 역사 정립을 위한 조사·연구를 수행한다.[9] 독도 관련 사항에 대한 조사·연구,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전략과 정책의 개발 및 대정부 건의를 한다.[9]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시민사회단체와의 교류·협력 사업을 진행한다.[9] 또한, 동북아시아 역사 및 독도 관련 홍보·교육·출판 및 보급, 동해·독도의 표기 관련 체계적 오류 시정 활동을 한다.[9] 정부가 재단에 위탁하는 사업 등의 활동도 수행한다.[9]

4. 조직 및 운영

재단은 연구정책실, 독도실, 교육홍보실, 운영관리실, 정책기획관을 둔다. 교육부 장관이 이사장 등 주요 임원에 대한 인사 제청권을 갖고 있으며 정부 유관 부처 차관들이 당연직 이사를 맡고 있다.[9] 감사관과 정책기획관 산하에 경영기획팀이 있다. 연구정책실에는 한일연구소, 한중연구소, 국제관계연구소가 있다.

역대 이사장은 다음과 같다.


  • 초대: 김용덕 (2006년~2008년)
  • 2대: 정재정 (2009년~2012년)
  • 3대: 김학준 (2012년~2015년)
  • 4대: 김호섭 (2015년~2017년)
  • 5대: 김도형 (2017년~2020년)
  • 6대: 이영호 (2020년~2023년)
  • 7대: 박지향 (2024년~현재)


역대 사무총장은 다음과 같다.

  • 초대: 유광석 (2006년)
  • 2대: 조환복 (2007년~2008년)
  • 3대: 신연성 (2009년~2010년)
  • 4대: 김영소 (2011년~2012년)
  • 5대: 석동연 (2013년~2015년)
  • 6대: 이현주 (2015년~2018년)
  • 7대: 조태영 (2018년~2021년)
  • 8대: 장원삼 (2021년~2023년)

4. 1. 조직 구성

감사관과 정책기획관 산하에 경영기획팀이 있다. 연구정책실에는 한일연구소, 한중연구소, 국제관계연구소가 있다.

4. 2. 이사장 및 사무총장

역대 이사장은 다음과 같다.

  • 초대: 김용덕 (2006년~2008년)
  • 2대: 정재정 (2009년~2012년)
  • 3대: 김학준 (2012년~2015년)
  • 4대: 김호섭 (2015년~2017년)
  • 5대: 김도형 (2017년~2020년)
  • 6대: 이영호 (2020년~2023년)
  • 7대: 박지향 (2024년~현재)


역대 사무총장은 다음과 같다.

  • 초대: 유광석 (2006년)
  • 2대: 조환복 (2007년~2008년)
  • 3대: 신연성 (2009년~2010년)
  • 4대: 김영소 (2011년~2012년)
  • 5대: 석동연 (2013년~2015년)
  • 6대: 이현주 (2015년~2018년)
  • 7대: 조태영 (2018년~2021년)
  • 8대: 장원삼 (2021년~2023년)

4. 3. 운영 방식

wikitext

재단은 연구정책실, 독도실, 교육홍보실, 운영관리실, 정책기획관을 둔다. 교육부 장관이 이사장 등 주요 임원에 대한 인사 제청권을 갖고 있으며 정부 유관 부처 차관들이 당연직 이사를 맞고 있다.[9]

4. 4. 식민사관 논란

동북아역사재단은 한국의 민족주의자들과 재야 사학자들로부터 식민사관의 본거지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1][3] 재단이 미국 의회조사국에 제출한 자료에서 기원전 108년 한사군이 한반도 일부를 통치했다는 동북공정과 일제 식민사학의 주장을 인정했다는 논란이 『중앙일보』를 통해 제기되었다.[4] 새누리당 이상일 의원은 이 자료가 국익을 해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4]

2012년 6월, 경기도 교육청이 제작한 동북공정 대응 교육 자료집에 대해 동북아역사재단은 단군 신화를 역사적 사실로 기술한 점, 간도 협약의 국제법상 무효 여부, 고인돌 분포, 발해와 백두산 경계비 관련 기술 등에서 오류를 지적하며 수정을 권고했다.[5][6][7] 경기도 교육청은 이에 대해 수업 참고용 자료이므로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7]

이도길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은 중국의 동북공정 목적이 북한 유사시 군사 개입 명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한사군 위치 비정이 핵심이라고 주장한다.[8] 그는 동북아역사재단이 동북공정에 대응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홈페이지에 고조선의 수도가 평양이었다고 기술하여 동북공정 논리에 동조하고 있다고 비판한다.[8] 또한, 한사군이 한반도 밖에 있었다는 여러 연구 결과들을 국가 연구 기관이 묵살하고 있다고 비판한다.[8]

4. 5. 동북공정 대응 미흡 논란

동북아역사재단은 단군은 실존했고, 위만은 조선인이었으며, 낙랑군한반도에 없었다고 주장하는 한국의 민족주의 세력에게서 비판을 받고 있다.[3] 재야 사학자들은 동북아역사재단을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재단이 의 본거지"라고 비판한다.[1]

2012년 8월, 중앙일보는 동북아역사재단이 미국 의회조사국에 제출한 "한중 경계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한국의 견해"라는 자료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이 자료는 기원전 108년 한나라 무제가 설치한 한사군이 한반도 일부를 통치했다는 동북공정 및 일제 식민사학의 핵심 주장을 인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4] 자료에는 기원전 3세기196년황해도진번군이 존재했고, 기원전 108년에 한사군이 한반도 북부에 존재했다고 나와있다. 그러나 인하대학교 복기대 교수는 "지도에 따르면 고려의 수도 개성에 낙랑이 있었다는 것인데, 그런 사료나 학설은 접한 적이 없다"며, "한사군이 한반도에 있었다는 말은 일제 시대에 식민사학자들이 '한국은 타국의 속국'으로 날조한 사실"이라고 비판했다.[4] 새누리당 이상일 의원은 "미 의회의 보고서는 미국의 정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자료인데, 이런 자료로 우리의 역사를 왜곡하는 지도를 재단과 정부가 보낸 것은 국익을 해치는 행동"이라며, "잘못된 부분을 조기에 수정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비판했다.[4] 중앙일보는 "재단에서 근무했던 관계자는 '일제 식민사관 등을 계승하고 있는 사람들이 내부에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4]

2012년 6월, 경기도 교육청이 제작한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항하는 교육 자료집 "동북아의 평화를 꿈꾸며"에 대해 동북아역사재단은 "이 교재가 외교적으로 민감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정밀 분석을 했다", "교육 현장에서 자료로 사용되기에는 문제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수정을 권고했다"고 밝혔다.[5] 재단은 단군 신화를 역사적 사실로 기술한 부분에 대해 "고조선 개국 신화는 신화적인 범주에 속하며, 역사적인 사실이 아닌 것은 자명하다", "신화가 전달하는 내용과 역사적인 배경은 엄격히 분리하여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국의 왜곡된 역사관을 수정한다는 취지를 고려하더라도 (자료집은) 고대사의 일반적인 인식 방법에서 벗어나 독자를 잘못 이끌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6] 또한, 1909년 일청이 체결한 간도 협약은 국제법상 무효이며, 간도는 한국의 영토라는 자료집 내용에 대해서는 "백두산 경계비가 건설된 시기는 국제법적인 인식이 등장하기 전이며, 국제법적인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반박했다.[5] 백두산 경계비(1712년)를 국제법상 유효한 국경 조약으로 보는것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국제법상 을사조약(1905년)과 간도 협약이 무효화되면 빼앗긴 간도를 되찾을 수 있다는 묘사에 대해서는 "간도 협약 전에 간도의 영역을 확정하고 간도를 한국의 영토로 한 사실은 없다"고 지적했다.[7] 그 외에도 고인돌이 고조선에만 있었다는 기술과 발해 대조영을 진국왕이 아닌 조선의 왕으로, 백두산 경계비가 1792년에 조선과 청의 구두 합의로 건설되었다는 등의 오류를 지적했다.[7] 경기도 교육청은 "교과서에서 다룰 수 없는 중요한 역사적인 논쟁과 사실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며, "수업 참고용 자료이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고 동북아역사재단을 비판했다.[7]

이도길(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은 중국의 동북공정 연구 목적이 "북한 유사시에 군사 개입할 수 있는 역사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라고 주장한다.[8] 그는 "중국은 동북공정으로 만주는 물론 한반도 북부까지를 중국사의 영토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 핵심 논거는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설치했다는 한사군에 있다. 한사군의 중심지인 낙랑군이 고조선의 수도였던 평양 지역에 있고 나머지 삼 군이 한강의 북쪽에 있었기 때문에 한강 북쪽이 고대 중국의 식민지라는 주장"이라고 설명했다.[8] 그는 동북공정에 대항하기 위해 설치한 기관이 고구려연구재단이고 이를 계승한 것이 동북아역사재단이지만, "동북아역사재단의 현행 HP는 '올바른 역사'라는 항목에서 '기원전 3세기부터 2세기, 준왕대의 고조선과 위만조선은 평양을 수도로 하고 있었다'라고 적고 있다. 고조선의 왕성인 평양에 낙랑군을 설치했다는 중국 동북공정의 내용과 일치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고구려연구재단도 한때 낙랑군의 위치를 평양이라고 표시한 역사 지도를 올렸다가 네티즌의 항의를 받고 내린 적이 있었다"며, "동북공정에 대응하라고 설치한 국가 연구 기관이 오히려 동북공정 논리에 동조하는 이상 현상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8] 이지린, , 윤내현, 이도길 등의 연구를 통해 한사군이 한반도에 없었다는 사실이 논증되었음에도,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가 연구 기관들은 동북공정에 대항하는 이런 이론을 완전히 묵살한 채 한사군이 한반도 안에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8]

4. 6. 간도 협약 및 영토 문제 관련 논란

동북아역사재단은 한국의 민족주의자들과 재야 사학자들로부터 식민사관의 본거지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1][3]

2012년 8월, 『중앙일보』는 동북아역사재단이 미국 의회조사국에 제출한 자료에서 한사군이 한반도 일부 지역을 통치했다는 동북공정과 일제 식민사학의 핵심 주장을 인정했다고 보도했다.[4] 복기대 인하대학교 교수는 지도에 따르면 고려의 수도 개성에 낙랑이 있었다는 것인데, 그런 사료나 학설은 접한 적이 없다고 비판했다.[4] 이상일 새누리당 의원은 미 의회 보고서가 미국의 정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자료인데, 이런 자료로 우리 역사를 왜곡하는 지도를 재단과 정부가 보낸 것은 국익을 해치는 행동이라고 비판했다.[4]

2012년 6월, 경기도 교육청이 제작한 동북공정 대응 교육 자료집 "동북아의 평화를 꿈꾸며"에 대해 동북아역사재단은 외교적으로 민감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수정 권고를 했다.[5] 단군 신화를 역사적 사실로 기술한 부분, 1909년에 체결된 간도 협약은 국제법상 무효이며 간도는 한국 영토라는 부분, 고인돌은 고조선에만 있었다는 부분 등에서 오류를 지적했다.[5][6][7] 경기도 교육청은 교과서에서 다룰 수 없는 중요한 역사적 논쟁과 사실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며, 수업 참고용 자료이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고 동북아역사재단을 비판하고 있다.[7]

이도길(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은 중국이 동북공정을 연구하는 목적을 북한 유사시에 군사 개입할 수 있는 역사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라고 하며,[8] 동북아역사재단이 동북공정 논리에 동조하는 이상 현상이 진행 중이라고 비판했다.[8]

5. 전망 및 과제

동북아역사재단은 동북아시아 역사 연구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역사 왜곡 방지를 위한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북아시아 역사를 연구하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역사 갈등을 극복하고 화해를 이룰 수 있는 정책 대안을 개발하여 제시할 것이다.

또한, 동북아시아 국가 간 상호 이해와 평화 공영을 위해 자국 역사뿐만 아니라 이웃 나라의 역사도 존중하는 열린 자세를 강조하며, 국내외 역사 연구자, 교육자, 관련 NGO 등의 교류와 협력을 촉진하는 역사 대화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동북아시아 역사 속 평화적 교류 및 협력 사례를 발굴하고 연구하여, 우호와 신뢰에 기반한 동아시아 공동체 창출에 기여할 것이다.

참조

[1] 뉴스 【コラム】東北アジア歴史財団はなぜ設立したのか=韓国 http://japanese.join[...] 2015-10-05
[2] 뉴스 東北アジア歴史財団創立10周年記念式典 http://japanese.kore[...] 海外文化弘報院 2016-09-21
[3] 뉴스 “낙랑군 평양說은 사실” VS “이동·교역 가능성 무시”… ‘한국 상고사 쟁점: 왕검성·한군현’ 토론회 http://news.kmib.co.[...] 2016-03-22
[4] 뉴스 「韓半島に漢四郡」歪曲された古代史資料を米議会に送る=韓国 http://japanese.join[...] 2015-10-05
[5] 뉴스 「渤海建国」大祚栄が高句麗王?…常識はずれの韓国の歴史資料集(1) http://japanese.join[...] 2012-09-18
[6] 뉴스 '발해 건국' 대조영이 고구려왕? 역사책 황당 https://www.joongang[...] 2012-09-18
[7] 뉴스 「渤海建国」大祚栄が高句麗王?…常識はずれの韓国の歴史資料集(2) http://japanese.join[...] 2012-09-18
[8] 뉴스 現在進行形 歴史わい曲の後には ‘津田・イ・ビョンド 濃厚な影’ http://japan.hani.co[...] 2009-05-15
[9] 서적 근대한국외교문서(전5권) 동북아역사재단 20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