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탄인덕원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탄인덕원선은 경기도 안양시 인덕원역에서 화성시 동탄역까지 연결되는 복선전철 노선으로, 현재 건설 중이다. 2003년 인덕원~병점 전철 계획 보고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타당성 조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2023년 12월 29일 사업실시계획승인 고시 및 착공이 이루어졌다. 노선은 안양, 의왕, 수원, 용인, 화성시를 경유하며, 흥덕역 설치를 두고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병점기지선
    병점기지선은 경기도 화성시 병점역과 오산시 서동탄역을 잇는 2.2km의 한국철도공사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향후 동탄인덕원선 및 수도권고속철도와의 연결이 추진 중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동탄인덕원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동탄–인덕원선
다른 이름동탄–인덕원 복선전철 (東灘–仁德院複線電鐵)
로마자 표기Dongtan–Indeogwon Bokseonjeoncheol
노선 종류수도권 전철, 광역철도
노선 상태공사 중
개요
기점인덕원역 (경기도 안양시)
종점동탄역 (경기도 화성시)
역사 수6–18
개통 예정2029년 12월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미정
노선 길이37.1 km (복선: 34.5 km, 단선: 2.6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교류 25,000 V
최고 속도120km/h

2. 역사

2003년부터 추진된 동탄인덕원선은 본래 1번 국도를 따라 인덕원역에서 병점역까지 잇는 전철로 계획되었다.[3] 그러나 2007년 타당성 부족으로 무산될 뻔했으나, 노선을 인덕원역에서 서동탄역으로 변경하고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이라는 이름으로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가 2010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요청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 재추진되었다.[4]

하지만 GTX와 동탄신교통수단(동탄선 트램) 노선 때문에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2012년 타당성 재조사를 거쳤고, 2014년에는 광교중앙역 대신 법원사거리를 경유하고 동탄1신도시 중심부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사업 계획을 변경하였다.[5] 이는 수원시내 접근성 향상과 향후 동탄2신도시 연장을 고려한 조치였다.[6]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각 지자체는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안양시는 호계사거리, 용인시는 흥덕지구[7], 화성시는 능동마을 경유를 요구했고,[8] 수원시는 북수원역 추가를 요구했다.[9]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2015년 10월 기본계획안이 확정되었으나,[10] 역사 두 곳(영통입구역, 경희대역) 추가 신설 요구가 발생하면서[11] 기본 설계는 미뤄졌다. 기획재정부는 사업비 증가를 이유로 KDI에 설계적정성 검토를 의뢰했고, 검토 결과 호계사거리·흥덕역·능동역 반영 시 사업 타당성이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만, 북수원역(교육원삼거리)은 기존 노선 위에 건설되므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결론났다.[13]

2018년 3월 29일, 국토교통부는 기본계획을 고시하고 노선 명칭을 '''인덕원~동탄 복선전철'''로 변경했다. 역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최종 노선은 기본계획안에서 변경, 수정 또는 일부 조정될 수 있다.

2021년 7월 19일, 역명심의위원회에서 노선명을 '''동탄인덕원선'''으로 의결했고, 2023년 12월 29일 사업실시계획 승인이 고시되고 착공했다.[19]

날짜내용
2003년 12월 30일건설교통부, 인덕원 ~ 병점 전철 계획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보고.[14]
2007년 3월인덕원-병점 전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2010년 10월인덕원-병점 건설사업 타당성 검토
2011년 4월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2011 ~ 2020) 반영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2011년 11월인덕원-수원 복선전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B/C : 0.95, AHP : 0.515)
2012년 10월타당성재조사 대상사업 통보 - GTX 사업, 동탄신교통수단에 따른 영향 검토
2014년 10월국토교통부에서 사업계획 검토 - 수요 증대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해 법원사거리 경유 및 동탄신도시 최단거리 통과노선으로 변경
2014년 11월타당성재조사 통과 (B/C : 0.95, AHP : 0.507)
2015년 10월기본계획안 확정[15]
2016년 4월기획재정부에서 KDI 한국개발연구원에 추가된 4개 역사 및 변경 노선에 대해 설계적정성 검토 의뢰[16]
2018년 3월 29일추가 4개 역사를 포함하여 인덕원 ~ 동탄 복선전철 건설사업으로 기본계획 고시[17]. 단, 흥덕역의 경우 용인시의회의 결정에 따라 제외될 수 있음.
2018년 4월 30일용인시의회, “흥덕역 업무협약 선결처분 승인의 건” 가결.[18]
2021년 7월 19일역명심의위원회에서 노선명을 동탄인덕원선으로 의결.
2023년 12월 29일사업실시계획승인 고시 및 착공[19]


2. 1. 초기 계획 및 무산 (1998년 ~ 2007년)

1998년부터 수원시, 안양시를 비롯한 경기도 서남부 주민의 교통 편의를 위해 1번 국도를 따라 인덕원역 - 고천 - 북수원 - 수원야구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수원시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병점역을 잇는 전철 노선이 계획되었다.[3] 이 노선은 2003년부터 추진되었으나,[3] 2007년 타당성 부족으로 무산되었다.[3]

이후 인덕원역 - 고천 - 북수원 - 수원야구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광교중앙역 - 수원남부경찰서 - 영통역 - SRT 동탄역 - 서동탄역으로 조정된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이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에 의해 2010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요청받아[4] 재추진되었다.

날짜내용
2003년 12월 30일건설교통부, 인덕원 ~ 병점 전철 계획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보고.[14]
2007년 3월인덕원-병점 전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2. 2. 재추진 및 노선 변경 (2010년 ~ 2014년)

2003년부터 추진된 인덕원-병점 전철 계획은 2007년 타당성 부족으로 무산될 뻔했으나, 2010년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가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이라는 이름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요청하여 재추진되었다.[3][4] 노선은 인덕원역 - 고천 - 북수원 - 수원야구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광교중앙역 - 수원남부경찰서 - 영통역 - SRT 동탄역 - 서동탄역으로 조정되었다.

그러나 2012년 GTX와 동탄신교통수단(동탄선 트램) 노선으로 인해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타당성 재조사를 거쳤고, 2014년에는 광교중앙역 대신 법원사거리를 경유하고 동탄1신도시 중심부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5] 이는 수원시내 접근성 향상과 향후 동탄2신도시 연장을 고려한 결과였다.[6]

이후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각 지자체별로 주민들의 요구가 빗발쳤다. 안양시는 호계사거리, 용인시는 흥덕지구,[7] 화성시는 능동마을 경유를 각각 요구했으며,[8] 수원시는 북수원역 추가를 요구했다.[9] 2015년 10월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기본계획안이 확정되었으나,[10] 역사 두 곳(영통입구역, 경희대역) 추가 신설 요구가 발생하면서 기본 설계가 미뤄졌다.[11] 노선 변경으로 사업비가 크게 늘자 기획재정부가 KDI에 설계적정성 검토를 의뢰했고, 검토 결과 사업 타당성이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12] 다만, 북수원역(교육원삼거리)은 기존 노선 위에 건설되므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결론났다.[13]

2. 3. 기본계획 수립 및 변경 (2015년 ~ 2018년)

2003년부터 추진된 동탄인덕원선은 본래 1번 국도를 따라 인덕원역에서 병점역까지 잇는 전철로 계획되었다.[3] 그러나 2007년 타당성 부족으로 무산될 뻔했으나, 노선을 인덕원역에서 서동탄역으로 변경하고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이라는 이름으로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가 2010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요청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 재추진되었다.[4]

하지만 GTX와 동탄신교통수단(동탄선 트램) 노선 때문에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2012년 타당성 재조사를 거쳤고, 2014년에는 광교중앙역 대신 법원사거리를 경유하고 동탄1신도시 중심부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사업 계획을 변경하였다.[5] 이는 수원시내 접근성 향상과 향후 동탄2신도시 연장을 고려한 조치였다.[6]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각 지자체는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안양시는 호계사거리, 용인시는 흥덕지구[7], 화성시는 능동마을 경유를 요구했고,[8] 수원시는 북수원역 추가를 요구했다.[9]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2015년 10월 기본계획안이 확정되었으나,[10] 역사 두 곳(영통입구역, 경희대역) 추가 신설 요구가 발생하면서[11] 기본 설계는 미뤄졌다. 기획재정부는 사업비 증가를 이유로 KDI에 설계적정성 검토를 의뢰했고, 검토 결과 호계사거리·흥덕역·능동역 반영 시 사업 타당성이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만, 북수원역(교육원삼거리)은 기존 노선 위에 건설되므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결론났다.[13]

2018년 3월 29일, 국토교통부는 기본계획을 고시하고 노선 명칭을 '''인덕원~동탄 복선전철'''로 변경했다. 역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최종 노선은 기본계획안에서 변경, 수정 또는 일부 조정될 수 있다.

날짜내용
2003년 12월 30일건설교통부, 인덕원 ~ 병점 전철 계획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보고.[14]
2007년 3월인덕원-병점 전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2010년 10월인덕원-병점 건설사업 타당성 검토
2011년 4월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2011 ~ 2020) 반영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2011년 11월인덕원-수원 복선전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B/C : 0.95, AHP : 0.515)
2012년 10월타당성재조사 대상사업 통보 - GTX 사업, 동탄신교통수단에 따른 영향 검토
2014년 10월국토교통부에서 사업계획 검토 - 수요 증대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해 법원사거리 경유 및 동탄신도시 최단거리 통과노선으로 변경
2014년 11월타당성재조사 통과 (B/C : 0.95, AHP : 0.507)
2015년 10월기본계획안 확정[15]
2016년 4월기획재정부에서 KDI 한국개발연구원에 추가된 4개 역사 및 변경 노선에 대해 설계적정성 검토 의뢰[16]
2018년 3월 29일추가 4개 역사를 포함하여 인덕원 ~ 동탄 복선전철 건설사업으로 기본계획 고시[17]. 단, 흥덕역의 경우 용인시의회의 결정에 따라 제외될 수 있음.
2018년 4월 30일용인시의회, “흥덕역 업무협약 선결처분 승인의 건” 가결.[18]


2. 4. 착공 및 개통 예정 (2021년 ~ 현재)

2021년 7월 19일, 역명심의위원회에서 노선명을 '''동탄인덕원선'''으로 의결했다.[19]

2023년 12월 29일 사업실시계획 승인이 고시되고 착공했다.[19]

3. 노선

동탄인덕원선은 본래 1번 국도를 따라 인덕원역에서 병점역까지 이어지는 전철로 계획되어 2003년부터 추진되었다.[3] 그러나 2007년 타당성 부족으로 무산될 뻔했으나, 인덕원역에서 동탄역을 거쳐 서동탄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조정되어 재추진되었다.[4]

이후 2012년 타당성 재조사를 거쳐 2014년에는 광교중앙역 대신 법원사거리를 경유하고, 동탄1신도시 중심축을 통과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5] 이는 수원시내 접근성 향상과 동탄2신도시 연장을 고려한 결과였다.[6]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각 지자체는 안양시 호계사거리, 용인시 흥덕지구[7], 화성시 능동마을 경유와 수원시 북수원역 추가 등을 요구했다.[8][9] 2015년 10월 기본계획안이 확정되었으나,[10] 역사 두 곳(영통입구역, 경희대역) 추가 신설 요구[11]로 기본 설계가 미뤄졌다. 사업비 증가로 인해 기획재정부가 설계적정성 검토를 의뢰했고, 검토 결과 호계사거리·흥덕역·능동역 반영 시 사업 타당성이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만 북수원역(교육원삼거리)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결론났다.[13]

2018년 3월 29일 국토교통부 기본계획 고시로 노선 명칭이 '''인덕원~동탄 복선전철'''로 변경되었다. 2021년 7월 19일 역명심의위원회에서 노선명을 '''동탄인덕원선'''으로 최종 의결했다.

3. 1. 역 목록

(km)누적 거리
(km)소재지인덕원Indeogwon仁德院--경기도안양시안양농수산물시장2.32.3호계Hogye虎 溪1.84.1오전Ojeon五 全1.65.7의왕시고천(의왕시청)Gocheon (Uiwang City Hall)古 川(義王市廳)1.57.2수원월드컵경기장Suwon World Cup Stadium水原월드컵競技場4.411.6수원시수원야구장Suwon Baseball Stadium水原野球場1.613.2파장4.116.3아주대입구1.918.2원천1.419.6흥덕1.521.1용인시영통Yeongtong靈通3.524.6수원시서천1.626.2용인시기산반월2.328.5화성시능동1.630.1반송1.431.5동탄Dongtan東灘SRT
서동탄역(병점기지선) 연결선2.233.7



2021년 7월 19일, 역명심의위원회에서 노선명을 '''동탄인덕원선'''으로 의결했다.

위 표는 2018년 3월 29일 국토교통부에서 고시된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역의 정확한 위치는 확정되지 않았다. 최종 노선은 기본계획에서 변경, 수정 또는 일부 조정될 수 있다. 차량기지는 병점차량사업소를 사용한다.

4. 논란 및 비판

동탄인덕원선은 잦은 노선 변경과 사업 지연으로 비판을 받아왔다.

4. 1. 잦은 노선 변경 및 사업 지연

본래 수원, 안양 등 경기도 서남부 주민의 교통 편의를 위해 1번 국도를 따라 인덕원역 - 고천 - 북수원 - 수원야구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수원시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병점역을 잇는 전철로 계획되어 2003년부터 추진되었다.[3] 그러나 2007년 타당성 부족으로 결론이 나고, 전철 노선은 최초 검토안 중 하나였던 인덕원역 - 고천 - 북수원 - 수원야구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광교중앙역 - 수원남부경찰서 - 영통역 - SRT 동탄역 - 서동탄역으로 조정되어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이라는 이름으로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가 2010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요청,[4] 긍정적인 결과로 재추진되었다.

하지만 GTX와 동탄신교통수단(동탄선 트램) 노선으로 인해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의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2012년 타당성 재조사를 거쳤고, 2014년에는 광교중앙역 대신 법원사거리를 경유하고, 동탄1신도시 바깥으로 우회하는 대신 동탄1신도시 중심축을 통과하는 노선으로 사업 계획을 변경하였다.[5] 이는 수원시내로부터의 접근성을 높이고, 향후 동탄2신도시로의 연장을 고려한 조치였다.[6]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각 지자체마다 주민들의 요구가 있었다. 안양시에서는 호계사거리, 용인시에서는 흥덕지구,[7] 화성시에서는 능동마을 경유가 각각 요구되었다.[8] 수원시에서는 기존 노선에 북수원역 추가를 요구했다.[9]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2015년 10월 기본계획안이 확정되었다.[10] 그러나 노선 변경 후 역사 두 곳(영통입구역, 경희대역)을 추가해달라는 요구가 발생했고,[11] 기본 설계는 미뤄졌다. 노선 변경으로 사업비가 크게 늘자 기획재정부가 KDI에 설계적정성 검토를 의뢰했기 때문이다. 검토 결과 호계사거리·흥덕역·능동역 반영 시 노선이 4.5km 늘고, 역사가 4개 추가되어 사업비가 3.983조 늘어[12] 사업 타당성이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만 북수원역(교육원삼거리)의 경우 기존 노선 위에 건설되므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결론났다.[13]

2018년 3월 29일 국토교통부에서 기본계획을 고시했고, 노선 명칭이 '''인덕원~동탄 복선전철'''로 변경되었다. 역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최종 노선은 기본계획안에서 변경, 수정되거나 일부 조정될 수 있다.

2021년 7월 19일, 역명심의위원회에서 노선명을 '''동탄인덕원선'''으로 의결했다.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Korean Railway by Photographs: KOTI Knowledge Sharing Report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South Korea)
[2] 웹사이트 분당선 개통 이어 신수원선(인덕원~수원 복선전철)도 탄력받나? http://m.khan.co.kr/[...]
[3] 뉴스 인덕원~화성 복선전철 2017년까지 건설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3-12-30
[4] 뉴스 이찬열 의원, 국토위로 자리 옮겨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1-01-31
[5] 웹사이트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건설사업 조사보고서 http://pimac.kdi.re.[...] KDI
[6] 간행물 인덕원~수원 복선전철건설사업 추진 현황과 과제 [전자자료] : 국가철도망구축계획(2011~2020) 관련 토론회 http://academic.nave[...] 국회의원 심재철 , 국회의원 이찬열 , 국회의원 송호창 , 국회의원 이원욱 공동주최
[7] 뉴스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흥덕지구 포함땐 사업성 '뚝' http://www.joongboo.[...] 중부일보 2015-08-20
[8] 뉴스 인덕원선 전철 5개역 신설에 최소 5천억원 추가… 전문가 “느림보 지하철”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5-08-04
[9] 뉴스 김상민·이찬열 의원, '북수원역 설치' 힘 모은다 http://www.suwon.com[...] 수원일보 2015-06-05
[10] 웹사이트 인덕원~수원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공람 및 주민설명회 개최 공고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11] 뉴스 인덕원~수원 복선철 역 신설 요구에 일단 멈춤 http://www.kihoilbo.[...] 기호일보 2015-12-02
[12] 뉴스 "[단독] 인덕원선(신수원선), 호계·흥덕·동탄 3개 역 결국 무산" http://www.joongboo.[...] 중부일보 2016-10-26
[13] 뉴스 "[경기] 수도권 전철 신수원선 역사 추가 논란" http://www.ytn.co.kr[...] YTN 2016-11-08
[14] 뉴스 인덕원-화성병점 복선전철 건설 https://news.naver.c[...] YTN 2003-12-30
[15] 웹사이트 인덕원~수원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공람 및 주민설명회 개최 공고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16] 뉴스 정부에 인덕원~수원 복선철 예산 증액 요청 http://www.kihoilbo.[...] 기호일보 2016-09-23
[17] 웹사이트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180호 http://gwanbo.mois.g[...] 2018-03-29
[18] 웹사이트 용인시의회 제224회 제2차 본회의 http://www.iyongin.o[...] 2018-04-30
[19] 웹인용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건설사업 실시계획 변경승인 https://gwanbo.go.kr[...] 국토교통부 2024-01-28
[20]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