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해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통일전망대 차량출입통제소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1999년부터 2015년까지 구간별 확장 및 개통을 통해 완성되었으며, 경상북도 경주시, 포항시, 영덕군, 울진군,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동해시, 강릉시, 양양군, 속초시, 고성군을 지난다. 주요 경유지에는 위덕대학교, 선린대학교, 강구버스터미널, 삼척시외버스터미널, 동해시외버스터미널, 망상역, 옥계역, 낙산버스터미널, 속초고속버스터미널, 제진역 등이 있다. 일부 구간은 국도 제7호선과 중복되며, 울진군 북면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 - 새천년대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와 북구를 잇는 새천년대로는 산업로와 직결되며 국도 제7호선, 국도 제3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과 연결되고 효자역, 포항교육지원청, 포항문화방송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한 도로이다.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의 도로 - 진부령로
    진부령로는 강원도 인제군과 고성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46호선의 일부로, 1981년 국도로 승격되었고 용대 교차로에서 송죽 교차로까지 이어지며 진부령미술관 등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위치한다.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의 도로 - 미시령로
    미시령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에서 속초시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며, 1981년 국도로 승격되었고, 미시령터널 구간은 유료로 운영된다.
  • 속초시의 도로 - 미시령로
    미시령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에서 속초시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며, 1981년 국도로 승격되었고, 미시령터널 구간은 유료로 운영된다.
  • 속초시의 도로 - 중앙로 (속초 고성)
    중앙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교동에서 고성군 토성면 용촌삼거리까지 이어지는 속초시와 고성군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로, 속초시청, 속초우체국 등 공공기관과 상업, 금융 시설, 강원극동방송과 같은 방송국이 위치해 있으며 국도 제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등 주요 도로와 연결된다.
동해대로
지도
노선 정보
도로 종류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일반 국도
국가지원지방도
경상북도 지방도
강릉시도
고성군도
노선명동해대로
노선 번호명국도 제7호선의 일부
국도 제28호선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917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930호선의 일부
강릉시도 제7호선의 일부
고성군도 제1호선의 일부
총연장358.965km
기점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주요 경유지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포항시
경상북도 영덕군
경상북도 울진군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종점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주요 교차 도로서산영덕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4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56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8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지방도 제416호선
지방도 제418호선
지방도 제427호선
지방도 제914호선
지방도 제917호선
지방도 제930호선

2. 역사

동해대로한국어는 2009년 7월 10일에 여러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되었다.[24]

연도내용
1999년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면 신당리 1.65km 구간 재가설 개통.[3]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 ~ 죽왕면 문암리 7.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11km 구간 폐지.[1]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교동 ~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 5.39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6km 구간 폐지.[2]
2000년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고목리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64km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4]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 호산리 1.9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89km 구간 폐지.[5]
2001년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3.1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울진군 근남면 노음리 ~ 수산리 2km 구간 폐지.[6]
2002년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 울진읍 온양리 5.4km 구간 확장 개통.[7] 경상북도 유강외팔교(경주시 강동면 유금리 ~ 포항시 남구 연일읍 유강리) 2.87km 구간 확장 및 이설 개통.[8]
2003년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오분동 ~ 근덕면 매원리 14.69km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9]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 북면 고목리 13.1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4.3km 구간 폐지,[10]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남산리 ~ 화수리 5.84km 구간 확장 개통.[11]
2004년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 청량동 4km 구간 확장 개통.[12]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명호리 ~ 송현진리 4.2km 구간 신설 개통.[13]
2005년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오분동 ~ 근덕면 매원리 14.79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5.11km 구간 폐지.[14]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계면 낙풍리 ~ 강동면 상시동리 1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4.14km 구간 폐지.[15]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고목리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86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1.65km 구간 폐지, 경상북도 울진군 원남면 덕신리 ~ 근남면 구산리 9.0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9.65km 구간 폐지.[16]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 ~ 병곡면 영리 8.16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8.57km 구간 폐지.[17]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화수리 ~ 축산면 도곡리 9.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9.61km 구간 폐지.[18]
2006년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사천리 ~ 명호리 2.55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2.11km 구간 폐지.[19]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 근덕면 궁촌리 20.04km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20][21]
2009년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km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22][23]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리 ~ 울진군 기성면 사동리 30.18km 구간 확장 개통.[25]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 근덕면 매원리 20.04km 구간 확장 개통.[26]
2010년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리 ~ 울진군 평해읍 학곡리 6.7km 구간,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 ~ 기성면 정명리 9.17km 구간 폐지.[27]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망양리 망양 교차로 ~ 망양1 교차로 3.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 ~ 원남면 덕신리 12.3km 구간 폐지.[28]
2012년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제진리 ~ 사천리(제진 교차로 ~ 사천1 교차로) 1.6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76km 구간 폐지.[29]
2013년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상리 ~ 거진읍 자산리 6.9km 구간 임시 개통.[30][31]
2014년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 거진읍 자산리 6.9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 거진읍 송포리 5.55km 구간 폐지.[32]
2015년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 ~ 명파리 5.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61km 구간 폐지,[33]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명파리 ~ 제진리 1.3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38km 구간 폐지.[34]


2. 1. 경상북도 구간


  • 1999년 12월 31일: 경주시 천북면 신당리 1.65km 구간이 재가설 개통되었다.[3]
  • 2000년 2월 24일: 울진군 북면 고목리 ~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64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4]
  • 2001년 4월 16일: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3.1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울진군 근남면 노음리 ~ 수산리 2km 구간은 폐지되었다.[6]
  • 2002년 7월 2일: 울진 ~ 죽변간 도로(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 울진읍 온양리) 5.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7]
  • 2002년 7월 10일: 유강외팔교(경주시 강동면 유금리 ~ 포항시 남구 연일읍 유강리) 2.87km 구간이 확장 및 이설 개통되었다.[8]
  • 2003년 12월 31일: 울진 ~ 죽변간 도로(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 북면 고목리) 13.1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4.3km 구간은 폐지되었으며,[10] 강구 ~ 영덕간 영덕우회도로(영덕군 영덕읍 남산리 ~ 화수리) 5.8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11]
  • 2005년 6월 30일: 죽변 ~ 북면간 도로(울진군 북면 고목리 ~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86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1.65km 구간은 폐지되었으며, 원남 ~ 울진간 도로(울진군 원남면 덕신리 ~ 근남면 구산리) 9.0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9.65km 구간은 폐지되었다.[16]
  • 2005년 8월 1일: 영덕군 ~ 성내간 도로(영덕군 축산면 도곡리 ~ 병곡면 영리) 8.16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8.57km 구간은 폐지되었다.[17]
  • 2005년 12월 27일: 영덕군 ~ 성내간 도로(영덕군 영덕읍 화수리 ~ 축산면 도곡리) 9.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9.61km 구간은 폐지되었다.[18]
  • 2009년 7월 20일: 병곡 ~ 평해 ~ 기성 ~ 원남간 도로(영덕군 병곡면 영리 ~ 울진군 기성면 사동리) 30.18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25]
  • 2010년 1월 22일: 병곡 ~ 평해 ~ 기성간 도로 확장 개통으로 인해 기존 영덕군 병곡면 영리 ~ 울진군 평해읍 학곡리 6.7km 구간과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 ~ 기성면 정명리 9.17km 구간이 폐지되었다.[27]
  • 2010년 12월 28일: 기성 ~ 원남간 도로(울진군 기성면 망양리 망양 교차로 ~ 망양1 교차로) 3.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 ~ 원남면 덕신리 12.3km 구간은 폐지되었다.[28]

2. 2. 강원특별자치도 구간


  • 1999년 7월 19일: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 ~ 죽왕면 문암리 7.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11km 구간 폐지[1]
  • 1999년 10월 1일: 속초시 교동 ~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 5.39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6km 구간 폐지[2]
  • 2000년 2월 24일: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까지 10.6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
  • 2000년 10월 25일: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 호산리 1.9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89km 구간 폐지[5]
  • 2003년 2월 8일: 삼척시 오분동 ~ 근덕면 매원리 14.69km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9]
  • 2004년 1월 1일: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 청량동 4km 구간 확장 개통[12]
  • 2004년 12월 30일: 고성군 현내면 명호리 ~ 송현진리 4.2km 구간 신설 개통[13]
  • 2005년 1월 5일: 삼척시 오분동 ~ 근덕면 매원리 14.79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5.11km 구간 폐지[14]
  • 2005년 2월 16일: 강릉시 옥계면 낙풍리 ~ 강동면 상시동리 1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4.14km 구간 폐지[15]
  • 2005년 6월 30일: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까지 10.8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1.65km 구간 폐지[16]
  • 2006년 6월 23일: 고성군 현내면 사천리 ~ 명호리 2.55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2.11km 구간 폐지[19]
  • 2006년 8월 11일: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 근덕면 궁촌리 20.0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0][21]
  • 2009년 3월 20일: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2][23]
  • 2009년 7월 10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동해대로'''를 고시[24]
  • 2009년 9월 2일: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 근덕면 매원리 20.04km 구간 확장 개통[26]
  • 2012년 12월 31일: 고성군 현내면 제진리 ~ 사천리(제진 교차로 ~ 사천1 교차로) 1.6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76km 구간 폐지[29]
  • 2013년 8월 20일: 고성군 간성읍 상리 ~ 거진읍 자산리 6.9km 구간 임시 개통[30][31]
  • 2014년 10월 6일: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 거진읍 자산리 6.9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 거진읍 송포리 5.55km 구간 폐지[32]
  • 2015년 9월 10일: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 ~ 명파리 5.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61km 구간 폐지[33], 고성군 현내면 명파리 ~ 제진리 1.3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38km 구간 폐지[34]

3. 주요 경유지

동해대로는 경상북도에서 강원특별자치도를 거쳐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이다. 경상북도 구간은 경주시, 포항시, 영덕군, 울진군을 지나며, 강원특별자치도 구간은 삼척시, 동해시, 강릉시, 양양군, 속초시를 거쳐 고성군까지 이어진다. 고성군 최북단 지역에서는 민간인 출입통제 구간을 지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과 연결된다.[35]

3. 1. 경상북도

경상북도를 지나는 동해대로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간으로 구성된다.

3. 2.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 근덕면 - 남양동 - 정라동 - 교동)

동해시 (북평동 - 북삼동 - 천곡동 - 부곡동 - 발한동 - 망상동)

강릉시 (옥계면 - 강동면 - 강남동 - 내곡동 - 홍제동 - 교동 - 경포동 - 사천면 - 연곡면 - 주문진읍)

양양군 (현남면 - 현북면 - 손양면 - 양양읍 - 강현면)

속초시 (대포동 - 조양동 - 교동 - 영랑동)

고성군 (토성면 - 죽왕면 - 간성읍 - 거진읍 - 현내면)

이름[35]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월천터널삼척시원덕읍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연장 145m
경주 방면 연장 205m
월천육교
월천교
국도 제7호선 구간
호산 교차로지방도 제416호선
(가곡천로)
삼척로
호산천교
옥원교
노곡 교차로삼척로
약수1교
약수2교
임원 교차로삼척로
임원본촌길
임원천교
임원1교
신남 교차로(남)
(신남1교)
삼척로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출 불가
경주 방면 진입 불가
신남 교차로(북)
(신남2교)
삼척로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입 불가
경주 방면 진출 불가
신남3교국도 제7호선 구간
장호터널rowspan=2|국도 제7호선 구간
연장 915m
근덕면
용화1교
용화2교
국도 제7호선 구간
용화 교차로삼척로
문암교
궁촌 교차로삼척로
궁촌교
동막2교
동막 교차로지방도 제427호선
(방재로)
동막1교
광태1교
광태교
교가교
근덕 교차로삼척로
방림3교
방림2교
방림1교
근덕 나들목65호선 동해고속도로국도 제7호선 구간
승공교
한치교
국도 제7호선 구간
한치터널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연장 565m
경주 방면 연장 570m
남양동
오분 교차로삼척로
박걸남로
국도 제7호선 구간
오분교
사직삼거리중앙로
삼척교rowspan=2|
정라동
삼척교사거리오십천로
정라삼거리새천년도로
정상삼거리척주로
교동로
광진길
교동
삼척 나들목봉황로
언장1길
갈천삼거리새천년도로
우지길
추암삼거리추암길동해시북평동
공단삼거리공단1로
북평 나들목대동로
단봉삼거리국도 제38호선
(강원남부로)
단봉교
이원사거리전천로
이원길
전천교rowspan=2|
북삼동
북평 교차로국도 제42호선
(서동로)
국도 제7호선 구간
하행 진출입만 가능
나안삼거리청운1길국도 제7호선 구간
나안2교
나안1교
효가사거리효자로
한중대입구 교차로효가로
용정로
동해 나들목65호선 동해고속도로
운동장사거리동굴로천곡동
주공4차삼거리한섬로
천곡사거리천곡로
동해시외버스터미널
(동해병원)하평로
천곡 교차로발한로국도 제7호선 구간
영동고속도로 구간
부곡천교승지로부곡동
느릅재길발한동
발한천길
큰발한길
사문재삼거리국도 제7호선
(발한로)
구 묵호항 교차로
국도 제7호선 구간
영동고속도로 구간
새들길망상동영동고속도로 구간
초구 교차로국도 제7호선
(발한로)
국도 제7호선 구간
망상 나들목65호선 동해고속도로
노봉삼거리일출로
노봉교
망상역
망상삼거리
해수욕장삼거리
(망상해수욕장)
망상해수욕장역
도직교
도직항
옥계역
강릉시옥계면
(옥계역 교차로)동녘길
옥계삼거리동녘길
주수교
옥계 나들목65호선 동해고속도로
옥계로
국도 제7호선 구간
옥계로 통해 진입
낙풍교국도 제7호선 구간
낙풍사거리풍동로
헌화로
율곡로국도 제7호선 구간
영동고속도로 구간
동해2터널rowspan=2|국도 제7호선 구간
영동고속도로 구간
연장 449m
강동면
정동천교
산성우천교
국도 제7호선 구간
영동고속도로 구간
정동진 교차로오이동길
동해1호터널국도 제7호선 구간
영동고속도로 구간
연장 552m
임곡 교차로임곡로국도 제7호선 구간
영동고속도로 구간
임곡천교
군성강교
안인 교차로
(모전 교차로)
율곡로
구룡교
신석교
강남동
유산교유산로
칠성로
남부로
강릉대교rowspan=2|내곡동
홍제동
홍제 교차로강릉대로구 강릉 교차로
국도 제7호선 구간
영동고속도로 구간
유천길교동국도 제7호선 구간
영동고속도로 구간
솔올 교차로교동광장로
지변 교차로죽헌길
지변교
죽헌교
경포동
죽헌 교차로율곡로국도 제7호선 구간
영동고속도로 구간
상하행선 교차로 분리
즈므고가교사임당로
안현로
국도 제7호선 구간
방동 교차로과학단지로사천면
(강릉아산병원입구)방동길
미노 교차로
(미노고가교)
미노길
사천교중앙동로
중앙서로
북강릉 나들목65호선 동해고속도로
구라미교
연곡교 교차로연주로
남평길
초시길
연곡면
연곡교
방내 교차로국도 제6호선미개통
국도 제7호선 구간
연곡 교차로
(연곡육교)
국도 제6호선
(진고개로)
국도 제7호선 구간
동덕 교차로연주로
(교항리)농공단지길
매맥이아랫길
보리골길
주문진읍
신리2교
주문진 입체교차로
(새말교)
신리천로
장성로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출입만 가능
항구로
향호교국도 제7호선 구간
주문삼거리주문북로
향호3교
향호삼거리참샘길
남양양 나들목
(현남사거리)
(현남육교)
65호선 동해고속도로
화상해안길
양양군현남면
화상교
원포삼거리화상천로
남애삼거리매바위길
미륭삼거리미륭마을길
남애항삼거리안남애길
포매교
광진삼거리매호길
(광진해수욕장)인구길
인구삼거리인구중앙길
인구교
시변리삼거리새나루길
인구중앙길
동산1교동산큰길
동산항 교차로
(동산2교)
동산큰길
북분삼거리북죽로
북분교rowspan=2|
현북면
38선교쟁기동길
기사문항
하조대 교차로하조대1길
발감교
광정교
(하광정리)지방도 제418호선
(송이로)
하조대1길
선사유적로손양면
하조대 나들목
(하조대IC 교차로)
65호선 동해고속도로
상운교
(상양혈리)서양길
손중로
손양 나들목공항로
왕도교
송현사거리국도 제59호선
(안산1길)
동명로
양양대교rowspan=2|
양양읍
양양삼거리양양로
청곡 교차로국도 제44호선
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도 제7호선 구간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구간
청곡교
양양포월농공단지
조산교
조산사거리사래로
조산삼거리일출로
조산딴봉길
도립공원삼거리일출로강현면
낙산버스터미널
낙산사거리안골로
일출로
설악해수욕장
정암해수욕장
강현면사무소
공항삼거리진미로
물치교
(물치리)물치천로
물치항
쌍천교rowspan=2|
속초시대포동
설악동입구삼거리설악산로
물치시외버스정류소
대포항
농공단지앞사거리해오름로
농공단지길
조양 교차로청대로조양동
새마을사거리조양로
새마을길
고속버스터미널앞
(속초고속버스터미널)
청호로
해오름로
설악금강대교로국도 제7호선 구간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구간
고성 방면만 진출입 가능
엑스포장입구삼거리엑스포로국도 제7호선 구간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구간
(청대초등학교입구)소평로
청초교rowspan=2|
교동
청초교사거리온천로
교동삼거리중앙로
노학동 행정복지센터
만천사거리수복로
만천삼거리청대로
교동지하차도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미시령로)
영랑교영랑동국도 제7호선 구간
용촌1교고성군토성면
용촌 교차로
(용촌육교)
잼버리동로
중앙로
봉포삼거리토성로
봉포지하차도봉포5길
봉포교봉포4길
천진사거리고성대로
토성로
천진해변길
천진교
청간교
청간정
청간삼거리아야진해변길
청간골길
아야진삼거리아야진길
진동길
교암사거리교암길
화원길
문암삼거리무릉도원로
문암교rowspan=2|
죽왕면
백도 교차로운봉산로
문암항길
삼포2교
(삼포리)순포로
오호 교차로심층수길
오호교
죽왕 교차로송지호로
송지호 교차로심층수길
송지호교
공현진교
공현진 교차로공현진길
가진 교차로가진해변길
짱고개길
향목농공단지향목서길
남천교rowspan=2|
간성읍
(지하차도)남천마루2길
탑동길
금수천교
간성 교차로간성로
신안교
상리 교차로국도 제46호선
(간성로)
국도 제7호선 구간
북천 교차로와 연결
북천1교rowspan=2|국도 제7호선 구간
거진읍
대대 교차로진부령로국도 제7호선 구간
경주 방면 진출만 가능
송죽교국도 제7호선 구간
송죽 교차로진부령로
오정 교차로송학길
반암 교차로자산천로
송포 교차로자산천로
돌고개길
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입 불가
경주 방면 진출 불가
자산교국도 제7호선 구간
자산삼거리거탄진로
(송정 입구)거평로
건봉사로
봉정로
rowspan=2|rowspan=2|
현내면
(죽정초등학교입구)죽화로
(금강산자연사박물관)이승만별장길
금강산로
금강산로
마직령길
금강산로국도 제7호선 구간
통일전망대와 연결
금강산로국도 제7호선 구간
명파4길
통일전망대 차량출입통제소국도 제7호선 구간
민간인 출입통제 구간
금강산로
통일전망대로
제진역
사천1 교차로통일전망대로

통일전망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4. 노선

동해대로는 울산광역시경상북도 경주시, 포항시, 영덕군, 울진군을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서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이 도로는 여러 국도와 지방도가 겹치는 구간이 많으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아래 표는 동해대로의 경상북도 구간의 주요 교차로와 교량, 터널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이름[35]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유금 나들목국도 제7호선
(산업로)
경주시강동면국도 제28호선 구간
유금철도교
(이름 없음)공정길
위덕대학교
광방2교포항시남구 연일읍
칠전교자명로
대련 나들목국도 제31호선
(새마을로)
북구 흥해읍
학전2교
(이름 없음)연화길
학천 교차로도음로
포항시농산물도매시장
성곡 나들목국도 제7호선
(소티재로)
국도 제28호선 중복 구간
국도 제7호선 중복 구간
선린대학입구초곡길국도 제7호선 구간
성곡교성곡북길
동해대로1334번길
(이름 없음)남미질로
(옥성리)흥해로
흥해읍사무소
흥해시외버스정류장
흥해중학교
흥해사거리한동로
약성삼거리삼흥로
곡강교흥해로
덕실마을길
칠포 교차로칠포로
고현교사방공원길북구 청하면
청하농공단지동해대로2315번길
청하삼거리청하로
해아교
(이름 없음)미남길
화두길
청하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
(월포로)
지방도 제930호선
(비학로)
국도 제7호선 구간
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 구간
지방도 제930호선 구간
해학교북구 송라면
냉천교
광천교보경로43번길
송라정류소
송라 교차로보경로
화진교
유천교영덕군남정면
장사삼거리진불길
장사삼거리지방도 제930호선
(산정로)
부흥교부흥길
부흥1길
부흥2길
국도 제7호선 구간
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 구간
남호교
(이름 없음)강구해안길강구면
(해상공원입구)해상공원길
삼사교지방도 제914호선
(강산로)
강구버스터미널
강구대교 서단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
(영덕대게로)
강구시장길
(이름 없음)직천길국도 제7호선 구간
원직교
소월교소월길
오포길
영덕 나들목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영덕읍
남산 교차로영덕로
영덕대교
영덕피암터널국도 제7호선 구간
연장 약 200m
덕곡 교차로국도 제34호선
(군청길)
하저길
국도 제7호선 구간
화수 교차로
(화수교)
영덕로
영축로
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입 불가
경주 방면 진출 불가
매정 교차로영덕로
매정길
국도 제7호선 구간
(이름 없음)고경길축산면
고곡1교
고곡2교
축산 교차로
(축산교)
영덕로
상원1교
상원2교
성내 교차로영덕로
성내2교
벌영교
영해면
송천 교차로지방도 제918호선
(창수영해로)
(예주목은길)
송천1교병곡면
각리리 교차로각리길
원황교
직강교
거무역리 교차로내륙순환길
고래불 교차로영길
영1길
영2길
영동천교
(영리 교차로)영길
칠보산길
병곡 교차로흰돌로
병곡길
백석교
백석 교차로흰돌로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출 불가
경주 방면 진입 불가
금곡 교차로군지경로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입 불가
경주 방면 진출 불가
금곡천교
금곡교
국도 제7호선 구간
금음 교차로군지경로울진군후포면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출 불가
경주 방면 진입 불가
금음복개터널국도 제7호선 구간
경주 방면
연장 약 135m
금음교
삼율교
국도 제7호선 구간
삼율 교차로울진대게로
후포삼율로
삼율1교
삼율교
삼율2교
후포 교차로후포삼율로
실배길
실배 교차로후포삼칠길
학곡1 교차로평해읍
학곡교
학곡2 교차로학곡7길
평해 교차로국도 제88호선
(월송정로)
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입 불가
경주 방면 진출 불가
평해1교
평해2교
평해대교
국도 제7호선 구간
월송 교차로월송정로국도 제7호선 구간
월송사거리와 연결
월송복개터널국도 제7호선 구간
연장 약 100m
월송교기성면국도 제7호선 구간
황보교
공항 교차로기성로국도 제7호선 구간
공항사거리와 연결
울진비행장과 연결
기성 교차로
(기성육교)
기성로
구산봉산로
국도 제7호선 구간
기성교
척산 교차로
(척산교)
기성로
방율길
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출 불가
경주 방면 진입 불가
사동 교차로
(한곡교)
기성로
삼산신흥로
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입 불가
경주 방면 진입 불가
사동교사동1로
사동2로
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출 불가
경주 방면 진입 불가
망양 교차로망양로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입 불가
경주 방면 진출 불가
망양1터널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연장 690m
경주 방면 연장 760m
망양교국도 제7호선 구간
망양2터널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연장 593m
경주 방면 연장 497m
망양1 교차로망양로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출 불가
경주 방면 진입 불가
원남교
망양 휴게소
망양북로매화면국도 제7호선 구간
덕신1교현종산길
덕신 교차로지방도 제917호선
(망양정로)
덕신2교
덕신 교차로원남로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입 불가
경주 방면 진출 불가
오산1교근남면국도 제7호선 구간
매화 교차로매화1길
만세교
남수1교
금매 교차로
(격암교)
원남로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입 불가
경주 방면 진출 불가
성류굴 교차로원남로국도 제7호선 구간
노음 교차로울진북로
노음교
왕피천대교
울진남부 교차로국도 제36호선
지방도 제917호선
(울진북로)
국도 제7호선 구간
수산 교차로와 연결
울진대교울진읍국도 제7호선 구간
공세교
연호 교차로
(연호교)
현내항길
대나리교
울진북부 교차로울진북로
온양교
봉평교
죽변교
죽변면
죽변 교차로지방도 제917호선
(봉황길)


4. 1. 경상북도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은 로 표기한다.

4. 2. 강원특별자치도 구간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삼척시 ~ 고성군 구간
후정 교차로매정길울진군 북면국도 제7호선 구간[35], 지방도 제917호선 구간
고목교
신화교
부구대교
국도 제7호선, 지방도 제917호선 구간
덕구 교차로지방도 제917호선
(덕구온천로)
국도 제7호선, 지방도 제917호선 구간
신나곡교국도 제7호선 구간
태봉터널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연장 390m
경주 방면 연장 355m
태봉1교
나곡 교차로울진북로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진출 불가
경주 방면 진입 불가
태봉2교국도 제7호선 구간
고포터널국도 제7호선 구간
고성 방면 연장 356m
경주 방면 연장 376m


5. 주요 건물 및 시설

위치시설명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동해대로 261위덕대학교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동해대로 1182포항시농산물도매시장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동해대로 1511흥해읍행정복지센터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동해대로 1513흥해실내체육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동해대로 1525흥해중학교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동해대로 2836포스코스포츠랜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동해대로 2935송라정류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동해대로 3166포항오토캠핑장 루트7 (송라초등학교 화진분교)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동해대로 3188송라검문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동해대로 3370송라치안센터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동해대로 3763경보화석박물관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동해대로 4265-43오션뷰컨트리클럽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동해대로 4443강구의용소방대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동해대로 4497강구버스터미널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동해대로 4526강구면사무소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동해대로 52후포치안센터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동해대로 3783-22삼척남초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동해대로 4098삼척온천관광호텔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동해대로 4234삼척종합운동장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4921KT북평빌딩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5133동해화물터미널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5367동해삼육초등학교, 동해삼육중학교, 동해삼육고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5443동해시외버스터미널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6170코레일망상수련원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6180망상역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6270-21망상해수욕장역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6285동해보양온천 컨벤션호텔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대로 6370망상오토캠핑리조트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계면 동해대로 291-14옥계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동해대로 3288-17춘천지방검찰청 강릉지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동해대로 3288-18강릉지원등기소,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동해대로 3310강릉보훈지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사천면 동해대로 3738-17강릉시농업기술센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 동해대로 4926주문진만남의광장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동해대로 1068해난어업인위령탑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동해대로 1155-35현남북119안전센터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동해대로 1594현북검문소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동해대로 2558양양군농업기술센터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동해대로 2639양양군새마을회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동해대로 2661-11구 양양고속버스정류장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동해대로 2708강릉국토관리사무소 양양출장소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동해대로 3020조산초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동해대로 3087낙산버스터미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동해대로 3457코레일 낙산연수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동해대로 3495강현우체국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동해대로 3509강현면사무소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동해대로 3582대포해양경비안전센터 물치출장소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664설악해맞이공원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677물치(설악산입구)시외버스정류소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705호텔마레몬스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707동해콘도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797대포초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965조양초등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988속초고속버스터미널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4044국민건강보험공단 속초지사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4100청초지구대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4107속초조양동우체국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4217영랑119안전센터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4245노학동주민센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동해대로 5110청간정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 동해대로 5901죽왕우체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 동해대로 6064강원특별자치도 해양심층수수산자원센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동해대로 7961금강산자연사박물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동해대로 9099제진역


참조

[1]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77호 http://theme.archive[...] 1999-07-21
[2]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02호 http://theme.archive[...] 1999-09-30
[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82호 http://theme.archive[...] 1999-12-23
[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9호 http://theme.archive[...] 2000-02-24
[5]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13호 http://theme.archive[...] 2000-10-24
[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65호, 제2001-66호 http://gwanbo.mois.g[...] 2001-04-16
[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78호 http://gwanbo.mois.g[...] 2002-07-02
[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86호 http://gwanbo.mois.g[...] 2002-07-10
[9]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3-11호 http://www.provin.ga[...] 2003-02-08
[1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408호, 제2003-409호 http://www.gb.go.kr/[...] 2004-01-15
[1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410호 http://www.gb.go.kr/[...] 2004-01-15
[12]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5호 http://www.provin.ga[...] 2004-01-17
[1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102호 http://www.provin.ga[...] 2005-01-07
[14]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103호 http://www.provin.ga[...] 2005-01-07
[15]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5-7호 http://www.provin.ga[...] 2005-02-19
[1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5-82호, 제2005-83호, 제2005-84호, 제2005-85호 http://www.gb.go.kr/[...] 2005-06-30
[1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99호, 제2005-100호 http://www.gb.go.kr/[...] 2005-08-01
[1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32호, 제2005-233호 http://www.gb.go.kr/[...] 2005-12-29
[19]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6-33호 http://www.provin.ga[...] 2006-06-23
[20]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6-49호 http://www.provin.ga[...] 2006-08-11
[21]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49호 http://gwanbo.mois.g[...] 2006-08-17
[22]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9-18호 http://www.provin.ga[...] 2009-03-20
[2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18호 http://gwanbo.mois.g[...] 2009-03-25
[24]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09-30호 http://gwanbo.mois.g[...] 2009-07-10
[2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229호 http://gwanbo.mois.g[...] 2009-09-23
[2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9-56호 http://wcmo.molit.go[...] 2009-09-02
[2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7호 http://gwanbo.mois.g[...] 2010-01-25
[2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67호, 제2010-268호 http://gwanbo.mois.g[...] 2010-12-13
[29]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13-7호 http://www.provin.ga[...] 2013-02-01
[30]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98호 http://gwanbo.mois.g[...] 2013-08-22
[31] 뉴스 국도7호선 고성 간성~거진 20일 개통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3-08-19
[32]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69호 http://wcmo.molit.go[...] 2014-10-01
[3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70호 http://gwanbo.mois.g[...] 2015-09-01
[34]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71호 http://gwanbo.mois.g[...] 2015-09-07
[35] 기타
[36]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37]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38] 간행물 울진군 고시 제2019-161호 울진군 도로노선의(지정, 변경, 폐지) 고시 http://www.uljin.go.[...]
[39]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40]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41]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42]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