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동고속도로는 인천에서 강릉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1971년 신갈 분기점 ~ 새말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 총 234.4km 구간이 운영되고 있다. 주요 통과 지역으로는 인천, 시흥, 안산, 군포, 수원, 용인, 이천, 여주, 원주, 횡성, 평창, 강릉 등이 있으며, 전 구간 최고 속도는 100km/h, 일부 구간은 80km/h로 제한된다. 또한, 서창 분기점 ~ 월곶 분기점, 군자 분기점 ~ 안산 나들목, 안산 분기점 ~ 북수원 나들목, 여주 분기점 ~ 여주 나들목 구간은 왕복 6차로, 신갈 분기점 ~ 용인 나들목 구간은 왕복 10차로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동고속도로 - 평창 나들목
평창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장평리에 있는 영동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과거 장평 교차로로 개통되어 평면 교차로로 운영되다가 나들목 이전과 함께 장평 나들목으로 명칭이 변경된 후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으며 국도 제6호선과 지방도 제408호선을 통해 용평면과 평창군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영동고속도로 - 동둔내 나들목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삽교리에 위치한 동둔내 나들목은 2016년 12월 21일에 개통된 영동고속도로의 하이패스 나들목으로, 청태산로와 연결되며 개통 이후 소규모의 일일 평균 통행량을 보이고 있다. - 용인시의 도로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 용인시의 도로 - 덕영대로
덕영대로는 2009년 8월 24일에 고시되어 의왕시, 수원시, 용인시를 잇는 도로이며, 영동고속도로, 지방도 제309호선, 국도 제42호선 등과 교차하고 한국도로공사 부곡영업소, 의왕고등학교, 화서역, 수원역,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등의 시설이 인접해 있다. -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영동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도로 종류 | 고속국도 |
노선 번호 | 50 |
노선명 | 영동고속도로 |
다른 이름 | 영동선 |
로마자 표기 | Yeongdong Gosok Doro |
한자 표기 | 嶺東高速道路 |
노선 번호 명칭 | 고속국도 제50호선 |
총 연장 | 234.4 km |
개통일 | 1971년 12월 1일 (신갈 ~ 새말), 1975년 10월 14일 (새말 ~ 강릉), 1991년 11월 29일 (안산 ~ 신갈), 1994년 7월 7일 (서창 ~ 안산) |
방향 | 동서 |
기점 |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 |
주요 경유지 | 인천광역시 경기도 시흥시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군포시 경기도 의왕시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 여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
노선 정보 | |
주요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59호선 |
기타 | |
시작 지점 | 서창 분기점 (인천광역시 남동구) |
종점 | 강릉 분기점 (강릉시, 강원특별자치도) |
대체 노선 | , |
관련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wikitext
- 1971년 3월 24일: 신갈 분기점~새말 나들목(용인~원주) 구간 공사 시작 (길이 104km)[3]
- 1971년 12월 1일: 신갈~새말 구간 개통 (2차선)[6][7]
- 1972년 1월 1일 : 신갈 분기점 - 세마리 나들목 구간 유료화[8]
- 1973년 12월 31일: 양지 나들목(용인) 개통[10]
- 1975년 10월 14일: 새말~강릉 구간 개통 (2차선)[14][15]
- 1974년 3월 26일: 새말~강릉 구간 공사 시작 (길이 97km)[11]
- 1976년 4월 10일: 마성 나들목 개통[16]
- 1977년 1월 5일: 덕평 나들목 개통[18]
- 1988년 12월 15일: 동해고속도로 연결[29]
- 1989년 4월 12일: 안산~신갈 구간 공사 시작 (길이 23.2km, 4차선)[35]
- 1991년 2월 27일: 서창~안산 구간 공사 시작 (길이 27.6km, 6차선)[46]
- 1991년 11월 29일: 안산~신갈 구간 개통[35]
- 1991년 11월 6일: 신갈~원주 구간 4차선 확장 공사 시작
- 1994년 7월 6일: 서창~안산 구간 개통[46]
- 1994년 12월 12일: 신갈~원주 구간 4차선 확장 완료[48]
- 1995년 11월 24일: 원주~월정 구간 4차선 확장 공사 시작
- 1996년 7월 30일: 월정~횡계 구간 4차선 확장 공사 시작
- 1996년 12월 27일: 횡계~강릉 구간 4차선 확장 공사 시작
- 1997년 1월: 안산~신갈 구간 6차선 확장 공사 시작
- 1997년 12월 20일: 원주~새말 구간 4차선 확장 완료
- 1999년 7월 15일: 새말~월정 나들목 구간 4차선 확장 완료
- 2000년 7월 22일: 월정 나들목~횡계 구간 4차선 확장 완료
- 2001년 5월 2일: 안산~신갈 구간 6차선 확장 완료
- 2001년 11월 28일: 횡계~강릉 구간 4차선 확장 완료
- 2007년 10월 31일: 신갈~호법 구간 8차선 확장 공사 시작
- 2010년 12월 29일: 신갈~양지 구간 6차선 확장 완료
- 2011년 12월 14일: 양지~호법 구간 8차선 확장 완료
- 2013년 3월 28일: 서창~군자 구간 10차선 확장 완료
- 2014년 9월 3일: 레이디스 코드가 교통사고를 당해 은비와 리세가 사망함.
2. 1. 왕복 2차로 시절
1971년 3월 24일 신갈 분기점 ~ 새말 나들목 104km 구간을 왕복 2차로로 착공하여,[3] 같은 해 12월 1일에 개통하였다.[6][7] 1972년 1월 1일부터 신갈 분기점 ~ 새말 나들목 구간은 유료화되었다.[8] 이후 1973년 12월 31일에는 양지 나들목이 개통되었고,[10] 1974년 3월 26일에는 새말 나들목 ~ 강릉 분기점 97km 구간이 착공되어[11] 1975년 10월 14일에 왕복 2차로로 개통되었다.[14][15]1976년 4월 10일에는 마성 나들목이,[16][12] 1977년 1월 5일에는 덕평 나들목이 각각 개통되었다.[18] 1979년에는 둔내 요금소가 설치 및 개통되었다.[20][21]
1987년 2월 3일에는 영동 지방의 폭설 및 악천후로 인해 원주 ~ 강릉 구간이 48시간 동안 불통되기도 하였다. 1988년 12월 15일에는 동해고속도로와 연결되었다.[29] 1990년 9월 1일에는 여주 나들목과 문막 나들목 사이에 있는 섬강교에서 섬강교 버스 추락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2. 2. 왕복 4차로 확장
1988년 4월 12일 : 안산 분기점 ~ 신갈 분기점 구간(23.2km) 왕복 4차로 신설 공사가 시작되었다.[35][36]1991년 2월 27일 :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27.6km) 왕복 6차로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46]
1991년 11월 29일: 안산 분기점 ~ 신갈 분기점 구간이 왕복 4차로로 개통되었고,[35][36] 1991년 12월 6일에는 신갈 분기점 ~ 만종 분기점 구간(77km) 왕복 4차로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37]
1994년 7월 7일: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이 왕복 6차로로 확장 개통되었고,[46] 1994년 10월 21일에는 만종 분기점 ~ 새말 나들목 구간(18.7km) 왕복 4차로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47]
1994년 12월 12일: 신갈 분기점 ~ 만종 분기점 구간(77km) 왕복 4차로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48]
1995년 11월 24일: 새말 나들목 ~ 월정 요금소 구간(59.2km) 왕복 4차로 확장 및 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54]
1996년 7월 30일: 구 월정 요금소 ~ 횡계 나들목 구간(10.1km) 왕복 4차로 확장 및 이설 공사가 시작되었고,[59] 1996년 12월 27일에는 횡계 나들목 ~ 강릉 분기점 구간(26.5km) 왕복 4차로 확장 및 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61]
1997년 12월 20일: 만종 분기점 ~ 새말 나들목 구간(18.7km) 왕복 4차로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66]
1999년 7월 15일: 새말 나들목 ~ 월정 요금소 구간(59.2km) 왕복 4차로 확장 공사가 개통되면서[73][74][75] 요금 수납 방식이 개방식에서 폐쇄식으로 변경되었다.[76]
1999년 9월 24일: 태풍의 영향으로 면온 나들목 ~ 둔내터널 강릉 방면 입구 상행선 구간에서 지반 침하 붕괴 사고가 발생하여 72시간 동안 2개 차로가 통제되었다.
1999년 11월 16일: 삽교 교차로 ~ 면온 나들목 구간은 둔내터널로, 속사 나들목 ~ 진부 나들목 구간은 진부터널로 이설되었다.[74][78][79]
2000년 7월 22일: 월정 요금소 ~ 횡계 나들목 구간(10.1km) 왕복 4차로 확장 공사가 개통되었다.[81][82]
2001년 5월 3일: 안산 분기점 ~ 신갈 분기점 구간(23.84km) 왕복 6~8차로 확장 공사가 개통되면서[84][85] 요금 수납 방식이 개방식에서 폐쇄식으로 변경되었다.[86]
2001년 11월 28일: 횡계 나들목 ~ 강릉 분기점 구간(21.7km) 왕복 4차로 확장 공사가 개통되면서 월정 요금소가 폐쇄되고, 기존 대관령 구간은 지방도 제456호선으로 지정되었다.
2. 3. 6차로 이상 확장 및 기타
2001년 8월 25일, 기존 서해안고속도로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과 신갈안산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하고 노선 번호를 제4호에서 '''제50호'''로 변경하였다.[89][90] 2002년 12월 20일에는 여주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3년 9월 5일, 호법 분기점 ~ 여주 분기점 구간 왕복 6, 8차로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 2007년 10월 31일에는 신갈 분기점 ~ 호법 분기점 33.5km 구간 왕복 8, 10차로 확장 공사가 착공되었다.[103]2010년 12월 29일, 신갈 분기점 ~ 양지 나들목 18.5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이 완료되었다. 2011년 6월 7일, 양지 나들목 ~ 호법 분기점 강릉 방향 14.8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이 완료되었고,[113] 같은 해 7월 20일에는 신갈 분기점 ~ 용인 나들목 18.5km 구간 왕복 10차로, 용인 나들목 ~ 양지 나들목 7.3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이 완료되었다.[114] 12월 14일에는 양지 나들목 ~ 호법 분기점 14.8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이 완료되었다.[117]
2013년 3월 28일, 월곶 분기점 ~ 군자 분기점 3.3km 구간 왕복 10차로 확장 완료 및 군자 분기점이 개통되었고, 12월 27일에는 북수원 나들목 ~ 동수원 나들목 6.1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이 완료되었다.
2016년 1월 1일, 장평 나들목을 평창 나들목으로, 횡계 나들목을 대관령 나들목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같은 해 3월 15일,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대비 여주 분기점 ~ 강릉 분기점 구간 시설 개량 공사가 착공되었고,[127] 11월 11일에는 원주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17년 12월 22일, 여주 분기점 ~ 강릉 분기점 구간 시설 개량 공사가 완료되었다.[132] 2022년 3월 21일에는 서용인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3. 구성
; 차로수
서창 분기점 ~ 월곶 분기점, 군자 분기점 ~ 안산 나들목, 안산 분기점 ~ 북수원 나들목, 여주 분기점 ~ 여주 나들목 구간은 왕복 6차로이다. 안산 나들목 ~ 안산 분기점, 북수원 나들목 ~ 신갈 분기점, 용인 나들목 ~ 여주 분기점 구간은 왕복 8차로이다. 월곶 분기점 ~ 군자 분기점, 신갈 분기점 ~ 용인 나들목 구간은 왕복 10차로이다. 여주 나들목 ~ 강릉 분기점 구간은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가변차로로 운영된다.
; 총 연장
- 234.4km
;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속도 100km/h, 최저속도 50km/h로 지정되어 있다. 단,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구간은 최고 80km/h로 지정되어 있으며, 횡성휴게소 ~ 새말 나들목 5km 전까지 5km 구간은 인천 방향만 80km/h이다.
; 터널
영동고속도로에는 여러 개의 터널이 있다. 경기도 안산시 부곡동에 위치한 반월터널은 인천 방향 760m, 강릉 방향은 1991년에 준공된 358m와 2001년에 준공된 286m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도 수원시 하광교동에 있는 광교터널은 인천 방향이 1991년에 준공된 495m, 502m, 강릉 방향은 2001년에 준공된 522m, 2013년에 준공된 499m로 나뉜다.
경기도 용인시 동백동의 마성터널은 인천 방향이 1994년에 준공된 1,460m, 2011년에 준공된 1,502m, 강릉 방향은 1994년에 준공된 1,450m, 2011년에 준공된 1,565m이다.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 주북리에는 양지1터널(인천 방향, 1994년 준공, 660m 및 642m)과 양지터널(강릉 방향, 2011년 준공, 730m)이 있다.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리에는 강천터널이 있으며, 인천 방향은 329m (2011년 준공), 강릉 방향은 1994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삽교리에는 둔내터널이 있으며 3,300m로 1999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백옥포리의 봉평터널은 인천 방향 1,420m, 강릉 방향 1,445m로 모두 1999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에는 진부1터널(인천 방향 2,095m, 강릉 방향 2,075m)과 진부2터널(인천 방향 185m, 강릉 방향 203m)이 있으며, 모두 1999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에는 진부3터널(인천 방향 604m, 강릉 방향 599m)이 1999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에는 대관령1터널(인천 방향 1,830m, 강릉 방향 1,800m)이 2001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에는 대관령2터널(55m)과 대관령3터널(60m)이 2001년에 준공되었고, 대관령4터널(인천 방향 705m, 강릉 방향 668m)과 대관령5터널(인천 방향 1,209m, 강릉 방향 1,179m)이 2001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에는 대관령6터널(인천 방향 234m, 강릉 방향 202m)과 대관령7터널(120m)이 있으며, 모두 2001년에 준공되었다.
3. 1. 차로수
서창 분기점 ~ 월곶 분기점, 군자 분기점 ~ 안산 나들목, 안산 분기점 ~ 북수원 나들목, 여주 분기점 ~ 여주 나들목 구간은 왕복 6차로이다. 안산 나들목 ~ 안산 분기점, 북수원 나들목 ~ 신갈 분기점, 용인 나들목 ~ 여주 분기점 구간은 왕복 8차로이다. 월곶 분기점 ~ 군자 분기점, 신갈 분기점 ~ 용인 나들목 구간은 왕복 10차로이다. 여주 나들목 ~ 강릉 분기점 구간은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가변차로로 운영된다.3. 2.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속도 100km/h, 최저속도 50km/h로 지정되어 있다. 단,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구간은 최고 80km/h로 지정되어 있으며, 횡성휴게소 ~ 새말 나들목 5km 전까지 5km 구간은 인천 방향만 80km/h이다.3. 3. 터널
영동고속도로에는 여러 개의 터널이 있다. 경기도 안산시 부곡동에 위치한 반월터널은 인천 방향 760m, 강릉 방향은 1991년에 준공된 358m와 2001년에 준공된 286m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도 수원시 하광교동에 있는 광교터널은 인천 방향이 1991년에 준공된 495m, 502m, 강릉 방향은 2001년에 준공된 522m, 2013년에 준공된 499m로 나뉜다.경기도 용인시 동백동의 마성터널은 인천 방향이 1994년에 준공된 1,460m, 2011년에 준공된 1,502m, 강릉 방향은 1994년에 준공된 1,450m, 2011년에 준공된 1,565m이다.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 주북리에는 양지1터널(인천 방향, 1994년 준공, 660m 및 642m)과 양지터널(강릉 방향, 2011년 준공, 730m)이 있다.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리에는 강천터널이 있으며, 인천 방향은 329m (2011년 준공), 강릉 방향은 1994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삽교리에는 둔내터널이 있으며 3,300m로 1999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백옥포리의 봉평터널은 인천 방향 1,420m, 강릉 방향 1,445m로 모두 1999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에는 진부1터널(인천 방향 2,095m, 강릉 방향 2,075m)과 진부2터널(인천 방향 185m, 강릉 방향 203m)이 있으며, 모두 1999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에는 진부3터널(인천 방향 604m, 강릉 방향 599m)이 1999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에는 대관령1터널(인천 방향 1,830m, 강릉 방향 1,800m)이 2001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에는 대관령2터널(55m)과 대관령3터널(60m)이 2001년에 준공되었고, 대관령4터널(인천 방향 705m, 강릉 방향 668m)과 대관령5터널(인천 방향 1,209m, 강릉 방향 1,179m)이 2001년에 준공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에는 대관령6터널(인천 방향 234m, 강릉 방향 202m)과 대관령7터널(120m)이 있으며, 모두 2001년에 준공되었다.
4. 나들목 · 분기점
영동고속도로의 나들목과 분기점은 다음과 같다.
- 번호는 진출입교차점(IC 및 JC) 번호를,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번호 | 이름 | 로마자 이름 | 구간 거리 | 누적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무네미로 직결 | ||||||||
인천기점 | - | 0.00 | 무네미로 | 인천광역시 | 남동구 | 인천방향 직진 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장수 나들목 간접 연결 | ||
1 | 서창 분기점 | Seochang JC | 0.51 | 0.51 | 110호선 제2경인고속도로 | |||
2 | 월곶 분기점 | Wolgot JC | 5.49 | 6.00 | 지방도 제330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 | 경기도 | 시흥시 | 구 월곶 나들목 |
3 | 군자 분기점 | Gunja JC | 3.21 | 9.21 | 153호선 평택시흥고속도로 | 인천방향의 경우 평택시흥고속도로(평택방향) 진출 불가능 | ||
TG | 군자 요금소 | Gunja TG | 본선요금소 | |||||
4 | 서안산 | W.Ansan | 3.33 | 12.54 | 군자로·성곡로 (국도 제39호선 (시흥대로·산단로)) | 안산시 | ||
SA | 안산휴게소 | Ansan Service Area SA | 양방향 | |||||
5 | 안산 | Ansan | 3.33 | 15.87 | 가루개로 (순환로) | |||
6 | 안산 분기점 | Ansan JC | 2.08 | 17.95 |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 인천방향의 경우 서해안고속도로(무안방향) 진출 불가능 서울방향 진출 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간접 연결 | ||
7 | 둔대 분기점 | Dundae JC | 4.76 | 22.71 | 군포시 | 팔곡 분기점과 연계 강릉방향의 경우 서해안고속도로(무안방향) 진출 불가능 | ||
8 | 군포 | Gunpo | 1.71 | 24.42 | 국도 제47호선 (군포로) | 구 반월 나들목 | ||
9 | 동군포 | E.Gunpo | 1.59 | 26.01 | 번영로 (국도 제47호선 (군포로)) (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 | 구 부곡 요금소 부지 | ||
10 | 부곡 | Bugok | 1.95 | 27.96 | 덕영대로 (오봉로) | 의왕시 | ||
11 | 북수원 | N.Suwon | 2.84 | 30.80 | 국도 제1호선 (경수대로) (지방도 제309호선 (봉담과천도시고속화도로)) | 수원시 | ||
12 | 동수원 | E.Suwon | 6.09 | 36.89 | 국도 제43호선 (창룡대로) (171호선 용인서울고속도로) | |||
13 | 신갈 분기점 | Singal JC | 4.90 | 41.79 | 1호선 경부고속도로 | 용인시 | ||
14 | 마성 | Maseong | 6.62 | 48.41 | 마성로 지방도 제321호선 (성산로) | |||
15 | 서용인 분기점 | W.Yongin Junction | 1.93 | 50.34 |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
17 | 용인 | Yongin | 2.17 | 52.51 | 국도 제45호선 (백옥대로) | |||
SA | 용인휴게소 | Yongin SA | 양방향 | |||||
18 | 용인 분기점 | Yongin JC | 29호선 세종포천고속도로 | |||||
19 | 양지 | Yangji | 7.96 | 60.47 | 국도 제17호선 (죽양대로) 국도 제42호선 (중부대로) | |||
20 | 덕평 | Deokpyeong | 7.10 | 67.57 | 지방도 제325호선 (덕평로) (국도 제42호선 (중부대로)) | 이천시 | ||
SA | 덕평자연휴게소 | Deokpyeong-Jayeon | 양방향 통합형, 회차 가능 | |||||
21 | 호법 분기점 | Hobeop JC | 5.65 | 73.22 | 35호선 중부고속도로 | |||
22 | 이천 | Icheon | 6.41 | 79.63 | 국도 제3호선 (경충대로) | |||
SA | 여주휴게소 여주맛있는휴게소 | Yeoju SA Yeoju Delicious SA | 여주시 | 양방향 | ||||
23 | 여주 분기점 | Yeoju JC | 8.66 | 88.29 | 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 | |||
24 | 여주 | Yeoju | 6.18 | 94.47 | 국도 제37호선 (세종로·장여로) | |||
SA | 문막휴게소 | Munmak SA | 강원특별자치도 | 원주시 | 인천방향 | |||
25 | 문막 | Munmak | 19.98 | 114.45 |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원문로) 국도 제42호선 (여원로) | |||
SA | 문막휴게소 | Munmak SA | 강릉방향 | |||||
26 | 만종 분기점 | Manjong JC | 9.14 | 123.59 | 55호선 중앙고속도로 | |||
27 | 원주 분기점 | Wonju JC | 3.90 | 127.49 | 52호선 광주원주고속도로 | 강릉방향의 경우 광주원주고속도로(광주방향) 진출 불가능 | ||
28 | 원주 | Wonju | 2.71 | 130.20 | 국도 제5호선 (북원로·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국도 제19호선 (북원로·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 |||
29 | 새말 | Saemal | 12.73 | 142.93 | 지방도 제442호선 (한우로) (국도 제42호선 (서동로)) | 횡성군 | ||
SA | 횡성휴게소 | Hoengseong SA | 양방향 | |||||
30 | 둔내 | Dunnae | 17.08 | 160.01 | 국도 제6호선 (경강로) 지방도 제411호선 (강변로) 지방도 제420호선 (경강로·고원로) | |||
30-1 | 동둔내 | E.Dunnae | 7.29 | 167.30 | 청태산로 |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인천방향 진출만 가능 | ||
31 | 면온 | Myeonon | 9.71 | 177.01 | 지방도 제408호선 (태기로) | 평창군 | ||
32 | 평창 | Pyeongchang | 5.68 | 182.69 | 국도 제6호선 (경강로) 지방도 제408호선 (태기로) (국도 제31호선 (평창대로·경강로)) (지방도 제424호선 (경강로·금당계곡로·태기로)) | 구 장평 나들목 | ||
SA | 평창휴게소 | Pyeongchang SA | 양방향 | |||||
33 | 속사 | Soksa | 9.16 | 191.85 | 국도 제6호선 (경강로) 국도 제31호선 (경강로) | |||
35 | 진부 | Jinbu | 7.15 | 199.00 | 진부로 진부중앙로 국도 제6호선 (경강로) 국도 제59호선 (경강로) | |||
36 | 대관령 | Daegwallyeong | 12.84 | 211.84 | 지방도 제456호선 (경강로) | 구 횡계 나들목 | ||
SA | 강릉대관령휴게소 | Gangneung Daegwallyeong SA | 강릉시 | 양방향 | ||||
37 | 강릉 분기점 | Gangneung JC | 22.56 | 234.40 | 65호선 동해고속도로 |
5. 주요 통과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 - 서창동 - 도림동 - 논현동)를 통과한다. 경기도에서는 시흥시 (월곶동 - 거모동 - 군자동),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 화정동),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 - 부곡동), 군포시 (둔대동 - 대야미동 - 부곡동), 의왕시 (이동 - 삼동),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 - 파장동 - 송죽동 - 조원동 - 하광교동) - 영통구 이의동,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수원시 영통구 하동,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 마북동 - 언남동 - 청덕동 - 동백동), 처인구 (포곡읍 - 유방동 - 양지면), 이천시 (마장면 - 호법면 - 단월동 - 고담동 - 대월면 - 부발읍), 여주시 (가남읍 - 상거동 - 점봉동 - 멱곡동 - 연양동 - 강천면)를 지난다. 강원특별자치도에서는 원주시 (부론면 - 문막읍 - 지정면 - 호저면 - 지정면 - 호저면 - 우산동 - 가현동 - 태장동 - 소초면), 횡성군 (우천면 - 안흥면 - 둔내면), 평창군 (봉평면 - 용평면 - 진부면 - 대관령면), 강릉시 (왕산면 - 성산면 - 사천면 - 성산면)을 통과한다.
6. 구간별 특징
6. 1. 안산 분기점 ~ 신갈 분기점 구간
1986년 신갈안산고속도로(현. 안산 분기점 ~ 신갈 분기점) 계획 당시 건설하려 했던 나들목은 다음과 같다.[141][142]개통 후 나들목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 안산 분기점
- 반월 나들목 (지금의 군포 나들목)
- 부곡 요금소 (본선, 지금의 동군포 나들목 및 동군포 요금소, 본선 요금소는 폐쇄)
- 부곡 나들목
- 북수원 나들목
- 동수원 나들목
- 동수원 요금소 (본선, 본선 요금소는 폐쇄)
- 신갈 분기점
6. 2. 마성 나들목 구간
경기도 통과 구간이 확장공사를 끝낸 후에도 마성 나들목은 이설되지 않고, 구 도로는 현재 진입로로 활용 중이다. 단, 구 도로에는 중앙분리대가 없는 대신 중앙분리봉이 설치되어 있다.6. 3. 원주 나들목 ~ 새말 나들목 구간
1997년 12월 20일에 원주 나들목 ~ 새말 나들목 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지만, 새말 나들목 ~ 월정 요금소 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된 1999년 7월 15일까지는 확장 이전처럼 본선에 새말 요금소(현재 소초 쉼터 부지)라는 본선 요금소가 존재하였다.6. 4. 새말 나들목 ~ 강릉 분기점 구간
1999년까지 새말 나들목 ~ 대관령 구간은 입체교차로가 없었으며, 2001년까지는 대관령고개 ~ 강릉시 구간은 과거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5호선, 지방도 제456호선 구간을 그대로 전용하였다.아래 교차로는 1999년 도로현황조서 기준이다. 1999년 이전에 폐쇄된 교차로는 1997년 도로현황조서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이름 | 로마자 이름 | 구간 거리 | 누적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새말 | Saemal | 10.00 | 100.14 | 국도 제42호선 지방도 제442호선 | 강원특별자치도 | 횡성군 | |
횡성휴게소 | Hoengseong SA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구 소사휴게소 | |||
소사 | Sosa | 11.60 | 112.00 | 봉화로 | 평면 교차로 | ||
현천 | Hyeoncheon | 2.50 | 114.50 | 덕송로 | 평면 교차로 1997년 폐쇄 | ||
둔내 | Dunnae | 3.09 | 117.59 | 국도 제6호선 | 평면 교차로 | ||
우용 | Uyong | 2.71 | 120.30 | 고원남로 | 평면 교차로 1997년 폐쇄 | ||
둔내 요금소 | Dunnae TG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개방식 본선요금소 | |||
삽교 | Sapgyo | 6.30 | 126.60 | 청태산로 | 평면 교차로 1997년 폐쇄 | ||
둔내소풍휴게소 | Dunnae SA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안산방향 | |||
태기산소풍휴게소 | Taegisan SA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평창군 | 강릉방향 | ||
면온 | Myeonon | 8.70 | 135.30 | 진조길 | 평면 교차로 | ||
길음 | Gireum | 1.50 | 136.80 | 지방도 제408호선 | 평면 교차로 지금의 면온 나들목 위치 | ||
장평 | Jangpyeong | 5.96 | 142.76 | 국도 제6호선 | 평면 교차로 지금의 평창 나들목 위치 | ||
장평휴게소 | Jangpyeong SA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강릉방향 임시 휴게소 | |||
용전 | Yongjeon | 2.84 | 145.60 |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1호선 | 평면 교차로 1997년 폐쇄 | ||
이목정 | Imokjeong | 5.50 | 151.10 |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1호선 | 평면 교차로 사거리 형태 | ||
속사 | Soksa | 1.90 | 153.00 |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1호선 | 평면 교차로 지금의 속사 나들목 위치 | ||
하진부 | Hajinbu | 6.30 | 159.30 | 국도 제6호선 | 평면 교차로 | ||
상진부 | Sangjinbu | 2.80 | 162.10 | 국도 제6호선 | 평면 교차로 지금의 진부 나들목 위치 | ||
월정 요금소 | Woljeong TG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폐쇄식 본선요금소 1999년 7월 15일 신설 2001년 11월 28일 폐쇄 | |||
유천 | Yucheon | 7.10 | 169.20 | 지방도 제456호선 | 평면 교차로 | ||
싸리재 | Ssarijae | 3.10 | 172.30 | 지방도 제456호선 | 평면 교차로 | ||
횡계 | Hoenggye | 3.30 | 175.60 | 지방도 제456호선 | 평면 교차로 | ||
대관령 대관령휴게소 | Daegwallyeong Daegwallyeong SA | 5.23 | 180.83 | 지방도 제456호선 | 현재 대관령마을휴게소와 신재생에너지전시관 | ||
구산휴게소 | Gusan SA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강릉시 | 안산방향 | ||
구산 | Gusan | 13.67 | 194.50 | 국도 제35호선 | 평면 교차로 | ||
성산 | Seongsan | 1.00 | 195.50 | 국도 제35호선 | 평면 교차로 국도 제35호선과 중복 | ||
금산 | Geumsan | 2.0 | 197.50 | 평면 교차로 국도 제35호선과 중복 | |||
홍제 | Hongje | 3.32 | 200.82 | 국도 제35호선 | 평면 교차로 국도 제35호선과 중복 | ||
강릉 | Gangneung | 0.18 | 201.00 | 동해고속도로 동해대로 |
6. 4. 1. 대관령 구간 확장
영동고속도로는 초기 개통시부터 2차선 고속도로여서, 동서 대동맥인 영동고속도로의 확장론이 대두되었다.[143] 그 이유는 서울 - 강릉간은 평소에는 3시간 30분 ~ 4시간이면 충분하지만 관광철이면 10 ~ 15시간씩 걸리고 심할때는 20시간까지도 소요되었기 때문이다. 추가로 경제 발전에 따라 초기 예상 최대 통행량의 5배를 초과하였고, 고랭지 농업과 시멘트 산업 등이 발전하면서 화물차 통행이 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폭설이 있을 경우에는 길도 막히기도 하였다. 그러자 정부는 강릉시 성산면에서 평창군 도암면을 잇는 11.2km에 왕복 4차선 터널을 건설키로 하고 오는 1996년까지 타당성 조사를 마친뒤 모두 4천 84억원을 들여 1997년 착공, 2004년 개통 목표로 사업을 검토하게 되었다.[144]그렇게 공사가 시작된 이후,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공사가 2001년에 조기 개통시키겠다는 발표가 나왔고, 마침내 2001년 11월 28일에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확장 구간이 개통하게 되었다.[145]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확장 구간이 개통하게 되자, 대관령 휴게소는 당해 11월에 폐쇄하게 되었다.[146] 한편, 대관령 구간의 개통으로 소통이 빨라질 것이라 예상했으나, 톨게이트 진출입로가 편도 1차선이고 요금정산소가 3곳밖에 되지 않아 정체를 빚어 통과하는데 1시간 이상 걸렸던 적도 있었다.[147]
7. 과속 단속 구간
둔내터널 하행선 구간(둔내터널 ~ 면온 나들목 직전 부근)은 강릉 방향 7.4km로, 2007년 12월 26일부터 시행되었다.[148] 봉평터널, 둔내터널 상행선 구간(평창 나들목 직후 부근 ~ 둔내 나들목 직전 부근)은 인천 방향 19.5km로, 2009년 10월 16일부터 시행되었으며 2017년 4월 17일에 연장되었다.[149][150] 대관령 하행선 구간(대관령 1터널 ~ 성산2교 입구)은 강릉 방향 10.8km로, 2011년 12월 7일부터 시행되었다. 덕평 나들목 ~ 양지 나들목 ~ 용인 휴게소 구간은 인천 방향 9.3km이다. 용인 나들목 ~ 서용인 분기점 ~ 신갈 분기점 구간은 인천 방향 8.3km이다. 횡성휴게소 직후 부근 ~ 새말 나들목 직전 부근 구간은 인천 방향 6.7km이며, 최고제한속도는 80km/h이다.
참조
[1]
간행물
한국도로공사 20년사
한국도로공사
[2]
뉴스
도공 "평창동계올림픽 가는길, 안전개선 나선다"
http://view.asiae.co[...]
2016-03-09
[3]
뉴스
영동고속도로의 기공
http://newslibrary.n[...]
1971-03-25
[4]
법률
대통령령 제5770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law.go.kr/lsI[...]
1971-08-31
[5]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669호
http://theme.archive[...]
1971-11-29
[6]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06호
http://theme.archive[...]
1971-11-30
[7]
뉴스
서울~새말간 영동고속도로 개통
http://newslibrary.n[...]
1971-12-01
[8]
뉴스
대전~전주 서울~새말 내년초부터 유료화
http://newslibrary.n[...]
1971-11-19
[9]
법률
대통령령 제6821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law.go.kr/lsI[...]
1973-08-23
[10]
뉴스
용인 양지리에 고속도 인터체인지
http://newslibrary.n[...]
1973-12-28
[11]
뉴스
새말-강릉-묵호간 동해고속도로 착공
http://newslibrary.n[...]
1974-03-26
[12]
뉴스
영동고속도로 마성인터체인지 7개월만에 개통
http://newslibrary.n[...]
1976-04-10
[13]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65호
http://theme.archive[...]
1975-10-01
[14]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07호
http://theme.archive[...]
1975-10-01
[15]
뉴스
제1053호-영동.동해고속도로 준공
https://www.youtube.[...]
1975-10-22
[16]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76호
http://theme.archive[...]
1976-12-20
[17]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209호
http://theme.archive[...]
1976-12-20
[18]
뉴스
덕평인터체인지 1억들여 건설계획
http://newslibrary.n[...]
1976-05-18
[19]
법률
대통령령 제905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8-06-22
[20]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89호
http://theme.archive[...]
1979-03-21
[21]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76호
http://theme.archive[...]
1979-12-28
[22]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535호
http://theme.archive[...]
1980-01-05
[23]
법률
대통령령 제10625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7-11-07
[24]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311호
http://theme.archive[...]
1982-09-09
[25]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71호
http://theme.archive[...]
1987-05-08
[26]
법률
대통령령 제11700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8-01-14
[27]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40호
http://theme.archive[...]
1988-02-06
[28]
뉴스
수도권 순환 고속도로 기공식
https://imnews.imbc.[...]
1988-04-12
[29]
뉴스
영동~동해 고속도 12.5km 완공
http://newslibrary.n[...]
1988-12-15
[30]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285호
http://theme.archive[...]
1989-06-12
[31]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355호
http://theme.archive[...]
1989-07-04
[32]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725호
http://theme.archive[...]
1990-10-26
[33]
뉴스
서해안 고속도로 착공
http://newslibrary.n[...]
1991-02-27
[34]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422호
http://theme.archive[...]
1991-08-03
[35]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43호
http://theme.archive[...]
1991-11-26
[36]
뉴스
판교~구리 신갈~안산 수도권 고속도 개통
http://newslibrary.n[...]
1991-11-30
[37]
뉴스
영동고속도로 원주~신갈 확장공사 착공
http://newslibrary.n[...]
1991-12-07
[38]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854호
http://theme.archive[...]
1991-12-31
[39]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128호
http://theme.archive[...]
1992-03-31
[40]
법률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2-04-29
[41]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3-47호
http://theme.archive[...]
1993-02-27
[42]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3-104호
http://theme.archive[...]
1993-04-03
[43]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3-184호
http://theme.archive[...]
1993-05-26
[44]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4-136호
http://theme.archive[...]
1994-04-28
[45]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4-144호
http://theme.archive[...]
1994-05-02
[4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2-10-22
[47]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4-380호
http://theme.archive[...]
1994-10-17
[48]
뉴스
영동고속도로 4차선으로 확장 개통
https://news.kbs.co.[...]
KBS 9시뉴스
1994-12-12
[49]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994-299호
http://theme.archive[...]
1994-12-14
[5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07호
http://theme.archive[...]
1995-04-01
[5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21호
http://theme.archive[...]
1995-04-08
[5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41호
http://theme.archive[...]
1995-04-26
[5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329호
http://theme.archive[...]
1995-09-21
[54]
뉴스
영동고속도 확장공사 착공 새말 IC~월정 59.2km
http://newslibrary.n[...]
1995-11-25
[5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70호
http://theme.archive[...]
1996-03-07
[5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81호
http://theme.archive[...]
1996-03-16
[5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113호
http://theme.archive[...]
1996-04-23
[58]
법률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5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81호
http://theme.archive[...]
1996-12-07
[6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84호
http://theme.archive[...]
1996-12-07
[61]
뉴스
영동고속道 횡계-강릉 확장공사 12월 착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6-10-12
[6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87호
http://theme.archive[...]
1997-03-20
[6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99호
http://theme.archive[...]
1997-06-25
[6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18호
http://theme.archive[...]
1997-10-02
[6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68호
http://theme.archive[...]
1997-11-18
[66]
뉴스
영동고속도로 만종~새말 4차로확장 20일 개통
http://newslibrary.n[...]
1997-12-18
[6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52호
http://theme.archive[...]
1998-02-26
[6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66호
http://theme.archive[...]
1998-06-08
[6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12호
http://theme.archive[...]
1998-07-04
[7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08호
http://theme.archive[...]
1998-09-21
[71]
뉴스
군포 화물터미널 준공 年(연) 1,100만t 화물처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8-12-24
[7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108호
http://theme.archive[...]
1999-04-17
[73]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232호
http://theme.archive[...]
1999-07-14
[74]
뉴스
영동고속도로 새말~월정 4차로 개통
http://newslibrary.n[...]
1999-07-15
[75]
기타
[76]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231호
http://theme.archive[...]
1999-07-14
[77]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309호
http://theme.archive[...]
1999-09-30
[78]
뉴스
영동고속도로 새말~월정 4차로 개통
http://newslibrary.n[...]
1999-11-16
[79]
웹인용
둔내터널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
http://www.ex.co.kr/[...]
2013-05-11
[8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191호
http://theme.archive[...]
2000-07-13
[81]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0-178호
http://theme.archive[...]
2000-07-19
[82]
뉴스
영동고속도로 월정∼횡계간 4차로 확장개통
https://news.naver.c[...]
[8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263호
http://theme.archive[...]
2000-10-12
[84]
간행물
건설교통부 공고 제2001-120호
http://gwanbo.mois.g[...]
2001-04-30
[85]
뉴스
신갈~안산 고속도로 23.2km 전구간 3일 완전개통
https://news.naver.c[...]
[86]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110호
http://gwanbo.mois.g[...]
2001-04-26
[8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115호
http://gwanbo.mois.g[...]
2001-05-09
[8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190호
http://gwanbo.mois.g[...]
2001-07-21
[89]
법률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5-24
[90]
뉴스
고속도로 노선체계 대폭 개선(재송)
https://news.naver.c[...]
[91]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323호
http://gwanbo.mois.g[...]
2001-11-27
[92]
뉴스인용
영동고속도로 강릉~횡계 28일 개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1-11-02
[9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186호
http://gwanbo.mois.g[...]
2003-07-23
[9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92호
http://gwanbo.mois.g[...]
2004-04-29
[9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180호
http://gwanbo.mois.g[...]
2004-07-27
[9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27호
http://gwanbo.mois.g[...]
2005-02-01
[9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28호
http://gwanbo.mois.g[...]
2005-02-01
[9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29호
http://gwanbo.mois.g[...]
2005-02-01
[9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158호
http://gwanbo.mois.g[...]
2005-06-13
[10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155호
http://gwanbo.mois.g[...]
2006-05-26
[10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358호
http://gwanbo.mois.g[...]
2006-09-06
[102]
간행물
고시 정정
http://gwanbo.mois.g[...]
2006-09-08
[103]
뉴스인용
영동고속도로 신갈-호법 8-10차로 확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09-06
[104]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016호
http://gwanbo.mois.g[...]
2009-10-22
[105]
뉴스인용
영동고속道 강천터널 3차로 확장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09-12-23
[106]
뉴스
영동고속도 ´용인휴게소~양지나들목´ 확장개통
http://www.dailian.c[...]
[107]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12호
http://gwanbo.mois.g[...]
2010-02-23
[108]
뉴스
영동고속도로 용인⇒신갈, 빨라진다
http://www.nocutnews[...]
[109]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110]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11-14호
http://gwanbo.mois.g[...]
2011-01-14
[111]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16호
http://gwanbo.mois.g[...]
2011-01-24
[112]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127호
http://gwanbo.mois.g[...]
2011-04-08
[113]
뉴스인용
영동고속도로, 양지나들목∼호법분기점 확장
http://www.fnnews.co[...]
2011-06-06
[114]
뉴스인용
영동고속도 신갈∼양지 7월 20일 8∼10차로 확장 개통
http://news.kukinews[...]
2011-07-24
[115]
뉴스인용
도공 강원본부, 강천터널 확장공사 개통식
https://news.naver.c[...]
2011-07-20
[116]
뉴스인용
영동고속도 강천터널 양방향 완전 개통
https://news.naver.c[...]
2011-08-19
[117]
뉴스인용
영동고속도로 신갈~호법 14일 확장개통
https://news.naver.c[...]
2011-12-13
[118]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793호
http://gwanbo.mois.g[...]
2011-12-23
[119]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722호
http://gwanbo.mois.g[...]
2012-11-07
[120]
뉴스인용
영동고속도로 인천방향 동군포나들목 오늘 개통
http://www.joongboo.[...]
2013-12-16
[12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21호
http://gwanbo.mois.g[...]
2014-01-20
[122]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4-15호
http://gwanbo.mois.g[...]
2014-01-16
[12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545호
http://gwanbo.mois.g[...]
2014-09-19
[12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12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255호
http://gwanbo.mois.g[...]
2015-04-21
[12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506호
http://gwanbo.mois.g[...]
2015-07-20
[127]
뉴스
오늘부터 G1 8 뉴스로 인해 중부·영동고속도로 공사...1개 차로 통제
http://www.ytn.co.kr[...]
2016-03-15
[12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379호
http://gwanbo.mois.g[...]
2016-06-30
[12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395호
http://gwanbo.mois.g[...]
2016-07-20
[130]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1693호
http://gwanbo.mois.g[...]
2016-12-21
[131]
뉴스인용
아이트로닉스 국내 첫 4차로 하이패스 구축
http://www.dt.co.kr/[...]
2018-03-15
[132]
뉴스인용
한국도로공사, 영동선 시설개량 등 평창 올림픽 지원
http://www.joongboo.[...]
2018-01-10
[13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78호
http://gwanbo.mois.g[...]
2019-02-19
[13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03호
http://gwanbo.mois.g[...]
2019-09-25
[13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고시 제2020-272호
https://gwanbo.go.kr[...]
2020-09-16
[136]
일반
[137]
일반
[138]
일반
[139]
일반
[140]
일반
[141]
뉴스
판교~구리 신갈~안산 2개구간 수도권 고속도 착공 90년도 완공
http://newslibrary.n[...]
1988-04-12
[142]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713호
http://theme.archive[...]
1987-12-31
[143]
뉴스인용
영동고속도로 전면 확장 시급
https://news.naver.c[...]
1991-08-10
[144]
뉴스인용
영동고속도 대관령구간 터널 굴착 추진
https://news.naver.c[...]
1992-08-17
[145]
뉴스인용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 오늘 개통
https://news.kbs.co.[...]
2001-11-28
[146]
뉴스인용
영동지역 관문-대관령 휴게소 11월 폐쇄
https://news.naver.c[...]
2001-09-09
[147]
뉴스인용
대관령길 확장 하나마다…톨게이트 통과에 1시간
https://news.naver.c[...]
2001-11-30
[148]
뉴스
영동고속도 '구간단속' 26일부터 가동<강원경찰>
https://news.naver.c[...]
[149]
일반
[150]
웹인용
20대 여성 4명 목숨 앗아간 ‘봉평터널’ 구간 과속단속 시행
http://www.hani.co.k[...]
2017-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