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레스덴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레스덴 전투는 1813년 8월 26일부터 27일까지 드레스덴에서 벌어진 나폴레옹 전쟁의 주요 전투 중 하나이다. 나폴레옹은 러시아 원정 실패 후 결성된 제6차 대프랑스 동맹에 맞서 뤼첸 전투와 바우첸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기병 부족으로 결정적인 타격을 입히지 못했다. 오스트리아의 중재로 휴전이 성립되었으나, 스웨덴과 오스트리아의 참전으로 전황이 불리해지자 나폴레옹은 드레스덴을 요새화하여 방어하도록 명령했다. 전투 결과 프랑스군은 승리했지만, 나폴레옹의 지휘 공백으로 인해 연합군은 포위망을 벗어나 퇴각했고, 전략적인 이점을 얻는 데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3년 독일 - 웰링턴의 승전
《웰링턴의 승전》은 1813년 비토리아 전투를 기념하여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작곡한 관현악곡으로, 전투 장면을 묘사하며 영국 국가와 프랑스 군가를 사용한다. - 1813년 독일 - 괴르데 전투
괴르데 전투는 1813년 9월 프로이센, 러시아, 영국, 하노버 연합군이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한 전투이며, 독일 주둔 프랑스군을 상대로 연합군이 거둔 최초의 승리이자 콩그리브 로켓이 성공적으로 배치된 첫 사례로 기록된다. - 1813년 8월 - 카츠바흐 전투
카츠바흐 전투는 1813년 8월 26일 카츠바흐 강 인근에서 게브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가 이끄는 프로이센-러시아 연합군이 에티엔 자크 조제프 알렉상드르 맥도날 휘하의 프랑스군을 격파하여 연합군에 활력을 불어넣고 이후 전투 승리에 기여했으며, 블뤼허는 "발슈타트 공작" 칭호를 받았다. - 1813년 8월 - 그로스베렌 전투
그로스베렌 전투는 1813년 프로이센군이 프랑스군의 베를린 점령 시도를 막아 나폴레옹의 동맹군 지휘관이 강등되고 트라첸베르크 작전의 유효성을 입증한 전투이다. - 알렉산드르 1세 - 신성 동맹 (1815년)
신성 동맹은 1815년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가 제안하여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가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유럽의 정치 질서를 재건하고 국제 평화를 목표로 결성되었으나, 자유주의 억압에 이용되면서 쇠퇴하고 해체되었다. - 알렉산드르 1세 - 알렉산더 광장
알렉산더 광장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광장으로, 1805년 러시아 황제를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상업 중심지, 나이트라이프 중심지, 동독의 경제적 상징을 거쳐 현재는 교통 허브이자 관광 명소로 기능한다.
드레스덴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전투 정보 | |
전투명 | 드레스덴 전투 |
일부 | 나폴레옹 전쟁 중 제6차 대프랑스 동맹 |
시기 | 1813년 8월 26일 - 8월 27일 |
장소 | 자유국 작센, 드레스덴 |
결과 | 프랑스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프랑스 제국 |
교전국 2 | 오스트리아 제국 러시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 |
지휘관 | |
프랑스 | 나폴레옹 1세 생시르 네 마르몽 모르티에 뮈라 |
동맹군 | 슈바르첸베르크 프란츠 2세 프리드리히 놀렌도르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알렉산드르 1세 바르클라이 데 톨리 비트겐슈테인 모로 |
병력 규모 | |
프랑스군 | 135,000명 |
동맹군 | 214,000명 |
피해 규모 | |
프랑스군 | 사망 및 부상 10,000명 |
동맹군 | 사망, 부상 또는 포로 38,000명, 야포 40문 |
2. 서막
나폴레옹의 1812년 러시아 원정 실패 후, 프로이센은 프랑스와의 동맹을 파기하고 제6차 대프랑스 동맹에 가담했다. 한편, 병력을 보충한 나폴레옹은 5월 뤼첸 전투와 바우첸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기병 부족으로 효과적인 추격을 할 수 없어 승리는 제한적이었다. 오스트리아의 중재로 양측은 휴전 협정을 맺었지만, 7월에 스웨덴이 대프랑스 동맹에 가담했고, 8월 10일 휴전 기간 종료 후 다음 날인 8월 11일에는 오스트리아도 프랑스에 선전포고했다.[2][3]
8월 16일 나폴레옹은 생 시르 원수에게 드레스덴을 요새화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는 연합군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아군의 기동을 위한 거점으로 삼기 위함이었다. 나폴레옹은 적의 약한 부분을 공격하여 전군이 집결하기 전에 각개격파하는 계획을 세웠다. 당시 연합군의 총병력은 450,000명이었고, 나폴레옹의 병력은 300,000명이었다. 그러나 동맹군은 트라첸베르크 작전에 따라 나폴레옹 본인이 지휘하는 부대와의 싸움을 피하고 휘하의 사령관이 지휘하는 부대를 선택하여 싸움을 걸고 있었다. 8월 23일 그로스베렌 전투에서 카를 왕세자가 우디노 원수를 격파했고, 8월 26일 카츠바흐 전투에서 블뤼허가 마크도날 원수를 물리쳤다.[8]
8월 16일, 나폴레옹은 대프랑스 동맹군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드레스덴을 군사 작전 거점으로 삼기 위해 생시르의 1개 군단을 배치하여, 적이 전력을 결집하기 전에 적군의 내선을 공격하여 격파할 계획을 세웠다. 당시 나폴레옹은 30만 명의 군세를 이끌고 있었고, 동맹군은 총 45만 명을 넘었다. 그러나 동맹군은 트라헨베르크 작전에 따라 나폴레옹이 이끄는 군대와 직접 싸우는 것을 피하고, 대신 나폴레온의 부하 군대를 공격하기로 했다.
함부르크의 다부의 1개 군단과 함께 베를린 점령을 목표로 했던 우디노 군은 8월 23일, 그로스베렌 전투에서 칼 왕세자(원래 나폴레옹 휘하의 프랑스군 원수 베르나도트, 후일 스웨덴 국왕 카를 14세 요한)에게 패하여 엘베 강 방어선까지 후퇴했다.[2][3] 8월 26일에는 마크도날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블뤼허가 이끄는 프로이센군에게 카츠바흐 전투에서 패하여 많은 대포를 잃었다.[2][3]
3. 전투
같은 날, 슈바르첸베르크 원수는 200,000명이 넘는 보헤미아의 오스트리아군을 이끌고 생 시르 원수를 공격했다. 그러나 나폴레옹은 지원군을 이끌고 예상보다 빠르게 진군하여 8월 27일 전군에 공격 명령을 내렸고, 동맹군의 좌측을 공략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8월 25일, 알렉산더 1세, 프란츠 1세,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와 참모들은 드레스덴을 내려다보는 곳에서 전략을 논의했다. 생 시르 휘하 2만 명의 병력으로는 도시를 방어하기 어렵다는 것이 명확했기에, 즉시 공격하자는 의견이 나왔지만, 슈바르첸베르크는 추가 병력을 기다리기를 원했다.
8월 26일, 슈바르첸베르크는 20만 명이 넘는 연합군을 파견하여 생 시르를 공격했다. 오전 6시부터 정오까지 연합군은 프랑스군의 방어를 시험했다. 나폴레옹은 북쪽에서 오전 10시경 근위대 보병과 제1기병군단과 함께 도착했고, 사흘 동안 강행군으로 140km를 이동했다.
오전 11시 직후, 연합군 군주들은 프랑스군 증원 부대를 발견하고 전투가 소강 상태에 있었다. 오후 3시경부터 공격을 시작했고, 나폴레옹은 즉시 위협받는 지역에 증원군을 파견했다. — 프랑스군 우익에는 제1기병군단, 중앙에는 네이와 제2젊은 근위대 군단, 프랑스군 좌익에는 모르티에와 제1젊은 근위대 군단. 오후 5시 30분, 나폴레옹은 반격을 가했고, 밤이 되자 프랑스군은 생 시르의 원래 위치 대부분을 되찾았다. 8월 26일 밤, 폭우가 내려 땅은 진흙으로 변했다.
밤새 제2군단, 제6군단과 근위 기병대의 증원을 받은 나폴레옹은 8월 27일 아침 공격하여 연합군 좌익을 무너뜨렸다. 범람한 바이세리츠 강은 요한 폰 클레나우와 이그나츠 규라이가 지휘하는 연합군 좌익의 큰 부분을 중앙과 분리시켰다. 프랑스 원수 조아킴 뮈라는 이를 이용하여 오스트리아군에게 큰 손실을 입혔다. 요제프 폰 메스코 폰 펠쇠쿠비니의 5개 보병 연대는 뮈라의 기병대(약 1만 3천 명)에 포위되어 사로잡혔고, 15개의 군기를 빼앗겼다. 규라이의 사단들도 제2군단의 지원을 받는 뮈라의 기병대의 공격을 받아 심각한 손실을 입었다. 습기 찬 부싯돌과 화약으로 소총이 발사되지 않아 많은 대대가 프랑스 퀴라시에와 드라군의 쉬운 먹잇감이 되었다.
네이, 모르티에와 생 시르는 연합군 우익을 공격했고, 러시아와 프로이센 기병의 돌격에도 불구하고 후퇴했다. 프랑스군 중앙은 제6군단이 지켰지만, 대부분 포격전으로 제한되었다. 오후 5시경 연합군은 더 이상 싸울 수 없다고 결정하고 남쪽으로 철수했다. 나폴레옹은 다음날 아침까지 그들이 떠났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다.
효과적인 후위와 날씨 덕분에 슈바르첸베르크는 철수할 수 있었고 포위나 추격을 피할 수 있었다. 연합군은 약 3만 8천 명과 40문의 대포를 잃었다. 프랑스군의 사상자는 약 1만 명이었다. 나폴레옹의 장교들 중 일부는 그가 "전투 둘째 날 내내 노출된 추위와 폭우로 인해 심한 산통을 앓았다"고 언급했다.[8]
3. 1. 프랑스군의 전력
나폴레옹은 559개 보병 대대, 395개 기병대, 442,810명의 병력과 1,284문의 대포를 보유한 야전군을 지휘했다.[1] 드레스덴에는 생 시르 원수의 제14군단이 주둔하고 있었다.[2] 나폴레옹은 근위대 보병, 뮈라의 제1기병군단, 빅토르의 제2군단, 마르몽의 제6군단, 그리고 근위 기병대의 증원을 받았다.[3]
3. 2. 연합군의 전력
연합군은 556개 보병 대대, 572개 기병대, 68개 코사크 연대, 총 512,113명의 병력과 1,380문의 대포를 보유했다.[1] 보헤미아 군은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2]
구분 | 구성 | 지휘관 | 비고 |
---|---|---|---|
좌익 | 오스트리아군 (보병 9개 사단, 기병 3개 사단, 128문 대포) | 슈바르첸베르크 | |
우익 | 러시아군 (보병 2개 사단), 폰 클라이스트의 프로이센 군단 (158문 대포) | 비트겐슈타인 | |
중앙 및 예비대 | 바르클레이 드 톨리 휘하 정예 러시아군 (그레나디어 사단 2개, 근위 기병 사단 4개), 프로이센 왕실 근위대 (약 150문 대포) | 바르클레이 드 톨리 |
세 군주 (알렉산드르 1세, 프란츠 1세,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예비대에 남아 있었다.[2]
4. 전투의 영향
나폴레옹은 드레스덴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전략적인 이점을 얻는 데는 실패했다. 나폴레옹은 갑작스러운 위경련으로 인해 전장을 떠나야 했고, 이로 인해 프랑스군은 슈바르첸베르크가 포위망을 빠져나가 퇴각하도록 허용하여 연합군을 궤멸시키지 못했다.[8] 연합군은 38,000명의 병력과 40문의 포를 잃었고, 프랑스군은 약 10,000명의 피해를 입었다. 나폴레옹 휘하 장교는 "전투 중 차가운 비를 맞아 담에 문제가 생겼다"고 기록했다.[8]
방담 장군은 나폴레옹이 이탈한 상황에서도 생시르 등의 지원 없이 슈바르첸베르크를 추격했고, 이는 쿨름 전투로 이어졌다.[8] 8월 27일, 방담은 피르나로 진격하여 엘베 강에 다리를 놓으라는 명령을 받았고, 폭우 속에서 이를 완수했다. 그러나 체히스타 고지에 배치된 러시아군을 교란하지 못했고, 드레스덴에서 철수하는 연합군 한가운데로 향하게 되어 쿨름 전투를 초래했다. 사방에서 공격받은 방담은 항복했다.[1]
이러한 손실과 함께 우디노 원수와 맥도널드 원수가 카츠바흐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드레스덴에서의 승리는 빛이 바랬다.
나폴레옹의 오랜 라이벌 장 빅토르 마리 모로는 미국 망명에서 돌아와 러시아 황제와 대화하던 중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고, 9월 2일 Lounycs(체코)에서 사망했다.[1]
5. 기타
E. T. A. 호프만은 작가이자 작곡가로, 드레스덴 전투 당시 드레스덴에 있었다. 그는 전투의 참상을 직접 목격하고, ''드레스덴 전투 전장의 환영''이라는 기록을 남겼다.[1]
5. 1. E. T. A. 호프만의 기록
작가이자 작곡가인 E. T. A. 호프만은 당시 현지 오케스트라에 고용되어 있었기 때문에 드레스덴 전투 당시 드레스덴에 있었다. 8월 22일, 휴전이 끝난 후 호프만 가족은 교외의 아늑한 집에서 시내로 이주해야 했다. 그 후 며칠 동안 전투가 격렬하게 벌어지는 동안 그들은 계속되는 폭격을 경험했다. 호프만이 나중에 회고한 바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그의 바로 앞에서 포탄에 맞아 죽었다. 주요 전투가 끝난 후 그는 피비린내 나는 전장을 방문했다. 그의 기록은 ''드레스덴 전투 전장의 환영''(Vision auf dem Schlachtfeld bei Dresden)에서 찾아볼 수 있다.[1]참조
[1]
서적
Metternich's German Policy; vol. 1: The Contest with Napoleon, 1799–1814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Memoirs of the Duke of Rovigo
http://www.Peterswal[...]
2011-05-07
[3]
간행물
ナポレオン帝国の崩壊
学習研究社
[4]
서적
[5]
웹사이트
The Memoirs of General Baron de Marbot
http://napoleonic-li[...]
[6]
서적
Mesko
http://www.napoleon-[...]
[7]
웹사이트
Memoirs of the Duke of Rovigo
http://www.peterswal[...]
Peterswald
[8]
웹인용
Memoirs of the Duke of Rovigo
http://www.peterswal[...]
Peterswald
2009-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